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근대도시계획 |
현대도시계획 |
접근방법 |
물적계획 |
종합적계획 |
목적 |
이상적계획 |
실천적계획 |
대상 |
개별적계획 |
광역적계획 |
목표 |
편리성위주 |
쾌적성위주 |
주체 |
정부 (지자체) |
주민참여증대 |
방향 |
도시재원시설 확충 및 경제력 증가 |
도시경쟁력 증대를 위한 창조적 개성 |
1) 도시계획의 방향
세계화, 정보화, 민주화, 지방화
지속가능한 개발(ESSD)
친환경도시, 유비쿼터스도시, 세계도시, 창조도시, 도시성장관리, 도시재생 등
성장관리계획, 스마트성장, 입체복합 등
우리나라 : 살고 싶은 도시, 걷고 싶은 거리 등의 매력적인 도시 만들기
2. 도시계획 패러다임
1) 다양한 도시계획의 방향
고도성장기의 공급 위주의 도시개발구조 탈피 필요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모델 정립 필요
기존 도시 정비를 통한 도시부흥(Gentrification) 필요
패러다임 |
방향 |
추진전략 및 기법 |
지속가능성 |
ESSD와 Eco-city 녹색도시 |
Greenbelt, 공공재 등 외부효과에 따른 공적 규제 TDR, PUD, Incentive Gentrification 등 |
성장관리 |
입체적 토지이용 기능 통합적 토지이용 |
Performance STDs Zoning, Special Zoning, MXD Zoning 등의 새로운 지역지구제 |
도시성장관리 (Urban Growth Management) 집중과 분산 Rubanism, Ruban Community |
Impact fee, UGBs, MXD, Down zoning Decentralized concentration(분산된 집중), Compact city 도농통합도시, 농촌도시권, 농도지구 | |
문화정보 |
장소성(Placeness),공공공간의 Amenity창조산업, 소셜네트워크의 기능확대 |
전통문화, 향토축제, 역사·문화·예술지구 공간(Space), 대상(Object), 활동(Active) NGO, CBO(Community-Based),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담장허물기 창조도시, U-City, 디지털노마드(Digital Nomard) |
3. 현대도시계획의 방향
Eco City : ESSD를 지향하는 생태환경도시
Carbon Zero City : 기후변화의 적응과 완화를 위한 도시
Green City : 녹색공간의 확충, 신재생에너지 적용을 통한 친환경도시
Slow City : 느림의 미학을 기본으로 인간성 회복을 추구하는 도시
문화도시 : 역사성, 예술성, 공공디자인 바탕의 도시
창조도시 : 관용성, 첨단기술, 창조적 인재 등의 요소로 창의적이고 활동적인 도시
건강도시 : 공원, 녹지, 공공체육시설의 확대로 삶의 질을 제고시키는 도시
살고 싶은 도시 : 삶터, 일터, 놀이터의 개념으로 연계된 도시
4. 도시계획·개발 기법
New Urbanism : 자동차의 공간을 사람의 공간으로 개선
Urban Village : 도시를 마을과 같은 형태로 조성 및 커뮤티니 활성화
TOD : 대중교통 지향의 복합용도개발
