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중현(宋重鉉) : 홍주인(洪州人)이고, 현감(縣監) 구(駒)의 9세손이고, 규태(奎泰)의 아들이다. 신묘년에 명경과(明經科)에 등제하여 관직이 현감에 이르렀다.
○ 민주현(閔冑顯) : 여흥인(驪興人)이다. 호는 사애(沙厓)이고, 승지(承旨) 사종(嗣宗)의 8세손이고, 증(贈) 참판(參判) 백희(白燨)의 아들이다. 철종 신해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병조(兵曹)․공조참판(工曹參判)에 이르렀다. 태상 경오년에 한성우윤(漢城右尹)에 제수되었고, 신미년에 동춘추특진관(同春秋特進官)의 벼슬을 하였을 때에 여러 차례 시폐를 상소하였고, 권귀(權貴)들을 탄핵하는데 두려워하지 않았다. 노년에 임천에 물러나니 우국의 성이라 하였다. 조금도 게으르지 않았다. 임종을 맞으니 서로 변이(變夷)에 빠졌다고 탄식하였다.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이 행장(行狀)을 찬하였고,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이 묘갈(墓碣)을 찬하였다. 문집이 간행되어 대대로 전한다.
○ 이약수(李藥秀) : 전주인이다. 태상 경오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정언(正言), 행성환찰방(行成歡察訪) 이르렀다.
○ 김용우(金容愚) : 광산인이다. 참판(參判) 진휴(震休)의 아들이다. 태상 기사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찰방에 이르렀다.
○ 송익면(宋益勉) : 여산인(礪山人)이다. 좌찬성(左贊成) 일(馹)의 9세손이고, 첨중추(僉中樞) 형만(馨萬)의 아들이다. 태상 경오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지평(持平), 장령(掌令), 홍문관부교리(弘文館副校理), 한성시참시관(漢城市參詩官)에 이르렀다.
보(補)
○ 송정순(宋庭筍)1) : 본관은 홍주(洪州)이고 호는 물염(勿染)인데 별시위(別侍衛) 평(枰)의 증손이며 현감 구(駒)의 아들이다. 중종 때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뒤 명종 13년(1558)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이 성균관 전적(典籍)⋅시강원 보덕(輔德)․군수(郡守) 등에 이르렀다. 공(公)의 부친이 동복현감으로 있을 때 물염정(勿染亭)을 축조하였는데 이로 인해 물염(勿染)을 공의 자호(自號)로 삼았다. 을사사화를 당하여 관직에서 물러나 이곳에 머물며 노년을 보낸 후 외손(外孫) 나무송(羅茂松)에게 이 정자를 전(傳)하였다. 담양 귀산사(龜山祠)에 그 위패를 모셔 제향(祭享)하고 있다.
○ 나무춘(羅茂春) : (補) 금성인(錦城人)이다. 호는 구화(九華)이고, 창주(滄洲) 무송(茂松)의 동생이다. 광해군 병오년에 진사를 지냈고, 임자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성균관학정(成均館學正)에 이르렀고, 계축년에 이이첨의 폐모론2)이 창기(倡起)하자 화부자(和副者) 이위경(李偉卿) 등이 상소를 올려 모후(母后)의 일을 진소하여 사퇴하는 것을 보고 흉참하여 공이 개탄하여 말하기를, 삼강이 끊어지니 나에게는 적을 토벌할 능력이 없으니 삶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위경 등 20여명이 정거(停擧)하다가 피출(被黜)되어 고향으로 돌아갔다. 시를 보면, “흰구름이 하늘 끝에서 마을의 문을 생각하네 굳건하게 점점 남쪽 멀리 끝을 깨닫네” 라는 구절이 있다. 물염으로 물러나 생을 마쳤다. 특지(特旨)로 예참(禮參)을 포상 추증하였다. 담양 귀산사에서 향사를 지낸다.
○ 송수겸(宋守謙) : 홍주인이다. 해광(海狂) 제민(齊民)의 6세손이고, 익좌(益佐)의 아들이다. 순묘 병자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정언, 지평, 자인현감(慈仁縣監)에 이르렀고, 장령(掌令)으로 승소(承召, 임금의 명령)하였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대대로 강직(剛直)함이 전해 내려왔다.
속(續)
○ 강인회(姜仁會) : 진주인이다. 호는 농재(壟?齋)이고, 문량공(文良公) 희맹(希孟)의 후손이고, 참판(參判) 재호(在琥)의 아들이다. 태상 무자년에 등제하여 관직이 공조참판(工曹參判)에 이르렀다.
○ 김진휴(金震休) : 광산인이다. 관직이 참판에 이르렀다.
○ 송재회(宋在會) : 여산인이다. 이판(李判) 시길(時吉)의 9세손이고, 긍면(兢勉)의 아들이다. 태상 무자년에 등과하여 동년에 가주서(假注書)에 이르렀고, 기축년에 행홍문관수찬(行弘文館修撰)에 동년에 지평, 장령, 부교리에 이르렀다.
○ 오계련(吳啓鍊) : 동복인이다., 호는 정당(正堂)이고, 문헌공(文獻公) 대승(大陞)의 후손이고, 여규(旅奎)의 아들이다. 태상 갑오년에 등과하였다. 정유년에 동복현감(同福縣監)에 제수되었고, 기해년에 홍문관시독(弘文館侍讀)이 되었고, 경자년에 비서원승(秘書院丞)에 이르렀다.
□ 무과(武科) - 구지(舊誌)
○ 정여주(丁汝舟) : 창원인이다. 호는 월연(月延)이고, 판결사(判決事) 인례(仁禮)의 증손이고, 생원(生員) 효치(孝致)의 아들이다. 중묘에 부정(副正)3)에 이르렀다.
○ 정붕(丁鵬) : 창원인이다. 판결사 인례의 5세손이고, 생원 세열(世烈)의 아들이다. 체력이 남보다 뛰어났다. 이름이 경성(京城)에까지 알려졌다. 관직이 현감 및 우후병사(虞侯兵使)에 이르렀다.
○ 김익휘(金益輝) : 김해인이다. 군수(郡守) 영숙(永淑)의 5세손이고, 통정(通政) 홍일(弘逸)의 아들이다. 을묘년에 등과(登科)하여 관직이 사과(司果), 갑산부사(甲山府使)에 이르렀다.
○ 하득남(河得男) : 진주인이다. 군수(郡守) 치(治)의 6세손이다. 임오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봉사(奉事)에 이르렀다.
○ 김덕휴(金德休) : 광주인이다. 농재(瓏齋) 곤변(鯤變)의 아들이다. 관직이 주부(主簿)에 이르렀고, 임진년에 순절(殉節)하였다.
○ 하진룡(河振龍) : 진주인이다., 군수 치의 8세손이고, 봉사 득남의 손자이다. 현묘 경자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에 이르렀다.
○ 최후립(崔厚立) : 탐진인이다. 부사(府使) 귀영(龜靈)의 5세손이고, 부사정(副司正) 여림(汝林)의 아들이다. 을묘년에 등과3하여 관직이 판관(判官), 군자감정(軍資監正)에 이르렀다.
○ 김락(金洛)
○ 박천기(朴千紀)
○ 박종업(朴從業)
○ 허귀억(許貴億) : 태인인(泰仁3人)이다. 관직이 부장(部將)에 이르렀고 절의(節義) 편에 나타나다.
○ 김언룡(金彦龍) : 경주인이다. 좌랑(佐郞) 영원(永源)의 6세손이고, 홍영(弘英)의 아들이다. 기축년에 관직이 주부에 이르렀다.
○ 정숙(丁璹) : 창원인이다. 진사(進士) 암수(巖壽)의 증손이고, 통정(通政) 지걸(之傑)의 아들이다. 을사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선전(宣傳)에 이르렀다.
○ 정황(丁璜) : 창원인이다. 선전 숙의 동생이다. 인묘 을축년에 등과하였다.
○ 김경현(金慶鉉) : 광주인이다.
○ 박의근(朴義根)
○ 이준백(李俊白)
○ 정명열(丁命說) : 창원인이다.
○ 김경정(金景禎)
○ 강종익(姜宗翼) : 진주인이다. 문량공 희맹의 6세손이고, 의신(懿臣)의 아들이다. 숙묘 갑신년에 관직이 판관(判官)에 이르렀다.
○ 정두표(丁斗杓) : 창원인이다. 판결사 인례의 9세손이고, 규환(奎煥)의 아들이다. 관직이 훈련봉사(訓鍊奉事)에 이르렀다.
○ 김영한(金英漢)
○ 이재인(李再仁)
○ 허후겸(許後謙)
○ 서두침(徐斗忱)
○ 정하식(鄭廈植) : 진주인이다.
○ 최홍립(崔弘立)
○ 고세찬(高世讚)
○ 양의신(梁義臣)
○ 김경생(金景生)
○ 김득현(金得鉉) : 김해인이다.
○ 조계운(曺繼運) : 창령인이다. 감남(坎男)의 손자이고 정립(正立)의 아들이다. 관직이 현감에 이르렀다.
속(續)
○ 문봉채(文鳳彩) : 남평인이다. 강성군(江城君) 익점(益漸)의 후손이고, 시환(時煥)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등과하였고, 신묘년에 행목포만호(行木浦萬戶)를 지냈고, 임진년에 병조참의에 이르렀다.
○ 양상욱(梁相旭) : 제주인(濟州人)이다. 처사(處士) 산보(山甫)의 후손이고, 규영(奎永)의 아들이다. 철묘 임신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 정략장군(定略將軍), 선전(宣傳)에 이르렀다.
○ 김병두(金炳斗) : 광주인이다. 진사 윤충(允忠)의 후손이고, 광온(光榲)의 아들이다. 태상 기축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선전, 병조좌랑(兵曹佐郞)에 이르렀다.
○ 오재길(吳載吉) : 동복인이다. 문헌공 대승의 후손이고, 증(贈) 호참(戶參) 창진(昌晉)의 아들이다. 태상 을유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에 이르렀다.
○ 김장현(金章鉉) : 김해인이다. 금령군(金寧君) 목경(牧卿)의 후손이고, 대규(大奎)의 아들이다. 태상 무자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부사과(副司果), 선전(宣傳), 강화(江華)․초지첨사(草芝僉使)에 이르렀다.
○ 이준영(李俊英) : 개령인(開寧人)이다. 공신(功臣) 언량(彦良)의 후손이다. 태상 정해년에 관직이 의금부사용(義禁府司勇)에 이르렀다
○ 김재순(金在恂) : 김해인이다. 참의(參議) 극희(克禧)의 후손이다. 갑술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절충장군부사과(折衝將軍副司果)에 이르렀다.
○ 김옥순(金玉恂) : 김해인이다. 참의 극희의 후손이다. 갑술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의금부사과(義禁副司果), 도사(都事)에 이르렀다.
○ 조귀인(趙貴仁) : 한양인이다. 충무공(忠武公) 영무(英茂)의 후손이고, 판백(判伯)의 아들이다. 태상 기축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절충오위장(折衝五衛將)에 이르렀다.
○ 추병연(秋秉衍) : 추계인(秋溪人)이다. 태상 정해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찰방에 이르렀다.
○ 정진욱(丁鎭旭) : 창원인이다. 효자(孝子) 암수(巖壽)의 후손이고, 남국(南國)의 아들이다. 태상 무자년에 등과하였다.
○ 이승신(李承信) : 전주인이다. 양도공(襄度公) 대우(大祐)의 후손이고, 유백(瑠백)의 아들이다. 태상 을유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조경묘수문장(肇慶廟守門將)에 이르렀다.
○ 김창순(金昌淳) : 김해인이다. 석기(錫基)의 아들이다. 태상 무인년에 등과하여 신사년에 강화(江華)․장곶진첨사(長串津僉使)에 이르렀다.
○ 정인경(鄭寅景) : 동래인이다. 호는 송재(松齋)이고, 효자 몽두(夢斗)의 10세손이고, 동지(同知) 석조(晳朝)의 아들이다. 태상 정해년에 등과하여 관직이 사과(司果)에 이르렀고, 을사년에 6품 평해군수(平海郡守)에 올랐다.
○ 정영호(鄭永灝) : 경주인이다. 현감(縣監) 낙역(樂易)의 7세손이고, 정현(貞鉉)의 아들이다. 태상 을해년에 등과하여 부호군(副護軍) 겸(兼) 오위장(五衛將)에 이르렀다.
□ 생진(生進) - 구지(舊誌)
○ 정효치(丁孝致) : 창원이이다. 호는 남강(藍岡)이고, 판결사 인례의 손자이고, 장악원정(掌樂院正) 맹덕(孟德)의 아들이다. 성묘 신묘년에 생원(生員)이 되었다.
○ 하자담(河自澹) : 진주인이다. 군수 치의 아들이다. 성묘 기유년에 진사(進士)가 되었다.
○ 정세열(丁世烈) : 창원인이다. 판결사 인례의 현손이고, 현령(縣令) 여림(汝霖)의 아들이다. 성묘 정미년에 생원이 되었다.
○ 김우추(金遇秋) : 김해인이다. 군수(郡守) 영숙(永淑)의 증손이고, 현령(縣令) 몽수(夢壽)의 아들이다. 정묘년에 진사가 되었다.
○ 하서정(河瑞呈) : 진주인이다. 진사(進士) 자담(自澹)의 아들이다. 중묘 정묘년에 진사가 되었고, 경오년에 광릉참봉(光陵參奉)이 되었다.
○ 하한(河漢) : 진주인이다. 진사 서정의 아들이다. 중종 임오년에 진사가 되었다.
○ 김윤충(金允忠) : 광산인이다. 호는 노동처사(蘆洞處士)이고, 진사 빙(甹)의 5세손이고, 현감 후(珝)의 아들이다. 신묘년에 생원에 중용되었다.
○ 하언의(河彦漪) : 진주인이다. 진사 한(漢)의 아들이다. 신재(新齋) 최산두(崔山斗)의 문인다. 문행(文行)을 두루 갖추어 남주(南州)에 유명하였다. 몸소 저술한 망양부(亡羊賦)가 해동문선(海東文選)에 등재(登載)되어 있다. 명묘 병오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정란(丁鸞) : 창원인이다. 참봉(參奉) 세훈(世勳)의 아들이다. 기사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김세명(金世鳴) : 김해인이다. 군수 영숙의 5세손이고, 홍안(弘安)의 아들이다. 계묘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정봉(丁鳳) : 창원인이다. 참봉 세훈의 아들이다. 정미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관직은 주부에 이르렀다가 공의(工議)에 올랐다.
○ 하대붕(河大鵬) : 진주인이다. 호는 동강(桐江)이고, 참봉 언식(彦湜)의 아들이다. 선묘 정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고, 스스로 학문을 좋아하고 입은 둔하지만 행하는 일은 민첩하였다.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과 설월(雪月) 김부륜(金富倫)과 우의(友誼)가 심히 돈독하였다.
○ 정암수(丁巖壽) : 창원인이다. 호는 창랑(滄浪)이고, 맹덕(孟德)의 후손이고, 진(璡)의 아들이다. 선묘에 여립(汝立)이 역모를 일으키자 권세있는 간신을 피하지 않고 응지상소(應旨上疏)에 중참(衆讒)이 취지(驟至)하니 반피장국(反被掌鞠)하여 이월사(李月沙), 최만옹(崔晩翁) 등이 구하여 도중에 용서가 되었다. 늙어 물러나 돌아와서 창랑(滄浪) 어조(魚釣)로 일생을 마쳤다. 문집이 있는데 수종재(守宗齋) 송달수(宋達洙)가 묘지명을 찬하고,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이 서문을 지었다. 효행편에 자세히 나타난다.
○ 김이구(金履龜) : 광산인이다. 만덕(晩德) 대기(大器)의 증손이다. 신묘년에 생원에 중용되었다.
○ 하윤구(河潤九) : 진주인이다. 참군(參軍) 대표(大豹)의 아들이다. 경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고, 문장과 학행이 일세에 모범이 되었다. 정한강(鄭寒岡, 정구), 이월사(李月沙)를 스승으로 따르며 도(道)와 의(義)를 교유하였다.
○ 정창운(丁昌運) : 창원인이다. 습독(習讀) 원(鵷)의 아들이다. 기묘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한후(韓煦) : 청주인(淸州人)이다. 무신년에 문과로 등제하였고, 관직은 현감에 이르렀다.
○ 이성신(李省身) ○박필원(朴必元) : 함양인이다.
○ 설홍윤(薛弘允) : 순창인(淳昌人)이다.
○ 정호민(丁好敏) : 창원인이다. 호는 아산(鵝山)이고, 인남(仁男)의 아들이다. 병신년에 생원에 중용되었고, 창의편(倡義篇)에 나타난다.
○ 나득주(羅得周) : 금성인이다. 승지(承旨) 충좌(忠佐)의 아들이다. 영묘 기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조홍업(曺弘業) : 창령인이다. 호는 무민재(無憫齋)이고, 창익(昌翼)의 아들이다. 신축년에 생원에 중용되었고, 효행편에 나타난다.
