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험항목 |
토목섬유의 용도 | |
지반보강(활동방지) 지지력 증진용 |
배수 및 층 분리용 | |
최대인장변형율 |
30% 이하 |
- |
인장강도 |
토목섬유의 인장응력-인장변형률 특성은 설계조건에 부합해야 하며, 설계에 명시되지 않은 경우는 인장변형률 10%이내에서 설계강도 (계산시 사용한 인장력)가 발휘되어야 함. |
30kN/m 이상 |
수직투수계수 |
원지반과 수평배수층 사이에 포설시는 1×10-3cm/sec 이상 |
1×10-3cm/sec 이상 |
봉합강도 |
봉합 직각방향 원단강도의 50% 이상 |
|
ㅇ품질시험빈도
종 별 |
시험종목 |
시험방법 |
시험빈도(측정빈도) |
토목섬유 (연약지반 매트) |
인장강도 인장변형률 |
KS K ISO 10319 |
20,000㎡ 마다, 제조회사별, 제품규격마다 |
수직 투수계수 |
KS K ISO 11058 | ||
봉합강도 |
KS K ISO 10321 |
2. 샌드매트 포설용 재료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2-3)
시험항목 |
품질기준 |
시험항목 |
품질기준 |
0.08 ㎜통과량 |
15 % 이하 |
D15 |
0.075~0.9 ㎜ |
투수계수 |
1.0×10-3 cm/sec 이상 |
D85 |
0.4~8.0 ㎜ |
3. 연직배수공 재료(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2-4)
ㅇ샌드 드레인용 모래
시험항목 |
품질기준 |
시험항목 |
품질기준 |
0.08 mm통과량 |
3 % 이하 |
D15 |
0.1~0.9 ㎜ |
투수계수 |
1.0×10-3 cm/sec 이상 |
D85 |
1~8 ㎜ |
ㅇ팩드레인
구 분 |
인장강도(5㎝ 폭당, 2중) |
밀 도(2.5㎝ 폭당) | ||
타설심도 |
30m 이하 |
30m 이상 |
30m 이하 |
30m 이상 |
종 방 향 |
1150N(115kgf)이상 |
1450N(145kgf)이상 |
20~22 본 |
20~28 본 |
횡 방 향 |
900N(90kgf) 이상 |
900N(90kgf) 이상 |
14~16 본 |
14~16 본 |
ㅇ토목섬유 배수재
구 분 |
항 목 |
단 위 |
기준사항 |
시험방법 |
배수재 (코어 + 필터) |
인장강도 |
N/폭 |
2000 이상 |
KS K IS0 10319 준함 |
배수능력 |
㎤/sec |
20 이상(300kPa 가압시) |
Delft 방법(직선기준) | |
필터재 |
투수계수 |
㎝/sec |
1×10-3 이상 |
KS K ISO 11058 |
인장강도 |
N/m |
2,000 이상 |
KS K ISO 10319 | |
인장신도 |
% |
20 ~ 100 | ||
유효구멍 크기(O90) |
μm |
90 이하 |
KS K ISO 12956 |
목록으로
4. EPS 블록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2-7)
ㅇEPS 블록
구 분 |
단위중량 |
밀도편차 (%) |
흡수량 |
연소성 |
허용압축응력 |
압축강도 | ||||
kN/㎥ |
tonf/㎥ |
N/100㎤ |
g/100㎠ |
kPa |
tonf/㎡ |
kPa |
tonf/㎡ | |||
토목용 1호 (D-30) |
0.30이상 |
0.030이상 |
10 |
0.01 이하 |
1 이하 |
자 기 소화성 (3초이내소화) |
90이상 |
9.0이상 |
180이상 |
18이상 |
토목용 2호 (D-25) |
0.25이상 |
0.025이상 |
70이상 |
7.0이상 |
140이상 |
14이상 | ||||
토목용 3호 (D-20) |
0.20이상 |
0.020이상 |
50이상 |
5.0이상 |
100이상 |
10이상 | ||||
토목용 4호 (D-15) |
0.15이상 |
