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오드 측정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다이오드의 도통방향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계측기기가 필요한데..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일명 “테스터”기 랍니다.
이러한 “테스터”는 아날로그 테스터와 디지털 테스터가 있는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테스터를 이용한 트랜지스터의 리드와 형태를 판별하는 방법을 기술하겠읍니다.
(여기서 디지털 테스터라 함은 "DMM" 즉, Digital Multi Meter라고 합니다.)
필자가 기술하는 DMM은 “Fluker”사의 멀티메터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읍니다.
모든 다이오드는 2개 리드를 가지고 있는데, 2개의 리드를 각각 애노드(Anode), 캐소드(Cathode)라고 부르지요..
이러한 애노드와 캐소드를 구별하는 방법으로는 제조회사에서 다이오드 몸통에 표시한 띠 형태의 극성 표시를 가지고
방향을 식별하는 방법이 가장 쉽지요..
다이오드 몸통에 표시된 방향식별표시는 보통 캐소드(Cathode : K로 표시) 측에 표시되어 있는데......캐소드는 (-)음극을,
애노드는 (+) 양극이란것을 기억해 두어야 합니다.
그런데.. 표시가 않되어 있는 다이오드는 어떻게 사용하지??? 방향을 알아낼 순 없을까???
그리고 다이오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이런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이오드를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기로 합시다.
우선 DMM의 레인지 스위치를 다이오드 표시에 맞추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테스터 리드 위치가 정확한지 확인부터 합니다.
흑색 테스터 리드는 “COM” 단자에 정확하게 꽂혀 있는가??
적색 테스터 리드는 “V, Ω, 다이오드표시” 단자에 정확하게 꽂혀있는가??
모든 것이 정상이면 방향식별표시가 없는 다이오드와, 다이오드가 정상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2가지 경우에 대해
측정을 시작해 보기로 하지요..
경우 1) 방향식별표시가 없는 다이오드의 방향 찾기
경우 2) 다이오드의 정상여부 측정
다이오드 극성 측정
다이오드 극성 측정은 방향식별표시가 있는 경우, 다이오드의 양불 판정이 되지만, 방향식별표시가 없는 다이오드 경우,
에노드와 캐소드를 알아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측정을 하여 극성을 찾아 사용하여야 한답니다.
경우 1) 방향식별표시가 없는 다이오드 측정

측정 1)
다이오드 리드(A)를 기준으로 측정하므로 리드(A)를 기억해야 한다.
DMM의 적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A) 리드에 접촉하고,
흑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B)번 리드에 접촉한다.
DMM 표시창에 숫자가 표시 되는가 확인한 후, 다음 항목을 진행한다.

측정 2)
DMM의 적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B) 리드에 접촉하고,
흑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A)번 리드에 접촉한다.
DMM 표시창에 숫자가 표시 되는가 확인한다.
측정 결과)
측정결과 DMM의 흑색 테스터 리드(-)가 다이오드 (A)리드에, 적색 테스터 리드(+)가 다이오드 (B)리드에 접촉되었을 때
도통 되었으므로, 다이오드 리드(A)가 케소드, 리드(B)가 에노드이다.
경우 2) 방향식별표시가 없는 다이오드 측정

측정 1)
다이오드 리드(A)를 기준으로 측정하므로 리드(A)를 기억해야 한다.
DMM의 흑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A) 리드에 접촉하고,
적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B) 리드에 접촉한다.
DMM 표시창에 숫자가 표시 되는가 확인한 후, 다음 항목을 진행한다.

측정 2)
DMM의 적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A) 리드에 접촉하고,
흑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B)번 리드에 접촉한다.
DMM 표시창에 숫자가 표시 되는가 확인한다.
측정 결과)
측정결과 DMM의 적색 테스터 리드(+)가 다이오드 (A)리드에, 흑색 테스터 리드(-)가 다이오드 (B)리드에 접촉되었을 때
도통 되었으므로, 다이오드 리드(A)가 에노드, 리드(B)가 케소드이다.
경우 3) 다이오드 정상여부 측정
다이오드 정상여부 측정은 방향식별표시가 있거나, 없어도 측정이 가능하다.

측정 1)
DMM의 흑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A) 리드에 접촉하고,
적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B) 리드에 접촉한다.
DMM 표시창에 숫자가 표시 되는가 확인한 후, 다음 항목을 진행한다.

측정 2)
DMM의 적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A) 리드에 접촉하고,
흑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B)번 리드에 접촉한다.
DMM 표시창에 숫자가 표시 되는가 확인한다.
측정 결과)
측정결과 다이오드 양쪽 방향 모두 도통이 되지 않으므로 다이오드 내부가 소손 상태이므로 사용할 수 없는 다이오드이다.

측정 3)
DMM의 흑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A) 리드에 접촉하고,
적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B) 리드에 접촉한다.
DMM 표시창에 숫자가 표시 되는가 확인한 후, 다음 항목을 진행한다.

측정 4)
DMM의 적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A) 리드에 접촉하고,
흑색 테스터 리드(-)를 다이오드 (B)번 리드에 접촉한다.
DMM 표시창에 숫자가 표시 되는가 확인한다.
측정 결과)
측정결과 다이오드 양쪽 방향 모두 도통 되므로, 다이오드 내부가 쇼트 상태이므로 사용할 수 없는 다이오드이다.
-끝-
첫댓글 ㅎㅎ 재미있네요
Pnp.npn 트랜지스터도 같은방법으로
검사하는데요.쉽고도 자세하게 사진과함께
설명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이오드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성질을 이용한 검사법이군요.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