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인정기술자 면접을 앞두신 몇몇 회원님들이 계신 듯해서 제가 알고 있는
몇몇 내용을 올립니다.
주위에 먼저 다녀오신 분들에게 여쭤보아 실제 내용만을 담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라며
이미 다녀 오신 분중에 여기에 추가해 주실 내용 있으시면 리플 달아주시면
다른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듯 합니다..
아울러 답안은 제가 배운 내용을 참고 하였으니 틀린 부분이 있으면 지적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서중 콘크리트란?
- 일 평균기온이 25℃이상 예상될 때 타설하는 콘크리트
2. 한중 콘크리트란?
- 일 최저기온이 4℃ 미만일때 타설하는 콘크리트
( 단, -3℃ 미만일 경우 별도의 승인을 받아 시공 )
3. 피복두께(일반적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시오.
- 스라브 : 3cm
- 기둥 및 보: 4cm
- 기초등 흙에 접하는 부위 : 5cm
4. 철근 SD30, SD40의 용도에 대해 설명
- SD30일반철근(초록색) SD40고장력(노랑색) 철근으로 허용응력내에서는 어느 것으로 써도 무방
- 단, SD40을 사용할 경우 단면 내 철근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원가절감 및 건물자중을 줄이는
효과
5. 토목공사 중 띠장 Strut 100m 설치가 가능한 가?
- 가능
6.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하는 가?
- 모서리 부위 Strut 보강 및 띠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Earth Anchor(어스앵커)를 설치
7. 슬럼프(시공연도)를 좋게하는 방법
- AE제를 사용한다.
( 물을 조금 탄다고 대답하신 분...... 바로 집에 가셨답니다 )
8. 레미콘 규격에 대해 설명하시오.
레미콘 규격표기 예 ) 25 - 210 - 12
굵은골재크기 - 공시체 28일 압축강도 - 슬럼프
9. 현장에서 실시하는 콘크리트 ( 또는 레미콘 ) 시험에 대해서 설명.
- 타설 중 하는 시험으로는 슬럼프, 공기량, 염화물 시험이 있다.
10. 슬럼프 시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콘크리트 반죽질기 시험이며 허용범위는 ±2.5cm 이다.
11. 공기량 시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콘크리트 내 공기함유량을 측정하며 허용범위는 4.5% ±1.5%이다.
- 공기량이 많을 수록 슬럼프 값이 상승하고 강도가 저하된다.
12. 염화물 시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콘크리트 내의 단위체적당 염화이온량을 시험하며 허용범위는 0.3kg/㎥ 이하이다.
13. 공시체 압축강도 시험에 대히서 설명하시오.
- 콘크리트 타설 후 하는 시험으로서 통상 3일,7일,28일 강도를 시험한다.
- 3일 강도는 거푸집 해체를 위한 시험이며 7일 강도는 28일 강도를 추정하기
위함이다.
14. 콘크리트 비파괴강도시험에 대해 설명하시오.
- 시험기구 슈미트햄머를 사용하여 반발력 값으로 강도추정
15. 콘크리트에 가수하면 안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 물시멘트비가 높아져 콘크리트 강도 저하
- 재료분리 현상 증가
16. 콜드 조인트 ( Cold joint )에 대해 설명하시오.
- Con'c 타설 중 휴식시간등으로 먼저 부어넣은 콘크리가 굳기 시작한 후
이어붓기 해서 생기는 균열 ( 설계,시공시 반영되지 않음 / 예상불가 )
17. 익스팬션 조인트 ( Expansion joint )에 대해 설명하시오.
- 콘크리트 신축이음이 예상되는 자리에 만드는 조인트 ( 설계,시공시 반영됨 )
18. 보 또는 스라브에서 Con'c를 부득이 하게 끊어 쳐야 할때 어느 곳을 끊어야 하는 가?
⇒ Span의 1/2 지점 ( 전단력 0 지점임 )
19. 보에서 철근이음을 할때 적당한 곳은?
⇒ Span의 1/4 지점 ( 인장력 0 지점임 )
20. 철근 콘크리트 1㎥의 무게는? 답) 2.4ton
21. 무근 콘크리트 1㎥의 무게는? 답) 2.3ton
22. 시멘트 몰탈 1㎥의 무게는? 답) 1.7ton
23. 철근 1㎥의 무게는? 답) 7.85 ton
24. 철근콘크리트의 특징을 말하시오. ( 전문적인 내용인데....;;;; )
- 열팽창 계수가 거의 같다.
- 철근은 인장력,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저항한다.
- 콘크리트속 철근은 부식되지 않는 다. ( 콘크리트 알칼리성, 철근 산성 )
25. 콘크리트 벽돌 0.5B 쌓기시 매수는?
- 75매
26. 콘크리트 벽돌 1.0B 쌓기시 매수는?
- 149매
27. 철근공사시 부속물을 말하시오.
