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궁의 뜰 가평 외식업계 선두주자로 부각
가평에서 만난 산꾼들에게 읍내에 있는 음식점 중 자신 있게 추천할 만한 곳을 말해 달라고 하면 늘 “글쎄요”하는 대답을 했었다. 그만큼 돋보이는 업소가 없었다는 뜻이다. 이런 상황에서 월간 山 2010년 3월호 ‘산따라 맛따라’에서 가평읍 경반리 칼봉산자연휴양림으로 들어가는 길가, 국민주택 맞은편에 있는 ‘고궁의 뜰’을 소개한 바 있었다. 그리고 이곳을 다녀 온 여러 독자가 필자에게 찬사를 보내왔다. “그 정도의 업소라면 만점”이라는 것이었다. 아름다운 식당건물에 깔끔한 실내분위기, 교양미 넘치는 여인이 품위 있게 객을 반기며 종사자 모두 매우 친절하다. 음식맛이야 식당의 기본이니 논외로 한다면 손님들은 업소 측에 무엇을 더 바라겠는가. 대도시 도심 어디에 내놔도 손색이 없겠다는 생각인데 벽에 걸린 차림표를 보면 부담이 가지 않는 음식들이다. 흔히 사람들은 식당건물의 외관이 지나치게 아름답다고 느끼게 되면 그 집 음식값도 비쌀 것으로 추측한다. 그래서 허름한 집을 찾아 들기도 한다는데 ‘고궁의 뜰’에서는 그런 착각을 말끔히 씻어준다. 군청소재지 읍내에 소재한 이 업소를 주로 이용하는 가평군내의 고객이 어떤 계층일는지 쉽게 짐작이 갔다. 그러고 보니 업주 장복희(41)씨 마음의 색깔이 건물 바깥에 금방 내려 쌓인 새해 1월의 하얀 눈처럼 순백일 것으로 믿어져 객의 마음도 맑아졌다. 식탁 96석. 주차공간 승용차 20대 수용
■메뉴 냉면 5,000원, 왕갈비탕 7,000원, 삼겹살 10,000원
■전화번호 031-581-0309
■찾아가는 길 가평군 가평읍 읍내 4리 867-5. 칼봉산자연휴양림으로 들어가는 길
고목식당 & 섬향기식당 ‘나미나라공화국’ 남이섬 속의 먹거리집
서울 인사동에서 이곳까지는 직행투어버스를 매일 운행한다. 섬 안에는 토속음식을 먹고 동동주를 마실 수 있는 고목식당, 닭갈비와 설렁탕 전문점 섬향기식당이 있다. 조각피자의 디마떼오(031-582-8822), 추억의 도시락집 카페연가지가(031-582-2550)도 챙겨 두면 좋겠다.
‘고목식당’은 남이섬에서 가장 오래된 강원도 토속 식당이다. 조약돌로 문양을 새겨 넣은 하얀 회벽과 피죽을 널어 얹은 지붕이 음식 맛에 운치를 더해 준다. 감자전에 도토리묵, 보리밥에 막국수를 동동주와 곁들이면 신선이 따로 없다. 식탁 76석.
‘섬향기식당’은 한우1등급의 고기만 엄선해 국물을 우려낸 <따끈한 설렁탕>과 닭고기 다리와 가슴살을 넓게 펴서 만든 <남이섬식 닭갈비>는 숯불화로에 석쇠를 얹어 지글지글 구워 먹는 맛이 일품이다.
고목식당
■메뉴 막국수 6,000원. 보리비빔밥 7,000원. 감자전, 도토리묵, 동동주 각 8,000원.
■전화번호 031-582-4443
■찾아가는 길 주소는 춘천시 남산면이지만 가평읍 경유 남이섬으로 가야 한다.
섬향기식당
■메뉴 숯불닭갈비, 목살양념구이, 양념삼겹살 각 1만 원. 설렁탕, 곰탕 각 9,000원.