Compact City : 에너지 절약을 위한 직주근접, 오픈스페이스 보전
MXD : 용도의 혼합으로 효율적 토지 이용
Smart Growth : 성장 불가피성 인정, 도심 재개발, 환경과 성장의 조화를 추구하는 도시
마을 만들기 : 주민이 참여하여 만들어 나가는 도시
● 도시계획 헌장
1. 아테네헌장(1933)
1) 목표
한 세기 이상 누적된 자유방임적 산업화와 도시화과정으로 황폐화된 도시환경을 치유
1930년대의 도시문제와 도시여건을 토대로 작성된 것이므로 최근의 패러다임과 차이존재
토지이용의 기능분리라든가 도로확장 등을 강조
2) 아테네현장의 기본원칙
환경과의 관계 |
주변도시와의 관계 |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 자연보전 녹지확보(고층화를 통한) 고층화를 통한 녹지·일조 확보 |
도시와 주변지역 관리(도시를 지역의 일부로 간주) 도·농 통합계획 수립 촉구 타 계획과 연계 |
기술 |
주거 및 커뮤니티 |
기존 도시체제가 기술발전에 적응하지 못함을 비판 기술의 최대한 활용 촉구 기능분리 휴먼스케일 강조 |
좋은 입지에 위치(지형, 기후, 밀도, 녹지, 공중위생 감안) 밀도 통제(주거유형별) 직주근접 고층화를 통한 공공시설 확보 |
교통 |
제도 및 주민참여 |
보차분리/교차로 입체화 도로확장 및 특성에 따른 도로 구분(도로기능 구분 기법 도입) 과학적 교통계획 설계의 필요성 강조 |
가치 있는 건축물 보전 공익은 사익에 우선 전문가에 의한 과학적 계획 도시계획제도 확립 추구 |
2. 마추픽추 헌장(1977)
1) 목표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도시계획의 목표로 내세우면서 생태와 에너지의 중요성을 부각
1970년대에 발표되어 이전의 아테네 헌장보다 계획의 중요성을 강조 및 주민참여와 다양한 기능간 통합 등을 주장하는 등 계획과정에 역점
대중교통수단 간의 연계강화와 도시계획시에 계층 간 혼합 장려
2) 마추픽추 헌장의 주요 원칙
환경과의 관계 |
주변도시와의 관계 |
자연환경과의 조화(생태, 에너지) 삶의 질과 자연과의 조화 → 교통수단간 연계강화 |
도시와 주변지역 일체적·계획적 관리 국토·지역·도시·지구계획의 연계 |
기술 |
주거 및 커뮤니티 |
기술발전의 영향 및 기대 기술의 양면성과 이성적 활용의 필요성 강조 |
공동체 조성 계층 간 공존 → 다양한 기능간 통합 입지·계획에 있어 계층 간 분리 지양 |
교통 |
제도 및 주민참여 |
대중교통계획수립/대중교통 우선 도로확장 비판 |
사용자 중심의 건축 계획과정에 모든 관련자 참여 주민 커뮤니케이션 제도적 장치 강구(토지의 공적 사용을 위함) |
계획 및 방안 |
보전 |
환경오염문제 해결방안을 도시계획 측면에서 모색 인구집적지역에서의 오염대책 조치 강구 계획의 중요성 강조(실천 지향하는 동태적 과정임을 정치인들에게 인식) |
문화적 대상 보호·보전 자원한계 내에서 도시성장관리 개별 건축물이 아닌 주변 공간 및 전체공간의 조화 |
3. 메가리드 헌장(1994)
1) 목표
정보화·환경친화·개방화·공생공존 등 탈산업사회의 도시가 지녀야 할 계획사상에 초점
도시환경과 자연보호에 대한 개념을 더욱 강조하면서 도시활력과 삶의 질 향상에 무게