0.015이상 |
35이상 |
3.5이상 |
70이상 |
7이상 | ||||
비 고 |
D : Density D-30, D-25, D-20, D-15는 밀도를 나타냄 |
압축탄성한계 (탄성변형시) |
5% 변형시 |
ㅇ연결죔쇠
종 류 |
기 호 |
아연부착량 |
항복점 |
인장강도 | |||
N/㎡ |
g/㎡ |
MPa |
kgf/㎟ |
MPa |
kgf/㎟ | ||
일반용 |
SGCC |
Z 22 (2.2 이상) |
Z 22 (220 이상) |
210 이상 |
21 이상 |
280 이상 |
28 이상 |
5. 성토용 재료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3-5, 3-6, 3-7)
구 분 |
단 위 |
노 체 |
노 상 |
뒷채움재료 | |||||
암성토 |
일반성토 |
SB-1 (피토고3.5m미만) |
양질의 토사 (피토고3.5m이상) | ||||||
재료기준 |
최대치수 |
㎜ |
600 이하 |
300 이하 |
100 이하 |
75 이하 |
100 이하 | ||
수정 CBR |
% |
- |
2.5 이상 |
10 이상 |
50 이상 |
10 이상 | |||
5 mm체 통과율 |
% |
- |
- |
25~100 |
30~65 |
25~100 | |||
0.08 mm체 통과율 |
% |
- |
- |
0~25 |
0~8 |
0~15 | |||
소성지수 |
% |
- |
- |
10 이하 |
6 이하 |
10 이하 | |||
액성한계 |
% |
- |
- |
- |
25 이하 |
- | |||
마모감량 |
% |
- |
- |
- |
50 이하 |
- | |||
모래당량 |
% |
- |
- |
- |
25 이상 |
- | |||
시공기준 |
다짐후 1층두께 |
cm |
60 이하 |
30 이하 |
20 이하 |
20 이하 |
20 이하 | ||
실내다짐 시험방법 |
- |
- |
A,B방법 |
C,D,E방법 |
C,E방법 |
C,E방법 | |||
다짐도 |
% |
- |
90 이상 |
95 이상 |
95 이상 |
95 이상 | |||
평판재하시험 |
AP 포장 |
침하량 |
cm |
0.125 |
0.25 |
0.25 |
0.25 |
0.25 | |
지지력계수(K30) |
㎏f/㎤ |
20 이상 |
15 이상 |
20 이상 |
30 이상 |
15 이상 | |||
MN/㎥ |
200 이상 |
150 이상 |
200 이상 |
300 이상 |
150 이상 | ||||
시멘트 포장 |
침하량 |
cm |
0.125 |
0.125 |
0.125 |
0.25 |
0.25 | ||
지지력계수(K30) |
㎏f/㎤ |
20 이상 |
10 이상 |
15 이상 |
30 이상 |
15 이상 | |||
MN/㎥ |
200 이상 |
100 이상 |
150 이상 |
300 이상 |
150 이상 | ||||
성토재의 일반기준 |
o 사용가능 토질 - 액성한계 50% 미만, 건조밀도 1.5t/m3 초과 - 소성한계 25% 미만, 간 극 률 42% 미만 |
6. 폐콘크리트 현장파쇄 재활용 시공기준 : 잠정기준
o 현장파쇄 순환골재를 사용한 노체재료 품질기준
품질목표 |
품질기준 |
비 고 |
수정CBR (시방다짐) |
2.5 이상 |
KS F 2320 |
유기이물질 |
1% 미만 |
KS F 2576 (용적비) |
o 노체용 현장파쇄 순환골재 다짐시험 판정기준
구 분 |
단 위 |
품질기준 |
비 고 | ||
다짐후 1층두께 |
cm |
30 |
| ||
실내다짐 시험방법 |
- |
A, B |
| ||
다 짐 도 |
% |
90 이상 |
| ||
평판 재하 시험 |
AP포장 |
침하량 |
cm |
0.25 |
|
지지력계수(K30) |
㎏f/㎤ |
15 이상 |
| ||
MN/㎥ |
150 이상 |
| |||
시멘트포장 |
침하량 |
cm |
0.125 |
| |
지지력계수(K30) |
㎏f/㎤ |
10 이상 |
| ||