■전화번호 031-581-2189
■찾아가는 길 가평 남이섬
경치만 좋은 게 아니라 음식 맛도 좋다
행자골 촌두부 이웃집 나들이하듯 찾아가 볼 만한 집
가평에 있는 또 하나의 전철역인 상천역에 내리면 불기산과 청우산의 가운데 자락인 수리재로 쉽게 들어갈 수 있다. 찻길이 끝나는 지점, 상천보건지소가 눈으로 들어오는 곳에 ‘행자골 촌두부’가 있다. 대도시 출신, 초로의 나이인 김사연·이순옥 부부가 6년 전 도시생활을 청산하고 이곳으로 들어와서 인생이모작을 펼친 집이다. 외형은 산자락의 여느 집들과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속내를 살펴보면 금방 친해질 수 있는 분들이고 이용하기에 편리한 업소다. 서울 태생인 김사연씨는 미술학원을 운영했고 부산 출신인 부인 이순옥씨는 오랫도록 간호사로 일하면서 슬하의 아들 둘이 다 성장하자, 과감(?)하게 도시생활을 청산했다는 것이다. 푸른 공간, 맑은 물, 맑은 공기를 마시며 살아 보니 좋기는 하지만 사람 내음이 그리울 때가 많다고 한다. 그래서 자신의 집을 찾아오시는 분이 그저 고맙기만 하다고 했다. 상천역에 내리기 전, 전화를 주면 금방 역으로 달려가서 9인승 승합차로 손님들을 즐겁게 모신다는 것이다. 이 집에다 음식을 시켜 두고 불기산이나 청우산을 올랐다가 돌아오면 된다는 설명인데 이미 ‘행자골 촌두부’를 산행캠프로 활용하고 있는 산악회가 여럿이라고 한다.
■메뉴 두부전골, 동동주 각 6,000원. 해물파전 1만 원. 토종닭도리탕 4만 원.
■전화번호 031-584-3648
■찾아가는 길 가평군 청평면 상천리 671-4. 수리재마을 상천보건지소 옆.
청평호반닭갈비 전철 개통으로 대박예감의 명업소
상봉역에서 출발한 경춘선 복선전철은 33분 만에 청평역에 닿는다. 새로 잘 지은 역사(驛舍) 2번 출구로 나온 다음 청평댐 방향으로 얼마를 걸어가면 청평내수면연구소가 나온다. 택시를 타기에는 너무 가까운 거리다. 이 연구소를 지나면 바로 작은 식당가와 마주치는데 이곳에 ‘청평호반닭갈비(대표 이기숙)’가 영업 중이다. ‘청평호반닭갈비’는 춘천을 위시, 강원도 일원에서 쉽게 만나게 되는 수많은 ‘닭갈비집’들과는 판이하게 차별화된 업소다. ‘춘천닭갈비’라고 하면 고기가 한 조각씩 잘라져 나오지만 이 집에서는 소나 돼지갈비처럼 뼈에 고기가 붙어서 나온다. ‘닭다리살’로만 닭갈비요리를 장만하고 닭다리 3개로 1인분을 차려내게 되니 그 양이 여느 집들과는 달리 분량이 눈에 띄게 많다. 또 한 가지, 양배추를 위시 일반 닭갈비용 야채 이외에 깻잎을 듬뿍 넣어 향과 맛이 입맛을 크게 돋운다. 그리고 다른 곳에서는 흉내도 낼 수 없다는 비법 하나를 지니고 있는 업소로 소문이 나 있다. 카레와 감초, 당귀 등 10여 가지의 한약재를 적정비율로 배합해서 섭씨 10도 이하의 온도에서 3일간 숙성시켜 만들어 내는 소스제조 비법이 청평호반닭갈비의 영업비밀 특1호라는 것이다. 그래서 소문내지 않고 이 집을 찾아오는 서울의 단골손님이 부지기수로 많다는 것이다. 또 다른 한 가지 지역특산 음식, 춘천막국수도 차려낸다.