특히 시민과 정부의 쌍방향 대화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면서 도시개발과 관리는 정부와 시민의 공동임무임을 강조
도시교통은 자동차보다는 대중교통중심체계로 바꾸어 나가야 하며 도시와 주변, 그리고 도시와 도시간의 균형발전을 제안
2) 메가리드 헌장의 핵심 계획원칙
환경과의 관계 |
주변도시와의 관계 |
도시환경과 자원보호 자연환경과 도시환경의 균형유지 자원의 존중 |
도시와 주변, 도시와 도시간 균형발전 도시성과 활력의 교외지역 확산 유도 |
기술 |
주거 및 커뮤니티 |
기술혁신, 정보통신의 활용(공간극복 가능 시사) 도시 복잡성 관리를 위한 신기술·기술혁신 |
재화·용역·시설의 실수요에 따른 공급 건물은 시민의 물적 요구와 내적 세계 반영 |
교통 |
제도 및 주민참여 |
대중교통수단 중심체계 확립 공간적 이동의 대안적 방안 개발 개인의 자유와 집단의 특성 존중 → 보행·자전거에게 우선권 부여 |
시민과 정부의 양방향 대화 확대 (민주적 참여) 모든 시민에게 역할 부여·상호공존 도시 조성·관리는 정부와 시민의 공동의무 정부의 도시개발·관리기능 강화 및 개인적 성장 지원 |
계획 및 방안 |
미적부분 및 보전 |
도시활력과 삶의 질 향상 부문별 체계 및 복잡성 관리 |
지역성(개성 부여) 각각의 의미와 개성 보유(미적 세계 반영) 문화유산의 존중/복구의 문화 확립 |
4. 뉴어바니즘 헌장(1996)
1) 목표
신고전적 건축가 및 도시설계가들이 2차 대전 이전의 건축양식과 도시설계 패턴으로 회귀하자는 기본정신 속에서 발표된 도시설계 원칙을 담은 헌장
전체 27개조의 헌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조의 사상을 배경으로 구체적인 설계기준과 원리를 제공
역사적인 양식과 건축적 형태의 중시, 건축형태에 대한 관리 및 규제, 소규모 개발 선호, 대중교통중심개발, 커뮤니티의 공공성 중시 등 이전의 헌장들과 차별성을 지님
2) 뉴어바니즘의 대표적인 설계원칙
환경과의 관계 |
토지이용 |
녹지공간의 확충 삶의 질적 향상 도시 에너지 소비 절감 | |
조밀한 밀도개발 복합용도개발(MXD) 복합적이고 다양한 토지이용 | |
교통 |
제도 및 주민참여 |
친환경 보행로 조성 대부분의 시설은 도보권 내에 위치 대중교통 지향형 개발(TOD) 지역적 개발은 대중교통 중심의 압축개발 |
‘도시 가꾸기’에 주민 참여유도 주민활동지원(Social Mix 차원) 지역공동체를 위한 거점 구축 다양한 사회계층, 연령층의 주민들 공존 |
계획 및 방안 |
미적부분 및 보전 |
생태계를 토대로 한 지속가능성의 고려 인간척도 지닌 근린주구 중심의 도시로 회귀 |
지역성·장소성 부각 역사적인 양식과 건축형태 중시 건축물 및 도시설계의 질적 향상 |
5. 4개 주요 헌장의 계획원리 비교분석
아테네 헌장(1933) |
마추픽추 헌장(1977) |
메가리드 헌장(1994) |
뉴어바니즘 헌장(1996) | |
목표 |
ㆍ물리적 환경의 중요성 ㆍ자연보전 ㆍ녹지확보(고층화를 통한) |
ㆍ자연환경과의 조화(생태, 에너지) |
ㆍ도시환경과 자원보호 ㆍ자연환경과 도시환경의 균형 유지 |
ㆍ생태계를 토대로 한 지속가능성의 고려 |
삶의 질 |