MN/㎥ |
100 이상 |
|
o 현장파쇄 순환골재 활용 노체 성토시 관리시험 방법 및 빈도
시험종목 |
시험빈도 |
시험방법 |
비 고 |
다 짐 |
재료변화시마다 |
KS F 2311 |
급속함수량 측정기 사용불가 |
함 수 량 |
포설후 다짐전 2,000㎥ |
KS F 2306 |
|
현장밀도 |
1) 2,000㎥ 마다(폭이 넓은 광활한 지역 성토 작업시) 2) 층별 450m 마다(층 다짐시 : 2차로 기준) |
KS F 2311 |
급속함수량 측정기 사용가능 |
평판재하 |
1) 3층 포설후 150m 마다(층 다짐시, 2차로 기준) 2) 2,000㎥ 마다(폭이 넓은 광활한 지역 성토 작업시) |
KS F 2310 |
1) 재료 최대치수가 37.5mm 이상인 경우 2) 19mm체 잔류량이 50%이상인 경우 3) 현장밀도시험 불가능시 |
o 현장파쇄 순환골재를 사용한 노상재료 품질기준
품질목표 |
품질기준 |
비 고 |
최대치수 (mm) |
100 이하 |
- |
수정CBR (시방다짐) |
10 이상 |
KS F 2320 |
5mm체 통과율 (%) |
25-100 |
- |
0.08mm체 통과율 (%) |
0-25 |
KS F 2301, 2309 |
소성지수 |
10 이하 |
KS F 2303 |
유기이물질 (%) |
1 이하 |
KS F 2576 (용적비) |
o 노상용 현장파쇄 순환골재 다짐시험 판정기준
구 분 |
단 위 |
품질기준 |
비 고 | ||
다짐후 1층두께 |
cm |
20 |
| ||
실내다짐 시험방법 |
- |
C, D, E |
| ||
다짐도 |
% |
95 이상 |
| ||
평판 재하 시험 |
AP포장 |
침하량 |
cm |
0.25 |
|
지지력계수(K30) |
㎏f/㎤ |
20 이상 |
| ||
MN/㎥ |
200 이상 |
| |||
시멘트포장 |
침하량 |
cm |
0.125 |
| |
지지력계수(K30) |
㎏f/㎤ |
15 이상 |
| ||
MN/㎥ |
150 이상 |
|
o 현장파쇄 순환골재 활용 노상 성토시 관리시험 방법 및 빈도
시험종목 |
시험빈도 |
시험방법 |
비 고 |
다 짐 |
재료변화시마다 |
KS F 2311 |
급속함수량 측정기 사용불가 |
함 수 량 |
포설후 다짐전 1,000㎥ |
KS F 2306 |
|
현장밀도 |
1) 1,000㎥ 마다(폭이 넓은 광활한 지역 성토 작업시) 2) 층별 400m 마다(층 다짐시 : 2차로 기준) |
KS F 2311 |
급속함수량 측정기 사용가능 |
평판재하 |
1) 2층 포설후 200m 마다(층 다짐시, 2차로 기준) 2) 1,000㎥ 마다(폭이 넓은 광활한 지역 성토 작업시) |
KS F 2310 |
1) 재료 최대치수가 37.5mm 이상인 경우 2) 19mm체 잔류량이 50%이상인 경우 3) 현장밀도시험 불가능시 |
프루프 로울링 |
1) 노상완성후 전구간에 걸쳐서 3회 이상 2) 필요시 마다 |
5톤이상의 복륜하중 |
타이어 접지압 5.6kgf/㎠ 통과 |
o 뒷채움 재료의 다짐기준
구 분 |
단 위 |
품질기준 |
비 고 | ||
다짐후 1층두께 |
cm |
20 |
| ||
실내다짐 시험방법 |
- |
E |
| ||
다 짐 도 |
% |
95 이상 |
| ||
평판 재하 시험 |
AP포장 |
침하량 |
cm |
0.25 |
|
지지력계수(K30) |
㎏f/㎤ |
30 이상 |
| ||
MN/㎥ |
300 이상 |
| |||
시멘트포장 |
침하량 |
cm |
0.25 |
| |
지지력계수(K30) |
㎏f/㎤ |
30 이상 |
| ||
MN/㎥ |
300 이상 |
|
o 뒷채움 재료의 품질관리 기준
시험종목 |
시험빈도 |
시험방법 |
비 고 |
다 짐 |
재료변화시마다 |
KS F 2311 |
급속함수량 측정기 사용불가 |
함 수 량 |
포설후 다짐전 100㎥ |
KS F 2306 |
|
현장밀도 |
3층 마다 |
KS F 2311 |