추억의 썰매를 타볼 수 있고 얼음꽃 포토존에서 추억을 담아올 수도 있다. 특히 전국 어느 곳에서도 맛 볼 수 없는 아주 특이한 손맛을 볼 수 있는 ‘얼음송어낚시터’도 개장해 놓았다.
■메뉴 닭갈비 9,000원. 막국수 6,000원.
■전화번호 031-585-5921
■찾아가는 길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 80-7
불기산장 엄동에도 개점 성심성의 정성을 다하는 업소
가평읍 두밀리에 위치한 불기산은 깃대봉, 대금산, 청우산이 능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가평의 산꾼들은 이 산들을 하나로 묶어서 하루 일정으로 잡는다는 것이 가평의 골수산꾼 용환영씨의 설명이다. 가평 쪽 취재길에 늘 동행해 주며 소상하게 안내해 주는 용환영씨는 매우 별난 산꾼이다. 공직에서 일하다 젊디젊은 나이에 연금 수혜자가 되자 미련 없이 옷을 벗고 나와서는 산 다니는 걸 일삼고 있다는 사람이다. 프로 가이드는 아니지만 여기저기서 가이드 요청이 들어오기에 즐겁게 응한다는 것이다. 특히 인천, 부천지역의 많은 의사들과는 끈끈한 인연을 맺고 그들의 요청에 따라 무상으로 가이드를 하는 것이 대단히 즐겁다고 했다. 가평에 있는 수십 개의 산들은 자신의 손바닥을 보듯 훤하게 꿰차고 있기에 가평에서 그의 안내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은 큰 행운이다.
불기산 산행의 나들목이 되는 두밀계곡가에는 펜션이라는 이름의 숙박시설이 20여 곳이나 즐비한데 ‘불기산장’은 음식점을 겸하고 있는 집이라 챙겨두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엄동에는 주변의 대부분 업소가 휴점인데 불기산장에서는 미리 전화로 예약하면 토박이인 박영모(59)·용복순(54) 주인 내외가 성심성의 정성을 다해서 손님들을 모신다는 평판이 자자하다.
■메뉴 모두부 5,000원, 두부전골 6,000원, 삼겹살 1만 원, 유황오리(주물럭, 로스, 훈제), 토종닭(백숙, 도리탕) 각 4만 원.
■전화번호 031-581-3721
■찾아가는 길 46번 국도의 두밀천 물길, 두밀계곡가
청하가든 산행 나들목까지 차량 편의를 제공
가평군 상면과 청평면 경계를 이루는 청우산은 이웃한 불기산, 깃대봉, 대금산 등을 묶어서 오르는 경우가 통상인데 37번국도(청군로) 상의 상면 덕현리가 주된 나들목이다. 눈이라도 내려 쌓이면 조종천을 따라 오르는 녹수계곡 겨울풍경은 매우 아름답지만 즐비한 펜션과 음식점들 중, 엄동에는 문을 열어 놓고 영업을 하는 업소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그래서 이 지역을 잘 아는 산꾼들은 37번국도와 46번국도가 갈리는 청평검문소 삼거리에서 서쪽, 현리방향 300m 지점에 있는 ‘청하가든’을 주로 이용한다. 안주인 김미선씨는 마흔의 젊은(?) 나이인데도 한식조리기능사 자격을 갖고 주방경력 20년을 쌓은 베테랑이다. 청하가든은 방 6개를 상시 이용할 수 있는 펜션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부인의 영업을 외조해 주고 있는 남편 남궁형삼씨는 12인승 승합차로 산행 나들목까지 차량 편의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메뉴 메밀막국수 6,000원, 수육 1만4,000원 / 2만 원 / 2만6,000원
■전화번호 031-584-0845
■찾아가는 길 청평검문소에서 서쪽, 운악산 방향 300m 지점
☞ 착한사람들이 만든 사회적기업 생활상품들==> http://www.estore365.kr
☞ 서울 서초,강북/ 부천/ 원주 척추전문병원==> http://www.21spine.co.kr/Site?pn=1
☞ 기부 및 봉사가 필요한 전국 복지 단체==> http://cafe.daum.net/alldakunanet/NrGX/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