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혼례의 의미 혼례란 젊은 남녀가 하나로 합쳐 위로는 조상의 제사를 지내고 아래로는 자손을 후세에 존속시켜 조상의 대를 끊기지 않게 하기 위해 치르는 혼인의 예이다. 우리 나라는 오래 전부터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를 중심으로 첩(妾)을 두는 다처적 경향이 후대까지 계속되었다. 배우자 선택에 있어서 신라,고려의 왕족(王族)은 계급적 내혼 (階級的內婚]의 형태를 취하여 혈족 혼(혈족 혼), '인척혼' 등이 행하여졌으며, 부여, 고구려에서도 형이 죽으면 아우가 형수를 취하는 이른바 레비라 혼)이 있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그러나 유교의 영향이 점차 강화됨에 따라 고려 말에는 외가 4촌, 이성재종자매 와의 혼인이 금지되고, 조선 조에 와서 동성동본(동성동본)의 금혼은 물론 모계 및 처족과의 혼인이 법으로 금지되었으며 배우자의 계급적 제한도 엄격해졌다. 우리 나라에 있어서의 혼인제도의 변천을 보면, 부여에서는 일부일처제였고, 옥저에서는 돈을 받고 혼인하는 매매결혼이 행해졌다는 기록이 있다. 고구려에서는 신부의 집 뒤뜰에 서옥이라는 조그만 집을 짓고 사위가 거처하다가 자식을 낳아 큰 다음에 비로소 아내를 데리고 자기 집으로 돌아갔다 한다. 이는 모계 씨족시대의 유풍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려를 거쳐 조선조로 들어와서는 유교의 가르침에 의한 혼례가 유가의 예문에 따라 행해졌었다. 그 후 서구의 문화가 들어오면서부터 거의 모두가 신식에 의한 혼례를 행하게 되었고, 혹 전통적인 옛날의 의식을 답습하는 혼례라 하더라도 많이 간소화되었다.
| |
|
전통 혼례의 범절 [婚禮의 凡節] |
[1]의혼[議婚]
●청혼편지[請婚片紙]
伏惟辰下 에 存體候以 時萬重이 仰素區區之至라.
먼저 신랑집과 신부집이 서로 사람을 보내서 상대편에 인물 학식 형세유무[形勢有無]인품[이것은 상대편에 부모가 인자하고 좋은 사람인가를 알아보는 것]등을 조사하여 양가에서 합의가되면 허혼[許婚]하는 것이니 곳 의혼[議婚] 또는 면혼[面婚]이라고도 한다.그러나 양가 사이에 혼인을 의논을 했다하더라도 할지라도 혼인을 할 사람이나 혼인을 주장하는 사람이 기년[朞年]이상에 상중이 아니어야만 혼인을 할 수 있었다.
第家兒親事 는 年及加冠 이나 尙無指合處 려니 近聞 某洞某氏 家 에 閨養 이 淑哲云 하니 能其勸誘 하여 使結秦晉誼 가 如何오리까
餘 는 不備禮謹拜 上狀이오.某年 某月 第 某拜上
[해설]오랫도안 우러러 사모하옵는데 존체 대안하십니까.제 자식이 혼사할 나이가 되었으나 아직 정혼한곳이 없아온데 요지음 들은 바에 의하면 모동 모씨댁에 정숙한 규수가 있다고 하오니 권유하시어 혼사가 이루어 지도록 하여 주심이 어떠하오리까.
[2]허혼[許婚]
●청혼에 따라 양가 부모사이에승락이 있으므로 혼인이 이루어지는 것이나 지금은 새로운 풍속에 의하여 신랑 신부사이에 약혼[約婚]을 하고 약혼식을 거행하고 있다.
伏惟 春元에 尊體動止 候萬重이 仰慰區區之至이오며 第女 兒親事는 不鄙寒陋 하시고 如是謹勸 하시니 敢不聽從이오리까
餘不備伏惟 尊照 謹拜 上狀 某年 某月 某日 第某拜上
[해설]봄철에 존체 만안하옵시나이까 저의 여식 혼사는 모형의 권유하심에 따라 좋은 인연을 맺고자 합니다.
