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집하면 안강최씨로 통한다..그 설화를 정리해 보자!
1.최씨 고집.
그 유명한 최영장군으로부터 시작됩니다. 고려 말의 장수로서 엄청난 무운을 자랑했던 최영장군은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와 대립하여 결국 죽음을 맞게 되지요. 그는 죽기전에 자신의 청렴함을 얘기하며 “내 평생 탐욕을 가졌으면 내 무덤에 풀이 날 것이로되 그렇지 않다면 풀이 나지 않으리라.”라는 말을 전했다고 합니다. 그 후로 정말로 최영 장군의 묘에는 풀 한포기 자라지 않아 지금까지도 황토색의 붉은 무덤이 되었다는군요.
그래서 최씨 앉은 자리에는 풀도 안난다는 말이 생긴거랍니다. 실은 고집보다는 청렴함을 나타내는 얘긴데, 이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고집센 사람으로 변한거죠. 아마도 조선 개국에 대항한, 말하자면 역적과 같은 사람이므로 조선 500년동안 의도적으로 그렇게 변질이 된건지도 모르겠습니다.
2.강고집의 유래
강씨의 성격은 고고한 기상을 지닌, 타인에 굴하고자 하는 기질이 거의 없기 때문에 독선으로 흐르기 쉬우므로 고집이 세다는 정평이 나 있다. 고집이란 것을 어느 면으로 보면 주관이 그 만큼 강하다는 얘기이다.
그런데 강씨는 남자보다 여자가 더 진취적인 면이 많아서, 강씨 집안 딸들은 사납다는 평판을 듣기도 한다.
첫째 일찍이 패망(668)한 고구려의 명사를 시조(姜以式)로 하는 유일한 성씨라는 것,
둘째 신라 통일이후 고려까지는 우리나라 창씨기(創氏期)로 타 성씨에서 많이 보는 창씨분파를 거부하며 단일 본을 고집해온 점,
셋째 조선 중기 이후 붕당-세도정치로 사회가 혼탁해지자 출세의 관문인 과거에 급제하시고도 벼슬보다 학문에 더 관심을 가지셨던 점,
넷째 임진왜란, 병자호란, 한일합병과 같은 국난(國亂)을 맞아서는 창의(倡義)에 가담해 목숨 바쳐 구국에 앞장서신 일,
다섯째 국권을 상실했던 병자호란과 일제 식민통치 때는 아예 벼슬에서 물러나 유유자적(悠悠自適)한 삶을 사신 것 등등이라 하겠다.
이 같이 출세를 위한 아부나 타협을 모르며 정의롭고 강직함을 지켜온 전통이 강씨고집이란 별명이 붙게된 것이 아닌가 싶다.
3.안씨고집
경상도 안동의 하회마을에는 류씨와 김해허씨 와 광주안씨가 살고 있는데 오늘날들어 특히 광주안씨의 집안들이 내륙도시 그것도 깊숙히 내것을 소중히 여기고 고집하며 살아오는 양반도시를 고집하며 현재까지도 이여져 오는 전통의 예를 보아도 안씨의 고집은 예로부터 유명하였다 역사적인 예로는 조선초기에 태종때 후궁 선빈안씨의 고집은 중전 민씨의 여러의견들이 백지화되고 결국 중전의 위치까지도 흔들리게 한 선빈안씨의 고집은 우리나라의 내명부품계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다 사상의학의 대가인 이제마 와의 학술논쟁으로도 유명한 안씨집안들은 전통을 고집하는 경향이 짙고 보수적인 경우가 많은지 우리나라의 유명한 식당이나 무형문화재등록인이 많으며 특히 식당의 대표적인예로 춘천막국수의 고집스런 경영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문화가 되기도 하였다 (춘천막국수 의 원조)
최씨와는 동업을 해도 안씨와는 동업을 하지마라 던 옛사람들이 애기는 아마도 지나친 고집을 염려 한 나머지 우스게 소리로 전해져 온다고 하니 가희 고집에 대해서는 안씨 고집이 최고임을 인정 하고 싶네요.........
====================================================================
최씨 앉은 자리에는 풀도 안난다.
강씨는 스쳐지나가기만 해도 풀이 안난다.
안씨는 생각만 해도 그 자리에 풀이 안난다.
나는 어려서 외삼촌으로 부터 볼따귀 를 꼬집히며 이런말을 들었다.
"이쪽은 심술, 이쪽은 고집" 이런말을 들을때 마다 나는 크게 소리치면서
"아 니 야" 하며 울곤 했었다.
지금은 돌아가신 외삼촌 왜 그렇게 일찍 세상을 떠나셨는지 지금의 나는
만약 외삼촌이 살아 계셨다면 훨씬 나아 졌을거란 생각을 많이 하게된다.
외삼촌께선 나를 사랑 하셨고 대단히 훌륭하셨던 분 이었기 때문에 많은
가르침을 주셨을 것이기 때문이다.
외삼촌의 소개는 다음에 하기로 하고, 아무튼 어려서부터 고집쟁이란 말
을 자주 들으며 성장했다.
나는 안씨가 소문난 고집쟁이 라는걸 알게된 것은 직장생활을 시작하고
얼마 있다가 회사내 "근무시간 변경의 건"을 처리할때 직장 상사로 부터
"역시 소문대로 안, 강, 최 로구만" 이란말을 듣고 그때 부터 내가 고집의
대가 라는걸 알게됬다.