○ 신경원(申景源) : 고령인이다. 귀래공(歸來公) 말주(末舟)의 후손이고, 성(渻)의 아들이다. 계미년에 사마(司馬)에 중용되었다. 문장과 행의가 밝았으며 여러 차례 등과하였고, 포계(褒啓)를 받았다.
○ 송주순(宋周純) : 여산인이다. 좌찬성(左贊成) 일(馹)의 7세손이고, 간(柬)의 아들이다. 신묘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하백원(河百源) : 진주인이다. 호는 규남(圭南)이고, 금사(錦沙) 윤구(潤九)의 7세손이고, 선사(善士) 진성(鎭星)의 아들이다. 순묘 계해년에 진사에 중용되었고, 재행편에 나타난다.
○ 송정옥(宋廷玉) : 홍주인이다. 호는 용탄(龍灘)이고, 해광(海狂) 제민(齊民)의 9세손이고, 오위장(五衛將) 자규(自奎)의 아들이다. 기묘년에 진사에 중용되었고, 여러 해 반궁(泮宮)에 살았고, 금곡(錦谷) 송래희(宋來熙)와 교유하였고, 호를 받았다. 부모 섬기기를 효을 다하여 10년동안 탕을 끌어 받들었고, 3년동안 여묘살이를 하였다. 문장이 박식하여 우러러 보았다. 문집이 있고, 돌과 샘이 사랑스럽게 붙어 있는 귀석대(龜石臺)에는 제영(題詠)이 남아 있다.
○ 민갑현(閔甲顯) : 여흥인이다. 호는 서남(瑞南)이고, 승지(承旨) 사종(嗣宗)의 8세손이고, 증(贈) 참판(參判) 백희(百燨)의 아들이다. 태상 정묘년에 생원에 중용되었다.
○ 정갑원(鄭甲源) : 진주인이다. 충장공(忠莊公) 분(苯)의 후손이고, 재환(載煥)의 아들이다. 근면하고 검소하며 가정을 잘 다스리고 친족과 돈독하며 빈궁한 사람은 구휼하였다. 태상 계유년에 생원에 중용되었고, 은혜를 입어 첨중추부호군(僉中樞副護軍) 겸(兼) 오위장(五衛將)에 올랐다.
○ 김기봉(金紀鳳) : 광산인이다.
○ 김찬규(金燦奎) : 광산인이다. 태상 병인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민치용(閔致用) : 여흥인이다. 호는 목천(目川)이고, 생원 갑현의 아들이다. 부모를 섬기기를 효를 다하였고, 독서는 매우 조용히 하였다. 태상 계유년에 생원에 중용되었다. 금곡 송래희에게 수학하여 신임을 받았다. 문집이 남아 있다.
○ 장기평(張琪平) : 인동인(仁同人)이다. 여헌(旅軒) 광현(光顯)의 후손이고, 재강(在綱)의 아들이다. 태상 계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보(補)
○ 조종경(趙宗敬) : 한양인이다. 충무공(忠武公) 영무(英茂)의 손자이고, 참판(參判) 윤(倫)의 아들이다. 문묘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세묘 계묘년에 매죽헌(梅竹軒) 문인(門人)이 되어 사육신(死六臣)의 화(禍)에 연좌(延坐)되어 동복에 유배되어 살았다.
○ 하정(河渟) : 진주인이다. 진사(進士) 서정(瑞呈)의 아들이다. 계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하언식(河彦湜) : 진주인이다. 진사 한(漢)의 아들이다. 명묘 병오년에 진사에 중용되었고, 영릉참봉(英陵參奉)에 이르렀다.
○ 송정순(宋庭筍) : 홍주인이다. 정묘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문과편에 나타난다.
○ 하연(河淵) : 진주인이다. 진사 서정의 아들이다. 명묘 병오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조경(曺檠) : 창령인이다. 죽림(竹林) 수문(秀文)의 5세손이고, 병의(兵議) 대양(大洋)의 아들이다. 인묘 계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하대인(河大仁) : 진주인이다. 군수(郡守) 치(治)의 5세손이다. 기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나무송(羅茂松) : 금성인이다. 인묘 병오년에 진사에 중요되었다. 문과편에 나타난다.
○ 정명연(鄭蓂衍) : 동래인이다. 호는 호은(湖隱)이고, 문익공(文翼公) 광필(光弼)의 증손이고, 판윤(判尹) 유신(惟愼)의 아들이다. 선묘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나무춘(羅茂春) : 금성인이다. 인묘 병오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문과편에 나타난다.
○ 하여주(河汝舟) : 진주인이다. 진사(進士) 언식(彦湜)의 손자이고, 대혹(大鵠)의 아들이다. 인묘 갑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정경운(丁景運) : 창원인이다. 병사(兵使) 붕(鵬)의 아들이다. 병인년에 진사에 중용되었고, 여러 해 동안 반궁에 살았다. 족형 암수와 더불어 역당을 토벌하여야 한다는 상소를 하였다. 행헌릉참봉(行獻陵參奉)이 되었다.
○ 정몽두(鄭夢斗) : 동래인이다. 호는 귀봉(龜峯)이고, 진사 명연의 아들이다. 인조 계해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효행편에 나타난다.
○ 김광수(金光洙) : 광산인이다. 만덕 대기의 현손이고, 진사 이구(履龜)의 아들이다. 을미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이명규(李明奎) : 적성인(積城人)이다. 예판(禮判) 사동(士侗)의 7세손이고, 진사 상엽(相燁)의 아들이다. 현묘조에 생원에 주용되었고, 여러 해 동안 반궁에 살았고, 경학으로 천거되어 들어갔고 포계도 받았다.
○ 방태식(房泰植) : 남양인이다. 직제학(直提學) 사량(士良)의 후손이고, 계온(戒溫)의 아들이다. 기미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송일임(宋日臨) : 홍주인이다. 호는 청정헌(淸淨軒)이고, 해광 제민의 7세손이고, 인협(寅恊)의 아들이다. 무자년에 진사에 중용되었고, 여러 해 동안 반궁에 살았다. 문사(文詞)를 널리 알아서 막힘이 없었다. 문장포천(文章褒薦)에 선발 입선되어 일대 사표(師表)가 되었다. 늦게 산수에 의지하여 살며 형승(形勝)인 복천(福川)을 사랑하였다. 광산(光山)으로부터 내려와서 살았다.
○ 김덕희(金德喜) : 김해인이다. 탁영(濯纓) 일손(馹孫)의 후손이고, 참의(參議) 현호(顯浩)의 아들이다. 순묘 신유년에 생원에 중용되었다. 효행편에 있다.
○ 김락희(金洛喜) : 김해인이다. 탁영 일손의 후손이고, 참의 현호의 아들이다. 순묘 기사년에 생원에 중용되었다.
속(續)
○ 김지현(金址鉉) : 광주인이다. 호는 묵헌(黙軒)이고, 농재(瓏齋) 곤변(鯤變)의 8세손이고, 호참(戶參) 윤조(潤祚)의 아들이다. 태상 갑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고, 정해년에 통정 부호군에 올랐다.
○ 강문영(姜文永) : 진주인이다. 문경공(文景公) 맹경(孟卿)의 후손이고, 도주(導周)의 아들이다. 태상 임오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주형욱(朱衡旭) : 신안인(新安人)이다. 참판(參判) 응종(應宗)의 8세손이고, 진형(鎭炯)의 아들이다. 태상 갑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효우(孝友)가 돈독하여 전 향리에 모두가 칭송과 감탄을 하였다.
○ 장달화(張達璍) : 흥덕인(興德人)이다. 현감(縣監) 윤신(允愼)의 후손이고, 언수(彦壽)의 아들이다. 태상 경술년에 생원에 중용되었다.
○ 박래용(朴來龍) : 함양인(咸陽人)이다. 승윤(承尹)의 7세손이고, 규호(圭浩)의 아들이다. 태상 갑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고, 첨중추(僉中樞) 겸(兼) 오위장(五衛將)에 올랐고,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추증되었다.
○ 민부(閔埠) : 여흥인(驪興人)이다. 호는 즉이당(則以堂)이고, 참판(參判) 주현(冑顯)의 아들이다. 태상 병자년에 생원이 되었고,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가 감탄하였고, 고인의 풍의(風儀)가 남아 있다.
○ 김만규(金萬奎) : 김해인이다. 부사(府使) 익휘(益輝)의 6세손이고, 동지(同知) 시량(時良)의 아들이다. 태상 경진년에 진사에 중용되었고, 가선(嘉善) 첨중추 겸 오위장에 올랐다.
○ 정해운(鄭海運) : 영일인(迎日人)이다. 문청공(文淸公) 철(澈)의 후손이고, 회(澮)의 아들이다. 태상 갑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장석우(張錫愚) : 옥구인(沃溝人)이다. 호는 석동(石東)이고, 대제학(大提學) 익(木+益)의 후손이고, 진사 봉규(鳳圭)의 아들이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이다. 천품이 매우 높고 걸출하였고, 문학이 크고 넓었으며, 유고(遺稿)가 남아 있다.
○ 서광교(徐光皎) : 달성인(達城人)이다.
○ 조은승(曺殷承) : 창령인이다. 태상 경오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최철수(崔轍秀) : 해주인(海州人)이다. 태상 갑술년에 진사에 중용되었다.
○ 송태회(宋泰會) : 여산인(礪山人)이다. 호는 염재(念齋)이고, 판서(判書) 시길(時吉)의 9세손이고, 긍면(兢勉)의 아들이다. 태상 무오년에 동몽(童蒙)으로 진사에 중용되었고, 경자년에 경학과(經學科) 유생(儒生)으로 피선(被選)되어 여러해 반궁에서 살았다.
○ 송완면(宋完勉) : 여산인이다. 좌찬성(左贊成) 일(馹)의 9세손이고, 도정(都正) 치만(致萬)의 아들이다. 태상 갑오년에 응제(應製)하여 진사에 중용되었다.
□ 유일(遺逸)
○ 남언기(南彦紀) : 의령인(宜寧人)이다. 자는 장보(長甫)이고, 호는 고반(考槃)이고, 충간공(忠簡公) 지(智)의 현손이다. 어려서부터 고상한 의지가 있으며 식견이 높고, 학문을 좋아하였으며 뜻을 굽혀 벼슬에 나아가는 것을 즐겨하지 않았다. 동복현(同福縣) 사평촌(沙坪村) 계산(溪山)에 정하여 살았다. 물과 돌이 매우 아름다워 그 원(園)을 고반이라 하였다. 소시에 일재(一齋)와 하서(河西)의 문인이 되었다. 주로 경(敬)을 논하고 리(理)를 깊이 연구하여 밝히었다. 또한 일찍이 퇴계(退溪)와 답문(答問)을 주고 받아 인심도심(人心道心)의 설을 듣고 얻었다. 정송강(鄭松江), 변호암(卞壺巖), 성온(成溫), 기금강(奇錦江) 등 여러 현인들과 교유하였으며, 동문(同門)의 천거로 별제(別提)에 제수되었는데 한 남자로 거짓됨이 없이 나가지 않았다. 하나의 아들이 광해군 때에 억울한 죄로 죽음을 당하였다. 외증손 정랑(正郞) 이만석(李萬石)이 봉사(奉祀)하고 있다.
□ 재행(才行)
○ 나경적(羅景績) : 금성인(錦城人)이다. 호는 석당(石塘)이고, 이참(吏參) 빈(彬)의 8세손이고, 재홍(載弘)의 아들이다. 효우(孝友)가 순수하고 극진하였고, 학식(學識)이 높고 밝았으며 의(義)를 행하여 은거하였고 입신 출세를 구하지 않았다. 선기옥형(璇璣玉衡), 자명종(自鳴鐘), 자용침(自舂砧), 자전마(自轉磨), 자전수차(自轉水車) 등을 창조하였다. 명성을 듣고 소화(小華), 소주(蘇州) 반정균(潘廷筠)이 정주(程朱)의 류(流)라 칭하였고, 항주(杭州), 육비(陸飛)가 혼의기(渾儀記)를 지었다.
○ 하백원(河百源) : 진주인이다. 호는 규남(圭南)이고, 금사(錦沙) 윤구(潤九)의 7세손이고, 진성(鎭星)의 아들이다. 천품(天稟)이 순수하였고, 6세에 능히 시어(詩語) 및 긴 문사(文詞)를 완성하였다. 일찍이 지각이 트여서 학업을 성취하니 경향(京鄕)에 명성을 떨쳤고 학문에 전심을 하였다. 스승 성담(性潭) 송환기(宋煥箕)를 쫓아 문인으로 허락받고 영재(英才)로 세상에 알여졌다. 순묘 계해년에 진사에 중용되었고, 갑오년에 학행(學行)으로 창릉참봉(昌陵參奉)에 제수되었다. 헌묘 신축년에 석성현감(石城縣監)을 제수받았다.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이 묘갈(墓碣)을 찬(撰)하였고, 문집(文集)이 남아 있다.
□ 문행(文行)
○ 나무계(羅茂桂) : 금성인이다. 이판(吏判) 빈(彬)의 현손이고, 장악원정(掌樂院正) 덕용(德用)의 아들이다. 타고난 기품이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났고, 문행(文行)을 겸비하였다. 세상사람들이 고사(高士)라 칭하였다. 관직이 선무랑(宣務郞)에 이르렀다.
○ 김의(金竩) : 광산인이다. 호는 후산(后山)이고, 참판(參判) 문발(文發)의 8세손이고, 응일(應鎰)의 아들이다. 신옹(愼翁) 김집(金集)과 교유하였고, 뜻이 있고 기개가 있으며 대의(大義)를 위하여 죽기를 각오하는 절개가 있었다. 정축년 후에 의(義)에 이끌러 관직에 나가지 않고 스스로 밝은 빛을 찾아 은퇴하여 내려갔다. 운림(雲林)의 바위 골짜기에서 거문고와 책으로 배회하며 즐겼다. 숙종 계유년에 수직(壽職)으로 통정(通政) 첨중추(僉中樞)를 하였다. 본현에서는 향안(鄕案)을 만들어 가르치고 다스렸다. 이 때에 선생을 향리에서 추앙하였다.
○ 김훈(金勛) : 광산인이다. 호는 용호당(龍湖堂)이고, 만덕(晩德) 대기(大器)의 아들이다. 가훈(家訓)을 계승하고 경서(經書)에 전심하였고, 안우산(安牛山), 반고반(潘考槃) 등과 더불어 도의(道義)를 교유하였다. 강당 용호(龍湖)아래에는 여러 현인들의 시가 남아 있다.
○ 하우적(河禹績) : 진주인이다. 금사(錦沙) 윤구(潤九)의 현손이고, 위보(魏寶)의 아들이다. 효우가 정직하고 성실하며 천문역수(天文曆數)에 재주가 많았다. 과거를 멀리하고 한가하게 지내면서 경서를 읽는 것으로 낙을 삼았다.
○ 정림(丁琳) : 창원인이다. 호는 추탄(鶖灘)이고, 창랑(滄浪) 암수(巖壽)의 증손이고, 적송(赤松) 지준(之雋)의 아들이다. 경례(經禮)에 전심하고, 중후하고 정직하며 사기(士氣)를 세웠다. 형제들이 적벽에 은거하여 즐기면서 옛날 원계(元季)에 비유하였다.
○ 정호(丁琥) : 창원인이다. 호는 학봉(鶴峯)이고, 지준(之雋)의 아들이다. 기우(氣宇)가 굉장하고 웅대하고 미려하며 풍채(風采)가 준위(俊偉)하였다. 예(禮)로 몸을 다스리고, 의(義)로 일을 처리하였다. 은거하여 조용한 마음을 기르고 명리(名利)를 구하지 않았다. 마지막에 임천(林泉)의 악(樂)을 누렸다.
○ 정영(丁瑛) : 창원인이다. 호는 학탄(鶴灘)이고, 창랑(滄浪) 암수(巖壽)의 증손이고, 적송(赤松) 지준(之雋)의 아들이다. 가법(家法)을 잘 숙습하였고, 문학으로 업을 삼았다. 우애(友愛)가 순수하고 지극하여 훈지상악(壎篪相樂)이었다. 노년 마지막에 환학정(喚鶴亭) 적벽에서 즐겼다.
○ 김성준(金聲駿) : 광산인이다. 만덕(晩德) 대기(大器)의 손자이고, 처사(處士) 할(劼)의 아들이다. 경사(經史)에 박통하였다. 병자호란 후에 과거의 뜻을 끊고 학문에만 전심하였다. 스스로 숭정일민(崇禎逸民)이라 하였다. 안우산(安牛山)과 더불어 도의로 교유하였다.
