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충식의
' 클래식은 영화를 타고 '
< 콜레트 - Colette >
- 자신의 이름을 되찾은,
하여 , 그녀만의 '예술에 살고 사랑에 살았던
(Vissi d'arte, vissi d'amore)' 콜레트...
여성의 사회적 활동이 제약을 받던 1892년,
프랑스 시골 마을 생 소뵈르의 처녀 콜레트
(키이라 나이틀리 분)는 치기만만한 또래의
청년보다는,
파리의, 즉 예술의 기운이 풍기는, 15년 연상의 윌리
(도미닉 웨스트 분)에게 더 마음이 끌립니다.
윌리는 콜레트에게 에펠탑 스노볼을 선물하며
거꾸로 보라고 권하지요.
'세상을 뒤집어보라'는 메시지인지...
수다스러운 예술적 속물 윌리는 당시 파리 오페라
하우스에서 절찬리에 상연 중였던 푸치니의
베리즈모 오페라 < 토스카 >를 깍아내리는
장광설을 뿜어 대지요.
" 소프라노 사라 베르나르가 프리마 돈나로 출연한
'토스카'는 저속하고 뻔한 내용이던데요. "
이에 콜레트의 어머니 외제니 시도(피오나 쇼 분)는
은근하게 꼬집으며 선을 긋습니다.
" 그건 직접 보고 판단해야 하겠네..."
결국 그들은 부부가 되고, 콜레트는 파리 생활을
시작하지요.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화려한 살롱 파티도,
윌리의 바람기도 따분하기만 한 콜레트...
그녀는 살롱에서 장식처럼 놓여진 거북이를 발견하고
혼잣말을 건넵니다.
“흙과 풀이 그립겠구나.”
그날 밤, 윌리가 파티가 어떠했냐고 묻자 콜레트는
'거북이가 더 좋았노라'고 답하지요.
'지루해 하는 게 자신과 같았다'고...
윌리는 그런 콜레트에게 핀잔을 줍니다.
“ 당신은 주눅이 든 거야! "
말도 잘하고 아이디어는 넘치지만 글 솜씨는 턱없이
부족한 윌리,
그는 일종의 출판 프로듀서로 여러 무명 작가들에게
외주를 주어 본인 이름으로 발표하는 ‘문학 팩토리’ ,
시쳇말로 고용 작가를 착취하며, 문학가적 명성을
유지하는 '글 공장'을 운영하지요.
하지만 도박과 방탕한 생활에 빠져서 책이 아무리 많은
돈을 가져다줘도 곤궁한 처지는 좀처럼 나아지지
않았던 윌리는,
언젠가 콜레트가 들려준 매력적인 소녀 시절의 추억담과
필력에서 그 돌파구를 찾게 됩니다.
결국 그는 글 공장에 아내를 영입하고 대중의 입맛에
맞는 편집을 더해 10대 소녀 < 클로딘 > 을
연작의 첫 작품으로 발간하지요.
'여성이 쓴 글은 전혀 팔리지가 않는다' 는 통념으로
가득한 시대였던지라, 아니 오히려 그 미명하에 남편
'윌리(Willy)'의 필명으로 출판했음은 물론입니다만...
영화 < 콜레트 > 가 저작권을 도둑맞은 다른 여성의
이야기와 그 결을 달리하는 점은 콜레트가 일방적인
희생자라기보다 긴장 관계의 공범에 가까웠다는 사실
입니다.
콜레트는 남편이 자기 소설의 저자로 알려진 현실에
불만을 느끼지만 그가 열어주는 길 또한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 인식한 게지요.
말하자면 윌리는 콜레트에게 문화적 초기자본을
투자한 셈입니다.
"펜을 쥔 자가 역사를 쓴다."
이렇듯, 콜레트에게 소설을 쓰길 제안하며 윌리가
하는 이 말은 그때의 시대상을 자못 함축하고 있죠.
그렇게...
