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DA식 토론
※ CEDA란?
세다 토론은 교차 조사식(질문식)토론이라고도 불리우며, 정식 명칭은 CEDA(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입니다.
미국 대학간 아카데미식 토론대회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논제와 관련된 자료조사와 제기된 주장을 입증하는 증거제시를 평가받게 되는 형식입니다.
※ 방식
보통 팀원은 2~3명으로 구성되며 각각 입론, 교차조사, 반박의 기회를 갖습니다.
(3명보다 2명의 토론이 더 일반적이어서 2명의 토론방식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3명일 경우 입론이 4분, 교차조사가 2분으로 단축되고 방식은 동일하다는 점 말씀드립니다.)
토론 시작(5분)- 사회자: 개회 선언, 진행 순서 소개 등(3분)
참가자: 팀 소개(팀 별 1분)
토론 중간(52분)-
찬성측 첫 번째 토론자의 입론(6분)
반대측 두 번 째 토론자의 교차조사(3분)
반대측 첫 번째 토론자의 입론(6분)
찬성측 첫 번째 토론자의 교차조사(3분)
찬성측 두 번째 토론자의 입론(6분)
반대측 첫 번째 토론자의 교차조사(3분)
반대편 두 번째 토론자의 입론(6분)
찬성측 두 번째 토론자의 교차조사(3분)
반대측 첫 번째 토론자의 반박(4분)
찬성측 첫 번째 토론자의 반박(4분)
반대편 두 번째 토론자의 반박(4분)
찬성측 두 번째 토론자의 반박(4분)
+ 숙의 시간, 즉 작전타임은 각 팀에게 10분씩 주어지며 분할 사용이 가능합니다. 입론 전 후, 교차조사 전 후, 반박 전 후 등 필요한 상황에 사용이 가능하지만, 상대팀이 발표를 하고 있을 때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작전타임을 잘 사용하는 것도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토론 마무리(10분)- 사회자: 대회 종료 선언 및 소감 발표 안내, 참가자 토론 소감 발표
※ 추가 설명
긍정측과 반대측의 토론자들은 토론의 핵심 요소들을 필수 쟁점으로 제시해야 하는데 이때 토론의 핵심 요소란
토론의 핵심 요소
1. 논제와 관련하여 지속되는 문제점이 내재한다.
2. 이 문제는 즉각적 관심을 기울여야할 중요한 사안
3.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긍정측이 제시한 주장이 가장 실행 가능한 방안
을 뜻합니다. 과거와 현재의 자료를 사용하여 설득력있게 분석하고, 제시한 문제해결방안이 가장 결정적인 해결성이 있음을 논리적으로 입증해야합니다.
또한 세다식 토론에서 중요한 교차조사란 상대방의 논리에 나타난 문제점을 부각시키는 심문입니다. 즉 상대방의 첫 입론을 주의 깊게 듣고 그 입론에서 주장된 내용만을 가지고 상대방의 논리의 허점, 오류 등을 부각시키거나 자기 팀의 주장과 배치되는 부분을 찾아내어 날카로운 질문을 함으로써 토론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료출처의 신뢰성에 대해 묻거나 제시된 사실의 근거 등 입론자가 한 말에 대해서는 무엇이든 질문할 수 있습니다.
[출처][토론회 자료] CEDA 토론방식 (고등학생 국제 외교연합)|작성자연구송윤지
(2) 의회식 토론(Parliamentary debate)
의회식 토론은 사회자의 중제와 진행에 따라서 긍정적(찬성-여당)측의 입장과부정적(반대-야당)의 입장에서 토론을 진행하는 방식이 대표적인 형식이다.
토론자는 보통 2인~3인으로 구성되며, 1820년대 영국에서 시작하여 최근에는TV토론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의회토론의 가장 큰 특징은 교차조사시간, 즉 토론자 상호간의 교차조사가 없다는 것이 CEDA방식과 가장 큰 차이점이며, 대신 상대측이 발언을 하고 있는 동안에도 보충질의(points of information), 의사진행발언(points of order), 신상발언(points of personal privilege) 등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보충질의(points of information)는 ①토론 짧은 주장, 간단한 질문, 설명요구 등을 위해서 사용되고, 상대팀에 직접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
의사진행발언(points of order)은 상대측이 토론의 규칙을 위반하거나, 논제의 범위를 벗어났을 때 사용하며, 사회자(의장)에게 직접 요청한다.
신상발언(points of personal privilege)은 상대측이 심각한 인식공격이나, 왜곡된 해석을 저질렀을 때, 사회자(의장)에게 직접 요청하는 발언이다.
[출처]의회식 토론(Parliamentary debate) (휴먼스피치문화원)|작성자휴먼
3. 칼포퍼식 토론 순서 및 발언 시간
1) 3명의 경우 (29분 소요)
찬성측 |
|
반대측 |
갑 입론(3분) |
⇒ |
2. 을 확인 질문(2분) |
|
|
⇓ |
4. 을 확인질문(2분) |
⇐ |
3. 갑 입론(3분) |
협의시간(1분30초)⇓ |
|
|
5. 병 반론(3분) |
⇒ |
6. 갑 확인질문(2분) |
|
|
⇓ |
8. 갑 확인질문(2분) |
⇐ |
7. 병 반론(3분) |
협의시간(1분30초)⇓ |
|
|
9. 을 반론(3분) |
⇒ |
10. 을 반론(3분) |
2) 4명의 경우 (35분 소요)
찬성측 |
|
반대측 |
갑 입론(3분) |
⇒ |
2. 을 확인 질문(2분) |
|
|
⇓ |
4. 을 확인질문(2분) |
⇐ |
3. 갑 입론(3분) |
협의시간(1분30초)⇓ |
|
|
5. 병 반론(3분) |
⇒ |
6. 갑 확인질문(2분) |
|
|
⇓ |
8. 갑 확인질문(2분) |
⇐ |
7. 병 반론(3분) |
협의시간(1분30초)⇓ |
|
|
9. 을 반론(3분) |
⇒ |
10. 을 반론(3분) |
|
|
⇓ |
12. 정 최종발언(3분) |
⇐ |
11. 정 최종발언(3분) |
4. 칼포퍼식 토론 참고영상
http://code.sookmyung.ac.kr/index.htm
토론대회-토론대회자료 숙명토론대회 동영상(1) (2)
(1회에는 서두가 기네요. 2회부터 보시면 확인질문하는 곳부터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