○ 이인상(李仁相) : 적성인(積城人)이다. 호는 석남재(石南齋)이고, 처사(處士) 도(䆃)의 손자이고, 참봉(參奉) 광엽(光燁)의 아들이다. 학식(學識)이 높고 밝으며 품행(品行)이 독실(篤實)하였다. 일찍이 과거를 보러 들어가서 사습(士習)의 나쁜 것을 보고 뉘우치고 드디어 과거의 뜻을 끊고 학문에만 전심하였다. 임천(林泉)에 내려와서 뜻을 받들었고, 행의(行誼)가 세상에 알려졌다. 영묘 신해년에 호조참의(戶曹參議)에 추증되었다. 둔촌(屯村) 민유중(閔維重)이 행장(行狀)을 찬하였다.
○ 하우문(河禹文) : 진주인이다. 호는 월담(月潭)이고, 금사(錦沙) 윤구(潤九)의 9세손이고, 위보(魏寶)의 아들이다. 문장과 덕행이 세상에 추중하였고, 성리(性理), 역학(易學), 의례(儀禮) 등 장서(藏書) 만권을 마음과 몸을 다하여 읽었다. 노년 마지막에 스스로 즐거워하였다. 숙묘 임진년에 학행으로 천거하였다.
○ 하득귀(河得龜) : 진주인이다. 호는 행은(杏隱)이고, 우문(禹文)의 아들이다. 효우가 순수하고 돈독하였고, 경례(經禮)를 연구하고 성리학을 궁통(窮通)하였다. 언덕과 정원에서 덕을 기르고 샘과 돌을 사랑하며 우거하였다. 기미년에 행의와 학식으로 천거 등용되었다. 사람들이 모두 흠모하였다.
○ 하성귀(河聖龜) : 진주인이다. 호는 반학(伴鶴)이고, 금사(錦沙) 윤구(潤九)의 증손이다. 송우암(宋尤庵), 김농암(金農岩)과 경학(經學)에 전심(專心)하였다. 사림에서 추중하여 행의로 도에 천거되어 등용되었다. 병계(屛溪) 윤봉구(尹鳳九)가 행장을 찬하였다.
○ 나재홍(羅載弘) : 금성인이다. 호는 몽천(夢川)이고, 이판 빈(彬)의 7세손이고, 이례(以禮)의 아들이다. 성격이 하늘의 근본인 효성이 지극하였고, 몸가짐이 신독(愼篤)하였다. 명리의 뜻을 끊고 임천에 은거하였다. 몽교천(夢橋川)아래에 풀로 집을 지었다. 이로 인하여 스스로 호를 지었다.
○ 하서귀(河瑞龜) : 진주인이다. 호는 정묵당(靜黙堂)이고, 금사(錦沙) 윤구(潤九)의 7세손이고, 우적(禹績)의 아들이다. 경학에 박통하고 문행이 세상에 뛰어났다. 현쉬(縣倅) 악루(岳樓) 이유(李煣)가 당기(堂記)를 찬술하였다.
○ 김덕조(金德祖) : 광산인이다. 호는 죽헌(竹軒)이고 만덕(晩德) 대기(大器)의 5세손이고, 존재(存齋) 광속(光涑)의 아들이다. 일찍이 문장을 마음대로 하여 글을 만들었다. 각각 몸은 성정을 가라 앉혀서 깊이 생각하고 성리의 예설(禮說)로 인정이 두텁고 순박하였다. 영묘 신묘년에 물려나 물고기를 잡았다. 김진상(金鎭商)이 학행으로 천거하여 선공감역(繕工監役)4)을 지냈다.
○ 조하귀(曺夏龜) : 창령인이다. 죽림(竹林) 수문(秀文)의 8세손이고, 이관(爾觀)의 아들이다. 효우가 순수하고 지극하였고 덕행을 함께 갖추어 완전하였다. 문장(文章)과 필한(筆翰)이 당대 세상에 명성이 알려졌다.
○ 김덕보(金德普) : 김해인이다. 호는 인재(忍齋)이고, 안경공(安敬公) 영정(永貞)의 9세손이고, 증(贈) 호참(戶參) 상채(尙彩)의 아들이다. 문학은 화려하고 넉넉하였다. 현인을 존중하고 덕을 좋아하였다.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과 도의를 교유하였다. 이재(頤齋)가 목천(木川)에 현감으로 임할때에 관직에 있을 때에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 물으니 요순(堯舜) 임금은 백성의 뜻을 헤아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목민(牧民)를 8조 차례로 열거하였고, 글로 써서 선사하였다. 현묘 임진년에 수직으로 자헌대부(資憲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다.
○ 정이찬(丁以纘) : 창원인이다. 호는 적애(赤厓)이고, 창랑(滄浪) 암수(巖壽)의 6세손이고, 언방(彦邦)의 아들이다. 지식이 박하여 고금의 문장을 뛰어나게 표현하였다. 마을사람들이 습효특렴박학돈의(襲孝特廉博學敦義) 8글자가 있다고 말하였다. 향리에 천거되었다.
○ 조하룡(曺夏龍) : 창령인이다. 호는 경와(敬窩)이고, 운곡(雲谷) 호(浩)의 7세손이고, 죽사(竹史) 이환(爾煥)의 아들이다. 덕을 숨기고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문학과 행의가 뛰어나 세상의 표준이 되었다.
○ 최상억(崔尙嶷) : 탐진인(耽津人)이다. 호는 계은(溪隱)이고, 목사(牧使) 이길(以吉)의 증손이고, 덕휘(德輝)의 아들이다. 지혜와 기개가 강건하고 결단력이 있고, 멀리서도 세상을 정돈하고 걱정하였다. 산수의 흔적에 의탁하여 성리학을 독실하게 공부하였고, 경서에 박통하였다. 그 자손들에게 훈서(訓書)를 남겨 경계하게 하였다.
○ 하영청(河永淸) : 진주인이다. 호는 병암(屛岩)이고, 성귀(聖龜)의 아들이다. 경사가 박식함을 넘었다. 의를 깊이 쌓으며 연구하였다. 병암사(屛岩舍)를 건립하고 소요(逍遙)하였다. 김미호(金渼湖), 송역천(宋櫟泉) 등 여러 현인들과 자적(自適)하였고 추앙을 받았다. 송심석(宋心石)이 묘갈명(墓碣銘)을 찬하였다.
○ 이언휴(李彦烋) : 적성인이다. 호는 독락(獨樂)이고, 우채(遇埰)의 아들이다. 일찍이 부모의 명을 잘 따랐고, 향리에 다다려 의거하며 여러 번 향리의 우두머리가 되었고, 그 후에 산수에 은거(隱居)하였다. 임인년에 침랑(寢郞)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오재(寤齋) 조정만(趙正萬)이 당기(堂記)를 찬술하였다. 문집이 남아 있다.
○ 조응현(曺凝鉉) : 창령인이다. 판교(判校) 호(浩)의 후손이고, 경주(景周)의 아들이다. 학문을 전심으로 독실하게 공부하였고, 경서를 연구하였다. 문장과 필한이 뛰어나서 당대에 사림에서 추중하였다.
○ 나득검(羅得儉) : 금성인이다. 통덕랑(通德郞) 순좌(舜佐)의 아들이다. 몸을 다스리고 몸소 행동함이 하나같이 충신하였다. 문장이 높고, 필한으로유명하였다.
○ 류이근(柳頤根) : 문화인(文化人)이다. 의정(議政) 만수(曼殊)의 후손이고, 문간공(文簡公) 헌(軒)의 9세손이다. 가법을 숙습하였고, 효행이 순수하고 지극하였다. 문장이 당대에 뛰어났고, 더욱이 글과 그림이 정묘하였다. 스스로 나팔복(羅八福)이라 하여 이름을 나복산인(蘿葍散人)이라 하였다.
○ 정계환(丁啓煥) : 창원인이다. 호는 적강(赤江)이고, 창랑(滄浪) 암수(巖壽)의 7세손이고, 오위장(五衛將) 이규(以規)의 아들이다. 품성이 고매(高邁)하고 재지(才智)가 영오(穎悟)하였다. 아이 때부터 향리에서 문한으로 세상에 유명해졌다. 늦게 승평(承平)에 내려와 우거하였지만 학문은 나날이 진보하였고 행의를 말하고 뒤돌아보기도 하였다. 정훈(庭訓)이 무너지지 않았고, 상장(喪葬)에 사복(師服)을 고집하는 자가 10명이나 되었다.
○ 하정익(河廷益) : 진주인이다. 호는 은영암(隱永庵)이고, 금사(錦沙) 윤구(潤九)의 9세손이고, 일청(一淸)의 아들이다. 역천(櫟泉)의 문인으로 숨어 살면서 경적(經籍)의 뜻을 숭상하여 스스로 즐거워하였다. 문집이 남아 있다.
○ 조서주(曺瑞周) : 창령인이다. 호는 백초(白樵)이고, 직제학 유도(由道)의 후손이고, 아계(雅溪) 홍적(弘績)의 아들이다. 문학이 넓고 광대하며 행실이 돈독하며 덕을 남모르게 쌓았다.
○ 김문갑(金文甲) : 광산인이다. 만덕(晩德) 대기(大器)의 후손이고, 명우(命禹)의 아들이다. 품성이 순수하고 학식이 박학하며 백가(百家)의 글과 각 신체의 문을 능히 저술하였다. 행의가 당대에 뛰어나고 유명하였다.
○ 정재석(鄭載碩) : 동래인이다. 호는 우봉(牛峯)이고, 효자 몽두(夢斗)의 손자이고, 지화(祉和)의 아들이다. 가훈을 승습하고 막내 삼촌과 더불어 말년에 화목하고 학행을 모두 갖추었다. 숙묘 임술년에 부승지를 지냈다. 설봉(雪峯) 강백년(姜栢年)이 행장을 찬하였다.
○ 송일욱(宋日勗) : 홍주인이다. 해광(海狂) 제민(齊民)의 7세손이고, 인협(寅恊)의 아들이다. 문사가 넓고 광대하고 박식하며 필한이 정묘하였다. 여러 차례 시험에 합격하지 않았다. 문장과 행의가 일세(一世)에 뛰어났다.
○ 나영좌(羅永佐) : 금성인이다. 호는 상호재(相好齋)이고, 석당(石堂) 경적(景績)의 아들이다. 재행(才行)이 고결(高潔)하고 학식이 풍부하여 우러러보았다. 효로 두 부모를 봉양하였고, 형제간에 우애가 죽을 때까지 한결 같았다.
○ 정두만(丁斗萬) : 창원인이다. 호는 인지헌(仁智軒)이고, 진사 암수(巖壽)의 후손이고, 계우(啓宇)의 아들이다. 성질이 온아하고 뜻을 세우고 품행으로 학문을 독신하게 행하는 것을 자기 임무로 하고 뜻을 숭상하여 은거하였다. 인재잠10조(仁齋箴十條)를 지었다.
○ 송세규(宋世奎) : 홍주인이다. 호는 해제당(解題堂)이고, 해광(海狂) 제민(齊民)의 8세손이고, 일수(日壽)의 아들이다. 일찍이 어린 나이에 학문에 뜻을 세워 경서를 연구하였고 과거 공부도 겸하여 다스렸다. 6번 굴복하고 마침내 이루었다. 문장과 행의가 당대에 뛰어났다.
○ 김수엽(金守曄) : 김해인이다. 호는 퇴은와(退隱窩)이고, 중추 덕보(德普)의 손자이다. 성격은 총명하고 효우가 순수하고 성실하며 경사에 박통하였다. 하루에 멀고 가까움에 상관없이 사우(士友)를 찾아서 갈고 닦으며 힘을 쏟았다. 문장과 필예(筆藝)가 당대에 뛰어났다.
○ 정영억(丁榮億) : 창원인이다. 호는 십괴헌(十愧軒)이고, 백인당(百忍堂) 치업(致業)의 증손이고, 효달(孝達)의 아들이다. 선훈(先訓)을 지극히 계승하고 성학(聖學)에 마음을 가라앉혔다. 경학4조(警學四條)와 10괴문(十愧文) 지어 자손들에게 가르쳤다. 향도에 여러 차례 천거되었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이 행장을 찬하였다.
○ 정동윤(鄭東潤) : 진주인이다. 충장공(忠莊公) 분(苯)의 11세손이고, 덕하(德夏)의 아들이다. 통덕랑(通德郞)으로 정훈(庭訓)을 승습하였다. 형인 동한(東翰)과 더불어 명경(明經) 공부를 정성과 힘을 다하였는데, 여러 차례 동당시(東堂試)를 보았는데 매번 굴복하니 주위 모여있는 사람이 모두 탄식하고 애석해하였다.
○ 이계흥(李繼興) : 광산인이다. 동암(東巖) 발(潑)의 9세손이고, 천방(天芳)의 아들이다. 태어날 때부터 영오(穎悟)하고 경사에 박식하였다. 몸소 행동이 마음으로 터득하고 정으로 나아갔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뛰어남을 보고 사서(四書)의 의심스러운 곳을 주며 해석하게 하였다. 2권을 해독해 보였다.
○ 조이옥(曺爾頊) : 창령인이다. 호는 석파(石坡)이고, 죽림(竹林) 수문(秀文)의 7세손이고, 한상(漢相)의 아들이다. 경전(經傳)에 박학하고 유현(幽玄)한 뜻을 깊이 연구하였다. 문장과 행의가 당대에 추중하였다.
○ 하진성(河鎭星) : 진주인이다. 호는 선사(善士)이고, 금사(錦沙) 윤구(潤九)의 6세손이고, 병암(屛庵) 영청(永淸)의 손자이다. 덕에 힘쓰고 의에 기뻐하고 베풀었다. 행의로 피천(被薦)되었다.
○ 민백우(閔百火右) : 여흥인(驪興人)이다. 호는 교채와(咬菜窩)이고, 승지 사종(嗣宗)의 7세손이고, 증(贈) 승지 상동(相東)의 아들이다. 강재(剛齋) 송치규(宋稚圭)의 문인으로 경학과 문장이 당대에 추앙받았다. 심경집해(心經集解), 홍범수해(洪範數解). 주서보주(朱書補註) 등을 저술하여 세상에 전해졌다.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이 묘갈(墓碣)을 찬하였고, 면암 최익현(崔益鉉)이 행장(行狀)을 찬하였다.
○ 송정각(宋廷珏) : 홍주인이다. 오위장 자규(自奎)의 아들이고, 진사 정옥(廷玉)의 동생이다. 성품과 행실이 온순하고 부지런하여 가정(家庭)의 학(學)을 잘 받았다. 효우로 자기를 다스리고 청렴 검소하여 가정에 전하였다. 행의로 향리에서 군자라 칭하는 사람이 있었다.
○ 정문환(丁文煥) : 창원인이다. 호는 적호(赤湖)이고, 계은(啓殷)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이 있었고 문장이 당대에 이름을 날렸다. 향리에 여러 번 입사하였으나 마침내에는 회위(會圍)에 굴복하였다. 물러나 적벽정(赤壁亭)에서 마음을 다스리고 노년을 임천에서 마쳤으며 누차 모범이 되었다. 문집이 남아 있다.
○ 이정화(李廷華) : 적성인이다. 호는 탁영(濯纓)이고, 언휴(彦烋)의 증손이고, 능백(能白)의 아들이다. 역천(櫟泉) 송명흠(宋明欽) 문인(門人)으로 수업을 받았고, 경서(經書)에 박통하였고, 과거공부를 더욱 정진하였다. 13번 향리에서 합격하였으나, 마침내 회위(會圍)에서는 굴복하였다. 사림이 추중하였다.
○ 나상근(羅祥根) : 금성인이다. 호는 송호(松湖)이고, 석당(石塘) 경적(景績)의 증손이고, 득문(得文)의 아들이다. 가훈을 승습하고 효애가 순수하고 돈독하며 학식이 넓고 광대하고 박식하였다. 문행은 완전히 갖추었고 자명종을 계속 수리하였다. 사림이 추중하였다.
○ 송영규(宋英奎) : 홍주인이다. 해광(海狂) 제민(齊民)의 8세손이고, 일운(日運)의 아들이다. 일찍이 정훈(庭訓)을 승습하였고, 경례(經禮)에 박섭하였고, 과거공부에 더욱 정진하였다. 어린아이 때에 연이어 양시(兩試)에 장원을 하였다. 문장과 행의가 당대에 뛰어났다.
○ 정재형(丁在衡) : 창원인이다. 호는 성재(誠齋)이고, 인지헌(仁智軒) 두만(斗萬)의 아들이다. 일찍이 정훈을 승습하였고, 효우가 순수하고 독실하였고, 학문이 넓고 광대하며 깊었다. 필법(筆法)이 정묘하였고, 사는 곳은 빈곤하지만 편안하였다. 누차 천거하였다. 유고(遺稿)가 있다.