[3]납채[納采 四星]
●납체는 먼저 신랑집에서 신랑 생년[生年]생월[生月]생일[生日]생시[生時]를 써서 편지와하 함께 신부집으로 보내는 것이며 보낼 때는 아침 일찍일어나 편지와 납채를 보내면 답장을 받은 신랑집 측은 다시 이사실을 사당에 고하는 것이다 사성[四星=四柱]는 간지를 다섯 번 접어 그 가운데 쓴다.그리고 편지를 써서 함께 보에 싸서 보낸다.
한자는 생략[해설]엎드려 편지를 받자오니 매우 감사합니다.근간에 존체 만중 하옵시나이까.제 자식에 혼사는 이미 허락하심을 받았아오니 저의 가문의 다행이며 경사이옵니다.이에 채단을 보내오니 혼사 일자를 회신하여 주심이 어떠하오리까.
[4]연길[涓吉=擇日]
●연길이란 즉 택일[擇日]과 같다 결혼식[結婚式]일자를 정하여 정하여 보내는 것을 말하며 신랑집에서 사성이 오면 신부 측에서는 결혼식 일자를 정하여 신랑측에 통지하는 것이며 연길[涓吉]역시 편지와 같이 보낸다.
한자생략[해설문]편지를 받자오니 감사한 마음 한량이 없습니다.근간에 내내 존체 만안 하십니까 저의 여아 혼사는 개희 사성단자를 받자오니 가문에 경사이옵니다.혼례날짜를 택일하여 보내오니 신랑의 의복 칫수를 알려 주심이 어떠하오리까.
[5]납폐[納幣]
●납폐는신랑측에서 신부용 혼수와 예장[禮狀=婚書紙] 및 물목[物目]을 넣은 혼수함[婚需函]을 신부측에 보내는데 이것을 납폐[納幣]라 하여 정해진 격식이 있다 신랑측 집안이 가난하면 청단과 홍단 치마감을 납폐함에 넣을 뿐이나 부유한 신랑 측에서는 또다른 옷감도 넣어 보낸다 이것을 봉체라고 하는데 봉침이라고도 한다.
한자생략[해설]때는 봄이 무르익은 계절이온데 존체만복 하시옵나이까.저의 장자모가 이미 성장하여 배필이 없압더니 높이 사랑하심을 입사와 귀중한 따님으로 하여금 아내로 맞게 해주시니 이에 조상의 선예에 따라 갖추지 못하였으나 삼가 납폐의식을 행하오니 살펴 주시옵서소.
[6]친영[親迎=婚行]
●친영이란 신랑이 신부를 맞아오는 예[禮]를 말하며 신부측은 하루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이 잘 방에 이불.베게등.주로 침구[寢具]를 준비하게 하며 대문밖에는 포장을 치게하고 신랑이 입을 옷을 광주리에 담아둔다.대문 밖에는 햇불을 밝혀서 신랑이 오는 것을 한다.신랑은 초저녁 떠나기전에 성복[盛服]을 하고 사당에가서 고한다.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앞에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복 차림으로가서 혼례를 치를 때 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신랑이 말을 타고 신부집으로 갈 때 목안[목안]을 든 사람이 앞에서서 가는 것이 풍속에 일종이다.신랑은 말에서 내려 대문 밖에서 기다려 신부집 주인은 신랑집에서와 같이 사당에 고한다.한편 신부는 쪽도리에 연지를 바르고 황색 저고리에 홍색 치마를 입고 그 위에 활옷을 입고 수모의 부축을 받으며 밖으로 나와 동쪽을 향하여 앉으면 아버지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향하고 어머니는 서쪽에서 동쪽을 향해 앉은 다음 수모가 신부를 어머니의 곁 동북쪽을 서게 한다음 시녀를 시켜 술을 따라 신부에게 맛보게 하고 다시 신부를 어머니의 왼쪽으로 가게하면 아버지가 일어나서 신부에게 말 하기를 "항상 시부모님 말씀을 어기지 말고 공경하고 삼가라.!고 부탁을 하면 어머니는 딸의 차림을 매만저 주면서 서쪽 뜰까지 보내주고 하는말은 "규문[閨門]의 예의를 어기지 말고 시부모님을 공경하고 내조의 힘을 아끼지 말라" 고 당부하고 가족들은 중문까지 마중을 해준다.
