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삭녕최씨 광주:광산파 원문보기 글쓴이: 삭녕최씨
시조(始祖) |
중시조(中始祖) |
관직(官職) : 문하시랑평장사 (門下侍郞平章事) |
관직(官職) : 문하시랑평장사 (門下侍郞平章事) |
|
|
일세조(一世祖)낭장공파(郎將公派) |
일세조(一世祖)부사공파(府使公派) |
휘(諱) : 최선보(崔善甫) 관직(官職) : 친어모군낭장 (親御侮軍郎將) |
(含慶殿副使) |
시조(始祖) : 최천로(崔天老)
관직(官職) : 문하시랑평장사(文下侍郞平章事)
중시조(中始祖) : 최유가(崔瑜價)
관직(官職) : 문하시랑평장사(文下侍郞平章事)
1세조(一世祖) : 최선보(崔善甫) 낭장공파(郎將公派) 1세조(一世祖) : 최연(崔연) 부사공파(府使公派)
관직(官職) : 친어모군낭장(親御侮軍郎將) 관직(官職) : 함경정부사(含慶殿府使)
朔寧崔氏(삭녕최씨)의 始祖(시조)는 高麗時代(고려시대)에 中書門下省(중서문하성)의 門下侍郞平章事(문하시랑평장사)를 지내신 崔天老(최천로)公(공)으로 先系(선계)는 文獻(문헌)이 失傳(실전)되어 詳考(상고)할 수 없다.
또한 高麗(고려) 明宗(명종) 때에 門下侍郞平章事(문하시랑평장사)를 지내신 崔瑜價(최유가)公(공)을 中始祖(중시조)로 하고 朔寧(삭녕) 正言洞(정언동)을 平章洞(평장동)으로 改稱(개칭)하여 世居(세거)하여 왔으므로 後孫(후손)들이 本貫(본관)을 朔寧(삭녕)이라 하였다.
平章事(평장사) 兩公(양공)은 朔寧崔氏(삭녕최씨)의 遠祖(원조)로서 그 前後(전후)의 中間世系(중간세계)가 不傳(부전)하므로 高麗(고려) 末期(말기)에 親禦侮軍郎將(친어모군 낭장)을 歷任(역임)하신 崔善甫(최선보)公(공)과 咸慶殿副使(함경전 부사)를 지내신 崔珚(최연)公(공)을 各其(각기) 郎將公系派(낭장공계파)와 副使公系派(부사공계파)의 1世祖(세조)로 하여 世系(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2. 始祖(시조)의 遺事(유사)
朔寧崔氏(삭녕최씨)의 始祖(시조)인 崔天老(최천로)公(공)은 高麗朝(고려조)에 中書門下省(중서문하성)의 門下侍郞平章事(문하시랑평장사)을 歷任(역임)하셨고 中始祖(중시조)인 崔瑜價(최유가)公(공)은 高麗(고려) 제19대 明宗(명종) 20년(AD. 1190) 庚戌(경술) 12월에 國子監大司成(국자감 대사성)과 樞密院副使(추밀원 부사)를 歷任(역임)하고 知貢擧(지공거)와 秘書省判事(비서성 판사) 등을 거쳐 明宗(명종) 24년(AD. 1194)에 參知政事(참지정사)를 歷任(역임)하고 門下侍郞平章事(문하시랑평장사)에 오르신 重臣(중신)으로서 天稟(천품)이 仁厚(인후)하고 德望(덕망)이 높았으며 年老(연노)하여 退任(퇴임)을 懇請(간청)하시니 世人(세인)들이 그 德風(덕풍)을 讚美(찬미)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平章事(평장사) 兩公(양공)은 우리 朔寧崔氏(삭녕최씨)의 遠祖(원조)로서 그 前後(전후)의 中間世系(중간세계)가 不傳(부전)하므로 그 以上(이상)의 詳考(상고)할 수가 없으며 始祖(시조)이신 天老(천로)公(공)은 우리 朔寧崔氏族譜(삭녕최씨족보)에만 보일 뿐 다른 文獻(문헌)에서는 찾아볼 수가 없으나 中始祖(중시조)인 崔瑜價(최유가)公(공)의 行蹟(행적)은 上記(상기)와 같이 高麗史(고려사)에 記錄(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晩成譜(만성보) 등의 姓譜冊子(성보책자)에 朔寧崔氏(삭녕최씨)의 始祖(시조)가 崔瑜價(최유가)公(공)으로 되어 있음은 그러한 緣由(연유)이다.
朔寧崔氏(삭녕최씨)의 始祖(시조)와 中始祖(중시조) 兩公(양공)은 遠祖(원조)로서 그 前後(전후)의 中間世系(중간세계)가 不傳(부전)하고 墓(묘)는 高陽(고양)으로 記錄(기록)되어 전해오고 있으나 守護(수호)하지 못하여 確認(확인)할 길이 없다.
3. 始祖(시조) 平章事(평장사) 兩世(양세)의 舊基(구기)
始祖(시조)이신 崔天老(최천로)公(공)과 中始祖(중시조)이신 崔瑜價(최유가) 兩公(양공) 때부터 代代(대대)로 世居(세거)해 오신 舊基(구기)가 옛 朔寧郡(삭녕군) 北方(북방) 40餘里(여리)에 位置(위치)한 馬場面(마장면) 大田里(대전리) 槐陰村(괴음촌)에 壬坐(임좌)로 傳(전)해 왔으며, 槐陰村(괴음촌) 舊基(구기) 앞에는 後孫(후손) 文靖公(문정공) 崔恒(최항)께서 始祖(시조)이신 平章事(평장사) 兩公(양공)을 崇慕(숭모)하기 위해 세우신 興化亭(흥화정)이 있었다고 전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