○ 하횡(河澋) : 진주인이다. 호는 삼강(三强)이고, 규남(圭南) 백원(百源)의 아들이다. 일찍이 정훈을 승습하였고, 경사에 박섭하고 문사가 정묘하며 과거를 폐하고 뜻을 숭상하고 시내의 굽이진 곳에 은퇴하여 내려와 놀며 스스로 얻으니 기뻤다. 사람들 모두 추중하였다.
○ 문익룡(文翼龍) : 남평인(南平人)이다. 호는 정당(靜堂)이고, 풍암(楓庵) 위세(緯世)의 9세손이고, 사종(思宗)의 아들이다. 경적을 연구하고, 고금에 박식하였다. 효우에 순수하고 독실하며 임천에서 정신을 수양하였다. 문집이 남아 있다.
○ 조정현(曺正鉉) : 창령인이다. 시중(侍中) 대운(大運)의 후손이고, 상주(相周)의 아들이다. 경전을 박섭하고 정주(程朱)의 주(註)를 깊이 연구하여 꿰뚫어 보았다. 능히 정훈(庭訓)을 계승하고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설치하고 행하였다.
○ 나상소(羅尙素) : 금성인이다. 호는 긍구당(肯搆堂)이고, 송재(松齋) 세찬(世纘)의 9세손이고, 찬영(纘永)의 아들이다. 목천(木川) 이속(李涑)의 문인으로 이기학(理氣學)을 묻고 선생의 명쾌한 법칙으로 답론(答論)하였다. 이택상(李澤相)의 문인으로 쫓아 교유하였다.
○ 조희원(曺禧源) : 창령인이다. 호는 아계(雅溪)이고, 직제학(直提學) 유도(由道)의 후손이고, 응현(凝鉉)의 아들이다. 경서를 연구하고 평생동안 열독하였다. 근사록(近思錄), 성리(性理), 자양강목(紫陽綱目) 등을 저술하여 명성이 당대에 자자하였다. 문집이 남아 있다.
○ 임명한(林命漢) : 나주인(羅州人)이다. 집의(執義) 척지(惕之)의 8세손이고, 정진(鼎鎭)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지혜롭고 경사(經史)에 박식하고 사리를 잘 통하였다. 심오한 뜻을 깊이 연구하였다. 일찍이 문장과 필예(筆藝)를 겸비하여 당대에 추중하였다. 문집이 남아 있다.
○ 김현기(金顯基) : 광산인이다. 호는 벽계(碧溪)이고, 참판(參判) 문발(文發)의 후손이고, 풍천재(風泉齋) 중희(重熙)의 아들이다. 경사에 박식하고 사리를 잘 통하였다. 성격이 순수하고 효우가 돈독하였다. 송사(松沙) 정재면(鄭在勉),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 문인을 쫓아 교유하니 극진히 장려하고 대우하였다. 사림에서 추앙하였다. 태상 신미년에 수직으로 통정 부호군을 지냈다.
○ 나상경(羅尙警) : 금성인이다. 호는 유헌(幽軒)이고, 찬영(纘永)의 아들이다. 역천(櫟泉)에게 수업을 받았고, 마지막에는 명흠(明欽)의 문인이 되었다. 타고난 성품이 여러 중에 뛰어났고 경학에 밝았다. 향리에 추중되었다.
○ 이정린(李廷麟) : 적성인이다. 호는 제곡(霽谷)이고, 언휴(彦烋)의 증손이고, 능백(能白)의 아들이다. 재주와 국량이 뛰어나게 총명하고 경학에 밝았다.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이 더욱 한층 더 권장하고 자랑스러워하였다. 공의 동생인 정은(廷殷)과 함께 유교의 의리에 뛰어났으니 문헌가(文獻家)라 칭하였다. .
○ 송원묵(宋瑗黙) : 홍주인이다. 세규(世奎)의 아들이다. 정훈(庭訓)을 승습하고 문업(文業)에 일찍이 지각이 트여서 학업을 성취하였고, 마음으로 의지하여 온순하며 근면하며 천성에 효우가 있었다. 문장과 행의가 뛰어나서 향리 인근지역까지 소문이 났다.
○ 나정규(羅鼎奎) : 금성인이다. 호는 석동(錫東)이고, 교위(校尉) 득호(得虎)의 8세손이고, 재천(在天)의 아들이다. 품성이 청렴하고 검소하였다. 사장학(詞章學)에는 힘쓰지 않고 염락(濂洛, 정주학)을 구하여 공부하는 것으로 정도를 삼았다. 사림에 추중되었다.
○ 민삼현(閔三鉉) : 여흥인(驪興人)이다. 호는 겸와(謙窩)이고 승지(承旨) 사종(嗣宗)의 8세손이고, 백우(百火+右)의 아들이다. 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를 깨달아서 환히 알았고, 학문과 문체가 누차 향리에는 알려졌지만 과거에는 낙방하였다. 문집이 남아 있다.
○ 김현수(金玹綬) : 광산인이다. 호는 청간(淸澗)이고, 만덕(晩德) 대기(大器)의 8세손이고, 형길(亨吉)의 아들이다. 학문이 화려하고 효우를 마음에 깊이 간수하며 선대(先代)를 봉사함에 나태하지 않고 아침 저녁으로 묘소를 참배하고, 의표(儀表)로 엄정히 하였다. 향리에 추중되었다.
○ 조병덕(曺秉德) : 창령인이다. 발원(發源)의 아들이다. 어릴 때부터 밝고 지혜로왔으며, 10세에 능히 시문을 지었고, 경서를 연구하였다. 박학하여 심오한 뜻을 잘 캐고, 문체를 잘 서술하였다. 그 글을 보고, 그 시를 듣고 사람들이 문장을 감탄하고 칭송하였다. 문집이 남아 있다.
○ 나채성(羅綵成) : 금성인이다. 호는 석송헌(石松軒)이고, 구화(九華) 무춘(茂春)의 8세손이고, 정설(廷說)의 아들이다. 의용(儀容)이 뛰어나게 크며, 재예(才藝)가 여럿 중에 뛰어났다. 제자백가서를 막힘없이 연구하여 세상에 추중되었다.
○ 조석룡(曺錫龍) : 창령인이다. 호는 호광(湖狂)이고, 희주(希周)의 아들이다. 품성이 밝고 지혜로왔고, 경서를 연구하였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을 쫓아 교유하여 더욱 열심히 하였다. 역대연(易大衍), 서기삼백(書朞三百) 및 성리(性理) 등의 글을 지었다. 문집이 남아 있다.
○ 박기환(朴璣煥) : 함양인이다. 호는 노호(蘆湖)이고, 진사(進士) 래용(來龍)의 아들이다. 문장이 나이는 어리지만 일찍이 지각이 트여 학업을 성취하였고, 필한이 정밀하고 교묘하였다. 일찍이 경락(京洛, 京師라고도 함, 임금의 궁궐이 있는 곳)의 선비들과 교유하여 모두가 추중하였다. 여러 번 향리에서는 합격하였으나 회시(會試)에는 낙방하였다. 문집이 남아 있다.
○ 조장원(曺章源) : 창령인이다. 호는 죽곡(竹谷)이고, 교관(敎官) 여충(汝忠)의 8세손이고, 석훈(錫勳)의 아들이다. 효우의 행동에 힘쓰고, 경전(經傳)에 박식하고 잘 캐었고, 교육 후에는 많이 진출하여 모범을 보여 후세에 추중되었다.
○ 정범석(丁範錫) : 창원인이다. 창랑(滄浪) 암수(巖壽)의 10세손이고, 재신(在臣)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이 있어 시문쓰기를 잘 하였다. 재지(才智)가 여럿 중에 뛰어나서 가사(佳士, 품행이 단정한 선비)라 모두가 감탄하고 칭송하였다. 불행히도 일찍이 죽으니 사람 모두 탄식하며 노래를 불렸다.
○ 하옥(河沃) : 진주인이다. 호는 행와(杏窩)이고, 성귀(聖龜)의 5세손이다. 재질(才質)이 범상함을 넘었고, 문행이 일찍이 지각이 트여 학업을 성취하였다. 종숙(從叔)인 규남(圭南)이 매번 권장하고 칭송하여 주었다.
○ 송재홍(宋在洪) : 홍주인이다. 호는 난계(蘭溪)이고, 진사 정옥(廷玉)의 아들이다. 선훈(先訓)을 지극히 승습하고 문한(文翰)이 넓고 광대하며 박식하였다. 성격과 행동이 대단히 신중하고, 효우에 순수하고 완전하며 세상에서 문행가(文行家)라 칭하였다.
○ 정남풍(丁南豊) : 창원인이다. 호는 창애(滄厓)이고, 창랑(滄浪) 암수(巖壽)의 9세손이고, 영규(榮奎)의 아들이다. 성격은 마음을 가라 앉히고 깊이 생각하며, 경전과 문한이 세상에 뛰어났다. 효우가 순수하고 진실되었고, 손님을 맞이하여 접대함이 안정되고 곡진하였다. 향리에 흠모하였다.
○ 하익(河瀷) : 진주인이다. 호는 사하(沙下)이고, 규남(圭南) 백원(百源)의 아들이다. 문행이 초석이 되었고 아름다웠다.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의 문인으로 학문을 하였으며 행의로 추중되었다.
○ 정혁(丁爀) : 창원이이다. 호는 용암(蓉岩)이고, 진사 암수(巖壽)의 9세손이고, 두록(斗綠)의 아들이다. 경서를 연구하였고, 일찍이 문장을 이루었고, 부모에게 효와 형제의 우애가 세상에 모범이 되었다. 문집이 남아 있다.
○ 이진민(李鎭敏) : 적성인이다. 호는 죽호(竹湖)이고, 독악당(獨樂堂) 언휴(彦烋)의 5세손이고, 재성(載星)의 아들이다. 타고난 기품이 너그럽고 어지고, 효우가 순수하고 진실되었다. 20세에 경서를 통달하였고, 선비들을 도와서 강목(綱目)을 저술하고 제작에 임하였다. 세상에 모범이 되었다.
○ 조병륜(曺秉倫) : 창령인이다. 호는 죽은(竹隱)이고, 교관(敎官) 여충(汝忠)의 후손이고, 부호군(副護軍) 준원(俊源)의 아들이다. 학식이 넓고 광대하며 박식하고, 효우가 순수하고 착하였다.
○ 김재기(金在驥) : 광산인이다. 호는 성석(惺石)이고, 만덕(晩德) 대기(大器)의 8세손이고, 교관 지성(支成)의 아들이다. 가훈을 승습하고 의리(義理)를 전심(專心)하였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 양 선생을 쫓아 교유하였고, 시와 예를 강론(講論)하였다.
○ 이난실(李蘭實) : 전주인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후손이고, 이판(吏判) 우백(友栢)의 아들이다. 경전과 성리서에 박통(博通)하였다. 일찍이 과거를 포기하고 편안한 들의 언덕에 살곳을 정하였다. 이로 인하여 호를 안야처사(安野處士)라 하였고, 백성들에게 풍속(風俗)과 가색(稼穡, 농사)의 일을 가르쳤다.
○ 박기일(朴基一) : 밀양인이다. 공간공(恭簡公) 건(楗)의 후손이고, 교관 창옥(昌鈺)의 아들이다. 일찍이 정훈을 승습하고 성격은 근면하고 효우가 순수하였다. 문사와 필한으로 향리에서 추중하였다.
○ 정기(丁騏) : 창원인이다. 호는 화표(華表)이고, 창랑(滄浪) 암수(巖壽)의 후손이고, 창벽당(滄壁堂) 재로(在老)의 아들이다. 의표(儀表)가 엄중하고, 효우가 순수하고 성실하였다. 종재(宗齋) 송달말(宋達沫)을 스승으로 섬기며 문인이 되었다. 예설(禮說)에 박섭(博涉)하여 사람 모두가 감복하고 흠앙하였다.
○ 김재국(金在國) : 광산인이다. 교관 광현(光灦)의 현손이고, 문옥(文玉)의 아들이다. 경서를 깊이 연구하고, 예설에 박식하고 잘 캐었다. 효우가 순수하고 착하였다. 그 아들 정현(正鉉)과 그 손자 영해(永海)가 가훈을 승습하여 학문에 힘써서 문행이 크게 되었다.
○ 오귀영(吳貴泳) : 동복인이다. 호는 소은(小隱)이고, 감사(監司) 정원(挺垣)의 7세손이고, 처진(處鎭)의 아들이다. 금곡(錦谷) 송래희(宋來熙) 문인이 되어 수업을 받았다. 예(禮)에 의심나는 것은 선생과 문답하니 감탄하였다. 연구에 있어 정밀하고 치밀하여 빈틈이 없었다.
○ 조병모(曺秉模)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후손이고, 륜원(崙源)의 아들이다. 경사(經史)에 박섭하고, 시문의 문체와 행의가 돈독하고 성실하여 당대에 이름이 알려졌다.
○ 김치현(金治鉉) : 광산인이다. 호는 야은(野隱)이고, 현섭(玹燮)의 아들이고, 임고산(任鼓山) 문인이다. 품성이 밝고 지혜로왔다. 불행하게 일찍 죽으니 선생이 애석해 하였다.
○ 오희상(吳禧相) : 동복인이다. 호는 농암(聾庵)이고, 참찬(參贊) 억령(億齡)의 10세손이고, 채영(采泳)의 아들이다. 의용(儀容)이 비범하며, 효우가 순진하고 인정이 많았다. 학업에 있어 일찍이 지각이 트여 빨리 성취하였다. 행의가 뚜렷이 뛰어나서 향리에 추중되었다.
○ 송재봉(宋在鳳) : 홍주인이다. 호는 오재(梧齋)이고, 해광(海狂) 제민(齊民)의 10세손이고, 정각(廷珏)의 아들이다. 선훈(先訓)을 지극히 승습하고, 부모에게 효와 형제간 우애가 있었다. 문장(文章)이 넉넉하고 화려하며 박학하였고, 사부(詞賦)는 더욱 정묘하였다. 늦게 과거공부를 포기하고 학문에 전심을 다하였다.
○ 정시룡(丁時龍) : 창원인이다. 호는 강재(强齋)이고, 백인당(百忍堂) 치업(致業)의 5세손이고, 남주(南柱)의 아들이다. 효우가 순수하고 가정을 잘 다스렸고, 규약(規約)을 설치하여 풍속교화의 모범으로 삼았다.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이 찬서(撰敍)하였는데, 석면(石面)에는 망미(望美)를 새겨 넣고 충애(忠愛)를 표하였다.
○ 조병우(曺秉禹) : 창령인이다. 호는 송고(松皐)이고, 판교(判校) 호(浩)의 후손이고, 흥원(興源)의 아들이다. 여러 차레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의 문인이 되었고 문학이 바르고 깨끗하여 인망이 있었다.
○ 정극섭(丁克燮) : 창원인이다. 호는 매학(梅鶴)이고, 백인당(百忍堂) 치업(致業)의 6세손이고, 시회(時悔)의 아들이다. 경학(經學)에 전심하였고, 일찍이 문예(文藝)를 이루었고, 성격은 평온하고 조용하며 중후하였고 효우(孝友)를 겸비하여 완전하였다.
○ 정규명(丁奎明) : 창원인이다. 호는 강와(剛窩)이고, 백인당(百忍堂) 치업(致業)의 후손이고, 동섭(東燮)의 아들이다. 품성이 침착하고 중후하였다. 스승인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을 쫓아 이미 학문을 듣고 얻었다. 송병순(宋秉珣)이 주석에 호(號)를 술기(述記)하여 이를 권장하였다.
□ 음관(蔭官)
○ 정세열(丁世烈) : 창원인이다. 관직이 광흥창봉사(廣興倉奉事)에 이르렀다. 생진편에 나타난다.
○ 남언기(南彦紀) : 의령인이다. 관직이 별제(別提)에 이르렀다. 유일편에 나타난다.
○ 정유성(丁有成) : 창원인이다. 선묘 갑신년에 관직이 주부(主簿)에 이르렀다. 창의편에 나타난다.
○ 하대표(河大豹) : 진주인이다. 관직이 한성참군(漢城參軍)에 이르렀다. 창의편에 나타난다.
○ 정몽량(丁夢良) : 창원인이다. 판결사(判決事) 인례(仁禮)의 6세손이고, 진사 봉(鳳)의 아들이다. 명묘 기유년에 관직이 사옹봉사(司饔奉事)에 이르렀다.
○ 하백원(河百源) : 진주인이다. 헌묘 신축년에 관직이 현감(縣監)에 이르렀다. 생진편에 나타난다.
보(補)
○ 김영숙(金永淑) : 김해인이다. 충간공(忠簡公) 보(普)의 5세손이고, 교리(校理) 진서(震敍)의 아들이다. 단묘 계유년에 현감을 지냈고, 병자년에 군수에 올랐다. 단종이 폐위되자 순흥군수(順興郡守) 이보흠(李甫欽)과 더불어 복위를 모의하다가 일이 발각되어 모두 죽임을 당하는 상황인데 공경(公卿)은 밤에 묶인 것을 풀고 복천(福川)에 우거하였다. 후에 단종이 변고를 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북쪽을 향하여 곡하며 절을 하고 3년동안 상복을 입었다. 벽에 글을 쓰니 망령재(望寧齋)라 하였고, 스스로 호를 경산처사(景山處士)라 하였다.