- 스페이서 : 철근 간격재
- 결속선 : 철근 결속철물
28. 철근이음방법을 말하시오.
- 겹침이음, 가스압접, 용접이음, 슬리브이음 등
29. 철근은 어느 규격이상부터 겹침이음을 할 수 없나?
- D29 이상
30. 방수공법 몇가지를 말하시오.
- 시멘트액체방수, 아스팔트방수, 쉬트방수 등등
31. 방수공사 중 배수판에 대해 설명하시오.
- 지하층 바닥 무근 Con'c 타설 전 설치하며 배수판 틈사이로 물을 흐르게 하여 집수정으로
유도한다.
32. 강관비계 구성품을 말하시오.
- 파이프, 클립, 연결핀
33. 강관비계매기 종류에 대해 말하시오.
- 외줄비계, 쌍줄비계, 강관틀비계
34. 철골접합 방법을 말하시오.
- 용접, 고장력볼트, 리벳, 볼트
35. 철골에서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며 거푸집 대용으로 쓰이는 것은?
- 데크플레이트
36. 스터드 볼트는 어디에 쓰이는 가?
- 빔과 데크플레이트를 연결시켜 주며 구조적으로 인장력 부담
37. 철골부재 중 페인트를 칠하지 않는 부위는?
-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부분
- 마찰접합부위 ( 고장력볼트 조임부위 )
- 현장용접부위
38. 용접부위 검사방법에 대해 말하시오.
- 육안검사
- UT (초음파검사)
- RT (엑스레이검사),
39. 고장력볼트 검사는 어떻게 실시하는 가?
- 토오크렌치를 사용하여 장력수치를 확인한다.
40. 석공사 중 버너구이와 물갈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 버너구이 : 면이 거침 ( 외부 바닥 및 외부 마감에 많이 사용 )
- 물 갈 기 : 면이 매끈 ( 내부 마감에 많이 사용 )
41. 미장공사에 쓰이는 비드의 종류를 말하시오.
- 걸레받이 비드 : 걸레받이 구분용 철물
- 조인트 비드 : 미장면 연결부위 철물
- 코너비드 : 모서리 보호철물
42. 콘크리트에서 혼화제 사용하는 목적
- 슬럼프 또는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함
43.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 할때 동결방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 염화칼슘 ( 무근...무근....무근......절대 무근만 가능합니다!!!! )
44. 레이턴스란?
- 콘크리트 타설시 수분이 위로 떠오르며 침적한 물질
45. 가설비계공사시 비계간격은?
- 1.5m가 적당
46. 레미콘 내용물 중 가장 무게가 큰것은?
- 물,시멘트,모래,자갈 중 자갈이 크다.
47.시멘트 보관방법에 대해 설명
- 지상 30cm 높이
- 13포대 이상 쌓기금지
- 3개월 경과된 시멘트는 시험 후 사용
48. 시멘트 보관 중 3개월이 지난 시멘트의 처리는?
- 시험을 하여 풍화되지 않은 시멘트는 사용
49. 현재 시공중인 현장에 대해 설명
- 00000 신축
- 연면적 : 약 5,700㎡
- 지상 3층, 지하 4층
- SRC조
- 외부마감 : 노출콘크리트, 화강석
50. 현재 근무중인 현장의 구성인원은?
( Tip. 49의 질문에서 현장 연면적을 10,000m2 이하로 답변하는 것이 좋음
현장 연면적이 커질 경우 법적 구성인원이 증가함 )
- 현장소장, 공사과장, 건축기사2명, 직영3
51. KS 와 Q 마크의 차이점
- KS : 정부에서 정한 규격기준 ( 정부 - 규격기준 )
- Q : 제조업체에서 원해서 임의로 부착하는 품질보증마크
민간시험연구소에서 발행 ( 민간시험연구소-품질보증 )
52. 레미콘 타설 중 비가 왔을 때 조치
- 즉시 레미콘 타설 중지 및 콘크리트 표면을 비닐등으로 보양
53. 나중에 이어치기 타설할 경우 조치
- 기존 Con'c 표면을 치핑( Chipping )처리하고 Con'c 표면의 레이턴스등을
청소하여 타설한다 ( 부착력증대 )
54. 레미콘 도착시간이 초과한 경우 조치
- 반송한다.
55. 스라브(Slab) 동바리 (서포트-Support) 간격은 어느정도가 적당한 가
- 간격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스라브의 두께와 층고에 따른 구조계산값에 따른다.