그러나 내가 고집불통 이라고 느껴 본적은 없고 오히려 정의파(正義波)
라고 생각하며 살았고, 그런 고집이 있는 의리(義理) 의 사나이 라 자부
하면서 지금까지 살아왔다.
그리고 고집의 종류를 다음과 같이 몇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며 내가 어느
고집에 해당되나 하고 아무리 살펴 보아도 해당 되는곳이 없다.
고집불통 (융통성이 없이 자기 주장만 계속 내세우는 사람)
쇠고집 (몹시 센 고집을 갖고 있는사람)
옹고집 (억지가 매우 심하며 자기 의견만 우기는 사람)
외고집 (융통성이 없이 외곬으로 고집 부리는 사람)
황고집 (고집이 몹시 센 사람. 평양 황고집에서 유래한 말)
아무리 보아도 내고집은 합리적 인데 뭐가 잘못 되었다는 것일까?
그래서 고집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기로 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기에는 최(崔)씨가 제일 지독하고 고집이 센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씨 앉은 자리엔 풀도 않난다는 말도 있다.
이말은 고려말의 명장 최영 장군의 행적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영 장군은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 (汝當見金如石)’는 노래가 있을
정도로 한평생 재물을 탐하지 않았으며, 당시 도처에서 출몰하던 왜구와
홍건적을 무찔러 많은 전공을 세웠고, 지금의 국무총리 격인 시중(侍中)
이 되어서는 꺼져가는 고려사직을 끝까지 지키다,조선을 건국한 이성계
세력에 의해 처형을 당하게 된다.
그가 죽음에 임하면서 ‘내가 생전에 조금이라도 부끄러운 일을 했더라면
내무덤에 풀이 날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풀이 나지않을 것이다’고 했는데
그의 무덤에 정말로 풀이 나지 않았다고 한다.
그 때문에 그의 무덤(경기도 고양)은 수백년이 지나 조선이 다 망하고 난
다음에야 후손들이 그의 무덤에 잔디를 입혔다고 한다.
그래서 최씨 앉은 자리엔 풀도 안난다 는 말이 생긴 것이다.
어느 시골에서 안씨 강씨 최씨 세 사람이 누가 더 고집이 센가를 두고 시합을 했답니다.
경기 개울물 속에서 누가 더 오래 버티냐로 결정하고
세사람이 물속으로 잠수를 했고
개울물 주변엔 동네사람들이 시합을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한 5분쯤 있다가 가장 먼저 물위에 치솟은 사람은
체면을 구긴 최씨가 올라 왔습니다
그리고 잠시후----
기절하여 물위에 떠 오른 강씨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 봐도도 보이지 않는 안씨...
그는 물속에 바위를 잡고 숨을 거두며 안올라 왔다다고 합니다.
그후로 고집세기는 안, 강, 최 고집 순으로 바뀌었답니다.
한술 더 떠서 강(姜), 안(安)씨는 고집 이야기 중에
최씨 앉은 자리에는 풀도 안난다.
강씨는 스쳐 지나 가기만 해도 풀이 안난다.
안씨는 생각만 해도 그 자리에 풀이 안난다.는 말도 있으며,
재미난 이야기기로 안(安)씨는 뿔이 한개라 한번먹은 마음은 절대 변치않고
그 다음으로 강(姜)씨는 뿔이 두개라 한번먹은 마음도 두번까진 유도리가 있으며
최(崔)씨는 뿔이 세개 이기 때문에 안씨 나 강씨 보다는 훨씬 부드럽다는 이야기도 있다.
또 한가지 재미난 예기로, 어느동네에 안, 강, 최씨가 잘살고 있었는데
그 집의 아들들도 아주 절친하게 지내던 중, 어느날 집에서 전답 문서를
몰래 똑같이 가지고 나와서 한양땅에 가서 큰사업을 하기로하고 마침내
일을 저질렀지만 사기꾼을 만나 모두 망하고 거지생활을 하게 되었는데
그후 최씨네 아들은 집에 들어가 석고대죄 하고 아버지께 용서를 받았다
그러나 강씨네 아들은 집에 들어가 석고대죄 하였지만 끝까지 용서받지
못하여 뒷산에 목을 매었다고 한다.
그후에야 그의 아버지는 시신을 거두어 수습하고 용서를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안씨네 아들은 석고대죄를 해도 안되니까 강씨네 아들처럼 목을
맸지만 그의 아버지 안씨는 "우리와는 상관 없는놈" 이라고 끝까지 용서
하지 않았다는 확인할 수 없는 예기도 있다.
글을 쓰다보니 고집 쎈 것이 자랑인지 수치인지 분간이 안된다.
그러나 지나친 고집은 결코 우리사회에 도움이 되지 안는다는것을 알수
있지만 그렇다고 자기주관도 없이......
잘하고 있는 것일까?
적당한 타협과 주관이 어우러 질때 생산성 있고, 영양가 있는 좋은 의견
이 결정될 수 있으며 양보와 베품이 자리잡을 것이다.
흔히들 [강고집 최뿔따구 합해봐야 안씨 뿔뚝골 못 당한다]로 표현합니다.
강씨는 잘 우기고 최씨는 은근히 고집을 세우는데 비하여 안씨들은 즉각 행동으로 옮겨 화산이 폭발하듯 하니 모두들 겁을 내고 조심하였다 합니다.
그러나 이 비유는 학자로서 문무(文武)의 관리로서 무실역행(務實力行)함을 말한 것인데 후대에 와서는 택도 아닌 고집의 서열로 인정된 것입니다.
다른 비유로는 안정박김이최(安鄭朴金李崔) 라고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