○ 정원(丁鵷) : 창원인이다. 현령(縣令) 여림(汝霖)의 손자이고, 참봉(參奉) 세열(世烈)의 아들이다. 명묘 무신년에 문학(文學)과 행의(行誼)로 조정에 천거되었다. 관직이 습독(習讀)에 이르렀다.
○ 조진남(曺震男) : 창령인이다. 직제학(直提學) 유도(由道)의 5세손이고, 국경(國卿)의 아들이다. 명묘 갑자년에 선무랑(宣務郞) 행순릉참봉(行順陵參奉)에 이르렀다.
속(續)
○ 김관현(金寬鉉) : 광산인이다. 진사 찬규(燦奎)의 손자이고, 재행(在行)의 아들이다. 태상 병오년에 내부참서관(內部參書官)에 부임하였고, 정미년에 정3품에 올랐고, 남양군수(南陽郡守)에 제수되었다가 수원군수(水原郡守)로 이배(移拜)되었다.
○ 오재영(吳在永) : 동복인이다. 호는 소재(小齋)이고, 교관(敎官) 한추(漢樞)의 증손이고, 효자 연수(然琇)의 아들이다. 융희 기유년에 도신(道臣)의 천거로 특별히 보성군수(寶城郡守)에 제수되어 많은 난민들을 불려들어 편안하게 몸을 온전히 지낼수 있도록 하였다. 신해년에 사직하고 돌아와 집을 건립하여 현판에 지명당(知命堂)이라 하였으며 술을 돌리며 유유자적(悠悠自適)하는 생활을 하였다.
○ 김영태(金永泰) : 광산인이다. 만덕(晩德) 대기(大器)의 10세손이고, 도(濤)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행숭덕전참봉(行崇德殿參奉)에 이르렀다.
○ 방재순(房在絢) : 남양인이다. 직제학(直提學) 사량(士良)의 후손이고, 채규(采奎)의 아들이다. 융희 정미년에 동복군(同福郡) 주사(主事)로 부임하였다.
○ 오재형(吳在逈) : 동복인이다. 교관(敎官) 한추(漢樞)의 증손이고, 연규(然奎)의 아들이다. 태상 무신년에 동복군 주사로 부임하였다.
□ 음직(蔭職)
○ 김붕손(金鵬孫) : 김해인이다. 판서(判書) 관(管)의 7세손이고, 부위(府尉) 현(鉉)의 아들이다. 통덕랑(通德郞)을 지냈다. 동생 곤손(鯤孫)과 더불어 동복 사수(泗水)이 옮겨와 살았다.
○ 정세훈(丁世勳) : 창원인이다. 판결사(判決事) 인례(仁禮)의 현손이고, 현령(縣令) 여림(汝霖)의 아들이다. 성묘 기유년에 참봉(參奉)을 하였다.
○ 김곤변(金鯤變) : 광주인이다. 병판(兵判) 문손(文孫)의 증손이고, 교위(校尉) 윤효(允孝)의 아들이다. 퇴계(退溪) 문인(門人)으로 사랑(仕郞)에 올랐다. 정해년에 광주에서부터 동복에 옮겨와 살았고 강에 치우쳐서 대(臺)를 축조하였는데 영롱대(玲瓏臺)라 하였다. 이로 인하여 호를 농재(瓏齋)라 하였다.
○ 이정립(李廷立) : 전주인이다.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7세손이고, 가선(嘉善) 춘봉(春鳳)의 아들이다. 인묘 계해년에 가선 좌윤(左尹)을 하였다.
○ 하언함(河彦涵) : 진주인이다. 군수(郡守) 치(治)의 현손이고, 진사(進士) 한(漢)의 아들이다. 명묘 갑자년에 제용감주부(濟用監主簿)를 하였다.
○ 조국경(曺國卿) : 창령인이다. 시중(侍中) 대운(大運)의 5세손이고, 교관(敎官) 여충(汝忠)의 아들이다. 중묘 경오년에 행충순위(行忠順衛)를 하였다.
○ 하대홍(河大鴻) : 진주인이다. 진사 언식(彦湜)의 아들이다. 선묘 정해년에 제용감참봉(濟用監參奉)을 하였다.
○ 하대란(河大鸞) : 진주인이다. 진사 언의(彦漪)의 아들이다. 선묘 경오년에 공조정랑(工曹正郞)을 하였다.
○ 하대청(河大淸) : 진주인이다. 주부 언함(彦涵)의 아들이다. 선묘 을해년에 내섬시직장(內贍寺直長)을 하였다.
○ 하대추(河大鶖) : 진주인이다. 군수 치(治)의 5세손이고, 선묘 경진년에 온릉참봉(溫陵參奉)을 하였다.
○ 조성립(曺成立) : 창령인이다. 직제학(直提學) 유도(由道)의 6세손이고, 참봉 진남(震男)의 아들이다. 인조조에 선공직장(繕工直長)을 하였다.
○ 하몽개(河夢凱) : 진주인이다. 참봉 대홍(大鴻)의 아들이다. 선묘 임오년에 군자감판관(軍資監判官)을 하였다.
○ 조응립(曺應立) : 창령인이다. 죽림(竹林) 수문(秀文)의 5세손이고, 진남(震男)의 아들이다. 선묘 임인년에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하였다.
○ 하진길(河晉吉) : 진주인이다. 정랑(正郞) 대란(大鸞)의 손자이다. 인조 을유년에 선릉참봉(宣陵參奉)을 하였다.
○ 조복립(曺復立)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현손이고, 진남(震男)의 아들이다. 선묘 갑오년에 공조정랑(工曹正郞)을 하였다.
○ 조영립(曺英立) : 창령인이다. 호는 소죽(小竹)이고, 직제학 유도(由道)의 6세손이고, 참봉 진남(震男)의 아들이다. 품성(稟性)이 순수하고 올바르고, 경학(經學)에 전심을 다하였다. 인묘에 공조정랑을 하였다.
○ 강의신(姜懿臣) : 진주인이다. 문량공(文良公) 희맹(希孟)의 5세손이고, 선전(宣傳) 극경(克敬)의 아들이다. 돈령부주부(敦寧府主簿)를 하였다.
○ 조한필(曺漢弼)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5세손이고, 응립(應立)의 아들이다. 인묘 을미년에 공조정랑을 하였다.
○ 강무신(姜懋臣) : 진주인이다. 선전(宣傳) 극경(克敬)의 아들이다. 사섬시주부(司贍寺主簿)를 하였다.
○ 조한익(曺漢翊) : 창령인이다. 호는 소곡(小谷)이고, 운곡(雲谷) 호(浩)의 5세손이고, 영립(英立)의 아들이다. 숙묘 을미년에 부호군(副護軍)을 하였다.
○ 정이희(丁以禧) : 창원인이다. 창랑(滄浪) 암수(巖壽)의 6세손이고, 운빈(運彬)의 아들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잃었고 노년에 이르기까지 추모하였다. 숙묘 을미년에 장사경(將仕卿)을 하였다.
○ 신사현(申思賢) : 평산인(平山人)이다. 장절공(壯節公) 숭겸(崇謙)의 후손이고, 필성(必誠)의 아들이다.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하였다.
○ 강종익(姜宗益) : 진주인이다. 문량공(文良公) 희맹(希孟)의 6세손이고, 선전(宣傳) 의신(懿臣)의 아들이다. 숙종 갑신년에 대구판관(大邱判官)을 하였다.
○ 이우수(李遇秀) : 적성인이다. 처사(處士) 도(䆃)의 증손이고, 증(贈) 호조참의(戶曹參議) 인상(仁相)의 아들이다. 영묘 정미년에 산학교수(算學敎授)를 하였다.
○ 신광윤(申光潤) : 평산인이다. 사현(思賢)의 아들이다. 태상 을유년에 가선 참의를 하였다.
○ 오도언(吳道彦) : 동복인이다. 감천공(感泉공) 준(浚)의 7세손이고, 시운(始運)의 아들이다. 을묘년에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하였다.
○ 이이현(李以玹) : 전주인이다. 공신(功臣) 벽(堛)의 7세손이고, 군자감정(軍資監正) 연익(淵翼)의 아들이다. 순묘 갑오년에 공조참의(工曹參議)를 하였다.
○ 김성구(金聲久) : 김해인이다. 군수(郡守) 인향(仁香)의 8세손이고, 명규(命圭)의 아들이다. 병신년에 첨중추부사를 하였다.
○ 송자규(宋自奎) : 홍주인(洪州人)이다. 호는 학암(鶴庵)이고, 해광(海狂) 제민(齊民)의 8세손이고, 진사 일임(日臨)의 아들이다. 성격이 엄격하고 행실이 돈독하며 효친(孝親)을 자식에게 가르쳤다. 헌묘 병신년에 첨지중추(僉知中樞) 겸(兼) 오위장(五衛將)을 하였다.
○ 김수현(金壽鉉) : 광주인이다. 호는 눌암(訥庵)이고, 농재(瓏齋) 곤변(鯤變)의 8세손이다. 증(贈) 호판(戶判) 윤조(潤祚)의 아들이다. 태상 을해년에 통정 부호군을 하였고, 정해년에 숭정(崇政) 동중추부사에 올랐다.
○ 오재열(吳在烈) : 동복인이다. 감천공(感泉公) 준(浚)의 10세손이고, 상혁(相赫)의 아들이다. 경신년에 첨중추 겸 오위장을 하였다.
○ 정남회(丁南繪) : 창원인이다. 백인당(百忍堂) 치엽(致葉)의 현손이고, 영준(榮準)의 아들이다. 태상(太上) 임인년에 통정을 하였다.
○ 이문수(李文秀) : 전주인이다. 호는 월계(月溪)이고, 양도공(襄度公) 천우(天祐)의 후손이고, 윤목의 아들이다. 태상 기축년에 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를 하였고, 임인년에 통정에 올았다.
○ 유정열(劉禎烈) : 강릉인(江陵人)이다. 문희공(文僖公) 창(敞)의 후손이고, 통정 몽기(夢基)의 아들이다. 태상 임오년에 통정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을 하였다.
○ 오영규(吳永奎) : 동복인이다. 판관(判官) 도언(道彦)의 현손이고, 첨중추 재열(在烈)의 아들이다. 태상 을유년에 돈령부도정을 하였다.
○ 김진학(金振鶴) : 김해인이다. 퇴은(退隱) 수엽(守曄)의 손자이고, 열(洌)의 아들이다. 태상 을유년에 동중추부사를 하였다.
○ 김기조(金箕助) : 광산인이다. 충숙공(忠肅公) 심(深)의 후손이고, 석준(錫俊)의 아들이다. 태상에 충훈부도사를 하였다.
○ 이경덕(李敬德) : 전주인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후손이다. 익묘 임진년에 영릉참봉(永陵參奉)을 하였고, 헌묘 기유년에 통정에 올랐다.
○ 김석홍(金錫弘) : 김해인이다. 양무공(襄武公) 완(完)의 7세손이다. 태상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를 하였다.
○ 이병훈(李炳勳) : 양성인(陽城人)이다. 감사(監司) 백량(伯良)의 후손이고, 이판(吏判) 진규(震奎)의 아들이다. 태상 임진년에 가선 이참(吏參)을 하였다.
○ 송인만(宋仁萬) : 여산인(礪山人)이다. 이판 시길(時吉)의 7세손이고, 진사 주순(周純)의 아들이다. 태상 신미년에 선공가감역(繕工假監役)을 하였다.
○ 정옥룡(鄭沃龍) : 진주인이다. 충장공(忠莊公) 분(苯)의 후손이고, 덕엽(德曄)의 아들이다. 임인년에 통정을 하였다.
○ 김재록(金在祿) : 광산인이다. 호는 방수헌(防守軒)이고, 만덕(晩德) 대기(大器)의 8세손이고 교관 문성(文成)의 아들이다. 태상 기사년에 가선 중추를 하였다.
○ 김재휴(金在休) : 광산인이다. 호는 농아재(聾啞齋)이고, 교관 문성(文成)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참봉을 하였다.
○ 김상현(金商鉉) : 경주인이다. 계성군(雞城君)의 후손이고, 가선 재희(在喜)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통정 승지(承旨)를 하였다.
○ 송치만(宋致萬) : 여산인이다. 좌찬성(左贊成) 일(馹)의 8세손이고, 기순(騏純)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돈령부도정을 하였고, 임인년에 기로사(耆老社)를 하였으며, 통정에 올랐고 행의(行誼)가 세상에 알려졌다.
○ 정두찬(鄭斗燦) : 진주인이다. 호는 유계(酉溪)이고, 충장공(忠莊公) 분(苯)의 후손이고, 상채(相彩)의 아들이다. 태상 갑진년에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하였다.
○ 최석두(崔錫斗) : 탐진인이다. 장경공(莊景公) 사전(思全)의 후손이고, 통정이고 증(贈) 가선 내부협판(內部恊辦) 태규(台圭)의 아들이다. 태상 을사년에 통정에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고, 시종원부경(侍從院副卿)에 부임하였다.
○ 정진구(丁鎭九) : 창원인이다. 창랑(滄浪) 암수(巖壽)의 10세손이고, 가선 남홍(南弘)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동중추 오위장을 하였다.
○ 박계욱(朴桂旭) : 밀양인이다. 호는 송암(松菴)이고, 규정공(糾正公) 현(鉉)의 후손이고, 맹두(孟斗)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우부승지(右副承旨), 통훈대부(通訓大夫), 청안현감(淸安縣監)을 하였다.
○ 정시호(丁時豪) : 창원인이다. 호는 신암(愼庵)이고, 교관(敎官) 치업(致業)의 5세손이고, 증(贈) 참판 남훈(南勳)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기로사 통정을 하였다.
○ 김봉배(金鳳培) : 김해인이다. 호는 계은(溪隱)이고, 인재(忍齋) 덕보(德普)의 5세손이고, 농암(農庵) 진효(振孝)의 아들이다. 태상 경인년에 통훈 사헌부감찰을 하였다.
○ 김진홍(金鎭鴻) : 김해인이다. 문충공(文忠公) 진서(震敍)의 후손이고, 진사(進士) 만규(萬奎)의 아들이다. 태상 병술년에 통훈 사헌부감찰을 하였다.
○ 강길회(姜吉會) : 진주인이다. 사복시정(司僕寺正) 주귀(柱貴)의 증손이고, 재문(在文)의 아들이다. 태상 신사년에 가선 동중추 겸 오위장을 하였다.
○ 신석윤(申錫允) : 평상인이다. 증(贈) 참의(參議) 재환(在煥)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부호군을 하였고, 계사년에 숭정(崇政) 의정부찬성(議政府贊成)에 올랐다.
○ 이주룡(李周龍) : 광산인이다. 양심당(養心堂) 시원(始元)의 후손이고, 오위장 덕환(德煥)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분충의참봉(分忠義參奉)을 하였다.
○ 박래운(朴來蕓) : 함양인(咸陽人)이다. 승지 윤(尹)의 8세손이고, 증(贈) 이참 종호(宗浩)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통정 도정(都正)을 하였다.
○ 엄내영(嚴鼐永) : 영월인(寧越人)이다. 원외랑(員外郞) 임의(林義)의 후손이고, 석우(錫祐)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를 하였다.
○ 오윤상(吳允相) : 동복인이다. 문헌공(文獻公) 대승(大陞)의 후손이고, 선교랑(宣敎郞) 한봉(漢鳳)의 아들이다. 대범하고 조용하며 침착하고 의지가 강하였다. 갑오란에는 성을 지키기 위해 통장(統長)이 되어 백성을 모집하고 한 경계를 갖추니 안심하고 의뢰하였다. 태상조에 오위장이 되었다.
○ 김락귀(金洛龜) : 김해인이다. 효자 대철(大喆)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하였다.
○ 김환우(金煥愚) : 김해인이다. 탁영(濯纓) 일손(馹孫)의 후손이고, 좌랑(佐郞) 국혜(國惠)의 아들이다. 태상 기묘년에 통정 호조참의를 하였다.
○ 임재규(任在奎) : 장흥인(長興人)이다. 관산군(冠山君) 광세(光世)의 후손이고, 효자 태운(泰運)의 손자이고, 달환(達煥)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을 하였다.
○ 조준원(曺俊源) : 창령인이다. 호는 초은(樵隱)이고, 직제학 유도(由道)의 후손이고, 성현(成鉉)의 아들이다. 곤궁한 것을 당연한 것으로 알고 잘 견디며, 학문에 박식하며 율을 다스려 청렴하고 신중하였다. 태상 무진년에 부호군을 하였다.