콜레트가 유령작가로서 처음 대필한 소설
< 학교에서의 클로딘 >은 순식간에 독자들을
사로잡으며 공전의 베스트 셀러가 됩니다.
아이에서 여자가 되어가는 소녀 클로딘에게 열광하는
젊은 여성 독자들은 헤어스타일과 패션을 따라하길
넘어서,
클로딘의 로고가 붙여진 비누와 향수, 분첩, 부채 등
캐릭터 상품까지 불티나게 사들이지요.
처음엔 콜레트는 책을 낼 수만 있다면 누구 이름으로
출간하든 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책이 의외로 잘 팔리면서 파리에서 '클로딘'을
모르는 사람들이 없을 정도로 작가 아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데다,
결정적으로 성공과 명예의 대가 또한 모두 윌리에게
돌아가게 되자, 그녀는 당연히 차기작을 공동 저자로
하자고 요구하게 되지요.
거짓으로 쌓아 올린 명성이 무너지는 것을 두려워한
윌리,
그런 남편은 화를 내며 이를 거절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콜레트를 방에 가두고 얼른 글을 쓰라고 강요어린
압박을 가합니다.
이처럼, 콜레트 부부는 겉으론 파리 최고의 셀러브리티
커플로 주목 받습니다만...
여성 가수의 목소리에 립 싱크를 하는 남성 가수의 노래
'Down by the sally gardens' 은 콜레트와 윌리의
기묘한 동반자적 관계를 은유적으로 빗댑니다.
" 윌리, 자네의 소설이 세상을 바꿀거야! "
소설 클로딘이 불러온 엄청난 반향은 윌리를 한껏
고무시켜 주죠.
급기야 그는 깜짝 선물로 콜레트에게 시골의 별장을
선물합니다.
아내에겐 그곳에서 파리의 스트레스를 풀라고 사탕발림
했지만 실상은 '클로딘 시리즈'를 쓸 그녀만의 집필 공간
으로 사육몰이한 것이었지요.
그럼에도 콜레트의 영리한 ‘복수’는 다분히 문학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콜레트는 그녀만의 독창적인 소재를 도저히 남편이
흉내낼 수 없는 문장으로 묘사해 은연 중 저자의
인장을 새겨 넣었지요.
이전의 그 누구 작품에서도 만날 수 없었던 새로움과
신선함이 번뜩이며, 상쾌하고도 한편으로는 관능적
이기까지한 아르페지오가 반복되는,
이른바 '프랑스적 취미'의, 바로 그런 느낌을 강하게
받는 드뷔시의 '아라베스크' 처럼 말이죠.
남편의 끈질긴 여성 편력 앞에 콜레트는 질투로 결혼과
동업을 끝내기보다는 스스로 결혼의 자유를 활용하는
쪽을 택합니다.
“당신이 어떤 남자인지 아니까 거짓말만 하지 말아요.
날 물건 취급하지 말고 모든 일을 의논해 동등하게
결정해줘요."
그렇게, 굳게 약속했던 윌리는 배우자의 성적 자유를
허용하는 결혼 틀 안에서도 기어코 거짓을 저지르고
맙니다.
다른 남자와의 외도는 불편하게 여기면서도, 아내가
먼저 정분을 맺은 여성과 관계를 갖는 치졸한 면도
보이지요.
윌리 부부에게 양다리를 걸친 당사자는 미국 루이애지나
출신의 매력녀 조지 라울 듀발(엘리너 톰린슨 분)였습니다.
클로딘 팬으로서 유명 작가(?) 윌리에게 추파성 인사를
전하며 눈길은 정작 그 옆의 콜레트에게 꽂혀 있는 그녀...
치명적인 매력의 집시 여인 카르멘이 순진한 하사관
돈 호세에게 '세기디야(Seguidilla)'라 불리는,
'세비야 성벽 근처에서(Pres des ramparts de
Seville)'를 노래하며 유혹하는 것처럼,
이들 두 여자는 한눈에 서로를 탐하며 짜릿한 줄타기의
양성애적 만남을 이어갑니다.
