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유래 용반리(龍盤里)의 지명은 용반(龍盤村)마을의 이름을 취하여 이름하였다. 용반리는 자연마을이 용반촌(龍盤村)마을, 고암촌(鼓巖村)마을, 여우내(乾川里)마을, 오룡동(五龍洞 = 말용동)마을 등 4개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여우내마을과 오룡동마을은 폐촌되었고 1976년경에 더실고랑에 새로 마을이 형성되어 더실마을이라 부른다. 고암촌마을의 뜻은 마을에 북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하여 바위이름을 취하여 북바위마을이라 하면 한자로 북고(鼓)자와 바위암(巖)자를 써서 고암촌(鼓巖村)이라 한다. 마을을 세분하면 우데미, 아래데미로 구분된다. 1759년 여지도서에는 상동변면(上東邊面), 1789년 호구총수에는 능주목(綾州牧) 상동면(上東面) 고암리(鼓巖里)로 기록되어 있으며, 1867년 대동지지에는 능주목 인물면(人物面), 1895년에는 나주부(羅州府) 능주군(綾州郡) 송석면(松石面) , 1896년에는 전라남도(全羅南道) 능주군 송석면, 1912년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는 능주군 송석면 고암촌(鼓巖村)으로 기록되어 있다. 1913년 행정구역개편으로 화순군(和順郡) 송석면 고암촌, 1914년 지방행정구역개편으로 송석면 용반리(龍盤里)(용반촌, 건천리, 고암촌, 오룡동)로 편입되었고 1932년 11월 1일 면폐합으로 송석면과 도림면이 합하여 이양면이 되면서 화순군 이양면 용반리가 되었다. 1개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산물(쌀, 보리), 특산물( ), 주소득원(쌀, 보리) ●성씨 : 하동鄭(11), 광산李(1), 동복吳(1), 밀양孫(1), 진주姜(1), 김해金(1), 장수黃(1) ●마을형성 고암촌마을은 북쪽으로 산이 있으며 내가 동쪽과 남쪽에서 흐른 물이 합하여 서쪽으로 흐르며 서쪽은 약간의 평지와 그 너머에 반룡산(발룡산)이 있다. 마을의 방향은 남쪽을 향하고 있다. 1685년경 아산장씨 蔣義賢(1663∼1725)이 신안 지도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 1780년경 하동정씨 鄭再亨(1740∼ ? )이 소리실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 1960년경 광산이씨 이병문(1936∼ )이 도암면 천태리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 동쪽으로는 고암촌마을, 서쪽으로는 강성리 뜬바위마을, 남쪽으로는 품평리, 북쪽으로는 한천면이 있다. 지방도 제818호선이 반룡산 아래에서 동→서→남쪽으로 이어져 있다. ●유물 ·유적 용반교(1975년 건립), 愛連齋朴계秉施惠不忘碑(1925년 자연석에 새겼으나 도로확장으로 파괴되고 새로 건립, 북바위 아래) ●민속놀이 ·전설 ·민담 ⊙ 기우제 : 비가 오지 않고 가뭄이 계속되면 말봉산과 금능뒤 하천에서 기우제를 지냈다. ⊙ 디딜방아 액막이 : 마을에 전염병을 막기 위하여 고시리마을에서 밤에 몰래 가져다가 마을입구에 거꾸로 세워놓고 고쟁이를 씌워 액막이를 하였다. 이렇게 마을에 전염병이 들어오지 못해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고 하였다. ⊙ 농악 : 정월 대보름이면 당산굿, 시암굿, 마당볼비를 하였다. 상쇠로는 정순돌이 잘 하였다. ⊙ 줄다리기 : 정월 대보름이면 남여로 편을 나누어 줄다리기를 하였다. ⊙ 당산제 : 이전에 당산제를 지냈으나 폐하였다. ⊙ 숲 : 선바우가 마을앞에서 마을을 쳐다본다 하여 마을에 해가 되므로 이를 가리고자 나무를 심어 숲을 이루었다. ⊙ 당산점 : 당산나무 잎이 한번에 피면 풍년이 들고 나뉘어 피면 가뭄이 든다고 하였다. ●풍수지리 및 주요지명 ⊙ 반룡산 : 마을앞산으로 4마리의 용이 사리고 있다고 한다. ⊙ 북바위 : 고암촌과 강성리 도로사이에 있는 바위가 마치 북과 같다고 하여 이렇게 부른다. ⊙ 장군대지 : 반룡산 동서남북에 4개의 반룡회주의 명당, 비금들에 비금낙지, 서쪽에 갈마음수, 투구봉, 활굴, 칼등, 선바위 집장터(장군이 모인다는 곳), 남팔등, 깃대봉(고시리) 등이 있어 장군대지가 있다고 전한다. ⊙ 매봉 : 한천면, 강성리, 용반리 경계에 있는 산이다. ⊙ 말머리재 : 고암촌에서 한천 고시리로 넘어가는 재를 말한다. 예전에는 이곳으로 사람들이 왕래하였다. ⊙ 산, 등 : 반룡산, 매봉, 칼등, 몰궁구리, 김미봉, 투구봉 ⊙ 들 : 비금들, 수용배미, 한새배미, 얏마지기, 야달마지기, 모랫거리, 구렁배미, 자갈배미, 든배미 ⊙ 바위 : 북바위, 선바위(2개) ⊙ 골짝 : 피아골, 우렁골, 놋점골, 절터골 ⊙ 밭 : 사당터밭 ⊙ 고개 : 말머리재(∼한천면 고시리), 선바우재(∼고시리, 소리실) ⊙ 터 : 집장터, 절터, 탄광터, 사당터, 물레방아터, 강털보네, 주막터, 둑삼굿터 ⊙ 보 : 든배미보, 갈머리보, 주막보, 도리들보, 비금보 ⊙ 샘 : 바가지시암 ⊙ 길 : 삼굿께, 물방앗거리, 우데미고삿, 아래데미고삿, 방죽께 ⊙ 쏘, 툼벙 : 비금보쏘, 북바우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