○ 정상길(鄭相吉) : 진주인이다. 호는 유산(酉山)이고, 충장공(忠莊公) 분(苯) 후손이고, 진사 갑원(甲源)의 아들이다. 태상 갑오 동비란(東匪亂)에 의병장이 되어 창의하여 정(正)을 지키고 척사부의(斥邪扶義)를 논하자고 복합(伏閤) 상소하였다. 병오년 4월에 관찰부주사(觀察府主事)에 부임하였고, 동년 7월에 소원대로 면직하였다.
○ 장대열(張大烈) : 목천인(木川人)이다. 호는 만암(晩庵)이고, 포음(圃蔭) 정필(貞弼)의 후손이고, 충의공(忠毅公) 윤구(潤九)의 세손(世孫)이고, 증(贈) 호조참의 화영(華永)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절충(折衝) 가선(嘉善) 오위장(五衛將)을 하였다.
○ 한철진(韓喆鎭) : 청주인(淸州人)이다. 충효공(忠孝公) 명회(明澮)의 후손이고, 통정 용희(用喜)의 아들이다. 태상 정미년에 주전원주사(主殿院主事)를 하였다.
○ 오계익(吳啓翼) : 동복인이다. 문헌공(文獻公) 대승(大陞)의 후손이고, 증(贈) 호판(戶判) 재흥(載興)의 아들이다. 태상 임진년에 통정 병조참의를 하였다.
○ 김재택(金載澤) : 광산인이다. 문정공(文正公) 태현(台鉉)의 후손이고, 증(贈) 참찬(參贊) 명추(命秋)의 아들이다. 태상 계묘년에 통정을 하였고, 갑진년에 가선에 올랐다.
○ 이병순(李炳淳) : 적성인이다. 처사(處士) 도(䆃)의 10세손이고, 증(贈) 참판(參判) 진민(鎭敏)의 아들이다. 효우(孝友)가 순수하며 율을 지키며 몸을 청간하게 하였다. 태상 임진년에 가선 동중추 겸 오위장에 올랐다.
○ 이학주(李鶴周) : 전주인이다. 익양군(益陽君) 회(懷)의 후손이고, 증(贈) 숭정(崇政) 종화(宗華)의 아들이다. 태상 병자년에 선공가감역을 하였다.
○ 류인석(柳仁錫) : 서산인(瑞山人)이다. 충의공(忠毅公) 휘진(彙進)의 후손이고, 증(贈) 가선 재록(在錄)의 아들이다. 태상 무인년에 장릉참봉(莊陵參奉)을 하였다.
○ 김성태(金成太) : 김해인이다. 양무공(襄武公) 완(完)의 8세손이고, 석홍(錫弘)의 아들이다. 태상 경인년에 경릉참봉(敬陵參奉)을 하였다.
○ 정기식(鄭箕植) : 진주인이다. 호는 동계(東溪)이고, 충장공(忠莊公) 분(苯)의 후손이고, 의관(議官) 한유(漢宥)의 아들이다. 태상 병오년에 순릉참봉(順陵參奉)을 하였다.
○ 김영국(金永國) : 광산인이다. 호는 수정(睡亭)이고, 만덕(晩德) 대기(大器)의 후손이고, 도(濤)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통정을 하였다.
○ 오계엽(吳啓曄) : 동복인이다. 충신(忠臣) 죽령(竹齡)의 12세손이고, 증(贈) 호판 재흥(在興)의 아들이다. 효우로 가정을 잘 다스리고 근면하고 검소하며 율을 잘 지켰다. 태상 계묘년에 통훈대부를 하였고, 중추원의관에 부임하였다.
○ 박용근(朴龍根) : 밀양인이다. 평의사(評議事) 언상(彦祥)의 후손이고, 의섭(儀燮)의 아들이다. 효우가 순수하며 급박한 사정에 있는 사람들을 구휼하고 구제하였고, 성실함에 거짓됨이 하나도 없다. 신명(神明), 감응(感應)의 도움이 많았다. 태상 임인년에 혜민원주사(惠民院主事)를 하였다.
○ 조경승(曺璟承)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후손이고, 석권(錫權)의 아들이다. 태상 임진년에 의금부도사를 하였다.
○ 신태형(申泰亨) : 평산인이다. 증(贈) 찬성(贊成) 석윤(錫允)의 아들이다. 태상 계묘년에 기로사 통정으로 들어갔다.
○ 류의석(柳義錫) : 서산인이다. 충의공(忠毅公) 휘진(彙進)의 후손이고, 증(贈) 가선 재록(在錄)의 아들이다. 태상 병오년에 온릉참봉(溫陵參奉)을 하였다.
○ 홍재성(洪在聖) : 남양인이다. 증(贈) 교관(敎官) 재중(載中)의 손자이고, 통정 장섭(章燮)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건릉참봉(健陵參奉)을 하였다.
○ 주형모(朱衡模) : 신안인(新安人)이다. 부사 세창(世昌)의 후손이고, 진국(鎭國)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기로사 통정을 하였다.
○ 임재권(任在權) : 장흥인이다. 효자 태운(泰運)의 손자이고, 용환(龍煥)의 아들이다. 태상 임진년에 헌릉참봉(獻陵參奉)을 하였다.
○ 조정환(趙廷煥) : 한양인이다. 충무공(忠武公) 영무(英茂)의 후손이고, 증(贈) 참판 태서(泰瑞)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통훈대부(通訓大夫) 현감(縣監)을 하였다.
○ 김기만(金琪萬) : 광산인이다. 문정공(文貞公) 책(責)의 후손이고, 통정 호달(浩達)의 아들이다. 태상 정해년에 가선 동중추 겸 오위장을 하였다.
○ 박만현(朴萬鉉) : 함양인이다. 응천군(凝川君) 신유(臣㽔)의 후손이고, 가선 재섭(在燮)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사헌부감찰을 하였다.
○ 나기환(羅基煥) : 금성인이다. 희민공(僖敏公) 세찬(世纘)의 후손이고, 도정(都正) 종순(鍾淳)의 아들이다. 태상 임진년에 건원릉참봉을 하였다.
○ 조병선(曺秉鮮) : 창령인이다. 직제학 유도(由道)의 후손이고, 인원(仁源)의 아들이다. 태상 기축년에 오위장을 하였다.
○ 박노수(朴魯洙) : 밀양인이다. 공간공(恭簡公) 건(楗)의 후손이고, 증(贈) 좌승지(左承旨) 규엽(奎曄)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참봉을 하였고, 동년에 가선 동중추에 올랐다.
○ 박종래(朴宗來) : 밀양인이다. 밀원부원군(密原府院君) 건(健)의 후손이고, 준룡(準龍)의 아들이다. 태상 경인년에 건릉참봉을 하였다.
○ 주양동(朱陽東) : 신안인이다. 부사 세창(世昌)의 후손이고, 통정 형찬(衡贊)의 아들이다. 태상 정미년에 한성부학교(漢城府學校) 교관(敎官) 겸(兼) 동몽교관(童蒙敎官)을 하였다.
○ 나종순(羅鍾淳) : 금성인이다. 희민공(僖敏公) 세찬(世纘)의 후손이고, 문신(文臣)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 돈령부도정을 하였다.
○ 김정준(金正俊) : 김해인이다. 학성군(鶴城君) 완(完)의 후손이고, 세하(洗河)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통정 공조참의를 하였다.
○ 이재신(李在信) : 전주인이다. 공신(功臣) 벽(堛)의 9세손이고, 증(贈) 가선 정회(正會)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통정 좌승지를 하였다.
○ 서홍석(徐鴻錫) : 대구인이다. 약봉(藥峯) 성(渻)의 후손이고, 정현(廷賢)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건원릉참봉을 하였다.
○ 이강석(李康錫) : 전주인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후손이고, 효자 기채(起采)의 아들이다. 경술년이래로 임천정(臨泉亭)에 살면서 시를 짓고 읊었다. 태상 경인년에 사헌부감찰을 하였다.
○ 김종철(金鍾喆) : 김해인이다. 호는 신재(愼齋)이고, 안민공(安敏公) 영정(永貞)의 후손이고, 감찰 봉배(鳳培)의 아들이다. 태상 병신년에 건원릉참봉을 하였다.
○ 정만식(鄭萬植) : 진주인이다. 충장공(忠莊公) 분(苯)의 후손이고, 한율(漢律)의 아들이다. 태상 임오년에 명릉참봉(明陵參奉)을 하였다.
○ 조원섭(趙元燮) : 한양인이다. 충무공(忠武公) 영무(英茂)의 후손이고, 돈령(敦寧) 상춘(相春)의 아들이다. 태상 신축년에 통정에 올랐다.
○ 최영민(崔永玟) : 탐진인이다. 석촌(石村) 근(瑾)의 후손이고, 진한(振翰)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분충의참봉(分忠義參奉)을 하였다.
○ 오계식(吳啓軾) : 동복인이다. 문헌공(文獻公) 대승(大陞)의 후손이고, 부호군(副護軍) 재길(載吉)의 아들이다. 태상 갑진년에 중추원의관을 하였다.
○ 방채규(房采奎) : 남양인이다. 호는 성재(醒齋)이고, 직제학(直提學) 사량(士良)의 후손이고, 오위장 환종(煥鍾)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사헌부감찰을 하였다.
○ 오계협(吳啓浹) : 동복인이다. 충신(忠臣) 죽령(竹齡)의 후손이고, 부호군(副護軍) 재길(載吉)의 아들이다. 태상 갑진년에 장릉참봉(莊陵參奉)을 하였고, 병오년에 승훈랑(承訓郞)에 올랐다.
○ 최영옥(崔永玉) : 탐진인이다. 계은(溪隱) 상의(尙嶷)의 5세손이고, 장한(璋翰)의 아들이다. 태상 정해년에 장사랑(將仕郞) 강릉참봉(康陵參奉)을 하였다.
○ 오병남(吳秉南) : 동복인이다. 호는 경암(敬庵)이고, 증(贈) 호판(戶判) 재흥(在興)의 손자이고, 의관 계엽(啓曄)의 아들이다. 태상 정미년에 분추의참봉에 부임하였다.
○ 박태일(朴泰一) : 진원인(珍原人)이다. 진사 우석(祐錫)의 7세손이다. 태상 갑신년에 통정을 하였다.
○ 반행선(潘行宣) : 남평인(南平人)이다. 통정 희준(喜準)의 아들이다. 태상 임진년에 부호군 겸 오위장을 하였다.
○ 신동규(申凍圭) : 평산인이다. 장절공(壯節公) 숭겸(崇謙)의 후손이고, 참봉 태형(泰亨)의 아들이다. 태상 갑진년에 전화과주사(電話課主事)를 하였다.
○ 김봉순(金鳳順) : 김해인이다. 탁영(濯纓) 일손(馹孫)의 후손이고, 진우(鎭遇)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충훈부도사를 하였다.
○ 박일원(朴日源) : 죽산인(竹山人)이다. 문강공(文康公) 원(遠)의 후손이고, 승지 진규(鎭奎)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의릉참봉(義陵參奉)을 하였다.
○ 엄경섭(嚴慶燮) : 영월인(寧越人)이다. 도사(都事) 내영(鼐永)의 손자이고, 주명(柱明)의 아들이다. 태상 경자년에 영릉참봉(英陵參奉)을 하였다.
○ 이희로(李禧老) : 전주인이다. 공신 벽(堛)의 10세손이고, 통훈 인백(仁白)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순릉참봉(順陵參奉)을 하였다.
○ 오진묵(吳晉黙) : 해주인이다. 호는 수정(守靜)이고, 해주군(海州君) 현보(賢輔)의 후손이고, 통정 학순(鶴淳)의 아들이다. 태상 기유년에 훈도(訓導)를 하였다.
○ 김봉도(金鳳道) : 김해인이다. 탁영(濯纓) 일손(馹孫)의 후손이고, 증(贈) 승지(承旨) 환우(煥愚)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가선 공조참의 겸 동중추부사를 하였다.
○ 김봉련(金鳳聯) : 김해인이다. 증(贈) 승지(承旨) 환우(煥愚)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가선을 하였다.
○ 김기현(金淇鉉) : 김해인이다. 축은(築隱) 방려(方礪)의 후손이고, 문환(文煥)의 아들이다. 태상 계묘년에 통정을 하였다.
○ 주인수(朱寅洙) : 신안인이다. 진사(進士) 엽(曄)의 후손이고, 진원(鎭元)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기로사 통정을 하였다.
○ 류인하(柳寅夏) : 서산인(瑞山人)이다. 충의공(忠毅公) 휘진(彙進)의 후손이고, 가선 의석(義錫)의 아들이다. 융희(隆熙) 무신년에 성균관사업(成均館司業)을 하였다.
○ 이용선(李用善) : 전주인이다. 처사(處士) 재춘(再春)의 현손이고, 정갑(正甲)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통정을 하였다.
○ 김계택(金啓澤) : 김해인이다. 증(贈) 참판(參判) 순신(舜臣)의 5세손이고, 동중추 종열(宗烈)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건릉참봉을 하였다.
○ 오헌창(吳憲昌) : 동복인이다. 호는 우석(愚石)이고, 현감(縣監) 계련(啓鍊)의 아들이다. 태상 경자년에 행군부주사(行軍部主事)를 하였고, 동년에 면직하였다. 계묘년에 중추원의관에 올랐다.
○ 홍종건(洪鍾建) : 남양인이다. 집의(執義) 연(演)의 후손이고, 참봉 재성(在聖)의 아들이다. 태상 갑진년에 참봉을 하였다.
○ 박태규(朴台圭) : 밀양인이다. 호는 은곡(隱谷)이고, 문경공(文景公) 충원(忠元)의 후손이고, 양심(養心) 병갑(炳甲)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가선을 하였다. 효행편에 있다.
○ 이강식(李康植) : 전주인이다. 호는 검암(檢巖)이고,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후손이고, 통정 기홍(起洪)의 아들이다. 태상 병신년에 승지(承旨)를 하였다.
○ 이강순(李康順) : 전주인이다. 호는 학송(學松)이고,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후손이고, 승지 기현(起鉉)의 아들이다. 태상 병신년에 승지를 하였다.
□ 수직(壽職)
○ 정시탄(程時坦) : 한산인(韓山人)이다. 진사(進士) 홍복(弘福)의 5세손이고, 참봉(參奉) 경립(敬立)의 아들이다. 효묘조에 첨중추부사(僉中樞府事)에 제수(除授)되었다.
○ 정임형(鄭林亨) : 경주인이다. 계림군(雞林君) 지년(知年)의 9세손이고, 지진(之振)의 아들이다. 현묘 을해년에 가선(嘉善) 동지(同知)에 제수되었다.
○ 박자효(朴自孝) : 밀양인이다. 문경공(文景公) 충원(忠元)의 현손이고, 군수(郡守) 승진(承晉)의 아들이다. 현묘 임자년에 가선 동추(同樞)에 제수되었다.
○ 정수규(丁壽奎) : 창원인이다. 판결사(判決事) 인례(仁禮)의 10세손이고, 래설(人+賚說)의 아들이다. 경종조에 용양위부호군(龍讓衛副護軍)에 제수되었다.
○ 이채(李埰) : 적성인(積城人)이다. 처사(處士) 도(䆃)의 증손이고, 증(贈) 참의(參議) 인상(仁相)의 아들이다. 경묘 갑진년에 학행(學行)으로 피천되어 군자감정(軍資監正)에 제수되었다.
○ 정남일(丁南一) : 창원인이다. 호는 모헌(慕軒)이고, 창랑(滄浪) 암수(巖壽)의 현손이고, 호(琥)의 아들이다. 영묘 정사년에 첨중추부사(僉中樞府事)에 제수되었다.
○ 서해인(徐海仁) : 대구인(大邱人)이다. 약봉(藥峯) 성(渻)의 7세손이고, 두남(斗南)의 아들이다. 숙종 을미년에 통정(通政)에 제수되었다.
○ 정언채(丁彦采) : 창원인이다. 진사(進士) 암수(巖壽)의 5세손이고, 첨중추(僉中樞) 남일(南一)의 아들이다. 정묘 경술년에 가의(嘉義) 동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 조이관(曺爾觀)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6세손이고, 한웅(漢雄)의 아들이다. 숙종 을묘년에 첨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 박관(朴慣) : 함양인(咸陽人)이다. 청백리(淸白吏) 수지(遂智)의 7세손이고, 호참(戶參) 상례(尙禮)의 아들이다. 영묘 병신년에 가선 동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 정이규(丁以規) : 창원인이다. 호는 학암(鶴庵)이고, 창랑(滄浪) 암수(巖壽)의 6세손이고, 운빈(運彬)의 아들이다. 효우(孝友)와 문행(文行)으로 향리에서 흠모(欽慕)하였다. 영묘 기유년에 동중추(同中樞) 겸(兼) 오위장(五衛將)에 제수되었다.