들리브의 발레곡 <코펠리아 > 속 '스와니다의
왈츠'를 배경으로 그로테스크하게 이어지는 정사
장면에선,
구노의 오페라 < 파우스트 > 중 '합창과 왈츠'가
아우러지며 몽환적이고도 퇴폐적인 시대적 이미지를
투영해주고 있습니다.
아울러 유성기를 통해 지직거리며 풀어지는 일명
'보석의 노래(Jewel Song)',
파우스트의 연인 마르가리트가 빛나는 보석을 몸에
걸치고 거울을 들여다보며 부르는 '보라, 거울 속의
내 얼굴(Ah! Je ris de me voir)' 아리아의 추임새는,
어쩌면 장차 눈부시게 변모할 콜레트의 앞날을 시사해
주는 건 아닐런지요...
새로운 사고와 트랜드를 해면처럼 빨아들이며 다채로운
스타일의 인물로 탈바꿈해 가는 콜레트...
콜레트는 연인이자 친구인 미시(데니스 고프 분)를 통해
내면의 순수한 민낯에 더 가까워지게 됩니다.
러시아 황녀의 손녀뻘인 미시는 진심어린 선각자적
충고를 건네지요.
" '클로딘'을 통해 세상의 평범한 소녀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준 이는 윌리가 아닌 바로 당신이에요.
절대 잊지 말아요!
이젠 당신도 자신이 어떤 모습으로 살아갈지 스스로
선택해야 돼요. "
미시와의 첫 데이트를 오롯이 추억하는 콜레트,
" 오늘 우리가 처음 함께 했던 길이 밝은 미래로
이어지길...
순진하지만 단호하고, 또한 조용하지만 용감한
당신과의 앞날을 기대합니다. "
마음 속 깊이 품고 있던 뇌관에서 안전핀을 뽑는
결단으로 각성한 콜레트의 이미지는 찬연한 자유로움과
해방감을 흔연스레 자아내지요.
영화는 고즈넉한 프랑스 시골의 정취는 물론이요,
파리의 어지럽고도 화려한 세상을 고스란히 재현하며
콜레트의 굴곡어린 삶에 온전히 깃든 서사를 그 위에
얹혀냅니다.
장 중 수없이 등장하는 창문과 거울의 레퍼런스를 통해
우리는 콜레트의 시각으로 남성 중심의 제한된 세계를
비추어 보며, 그녀의 내밀한 욕망 또한 확인할 수 있지요.
영화 중반부에 접어들며 오롯이 비치는,
아니 드러나고자 애쓰는 콜레트의 주체적인 캐릭터...
화면에 실리는 음악 또한 이러한 이미지에 절묘하게
어우러지며 연주됩니다.
" 내 마음 속에 있는 그녀 , 우리의 행복인 그녀 ,
'클로딘'을 위하여! "
'발트토이펠의 흥겨운 왈츠'와 함께 파리를, 아니 프랑스
전역을 뒤흔든 클로딘의 대성공을 축하하는 파티에서,
잔뜩 들떠 흥분하는 윌리를 미묘한 표정으로 응시하는
콜레트의 속내는,
패러디와 풍자의 대가였던 카미유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The Carnival of the Animals)' 중
제 1곡 '서주와 사자왕의 행진(Royal march of the
Lion)'으로 은유되고 있지요.
프랑스 음악 부흥의 선구자인 천재 음악가 생상스가
오펜 바흐, 롯시니, 베를리오즈, 멘델스존 등 유명
작곡가들은 물론,
본인 작품 '죽음의 무도'의 주요 선율, 그리고 프랑스
민요들을 매끄럽게 차용 또는 자기 표절(?)해 편집한
'동물의 사육제'...
반복적인 굉음의 피아노 연주, 또한 앤소니 웨덴의 편곡
으로 자못 으르렁대며 뒤틀리게 흐르는 '사자왕의
행진'을 통해,
콜레트는 '이제 내가 바로 주인공이다' 라고 에둘러
부르짓고 있는 게지요.