ㆍ밀도 통제(주거유형별) ㆍ직주근접 |
ㆍ삶의 질과 자연과의 조화 ㆍ공동체 조성 ㆍ계층 간 공존 |
ㆍ도시 활력과 삶의 질 향상 ㆍ개인의 자유와 집단의 특성 존중 ㆍ시민과 정부의 양방향 대화 확대 ㆍ지역성(개성부여) |
ㆍ건축물 및 도시설계의 질적 향상 ㆍ녹지공간의 확충 ㆍ삶의 질적 향상 ㆍ지역성·장소성 부각 |
주변과의 관계 |
ㆍ도시(도시를 지역의 일부로 간주)와 주변지역 관리 및 각 부문 균형발전 ㆍ도·농 통합계획 수립촉구 ㆍ타계획과 연계 |
ㆍ도시와 주변지역 일체적·계획적 관리 ㆍ국토·지역·도시·지구계획의 연계 |
ㆍ도시와 주변, 도시와 도시간 균형발전 ㆍ도시성과 활력의 교외지역 확산 유도 |
ㆍ인간척도 지닌 근린주구 중심의 도시로 회귀 ㆍ조밀한 밀도 개발 |
척도 |
ㆍ휴먼스케일 강조 |
ㆍ사용자 중심의 건축 ㆍ개별 건축물이 아닌 주변공간 및 전체공간의 조화 |
ㆍ건물은 시민의 물적 요구와 내적 세계 반영 |
ㆍ대부분의 시설은 도보권 내에 배치 |
토지이용 계획 |
ㆍ고충화를 통한 공공시설 확보 ㆍ기능분리 ㆍ좋은 입지에 위치(지형, 기수, 밀도, 녹지, 공중위생 감안) |
ㆍ다양한 기능간 통합 ㆍ입지·계획에 있어 계층 간 분리 지양 |
ㆍ복합적이고 다양한 토지이용 ㆍ복합용도개발(MXD) | |
교통계획 ·보행권 |
ㆍ도로확장 및 특성에 따른 도로기능 구분기법 도입 ㆍ과학적 교통계획 설계의 필요성 강조 ㆍ보차분리 / 교차로 입체화 |
ㆍ교통수단간 연계강화 ㆍ대중교통계획수립 / 대중교통 우선 ㆍ도로확장 비판 |
ㆍ대중교통수단 중심체계 확립 ㆍ공간적 이동의 대안적 방안 개발 ㆍ보행·자전거에게 우선권 부여 |
ㆍ대중교통지향형 개발(TOD) ㆍ지역적 개발은 대중교통 중심의 압축개발 ㆍ친환경 보행로 조성 |
역사문화 보전 |
ㆍ가치 있는 건축물 보전 ㆍ고충화를 통한 녹지·일조 확보 |
ㆍ문화적 대상 보호·보전 |
ㆍ각각의 의미와 개성 보유(미적 세계 반영) ㆍ문화유산의 존중 / 복구의 문화 확립 |
ㆍ역사적인 양식과 건축형태 중시 |
기술· 자원 |
ㆍ기존 도시체제가 기술발전에 적응하지 못함을 비판 ㆍ기술의 최대한 활용 추구 |
ㆍ기술발전의 영향 및 기대 ㆍ기술의 양면성과 이성적 활용의 필요성 강조 ㆍ자원한계 내에서 도시성장 관리 ㆍ환경오염문제 해결방안을 도시계획 측면에서 모색 ㆍ인구집적지역에서의 오염대책 조치 강구 |
ㆍ기술혁신, 정보통신의 활용(공간극복 가능 시사) ㆍ도시 복잡성 관리를 위한 신기술·기술혁신 ㆍ자원의 존중 ㆍ재화·용역·시설의 실수요에 따른 공급 |
ㆍ도시에너지 소비절감 |
제도· 주민 참여 |
ㆍ도시계획제도 확립 촉구 ㆍ전문가에 의한 과학적 계획 |
ㆍ제도적 장치 강구 (토지의 공적 사용을 위함) ㆍ계획의 중요성 강조(실천 지향하는 동태적 과정임을 정치인들에게 인식 ㆍ계획과정에 모든 관련자 참여 ㆍ주민커뮤니케이션 |
ㆍ정부의 도시개발·관리기능 강화 및 개인적 성장 자원 ㆍ(민주적 참여) 모든 시민에게 역할 부여·상호 공존 ㆍ정부와 시민의 쌍방향 대화 보장 ㆍ도시 조성·관리는 정부와 시민의 공동의무 |
ㆍ‘도시 가꾸기’에 주민 참여 유도 ㆍ주민활동지원(Social Mix 차원) ㆍ다양한 사회계층·연령층의 주민들 공존 ㆍ지역공동체 위한 거점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