○ 조이흡(曺爾潝)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6세손이고, 윤(潤)의 아들이다. 숙묘 임오년에 동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 박동찬(朴東燦) : 함양인이다. 호는 농와(農窩)이고, 응천군(凝川君) 신유(臣㽔)의 후손이고, 치서(致瑞)의 아들이다. 영묘조에 수직(壽職)으로 통정 좌승지(左承旨)에 제수되었다.
○ 조홍신(曺弘信)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8세손이고, 하덕(夏德)의 아들이다. 숙묘조에 통정 첨중추에 제수되었다.
○ 정이영(鄭履榮) : 한산인(韓山人)이다. 증(贈) 병참(兵參) 득운(得雲)의 현손이고, 참의 도상(道尙)의 아들이다. 영묘 갑오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노덕귀(盧德龜) : 교하인(交河人)이다. 창성군(昌城君) 정(禎)의 후손이고, 성망(聖望)의 아들이다. 영묘 을미년에 통정 용양위부호군에 제수되었다.
○ 박재화(朴載華) : 밀양인이다. 동지(同知) 자효(自孝)의 6세손이고, 동환(東煥)의 아들이다. 영묘 기미년에 통정 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 김윤조(金潤祚) : 김해인이다. 증(贈) 참판(參判) 순신(舜臣)의 증손이고, 통덕랑(通德郞) 백옥(伯玉)의 아들이다.헌종 계묘년에 수직으로 통정에 제수되었다.
○ 박의호(朴義浩) : 함양인이다. 호는 구헌(舊軒)이고, 응천군(凝川君) 신유(臣㽔)의 후손이고, 진방(鎭邦)의 아들이다. 영묘조에 동중추에 제수되었다.
○ 서한우(徐漢遇) : 대구인이다. 약봉(藥峯) 성(渻)의 8세손이고, 해인(海仁)의 아들이다. 영종 무진년에 가선 부호군에 제수되었다.
○ 이치선(李致善) : 전주인이다. 양령대군(讓寧大君) 제(禔)의 후손이고, 동지 규억(奎億)의 아들이다. 영묘 계축년에 가선에 제수되었다.
○ 이덕건(李德健) : 전주인이다.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 축(軸)의 8세손이고, 자의(資義) 난보(蘭寶)의 아들이다. 영종 때에 충의위(忠義衛) 가의(嘉義) 부호군(副護軍)에 제수되었다.
○ 오필성(吳弼成) : 동복인이다. 문헌공(文獻公) 대승(大陞)의 후손이고, 덕효(德孝)의 아들이다. 성격은 넓으며 남을 사랑하고 베풀기를 좋아하였다. 약간의 토지를 두어 족척(族戚)이나 향리의 빈한자로 하여금 출산, 교육과 혼례와 장례의 비용으로 자급하게 하였다. 가선 호군에 제수되었다.
○ 오계운(吳啓運) : 동복인이다. 호는 과묵(寡黙)이고, 문헌공(文獻公) 대승(大陞)의 후손이고, 필성(弼成)의 아들이다. 효우(孝友)가 돈독하여 형제 3명이 늙어서도 같은 집에 살았고, 이간하는 말을 하지 않았다. 세칭 지금도 공예(公藝)라 하였다. 가선(嘉善) 호군(護軍)에 제수되었다.
○ 김기현(金璣鉉) : 광주인이다. 농재(瓏齋) 곤변(鯤變)의 8세손이고, 윤겸(潤謙)의 아들이다. 태상 가선(嘉善) 겸(兼) 오위장(五衛將)에 제수되었다.
○ 김홍규(金洪奎) : 광주인이다. 생원(生員) 윤충(允忠)의 9세손이고, 준순(俊純)의 아들이다. 태상 을해년에 부호군(副護軍)에 제수되었다.
○ 신재환(申在煥) : 평산인(平山人)이다. 장절공(壯節公) 숭겸(崇謙)의 후손이고, 광윤(光潤)의 아들이다. 태상 을유년에 가선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제수되었다.
○ 박종호(朴宗浩) : 함양인이다. 호는 만각재(晩覺齋)이고, 응천군(凝川君) 유신(㽔臣)의 후손이고, 증(贈) 호참(戶參) 진복(鎭復)의 아들이다. 태상 갑술년에 이참(吏參)에 제수되었다.
○ 최영필(崔榮弼) : 초계인(草溪人)이다. 신재(新齋) 산두(山斗)의 후손이고, 복만(福萬)의 아들이다. 태상 갑자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조석구(曺錫玖)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10세손이고, 인주(寅周)의 아들이다. 부모 섬기기를 효를 다하여 동생 석순(錫淳)과 함께 공동으로 곁에서 받들고 봉양하였다. 사람들이 효우(孝友)를 칭송하였다. 태상 임인년에 기로사(耆老社) 통정(通政)에 제수되었다.
○ 이상엽(李尙燁) : 함평인(咸平人)이다. 기성군(箕城君) 긍(兢)의 10세손이고, 민춘(敏春)의 아들이다. 태상 정해년에 가선(嘉善) 동중추(同中樞) 겸(兼) 오위장(五衛將)에 제수되었다.
○ 김병현(金秉鉉) : 광주인이다. 농재(瓏齋) 곤변(鯤變)의 7세손이고, 치구(致龜)의 아들이다. 태상 계묘년에 기로사(耆老社) 통정(通政)에 제수되었다.
○ 조병갑(曺秉甲) : 창령인이다. 호는 신묵당(愼黙堂)이고, 직제학(直提學) 유도(由道)의 후손이고, 희원(禧源)의 아들이다. 가정을 다스리고, 종중을 돈독히 하니 향리에 감탄과 흠모를 하였다. 태상 임인년에 기로사 통정에 제수되었다
○ 오채영(吳采泳) : 동복인이다. 우참찬(右參贊) 억영(億齡)의 9세손이고, 일진(一鎭)의 아들이다. 태상 신사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정한유(鄭漢宥) : 진주인이다. 호는 호종당(好種堂)이고, 충장공(忠莊公) 분(苯)의 후손이고, 석원(錫源)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기로,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에 제수되었다.
○ 임노규(林魯奎) : 평택인(平澤人)이다. 관해(觀海) 회(檜)의 후손이고, 찬우(贊祐)의 아들이다. 태상 계묘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홍명섭(洪蓂燮) : 남양인이다. 남양군(南陽君) 주(澍)의 후손이고, 재모(載模)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기로사 통정에 제수되었다.
○ 최용한(崔龍翰) : 탐진인이다. 석촌(石村) 근(瑾)의 후손이고, 증(贈) 참판(參判) 홍엽(弘曄)의 아들이다. 태상 경오년에 가선 동중추부사(同中樞府事)에 제수되었다.
○ 박종화(朴宗華) : 함양인이다. 청백리(淸白吏) 수지(遂智)의 후손이고, 치상(致祥)의 아들이다. 헌묘에 통정 부호군(副護軍)에 올랐다.
○ 이규회(李圭會) : 전주인이다. 양도공(襄度公) 천우(天祐)의 후손이고, 문항(文恒)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기로사 통정에 제수되었다.
○ 최두경(崔斗卿) : 전주인이다. 효자 명남(命男)의 7세손이고, 광악(光岳)의 아들이다. 헌묘 무신년에 가선에 제수되었다.
○ 오유권(吳裕權) : 동복인이다. 증(贈) 좌승지(左承旨) 한필(漢弼)의 5세손이고, 종호(宗浩)의 아들이다. 철종 기미년에 참봉(參奉)에 제수되었고, 경신년에 통훈(通訓) 행사헌부감찰(行司憲府監察)에 제수되었다.
○ 김영규(金榮奎) : 김해인이다. 문충공(文忠公) 진서(震敍)의 후손이고, 증(贈) 호참(戶參) 시량(時良)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올랐다.
○ 방환종(房煥鍾) : 남양인이다. 직제학(直提學) 사량(士良)의 후손이고, 일주(日周)의 아들이다. 태상 정해년에 가선(嘉善) 오위장(五衛將)에 제수되었다.
○ 김홍선(金洪善) : 광주인이다. 참판(參判) 문손(文孫)의 후손이고, 의현(義鉉)의 아들이다. 태상 경오년에 통정 오위장에 제수되었다.
○ 박명수(朴明秀) : 밀양인이다. 낙촌(駱村) 충원(忠元)의 후손이고, 가선(嘉善) 준화(準和)의 아들이다. 태상 기축년에 통정에 제수되었고, 동년에 부호군에 제수되었다.
○ 최봉열(崔鳳悅) : 초계인(草溪人)이다. 호는 학성(鶴城)이고, 신재(新齋) 산두(山斗)의 후손이다. 태상 계사년에 통정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제수되었다.
○ 최봉한(崔鳳翰) : 탐진인이다. 석촌(石村) 근(瑾)의 후손이고, 참판 홍엽(弘曄)의 아들이다. 태상 정해년에 가선 동중추 겸 오위장에 제수되었다.
○ 나필현(羅必玄) : 금성인이다. 문절공(文節公) 인송(仁松)의 후손이고, 찬옥(纘玉)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임흥상(任興常) : 장흥인이다. 이계(怡溪) 희(喜)의 후손이고, 증(贈) 호참(戶參) 청지(晴知)의 아들이다. 헌종 무신년에 통정 겸 동지(同知)에 제수되었다.
○ 정세익(鄭世益) : 경주인이다. 문헌공(文獻公) 종철(宗哲)의 후손이고, 치동(致棟)의 아들이다. 헌종 무술년에 숭정(崇政) 동중추(同中樞)에 제수되었다.
○ 박옥규(朴玉奎) : 죽산인(竹山人)이다. 문정공(文正公) 원정(元貞)의 후손이고, 참찬(參贊) 인식(仁植)의 아들이다. 태상 임오년에 통정 부호군에 제수되었다.
○ 박진모(朴鎭模) : 죽산인이다. 죽성군(竹城君) 영충(永忠)의 후손이고, 환규(煥奎)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강영두(姜永斗) : 진주인이다. 문량공(文良公) 희맹(希孟)의 후손이고, 서회(瑞會)의 아들이다. 영광(靈光)에서부터 시작하여 동복에 옮겨와 살았다. 태상 임인년에 기로사 통정에 제수되었다.
○ 박휴수(朴烋秀) : 밀양인이다. 낙촌(駱村) 충원(忠元)의 후손이고, 가선 준항(準恒)의 아들이다. 태상 계묘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변창용(邊昌容) : 진주인이다. 참판 이중(以中)의 9세손이고, 상대(相大)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기로사 통정에 제수되었다.
○ 임노준(林魯俊) : 평택인(平澤人)이다. 관해(觀海) 회(檜)의 후손이고, 체기(替杞)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안필중(安苾重) : 광주인(廣州人)이다. 사간공(思簡公) 성(省)의 후손이고, 방옥(邦玉)의 아들이다. 태상 계묘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김홍건(金洪鍵) : 광주인(光州人)이다. 농재(瓏齋) 곤변(鯤變)의 9세손이고, 귀현(貴鉉)의 아들이다. 태상조(高宗朝)에 통정 중추원의관에 제수되었다.
○ 오재돈(吳載敦) : 동북인이다. 호는 신와(愼窩)이고, 충신 죽령(竹齡)의 후손이고, 증(贈) 호참(戶參) 창진(昌晉)의 아들이다. 풍채가 수려하고 말수가 적으며 통철하며 미려하고 착하였다. 태상 임인년에 관직이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이르렀다.
○ 최학수(崔鶴洙) : 초계인이다. 봉열(鳳悅)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통정 겸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제수되었다.
○ 김재봉(金載鳳) : 천안인(天安人)이다. 호는 송은(松隱)이고, 현령(縣令) 찬(贊)의 후손이고, 사복시정(司僕寺正) 치수의 아들이다. 태상 정유년에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에 제수되었다.
○ 박의섭(朴儀燮) : 밀양인이다. 도평의사(都評議事) 언상(彦祥)의 후손이고, 효자 임형(林亨)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가선 동중추부사 겸 오위장에 제수되었다.
○ 장두현(張斗鉉) : 흥덕인(興德人)이다. 현감(縣監) 윤신(允信)의 후손이고, 달룡(達龍)의 아들이다. 태상 임오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서문표(徐文杓) : 이천인(利川人)이다. 선무랑(宣務郞) 정수(貞壽)의 후손이고, 증(贈) 가선(嘉善) 연우(年祐)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수직(壽職)으로 가선 동중추 겸 오위장에 제수되었다.
○ 박혁량(朴爀亮) : 밀양인이다. 문헌공(文獻公) 연(堧)의 후손이고, 형휴(馨休)의 아들이다. 태상 기축년에 돈령도정에 제수되었다.
○ 김용현(金龍鉉) : 광산인이다. 문정공(文正公) 태현(台鉉)의 후손이고, 현진(玹振)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기로사 통정에 제수되었다.
○ 김창식(金昌植) : 광주인이다. 생원(生員) 윤충(允忠)의 10세손이고, 홍규(洪奎)의 아들이다. 태상 경자년에 통정에 올랐다.
○ 이한수(李漢秀) : 전주인이다. 양령대군(讓寧大君) 제(禔)의 후손이고, 통정 승인(承寅)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기로사 통정에 제수되었다.
○ 박진홍(朴鎭弘) : 죽산인이다. 문강공(文康公) 원(遠)의 후손이고, 의금부사 재규(在奎)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통정 좌부승지에 제수되었다.
○ 김치업(金致業) : 분성인(盆城人)이다. 호는 청계(淸溪)이고, 정랑(正郞) 선(善)의 9세손이고, 홍문(洪文)의 아들이다. 품성이 강직하고 곧으며, 타고난 기품은 너그럽고 어질다. 동비난(東匪亂)에 공은 방어장(防禦將)이 되어 많은 계책을 써서 물리쳤다. 태상 계묘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이기현(李起炫) : 전주인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후손이고, 통정 정룡(政龍)의 아들이다. 태상 기축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방명원(房明源) : 남양인이다. 호는 일헌(逸軒)이고, 직제학(直提學) 사량(士良)의 후손이고, 호판(戶判) 석규(碩圭)의 아들이다. 천성이 인자하고 강직하여 향당(鄕黨)에서 칭송, 감복하였다. 태상 임인년에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 겸 이조참의에 제수되었다.
○ 이기홍(李起洪) : 전주인이다. 효령대군 보의 후손이고, 통정 정룡의 아들이다. 태상 기축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박병갑(朴炳甲) : 밀양인이다. 호는 양심당(養心堂)이고, 문경공(文景公) 충원(忠元)의 후손이고, 치옹(致翁) 호래(浩來)의 아들이다. 태상 신사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정시모(丁時模) : 창원인이다. 교관(敎官) 치업(致業)의 5세손이고, 남회(南繪)의 아들이다. 태상 계묘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양재순(梁在純) : 제주인이다. 진사(進士) 달명(達溟)의 증손이고, 희관(禧觀)의 아들이다. 태상 계묘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박중근(朴仲根) : 밀양인이다. 고직당(孤直堂) 영철(英喆)의 9세손이고, 해신(海信)의 아들이다. 태상 경인년에 동주추에 제수되었다.
○ 박성근(朴成根) : 밀양인이다. 고직당(孤直堂) 영철(英喆)의 9세손이고, 증(贈) 호참(戶參) 해윤(海潤)의 아들이다. 성질(性質)이 순수(純粹)하고 효행(孝行)에 남보다 뛰어났다. 태상 임진년에 가선 동중추 겸 오위장에 제수되었다.
○ 김재만(金在萬) : 천안인이다. 목사(牧使) 수견(壽堅)의 후손이고, 증(贈) 호참 이갑(李甲)의 아들이다. 하늘의 근본인 효를 정성을 다하여 섬기어 병이 나자 다리를 잘라 봉양하였다. 태상 갑신년에 수직으로 가선 동중추 겸 오위장에 제수되었다.
○ 김용희(金龍喜) : 광주인(廣州人)이다. 충의공(忠毅公) 문기(文起)의 후손이고, 치권(致權)의 아들이다. 태상 계묘년에 통정에 제수되었다.
○ 나종권(羅鍾權) : 금성인이다. 희정공(僖政公) 세찬(世纘)의 후손이고, 가선(嘉善) 범신(範臣)의 아들이다. 태상 갑오년에 가선 참판을 제수되었다.
○ 김진구(金鎭九) : 김해인이다. 부사 익휘(益輝)의 6세곤이고, 증(贈) 찬성(贊成) 영규(榮奎)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숭록(崇祿) 이판(吏判)에 올랐다.
○ 김병준(金炳俊) : 광주인이다. 진사 윤충(允忠)의 후손이고, 도사(都事) 광식(光植)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부호군(副護軍) 중추(中樞) 겸(兼) 오위장(五衛將)에 제수되었다.
○ 강효열(姜孝烈) : 진주인이다. 문경공(文景公) 맹경(孟卿)의 후손이고, 의서(義瑞)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기사(耆社), 통정(通政)이 제수되었다.