( 통상적으로 얼마냐구 묻거든 통상 0.8~1.2m 라고 대답 )
%%% 어떤 분이 0.6m라고 답변을 하니 면접관이 그렇게 넓게 세우면 위험하지 않냐고
떠보자 위험한 곳은 0.4m로 세운다고 대답하여 면접관의 확인사살에 넘어간 사례도 있음.%%%
56. 겨울철 공사시 콘크리트 열풍기등을 사용하여 보양 할 경우 어느 정도 가동시켜야 하나
- 콘크리트 초기강도가 50kgf/cm2 이상 나올 때 까지 ( 통상 3일간, 60시간정도 )
57. 겨울철 콘크리트 공사시 가장 주의할 점
- 타설 후 초기강도가 나올때까지 콘크리트가 얼지 않게 하는 것 ( 초기동해 방지 )
58. 스라브 또는 기둥,보 철근배근 중 해당규격 철근이 부족한 경우 조치
- 감리원의 승인 후 부족한 단면계수만큼 다른 규격철근으로 배근한다.
%%% 많은 분들이 이 질문에... “철근이 부족하지 않게 계획을 잘 세운다” 또는 “작업을
일시 중단한다“라고 답변을 많이 하심.%%%
59. 여름철 콘크리트 타설 후 표면에 살수 하는 이유
- 콘크리트 초기양생에 필요한 수분이 이탈하는 것을 막기위함.
%%% 수화열에 의해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막기위함 <=== 틀린 답은 아니지만
근본적인 문제의 답변을 벗어난 답변임 %%%
60. 레미콘 출발시간은 어떻게 확인합니까?
- 출하송장을 보고 확인한다 ( 좀 황당하다 싶은 질문....;;;; )
100개 정도의 문항을 알려드리고 싶지만 제가 알아낸 것은 여기까지입니다...^^
빠진 내용은 먼저 다녀오신 분들이 리플로 달아주심 많은 도움이 될듯 합니다...^^
========== 2월 5일 다녀오신 분의 내용을 추가 합니다... ===========
( 범위가 갈수록 넓어지는 군요..;;; )
61. 조적조에서 인방설치기준은?
1.8m 이상일 때 설치
62. 레미콘이 도착할 경우 송장을 보고 확인할 사항을 4가지 이상 말하시오.
굵은 골재치수, 강도, 슬럼프, 혼화제, 출발시간
63. 슬럼프 시험기구 중 콘(깔때기)의 위,아래 직경과 높이는?
위 φ10cm, 아래φ20cm, 높이30cm
64. 기초의 종류 4가지 이상 말하시오
독립기초, 줄기초, 온통기초, 말뚝지정 ( C.I.P, PC Pile 등 )
65. 계약 내역서 중 공통가설공사에 들어가는 항목을 모두 열거하시오 ( ㅡㅡ^어렵습니다..;;)
임시전력,가설용수,현장사무실,가설화장실,가설도로,가설울타리 등등...
( 이중 가설도로와 가설울타리는 반드시 들어가야 합니다. )
66. 철근의 규격을 mm 별로 모두 말하시오.
10, 13, 16, 19, 22, 25, 29, 32
67.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가장 먼저 바닥 먹메김을 위해서 이며 두 번째로 철근배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
( 바닥먹메김이 젤 중요 )
68. 콘크리트 공시체 양생시 양생수조내의 물의 온도는?
20±3℃
69. 레미콘 강도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180kgf/cm2, 210kgf/cm2, 240kgf/cm2
70. (no 69질문에 이어...) 그 규격 말고 위로 다른 강도는 없습니까?
위로도 300kgf/cm2, 450kgf/cm2 등등 초고강도 콘크리트가 많이 있습니다만
저희 회사가 쓰는 콘크리트는 180, 210, 240 입니다.
=============== 검둥님 내용 추가합니다 ================================
71. 옹벽안전시공 3대조건 ( 토목옹벽의 경우입니다. )
수평력, 전도, 침하 검토
72. 압축강도 단위 및 측정시기
단 위 : kg.f/cm2 ( kg킬로그램. f중. /퍼. cm2제곱센티미터 라고 읽습니다 )
측정시기 : 거푸집 해체시 (3일), 28일 압축강도 추정시 (7일), 28일 압축강도 시험시 (28일)
73. 흙의 무게
1,700 kg 또는 1.7ton
74. 콘크리트에 철근을 넣는 이유
콘크리트는 압축력에는 강하나 인장력에 약하기 때문에 철근을 넣어 인장력을 부담하게 한다.
function showSideViewForScrapInfo(curObj, userid, planetUserid, targetNick) { var sideView = new SideView('nameContextMenu', curObj, userid, planetUserid, '\uC190\uB2D8', targetNick, 'y5My', '', '\uACE0\uAE09\uD658\uACBD\uC804\uBB38\uAC00\uACFC\uC815 \uCD1D\uB3D9\uBB38\uD68C', "unknown"); sideView.hideRow("member"); sideView.hideRow("planet"); sideView.showLayer(); } function winPopup() { /*window.open*/('http://cafe.daum.net/_service/home?grpid=jMbc', 'DaumPlanet', 'width=936,height=672,resizable=yes,scrollbars=yes'); return; }
출처 :덕성세무직업전문학교(성남) 원문보기▶ 글쓴이 : 조경시공 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