|
![]() 신 역사(CY 화물전용역) | |
![]() 구 역사(여객열차 겸업 시절)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380 (좌천동 1164-2) |
---|---|
좌표 | ![]() |
역 종별 | 관리역 |
역 등급 | 2급 |
경부선 | |
서울 기점 439.9 km ← 사상 (9.6 km) 부산 → (1.8 km) | |
동해남부선 | |
부산진 기점 0.0 km 범일 → (2.1 km) | |
우암선 | |
부산진 기점 0.0 km 우암 → (2.4 km) |
부산진역(釜山鎭驛)은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경부선과 동해남부선의 화물 전용역이다.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던 철도역이다. 역명과 달리 부산진구가 아닌 동구 좌천동에 있다. 과거에는 완행 열차의 시·종착역 및 일부 방면 열차의 정차역으로 부산역에 버금가는 여객 수요를 보인 바 있었다. 1997년 당시 비둘기호 최장거리 노선은 부산진역에서 광주까지 가는 노선이였으며 요금은 4,500원이었다. 구 역사는 1979년 10월 7일에 완공되었다.
경부선과 동해남부선, 우암선이 분기하는 역이지만 2004년 KTX 개통을 전후로 경부선 이외의 여객열차 업무가 모두 부전역으로 이관(2월 2일)되면서 정차 편수가 급감하자 여객 수요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KTX가 개통한 2004년 당시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374명, 하차 인원은 422명이었다. 결국 2005년 4월 1일에 여객 취급을 완전히 중단하고 대신 화물 수요를 집중시켜 부산광역시에서의 매우 중요한 화물 전용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인근의 수정동에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역이 있다. 부산진역 북쪽에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직결되는 선로가 부설되어 있다. 그래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역이 2면 3선식이다. 경부고속선은 부산역에서 바로 이어지기 때문에 부산진역은 경부고속선의 분기역이 아니지만, 부산진역 인근에 대한민국 최장거리 터널로 알려진 KTX용 금정터널로 들어가는 지하 선로가 나온다. 이 지하 연결선은 부산진역의 여객용 승강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만들어졌다.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경부본선 |
---|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동해남부선 |
---|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우암선 |
---|
![]() 신 역사(CY 화물전용역) | |
![]() 구 역사(여객열차 겸업 시절)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380 (좌천동 1164-2) |
---|---|
좌표 | ![]() |
역 종별 | 관리역 |
역 등급 | 2급 |
경부선 | |
서울 기점 439.9 km ← 사상 (9.6 km) 부산 → (1.8 km) | |
동해남부선 | |
부산진 기점 0.0 km 범일 → (2.1 km) | |
우암선 | |
부산진 기점 0.0 km 우암 → (2.4 km) |
부산진역(釜山鎭驛)은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경부선과 동해남부선의 화물 전용역이다.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던 철도역이다. 역명과 달리 부산진구가 아닌 동구 좌천동에 있다. 과거에는 완행 열차의 시·종착역 및 일부 방면 열차의 정차역으로 부산역에 버금가는 여객 수요를 보인 바 있었다. 1997년 당시 비둘기호 최장거리 노선은 부산진역에서 광주까지 가는 노선이였으며 요금은 4,500원이었다. 구 역사는 1979년 10월 7일에 완공되었다.
경부선과 동해남부선, 우암선이 분기하는 역이지만 2004년 KTX 개통을 전후로 경부선 이외의 여객열차 업무가 모두 부전역으로 이관(2월 2일)되면서 정차 편수가 급감하자 여객 수요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KTX가 개통한 2004년 당시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374명, 하차 인원은 422명이었다. 결국 2005년 4월 1일에 여객 취급을 완전히 중단하고 대신 화물 수요를 집중시켜 부산광역시에서의 매우 중요한 화물 전용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인근의 수정동에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역이 있다. 부산진역 북쪽에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직결되는 선로가 부설되어 있다. 그래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역이 2면 3선식이다. 경부고속선은 부산역에서 바로 이어지기 때문에 부산진역은 경부고속선의 분기역이 아니지만, 부산진역 인근에 대한민국 최장거리 터널로 알려진 KTX용 금정터널로 들어가는 지하 선로가 나온다. 이 지하 연결선은 부산진역의 여객용 승강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만들어졌다.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경부본선 |
---|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동해남부선 |
---|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우암선 |
---|
![]() 범일역 | |
소재지 | ![]() 신천대로71번길 94 (범천동 941-4) |
---|---|
역 종별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구조 | 1면 1선 단선 승강장 |
동해남부선 | |
부산진 기점 2.1 km ← 부산진 (2.1 km) 부전 → (1.8 km) | |
가야선 | |
사상 기점 8.3 km ← 가야 (2.1 km) |
범일역(凡一驛)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동해남부선과 가야선의 철도역이다. 역명과는 달리 동구 범일동이 아닌 부산진구 범천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범내골역이 있다. 현재 여객 열차는 운행되지 않으나, 승차권은 구입할 수 있다.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동해남부선 |
---|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가야선 |
---|
![]() | 이 글은 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서면역(西面驛)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존재했던 동해남부선의 역이었다. 서면역으로 개업했던 해당 노선의 부전역이나 부산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환승역 서면역과는 관련이 없다.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동해남부선 |
---|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서를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주석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2년 7월 2일에 문서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
![]()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더 좋은 문서가 되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2년 7월 2일에 문서의 정리가 요청되었습니다.) |
원리역은 부산광역시에 존재했던 동해남부선의 역이다.현재는 흔적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지금의 원동나들목에 위치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차후 동해남부선이 복선전철화 되면, 원동역(가칭)이란 이름으로 재개업 하게 된다.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동해남부선 |
---|
![]() 역사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로 40-13 (좌천리 211-1) |
개업일 | 1934년 12월 16일 |
역 종별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동해남부선 | |
부산진 기점 41.2 km ← 일광 (5.3 km) 월내 → (3.4 km) |
좌천역(佐川驛)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 위치한 동해남부선의 역이다.
1934년 12월 16일에 영업을 시작하였다. 현재 무궁화호 열차만 정차하고 있으며 새마을호 열차와 일부 무궁화호 열차는 통과한다. 역 구내에는 철제 급수탑이 있다.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소재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좌천역과는 관련이 없으며 직선 거리는 26km 정도이다.
좌천역에서 약간 걸어 나오면 좌천삼거리가 있으며 이곳에서 부산 시내버스, 기장군 마을버스,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동해남부선 | ||
월내 포항·동대구·청량리 방면 | 무궁화 동해남부선 | 기장 부전 방면 |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동해남부선 |
---|
![]() 월내역 | |
![]() 월내역 구내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월내길 7 (월내리 482-1) |
---|---|
개업일 | 1935년 12월 16일 |
역 종별 | 무배치간이역 (좌천역 관리) |
동해남부선 | |
부산진 기점 44.6 km ← 좌천 (3.4 km) 서생 → (2.9 km) |
월내역(月內驛)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월내리에 있는 동해남부선의 역이다. 역 인근에 고리원자력발전소가 있다.
이 역을 지나는 새마을호와 일부 무궁화호 열차는 통과한다.
이 역은 화물 업무를 주로 했으며, 특히 미역과 다시마 등 해산물을 타지역으로 수송하는 업무를 많이 했다. 화물 영업은 현재는 중지된 상태이다.[출처 필요]
부산 도시통근열차가 운행했을 때는 이 역이 종착역이었다.
목차[숨기기] |
동해남부선 | ||
남창 포항·동대구·청량리 방면 | 무궁화 | 좌천 부전 방면 |
[숨기기] 한국철도공사 동해남부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