급속함수량 측정기 사용가능 |
평판재하 |
3층 마다 |
KS F 2310 |
1) 재료 최대치수가 37.5mm 이상인 경우 2) 19mm체 잔류량이 50%이상인 경우 3) 현장밀도시험 불가능시 |
o 동상방지층용 현장파쇄 순환골재 품질기준
품질목표 |
품질기준 |
비 고 | |
소성지수 |
10 이하 |
KS F 2303 | |
수정CBR (%) |
10 이상 |
KS F 2320 | |
모래당량 (%) |
25 이상 |
KS F 2340 | |
이물질함유량(%) |
유기이물질 |
1.0 이하 (용적비) |
KS F 2576 |
무기이물질 |
5.0 이하 (질량비) |
KS F 2576 에 의한 분리선별후 질량측정 |
o 동상방지층용 현장파쇄 순환골재 다짐시험 판정기준
구 분 |
단 위 |
품질기준 |
비 고 | ||
다짐후 1층두께 |
cm |
20 |
| ||
실내다짐 시험방법 |
- |
E |
| ||
다 짐 도 |
% |
95 이상 |
| ||
평판 재하 시험 |
AP포장 |
침하량 |
cm |
0.25 |
|
지지력계수(K30) |
㎏f/㎤ |
30 이상 |
| ||
MN/㎥ |
300 이상 |
| |||
시멘트포장 |
침하량 |
cm |
0.125 |
| |
지지력계수(K30) |
㎏f/㎤ |
20 이상 |
| ||
MN/㎥ |
200 이상 |
|
o 현장파쇄 순환골재 활용 동상방지층 관리시험 방법 및 빈도
시험종목 |
시험빈도 |
시험방법 |
비 고 |
다 짐 |
재료 변화시마다 |
KS F 2312 |
급속함수량 시험기 사용불가 |
함 수 량 |
포설후 다짐전 500㎥ |
KS F 2306 |
|
입 도 |
1) 골재원 마다 2) 재질변화시 3) 1,000㎥마다 |
KS F 2502 |
|
현장밀도 |
1) 500㎥마다(폭이 넓은 광활한지역 성토 작업시) 2) 층별 200m 마다(층다짐, 2차로기준) |
KS F 2311 |
95%이상 급속함수량 시험기 사용불가 |
평판재하 |
1) 층별 200m 마다(층다짐, 2차로기준) 2) 500㎥ 마다 (폭이 넓은 광활한지역 성토작업시) |
KS F 2310 |
|
시공두께 |
1,000㎥마다 |
|
|
o 보조기층용 현장파쇄 순환골재의 품질기준
품질목표 |
품질기준 |
비 고 | |
소성지수 |
6 이하 |
KS F 2303 | |
수정CBR (%) |
50 이상 |
KS F 2320 | |
마모감량 (%) |
50 이하 |
KS F 2508 | |
모래당량 (%) |
25 이상 |
KS F 2340 | |
액성한계 (%) |
25 이하 |
KS F 2303 | |
이물질함유량(%) |
유기이물질 |
1.0 이하 (용적비) |
KS F 2576 |
무기이물질 |
5.0 이하 (질량비) |
KS F 2576 에 의한 분리선별후 질량측정 |
o 보조기층용 현장파쇄 순환골재의 입도
체크기(mm) 입도종류 |
공칭입경에 대한 체통과 중량 백분율 (%) | |||||||
75 |
50 |
40 |
20 |
5 |
2 |
0.4 |
0.08 | |
SB - 1 |
100 |
- |
70~100 |
50~90 |
30~65 |
20~55 |
5~25 |
0~8 |
SB - 2 |
- |
100 |
80~100 |
55~100 |
30~70 |
20~55 |
5~30 |
0~8 |
o 보조기층용 현장파쇄 순환골재 다짐시험 판정기준
구 분 |
단 위 |
품질기준 |
비 고 | ||
다짐후 1층두께 |
cm |
20 |
| ||
실내다짐 시험방법 |
- |
E |
| ||
다 짐 도 |
% |
95 이상 |
| ||
평판 재하 시험 |
AP포장 |
침하량 |
cm |
0.25 |
|
지지력계수(K30) |
㎏f/㎤ |
30 이상 |
| ||
MN/㎥ |
300 이상 |
| |||
시멘트포장 |
침하량 |
cm |
0.125 |
| |
지지력계수(K30) |
㎏f/㎤ |
20 이상 |
| ||
MN/㎥ |
200 이상 |
|