콜레트는 알제리 출신의 '연극판 클로딘' 주연 배우와
똑같은 헤어 모드와 복장으로 미디어에 노출됩니다.
그녀는 연극 무대의 클로딘 대사를 빌려 에둘러
읊조리지요.
" 내 이름은 클로딘
1884년, 몬테뉴의 시골 출생이다
내 인생의 마지막은 이곳이 아니리라... "
그 당시 파리에서 큰 반향을 일궈낸 러시아 출신
디아길레프의 '발레 뤼스' 영향으로 보여집니다만,
남편과의 다툼에 지친 콜레트는 발레에 눈을 돌려
도전하지요.
드뷔시의 '어린이의 세계(Children's Corner)' 여섯번째
곡인 '케이크워크' 선율에 맞춰, 흑인 어릿광대의 괴기한
발걸음처럼 리드미컬하게 풀어지는 콜레트의 발레는,
마치 소설 속 주인공 클로딘이 속해 있는 영역과 공간에
대한 판타지적 이미지를 옮긴 것처럼 그 메시지가 자못
메타포적입니다.
래그타임(ragtime)의 으쓱거리는 스텝을 모던 발레로
스타일링한 콜레트...
그녀는 길고 명상적인 선율이 전개되는 오리엔탈 풍의
느린 무곡으로,
'음악적'이라기보다는 '시적'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사티의 '그노시엔느(Gnossiennes)'로 품어지는
무용까지 선보이며,
바야흐로 유령 작가를 넘어선, 일약 '무대 위 댄서'로
우뚝 서지요.
이에, 남편 윌리는 특유의 도박사적 감각을 번뜩이며
물랑 루즈에서 열리는 창작 초연 발레 < 이집트의 춤
- Dance of Egypt >에 명운을 걸고 모든 돈을 쏟아
붓습니다.
강박적으로 반복되는 음표들이 달빛어린 아랍 사막의
신비스런 분위기를 자아내는 토마스 아데(영화 '콜레트'
음악 감독)의 '이집트의 춤'...
콜레트와 미시는 '아득한 먼 옛날을 연상시키는 말' 을
발견했던 사티 풍의 음악을 배경으로 거의 시간을
초월한, 속세를 벗어나는 춤사위를 펼쳐 냅니다.
도입부도 종결부도 없는, 때도 없이 사라지고 결코
끝나지도 않는 그 '침묵의 파드 뒤(Pas de deux)'를
말이지요.
하지만 동시대의 윤리적 잣대로선 도저히 용인될 수
없을 정도로, 가슴이 드러나는 파격적인 노출과
거침없는 동성애 코드의 발레 공연은,
관객들의 엄청난 도덕적 비난과 야유를 불러 일으키며
처참한 대실패로 그 막을 내리게 됩니다.
파산한 남편 윌리는 더이상의 공연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지만, 콜레트는 단호하게 이를 거부하지요.
" 당신이 뭐라 하든 난 계속할거야.
그건 바로 내가 원하는 거니까! "
그러던 어느 날, 콜레트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
또한 어린 시절을 고스란히 담은, 마치 분신과도 같은
‘클로딘’ 시리즈 판권을 윌리가 출판사에 넘긴 것을
알고 분개합니다.
그녀는 당차게 이혼을 선언하지요.
" 당신은 아무 것도 모르는 나를 오로지 당신만의
욕망을 실현할 도구로 만들었어.
내가 못 벗어날 줄 알았겠지.
하지만 틀렸어.
당신은 우리 아이 클로딘을 죽였어.
당신이 배신했지.
책이 없으면 우리는 끝난거라고.
나는 클로딘을 넘어섰어! "
그리고 마지막 방점을 찍는 콜레트...
" 펜을 쥔 자가 세상을 바꾸는 법이죠. "
어드덧 다가온 피날레,
윌리와 헤어진 후 2년 간 이어졌던 무대 공연 경험을
바탕으로 콜레트는 그녀의 이름으로 소설
< 방랑자 >를 발표하지요.