[7]전안례[奠雁禮와醮禮] 교배례[交拜禮]의 진행
|
[1]주인영서우문외[主人迎壻于門外]...주인이 나아가 신랑을 맞이한다. |
[2]서읍양이입[壻揖讓以入]...신랑이 읍하고 들어온다. | |
[3]시자집안이종[侍者執雁以從]...시자가 기러기를 가지고 신랑을 자리로 안내한다. | |
[4]서취석[壻就席]...신랑이 자기자리로 들어선다. | |
[5]포안우좌기수[抱雁于左其手]...신랑이 기러기에 머리를 외쪽으로 가도록 안는다. | |
[6]북향괴[北向괴]...북쪽 정청 쪽을 향하여 꿇어 앉는다. | |
[7]치안우지[置雁于地]...기러기는 소반위에 올려 놓는다. | |
[8]면복흥[면伏興]...일어난다. |
[9]소퇴재배[小退再拜]...약간 뒤로 물러서서 두 번 절한다.[이상이 전안례] |
[10]서지석말[壻至席末]...신랑이 초례청 [礁禮廳]동편 자리에 들어선다. |
[11]무도부출[무導婦出]...신부의 시자[侍者=한섬이라함]가 신부를 부축하여 나오되 백포를 깔고 그 위를 밟고 나온다. |
[12]서동부서[壻東婦西]...신랑은 동편에 신부는 서편에서 초례상을 중앙으로 두고 마주선다. |
[13]진관진세서관우남부관우북[進관進洗壻관于南婦관于北]...신랑의 손씻을 물은 남쪽에 신부의 손씻을 물은 북쪽에 놓는다. |
[14]서부종자옥지[壻婦從者沃之]...신랑 시부 각각 손을 씻고 수건에 닦는다. |
[15]부선재배[婦先再拜]...신부가 먼저 두 번 절한다. |
[16]서답일배[壻答一拜]...신랑이 한번 절한다. |
[17]부우재배[婦又再拜]...신부가 다시 두 번 절한다. |
[18]서우답일배[壻又答一拜]...신랑이 다시한번 절한다. |
[19]서읍 부각괴자[壻揖婦各괴坐]...신랑이 신부에게 읍하고 각각 꿇어 앉는다. |
[20]시자진찬[侍者進饌]...시자가 술잔을 신랑에게 준다. |
[21]시자각침주[侍者各침酒]...시자가 잔에 술을 부어준다. |
[22]서읍제부주거효[壻揖婦祭酒擧肴]...신랑은 읍하고 술을 땅에조금붓고 안주를 젓가락으로 집어 상위에 놓는다. |
[23]우칩주[又칩酒]...시자가 신랑신부 술잔에 다시 술을 붓는다. |
[24]서읍부거음불제무효[壻揖婦擧飮不祭無肴]...신랑은 읍하고 신부가 술을 마시되 안주는 들지 않는다. |
[26]우취근서부지전[又取근壻婦之前]...표주박을 신랑신부에게 준다. |
[27]거배상호서상부하[擧盃相互書上婦下]...신랑신부 표주박을 바꾼다. |
[28]각거음[各擧飮]...신랑신부 술을 마신다. |
[29]예필철상[禮畢撤床]...예를 끝내고 상을 치운다. |
[30]각종기소[各從其所]...신랑신부 각각 처소로 들어간다.[이상이 교배례] |
이상으로 교배식이 끝나는 것이다.혼례식 후에 관습상의 여러 가지 행사가 있으나 각 지방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