o 현장파쇄 순환골재 활용 보조기층 관리시험 방법 및 빈도
시험종목 |
시험빈도 |
시험방법 |
비 고 |
다 짐 |
재료 변화시마다 |
KS F 2312 |
급속함수량 시험기 사용불가 |
함 수 량 |
포설후 다짐전 500㎥ |
KS F 2306 |
|
입 도 |
1) 골재원 마다 2) 재질변화시 3) 1,000㎥마다 |
KS F 2502 |
|
현장밀도 |
1) 500㎥마다(폭이 넓은 광활한지역 성토 작업시) 2) 층별 200m 마다(층다짐, 2차로기준) |
KS F 2311 |
95%이상 급속함수량 시험기 사용불가 |
평판재하 |
1) 층별 200m 마다(층다짐, 2차로기준) 2) 500㎥ 마다 (폭이 넓은 광활한지역 성토작업시) |
KS F 2310 |
|
시공두께 |
1,000㎥마다 |
|
|
o 빈배합콘크리트 기층용 굵은골재의 품질기준
품질목표 |
품질기준 |
비 고 | |
점토덩어리 함유량 (%) |
0.25 이하 |
KS F 2512 | |
연한석편 (%) |
5.0 이하 |
KS F 2516 | |
밀도 2.0g/㎤의 액체에 뜨는 것 (%) |
0.5 이하 |
KS F 2513 | |
흡 수 율 (%) |
8.0 이하 |
KS F 2503 | |
밀 도 (g/㎤) |
2.2 이상 |
KS F 2503 | |
마모감량 (%) |
50 이하 |
KS F 2508 | |
이물질함유량(%) |
유기이물질 |
1.0 이하 (용적비) |
KS F 2576 |
무기이물질 |
5.0 이하 (질량비) |
KS F 2576 에 의한 분리선별후 질량측정 | |
․고속도로공사 폐콘크리트 현장파쇄에 한함 ․폐아스콘의 경우 10% 이하로 한다. |
o 빈배합콘크리트 기층용 잔골재의 품질기준
구 분 |
품질기준 |
비 고 |
소성지수 |
9 이하 |
KS F 2303, 2304 |
안정성시험 (%) (황산나트륨사용) |
10 이하 |
KS F 2507 |
골재씻기시험 손실률 (0.08체 통과량, %) |
3 이하 |
KS F 2511 |
점토덩어리 함유량 (%) |
1 이하 |
KS F 2512 |
밀도 2.0g/㎤의 액체에 뜨는 것 (%) |
0.5 이하 |
KS F 2513 |
o 빈배합콘크리트 기층용 골재의 입도
구 분 호칭치수(mm) |
공칭입경에 대한 체 통과질량 백분율 (%) | |
공칭 최대치수 40mm |
공칭 최대치수 25mm | |
50 |
100 |
- |
40 |
90 ~ 100 |
100 |
25 |
- |
90 ~ 100 |
20 |
50 ~ 85 |
50 ~ 100 |
10 |
40 ~ 75 |
40 ~ 75 |
5 |
25 ~ 60 |
35 ~ 60 |
0.6 |
10 ~ 30 |
10 ~ 30 |
0.08 |
0 ~ 8 |
0 ~ 8 |
o 빈배합콘크리트 기층 시공기준
구 분 |
기 준 |
비 고 |
1층 다짐 후의 두께 |
15 ± 1.5cm |
|
계획고와의 차이 |
± 1.5cm |
|
다 짐 도 |
100% 이상 |
KS F 2312 의 E 다짐방법 |
P R I |
48cm/km |
7.6m 프로파일미터 |
요 철 |
± 1.0cm 이내 |
|
함 수 비 |
6% 기준 |
|
o 빈배합콘크리트 배합재료의 계량오차
재료의 종류 |
허용오차 (%) |
물 |
1 |
시 멘 트 |
1 |
골 재 |
3 |
7. 소일네일링 에폭시 피복철근 (KS D 3629)
구 분 |
품질기준 |
비고 |
겉모양 |
피복면 균일, 육안으로 식별되는 구멍, 기포, 갈라짐, 미피복면 없어야 함 |
|
피복두께 |
180± 50㎛(단, 손상된 피복수리부분은 적용하지 않음) |
|
핀홀시험 |
핀홀탐지기 사용하여 67½전압을 걸어 5개이하/m |
|
굽힘성 |
규정축을 이용하여 120°구부려 시험하고 구부러진 철근의 바깥면에 피복이 갈라짐이나 벗겨짐이 없어야 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