" 왜 너는 무대의 발레 댄서들 아래에서 갸날프게
떨고 있는가
이제, 명료한 정신으로 용기있게 나아가야지! "
엔딩 크레딧...
어둠 속의 적요함은 말년의 콜레트 얘기로 무연스레
채워집니다.
" 내 삶은 근사했어요.
조금 늦게 깨달았지만..."
더 이상 사랑을 위해 희생하지 않으며,
남들의 시선을 위해 치장하지 않고,
꿈의 실현을 위해 결코 주저하지 않는 콜레트,
이제, '그녀, 콜레트'가 진짜 세상에 그녀의
본모습으로 당당하게 걸어 나오는 것이지요.
피아노와 트럼펫, 현악5중주로 이뤄진 생상스의 '7중주
(Septet) E플랫장조 Op.65' 또한 그 편성만큼이나
독특한 울림으로 화면의 뒤안길을 장식해줍니다.
1. 영화 < 콜레트 - Colette > 예고편
https://youtu.be/JRSHW-Wvnd0
https://youtu.be/Mqdyyk-iOvY
감독 워시 웨스트모어랜드는 굴곡어린 삶의 콜레트를
둘러싼 질문에 압축적으로 답하기 위해 그녀의 작가
커리어 초기에 집중했지요.
19세기 말~20세기 초 프랑스 벨 에포크
(Belle Epoque) 시대,
콜레트가 바로 그 시대의 중심에 위치한 작가로 본격
자리매김하기까지의 역정에 초점을 맞춰 들여다본 것
입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 콜레트 >는 고유의 뚜렷한
문체를 갖지 못한 영화로 다가오지요.
극 중 내내 그녀의 발자취를 사뭇 섬세한 시선으로
담아내던 콜레트의 서사는,
그녀가 진정한 자신을 들어내는 후반부에 접어 들어
콜레트의 성적 정체성 묘사로 지리하게 늘어지며,
그 입체성이 그만 힘을 잃고 밋밋해져 갑니다.
2. 아일랜드 민요 ' Down by the sally gardens '
- 올라 펄론(Orla Fallon)의 노래
https://youtu.be/j_VtaD9Wchk
'Down by the sally gardens'(버드나무 정원을 지나)는
원래 제목이 'An Old Song Resung'(다시 불러본
옛 노래)로,
예이츠의 시는 실연이 예고되어 있는 연인들의 가슴을
야릇한 교훈으로 쓸어내립니다.
3. 드뷔시의 '아라베스크(Arabesque)'
- 피아니스트 스타니슬라프 부닌(Stanislav Bunin)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_5T_xrLTrTs
4. 비제 오페라 카르멘 중 '세기디야(Seguidella)'
- '세비야 성벽의 근처에서(Près des remparts de
Séville)'- 메조 소프라노 엘리나 갈랑차
https://youtu.be/sHjnVz7Ayyw
치명적인 매력의 집시 여인 카르멘은 아리아 '하바네라'인
'사랑은 들새와 같아요(L'amour est un oiseau rebelle)
를 매혹적으로 부릅니다.
카르멘은 담배공장의 다른 여자와 싸움을 하게 되고
그녀에게 너무 심한 상처를 입혀서 군인들에게 잡혀
갇히게 되는데요,
그런 카르멘을 지키게 된 자가 하필이면 순진한 하사관
돈 호세였습니다.
그러자 팜므파탈 카르멘은 호세에게 '결박을
풀러달라'고 유혹하며 '세기디야(Seguidilla)'를
노래하지요.
" 당신이 나를 풀어주기만 한다면 세빌리야의 성벽
근처에 있는 내 친구, 릴리아스 파스티아의 술집에서
세기디야 춤을 출거에요.
그리고 만자니아를 마실 거에요."
단호하던 호세는 노래 후반부에 결국 이성을 잃고
카르멘에 넘어가고 마는데, 호세의 대답이 가세하는
부분부터는 정열적인 2중창이 됩니다.