□ 증직(贈職)
○ 김대항(金大恒) : 광주인이다. 진사 윤충(允忠)의 손자이고, 현령(玄齡)의 아들이다. 가선, 중추, 동지가 추증(追贈)되었다.
○ 조굉립(曺宏立)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현손이고, 참봉 진남(震男) 아들이다. 인묘에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조윤(曺潤) : 창령인이다. 굉립(宏立)의 아들이다. 효묘에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조이태(曺爾泰) : 창령인이다. 호참(戶參) 윤(潤)의 아들이다. 숙묘에 한성부좌윤에 추증되었다.
○ 김이수(金履粹) : 광산인이다. 만덕(晩德) 대기(大器)의 증손이고, 성달(聲達)의 아들이다. 병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조창좌(曺昌佐)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7세손이고, 한성좌윤 이태(爾泰)의 아들이다. 숙묘 갑자년에 숭록에 추증되었다.
○ 김수명(金守命) : 광산인이다. 서석(瑞石) 언욱(彦勗)의 현손이고, 봉사(奉事) 필명(弼明)의 아들이다. 숙종 임술년에 통정에 추증되었다.
○ 정도상(程道尙) : 한산인(漢山人)이다. 건천(巾川) 광(廣)의 후손이고, 시탄(時坦)의 아들이다. 영묘 갑오년에 이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정계묵(丁啓黙) : 창원인이다. 진사 암수(巖壽)의 7세손이고, 이기(以基)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동몽교관(童蒙敎官), 조봉대부(朝奉大父)에 추증되었다.
○ 서적순(徐績淳) : 대구인이다. 약봉(藥峯) 성(渻)의 9세손이고, 한우(漢遇)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가선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민상동(閔相東) : 여흥인이다. 호는 사월헌(沙月軒)이고, 집의(執義) 회참(懷參)의 9세손이고, 사복시정(司僕寺正) 제익(濟益)의 아들이다. 문장(文章)과 경학(經學)이 세상에 뛰어나서 추앙하여 준중히 여기었다. 태상 기사년에 학행교관(學行敎官),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되었다.
○ 정달천(程達川) : 한산인이다. 참의(參議) 도상(道尙)의 손자이고, 이언(履彦)의 아들이다. 태상 무자년에 사복시정에 추증되었다.
○ 조창빈(趙昌彬) : 한양인이다. 증(贈) 참판(參判) 성언(聖彦)의 손자이고, 사복시정 태상(泰祥)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손자인 상철(相澈)이 증(贈)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 참찬관(參贊官)의 지위에 올랐다.
○ 정덕규(丁德奎) : 창원인이다. 교관 계묵(啓黙)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통정에 추증되었다.
○ 조영주(曺榮周) : 창령인이다. 교관 여충(汝忠)의 8세손이고, 홍적(弘績)의 아들이다. 정묘 신축년에 사복시정에 추증되었다.
○ 김두옥(金斗玉) : 김해인이다. 참판 순신(舜臣)의 손자이고, 좌윤(左尹) 덕선(德善)의 아들이다. 정묘 기미년에 통정에 추증되었다.
○ 조성현(曺成鉉)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후손이고, 영주(榮周)의 아들이다. 정묘 병오년에 통정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 조인원(曺仁源)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후손이고, 성현(成鉉)의 아들이다. 순묘 갑자년에 의금부도사에 추증되었다.
○ 박창옥(朴昌鈺) : 밀양인이다. 공간공(恭簡公) 건(楗)의 후손이고, 상채(相采)의 아들이다. 태상 무인년에 교관에 추증되었고, 계사년에 지평에 추증되었다.
○ 서상조(徐相祚) : 대구인이다. 약봉(藥峯) 성(渻)의 10세손이고, 적순(績淳)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통정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 이광문(李光文) : 전주인이다. 익양군(益陽君) 회(懷)의 후손이고, 동남(東楠)의 아들이다. 헌묘 경오년에 가선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정남훈(丁南勳) : 창원인이다. 호는 귀헌(龜軒)이고, 교관 치업(致業)의 현손이고, 영탁(榮卓)의 아들이다. 태상 경자년에 가선 이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조상철(趙相澈) : 한양인이다. 참찬(參贊) 창빈(昌彬)의 손자이고, 동지(同知) 명록(明祿)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가선 호조참의, 동중추에 추증되었다.
○ 조석권(曺錫權) : 창령인이다. 운곡(雲谷) 호(浩)의 후손이고, 후주(後周)의 아들이다. 철묘에 이참(吏參)에 추증되었다
○ 김재해(金在海) : 김해인이다. 군수 영숙(永淑)의 후손이고, 통정 태흥(兌興)의 아들이다. 태상 임진년에 가선 한성부좌윤에 추증되었다.
○ 김기진(金驥鎭) : 김해인이고, 절효공(節孝公) 극일(克一)의 후손이고, 재목(在睦)의 아들이다.철종 기미년에 가선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정익하(鄭益廈) : 한산인이다. 사복시정 달천(達川)의 아들이다. 태상 무자년에 공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정신재(鄭信載) : 경주인이다. 문헌공(文獻公) 종철(宗哲)의 후손이고, 동지 세익(世益)의 아들이다. 헌묘 을사년에 가선 공조참판에 추증되었다.
○ 정환복(鄭煥福) : 경주인이다. 동지 임형(林亨)의 6세손이고, 상훈(相薰)의 아들이다. 헌묘 신축년에 가선 호참에 추증되었다.
○ 김의진(金懿鎭) : 김해인이다. 절효공(節孝公) 극일(克一)의 후손이고, 재록(在祿)의 아들이다. 철종 기미년에 가선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박성록(朴成祿) : 밀양인이다. 호는 운암(雲岩)이고, 교관 동신(東信)의 아들이다. 순묘 계해년에 가선 부호군에 추증되었다.
○ 나범신(羅範臣) : 금성인이다. 희민공(僖敏公) 세찬(世纘)의 후손이고, 증(贈) 찬성(贊成) 원문(元文)의 아들이다. 태상 갑오년에 가선에 추증되었다.
○ 송재권(宋在權) : 홍주인이다. 진사 숙(驌)의 후손이고, 증(贈) 참판 기묵(基黙)의 아들이다. 태상 임진년에 부호군에 추증되었다.
○ 김장욱(金章旭) : 김해인이다. 부사 세상(世祥)의 후손이고, 증(贈) 숭정(崇政) 영찬(永燦)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형조참의(刑曹參議)에 추증되었다.
○ 정남필(丁南匹) : 창원인이다. 진사 암수(巖壽)의 9세손이고, 덕규(德奎)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통정 부호군에 추증되었다.
○ 조병진(曺秉晉) : 창령인이다. 호는 선하(仙霞)이고, 직제공(直提公) 유도(由道)의 후손이고, 관승(觀承)의 아들이다. 문장과 행의가 세상에 뛰어났다. 태상 을유년에 가선에 추증되었다.
○ 정익로(鄭翼魯) : 경주인이다. 동지 세익(世益)의 손자이고, 가선 신재(信載)의 아들이다. 태상 을유년에 통정 공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박규엽(朴奎曄) : 밀양인이다. 공간공(恭簡公) 건(楗)의 후손이고, 증(贈) 부응교(副應校) 기일(基一)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 허정(許楨) : 태인인이다. 중랑장(中郞將) 경(慶)의 후손이고, 사복시정 선(禪)의 아들이다. 태상 을유년에 승지에 추증되었다.
○ 정종성(鄭琮聖) : 경주인이다. 동지 임형(林亨)의 9세손이고, 지혁(之赫? 판독불가)의 아들이다. 태상 갑신년에 선원각참봉(璿源閣參奉)에 추증되었다.
○ 이덕기(李德基) : 양성인(陽城人)이다. 감사(監司) 백량(伯良)의 후손이고, 이참 병훈(炳勳)의 아들이다. 태상 임오년에 이참에 추증되었다.
○ 신성모(申成模) : 고령인(高靈人)이다. 귀래공(歸來公) 말주(末舟)의 후손이고, 서록(瑞祿)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가선 호참에 추증되었다.
○ 서정현(徐廷賢) : 대구인이다. 약봉(藥峯) 성(渻)의 후손이고, 효자 병욱(丙昱)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통정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 이인백(李仁白) : 전주인이다. 양도공(襄度公) 천우(天祐)의 후손이고, 문태(文台)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의금부도사에 추증되었다.
○ 한규문(韓圭文) : 청주인이다. 시직(侍直) 응록(應祿)의 7세손이고, 증(贈) 승지(承旨) 용운(容雲)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가선 호참에 추증되었다.
□ 추영(追榮)
○ 김세보(金世寶) : 광산인이다. 문숙공(文肅公) 주정(周鼎)의 후손이고, 사복시정(司僕寺正) 희곤(熙袞)의 아들이다. 정묘 병오년에 손자(孫子) 용언(龍彦)으로 참의(參議)의 자리에 올랐다.
○ 김시화(金時華) : 광주인이다. 농재(瓏齋) 곤변(鯤變)의 5세손이고, 상의(尙毅)의 아들이다. 태상 정해년에 증손(曾孫) 수현(壽鉉)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사복시정(司僕寺正)의 자리에 올랐다.
○ 정계룡(丁啓龍) : 창원인이다. 진사 암수(巖壽)의 7세손이고, 이기(以基)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증손 진구(鎭九)로 사복시정의 자리에 올랐다.
○ 김이홍(金履洪) : 광산인이다. 증(贈) 참의(參議) 세보(世寶)의 아들이다. 정묘 병오년에 아들(子) 용언(龍彦)으로 공조참판(工曹參判)의 자리에 올랐다.
○ 정학충(鄭學忠) : 진주인이다. 충장공(忠莊公) 분(苯)의 후손이고, 통덕랑(通德郞) 동우(東羽)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증손 한유(漢宥)으로 장악원장례(掌樂院掌禮)의 자리에 올랐다.
○ 최종일(崔宗一) : 탐진인(耽津人)이다. 석촌(石村) 근(瑾)의 후손이고, 상의(尙嶷)의 아들이다. 태상 계미년에 증손 봉한(鳳翰)으로 사복시정의 자리에 올랐다.
○ 임익원(任益源) : 장흥인(長興人)이다. 이계(怡溪) 희(喜)의 후손이다. 정묘 무신년에 증손 흥상(興常)으로 사복시정의 자리에 올랐다.
○ 최석량(崔錫良) : 탐진인이다. 사복시정 종일(宗一)의 아들이다. 태상 계미년에 손자 봉한(鳳翰)으로 참찬관(參贊官)의 자리에 올랐다.
○ 임권재(任權材) : 장흥인이다. 사복시정 익원(益源)의 아들이다. 정묘 무신년에 손자 흥상(興常)으로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의 자리에 올랐다.
○ 정재문(鄭載文) : 진주인이다. 장례(掌禮) 학충(學忠)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손자 한유(漢宥)로 비서승(秘書丞)의 자리에 올랐다.
○ 정영규(丁榮奎) : 창원인이다. 사복시정 계룡(啓龍)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손자 진구(鎭九)로 통정(通政) 경연참찬관의 자리에 올랐다.
○ 김만욱(金萬郁) : 광주인이다. 농재(瓏齋) 곤변(鯤變)의 6세손이고, 사복시정 시화(時華)의 아들이다. 태상 정해년에 손자 수현(壽鉉)으로 통정 좌승지의 자리에 올랐다.
○ 정석원(鄭錫源) : 진주인이다. 비서승 재문(載文)의 아들이다. 태상 임인년에 아들 한유(漢宥)로 가선(嘉善) 탁지협판(度支恊判)의 자리에 올랐다.
○ 정남홍(丁南弘) : 창원인이다. 승지 영규(榮奎)의 아들이다. 태상 계사년에 아들 진구(鎭九)로 가선 호참, 동중추, 의금부사의 자리에 올랐다.
○ 최홍엽(崔弘曄) : 탐진인이다. 참찬 석량(錫良)의 아들이다. 태상 계미년에 아들 봉한(鳳翰)으로 가선 동지의 자리에 올랐다.
○ 류휘주(柳輝宙) : 서산인(瑞山人)이다. 참판 휘진(彙進)의 후손이고, 지호(之皓)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증손 의석(義錫)으로 사복시정의 자리에 올랐다.
○ 임청지(任晴知) : 장흥인이다. 이계(怡溪) 희(喜)의 후손이고, 승지 권재(權材)의 아들이다. 정묘 무신년에 아들 흥상(興常)으로 가선 의금부사의 자리에 올랐다.
○ 류광엽(柳匡燁) : 서산인이다. 사복시정 휘주(輝宙)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손자 의석(義錫)으로 좌승지, 참찬의 자리에 올랐다.
○ 류재록(柳在錄) : 서산인이다. 참판 휘진(彙進)의 후손이고, 참찬 광엽(匡燁)의 아들이다. 태상 신묘년에 아들 의석(義錫)으로 가선 의금부사의 자리에 올랐다.
동복지간소유사(同福誌刊所有司) 송긍면(宋兢勉)
정규(丁逵)
하홍(河泓)
김태식(金泰植)
조정환(曺廷煥)
정상길(鄭相吉)
조필승(曺弼承)
오연태(吳然台)
오재영(吳在永)
하은수(河殷秀)
고용상(高庸相)
이동섭(李東燮)
조종환(曺種煥
김정수(金正洙)
정서(正書) 하응락(河應洛)
정병현(丁炳現)
정안식(鄭安植)
조태환(曺泰煥)
나대운(羅大運)
송완면(宋完勉)
오연묵(吳然黙)
오병남(吳秉南)
정병섭(丁秉燮)
최원술(崔原述)
수단유사(收單有司) 김병수(金炳秀)
송국진(宋國鎭)
이강석(李康錫)
1) 원문의 ‘公築勿染亭 因爲號’ 부분의 인쇄가 잘못되어 公字의 위치가 바뀌었다. 즉, 교정이 잘못된 목판 인쇄로 인한 오류이며 바로 잡으면 다음과 같다.
洪州人 號勿染 別侍衛枰曾孫 縣監駒子 中廟中司馬 明廟戊午登科 官至典籍 侍講院 輔德 行郡守 公之父宰同福時 築勿染亭 因爲公號 當乙巳士禍 退休于此 仍傳亭于外 孫羅茂松 享祀于潭陽龜山祠
2) 1613년(광해군 5)에 사색당파(四色黨派) 중의 하나인 대북파(大北派)는 큰 옥사를 일으켰다. 1608년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즉위하자, 정인홍(鄭仁弘)․이이첨(李爾瞻) 등 대북파는 선조의 적자(嫡子)이며 광해군의 이복동생인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왕으로 옹립하고 반역을 도모하였다는 구실로 소북파(小北派)의 우두머리이며 당시의 영의정인 유영경(柳永慶)을 사사(賜死)하는 등 소북파를 모조리 몰아내었다.
대북파에서는 계속하여 선조의 계비(繼妃)이며 영창대군의 생모인 인목대비 (仁穆大妃)와 그의 친정아버지 김제남(金悌男)을 몰아낼 궁리를 하고 있었는 데, 때마침 조령(鳥嶺)에서 은상인(銀商人)을 죽인 이른바 박응서(朴應犀)의 옥사가 일어났다. 박응서․서양갑(徐羊甲)․심우영(沈友英) 등은 모두 조정 고관의 서얼들로서 출세의 길이 막힌 데 불평을 품고 온갖 악행을 자행하다 가 그 사건을 일으킨 것이다. 대북파는 이들을 문초할 때 김제남과 반역을 도모하였다고 허위 자백케 하여 김제남을 죽였고, 영창대군을 서인(庶人)으로 만들어 강화도에 유배하였는데, 후에 강화부사(江華府使) 정항(鄭沆)으로 하여금 그를 소사(燒死)하게 하였다. 이 사건이 계축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축화옥이라고 한다.
3) 조선시대 종3품의 관직이다. 각 관서의 부책임자이다. 종친부(宗親府)․돈령부(敦寧 府)․봉상시(奉常寺)․사복시(司僕寺)․군기시(軍器寺)․내섬시(內贍寺)․사도시(司 寺)․예빈시(禮賓寺)․사섬시(司贍寺)․군자감(軍資監)․제용감(濟用監)․선공감(繕 工監)․사재감(司宰監)․관상감(觀象監)․전의감(典醫監)․사역원(司譯院) 등에 각 1 명씩의 부정을 두었다.
4) 선공감 : 조선시대 토목․영선에 관한 일을 맡아본 관청. 관원으로는 정(正 :정3품)․부정(副正:종3품)․첨정(僉正:종4품)․판관(判官:종5품)․주부(主簿:종6품)․직장(直長:종7품)․봉사(奉事:종8품)․부봉사(副奉事:정9품)․참봉(參奉:종9품) 각 1명을 두었으나, 후에 정․첨정․판관․직장․참봉을 없애고 감역관(監役官:종9품) 3명, 가감역관(假監役官:임시직 종9품) 3명을 두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