5. 들리브의 '코펠리아(Coppelia) 1막 중 왈츠'
- 나탈리아 오시포바 / 볼쇼이 발레(2009)
https://youtu.be/zn1bxP9pSfA
'코펠리아'는 19세기 클래식 발레 걸작 중 하나로
희극 발레를 대표하는 작품이지요.
괴짜 과학자 코펠리우스가 만든 인형 코펠리아를
마을 사람들이 실제 살아있는 사람으로 착각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입니다.
6.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 중 보석의 노래
(The Jewel Song)
- 소프라노 안젤라 게오르규 (Angela Gheorghiu),
2004년 코벤트가든 로열오페라
https://youtu.be/cYlYLU39wEM
6 -1. 구노 오페라 파우스트 2막 (독일 어느 지방 도시,
시장이 선 광장) 5장, 9번 Valse et Choeur,
'Ne permettrez-vous pas ma belle demo...'
https://youtu.be/qKrD1B7J5sQ
파우스트는 마르그리트에게 다가가서 프로포즈를
하지만, 그녀는 그럴 가치가 없는 여자라고 사양하지요.
크게 낙담하는 파우스트를 뒤로 한 채,
주위 사람들이 모두 즐겁게 왈츠를 추면서 합창을
하는 가운데 오페라 <파우스트>는 그 2막을
내립니다.
7.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중 제 1곡 '서주와 사자왕의
행진(Introduction et marche royale du lion)'
https://youtu.be/OKeUypo8Xr4
피아노의 굉음 같은 반복 연주로 시작되며,
이어 웅장한 ‘행진’이 현악기의 조화로
그려지지요.
7-1.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전곡(14곡)
'Le Carnaval des animaux -The Carnival Of
The Animals'
https://youtu.be/7SjagpXeNhM
8. 루이 뷔렉(Louis Byrec)의 'Je suis pocharde'
- 이베 길베르(Yvette Guillbert) 노래(1907)
https://youtu.be/JsRR4z9Ry-k
9. 드뷔시의 '어린이의 세계(Children’s Corner)',
L.113 중 제 6곡 '흑인 어릿광대 인형의 춤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 Golliwog's Cakewalk)'
- 피아노 조성진 / 베를린 카우프하우스 얀돌프,
엘로우 라운지
https://youtu.be/9Cnm6eeAOzo
- 드뷔시가 연주하는 드뷔시(Debussy plays Debussy
/1913)
https://youtu.be/XMrdhgWR9Zk
9-1.드뷔시 '어린이의 세계(Children's Corner)'
전곡(6곡) - 피아노 브루노 카니노(Bruno Canino)
https://youtu.be/KVIYYQXNcVU
드뷔시가 어린이의 공상적 영역과 꿈이 어린 시공간을
시적으로 묘사한 '어린이의 세계(Children's Corner)'.
유머스러스하면서도 환상적인 매력으로 가득한 이 곡은
드뷔시가 사랑스런 딸 슈슈에게 줄 선물로 작곡한 음악
입니다.
어린이와 한 세계에서 호흡하며 어린이를 관찰하다가
그 영역으로 서서히 들어가는 6개의 모음곡으로
이루어졌지요.
10. 에릭 사티의 '세개의 그노시엔느
(Trois Gnossiennes)'
'고대 크레타 사람', 또는 '고대 크레타 사람의 춤'을
일컽는 말 '그노시엔느(Gnossiene)'.
'세개의 그노시엔느'는 에릭 사티 작품 특유의
강박관념 또는 자아도취적인 성향을 잘 표현하고
있는 예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시간을 초월한 음악의 좋은 예기도 합니다.
속세를 벗어나는 인식을 주고 말이지요.
그의 대표작 '짐노페디' 못지않게 '그노시엔느'
또한 침묵의 음악입니다.
드뷔시 음악의 침묵이 의도적이라면,
사티의 음악의 침묵은 '무'(無)로 통하는
게지요.
https://youtu.be/xwgvEOY0vaA
- 장 이브 티보데의 피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