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자본주의 시대는 대략 18세기부터 2차 세계대전이 끝나는 1945년까지, 200년 정도의 기간이다. 중세의 생산수단인 장원은 근대에서는 공장과 자본으로 대체되었다. 생산수단이 변화함에 따라 이를 소유한 지배 권력도 왕과 영주에서 브르주아로 이동했다. 생산수단을 소유한 사람들을 부르주아(자본가 계급) ,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못한 사람들은 '프롤레타리아' (노동자 계급)이라 불렀다.
사회의 구성원은 매우 단순했다.생산수단을 소유 여부에 따라 2개로 나눠졌다는 것이다. 부르주아는 생산수단을 통해 지속적으로 부를 축척할 수 있지만 프롤레타리아는 부의 축척은 고사하고 먹고 사는 어려움에 처해질 수 밖에 없다. 그에게는 몸뚱이 외 아무것도 가진것이 없으므로 먹고 살기위해서는 공장을 가진, 부를 가진 자본가에게 몸을 맡껴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노동력의 댓가로 임금이란 형태를 받아서 살아가야 한다.
부르주아는 프롤레타리아의 노동력으로 생산물을 얻고, 그 생산물을 판매해서 얻은 이익을 모두 소유한 후에, 그 중에서 적당한 금액을 책정해서 떼내 프롤레타리아에게 지급한다. 실제로 노동하고 생산물을 만들어낸 것 프롤레타리아였지만, 부의 축척은 생산수단을 소유한 브르주아 몫이 되는 것이다. 기업가는 고용에 따른 비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이윤을 최대화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반면 기업에 고용된 노동자들은 자신의 노력과 성과에 비해 언제나 월급이 적다고 느끼고, 정상적 분배를 위해 단결하고 집단적으로 대응한다. 이것이 근대나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갈등의 본질이다.
산업혁명은 생산수단을 가지지 못한 프롤레타리아에게 노동착취와 노동자를 부속품으로 취급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자본가와 갈등이 증폭하는 계기가 되었다. 노동 계급의 권리 신장을 위한 투쟁 및 사회주의 운동이 발발하였고, 칼 마르크스를 필두로 해 공산주의가 생겨나는 등 정치체제에도 변화를 일으키게 되었다.
자본주의는 산업혁명에 의해 시작되었다. 즉, 산업혁명이 자본주의 탄생시킨 것이다. 산업혁명은 특별한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기계와 분업을 통한 대량생산을 가능케 했다는 것이다. 막대한 생산물이 화폐와 만나면서 필연적으로 자본주의가 발생했다. 자본주의는 공장을 기반으로 함으로 공장의 특징이 자본의 특징으로 귀결되었는데 공장의 특징은 대량생산이고, 자본주의 특징은 공급과잉이다.
공장이 없었던 중세에는 물건이 필요하면 장인에게 미리 주문을 해서 완성되면 받으면 되었다. 수요가 있는 만큼 공급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근대에 들어오면 공장에서 주문이 없더라도 미리 물건을 대량으로 생산해 낸다. 기다릴 필요도 없이 이미 많이 만들어진 물건을 골라잡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특성, 즉 물품을 구입하려는 욕구보다 이미 생산된 물품이 더 많은 상태가 자본의주의 특성이다.
여기서 중요한 의미는 자본주의 특성은 '공급이 수요보다 많은 상태다' 이것을 전문용어로 공급과잉, 또는 초과공급이라고도 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오늘날 그냥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가보면 쉽게 알 수 있다. 팔기위해 진열해 놓은 상품은 언제나 넘쳐난다. 오죽하면 매스미디어를 활용 광고를 해서 좀 사달라고 끊임없이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넘쳐나는 상품의 공급과잉 상태가 비정상적인 상태가 아니라 자본주의의 가장 일반적이고 본질적인 구조이다.
상품이 더 이상 안팔리는 공급과잉은 생산을 중단해야 하지만 공장을 쉬게하는 것은 자본가에게 치명적 손해를 가져온다. 공장유지비, 임금 등 고정된 비용은 계속 지출되고, 결국은 자본가 자신도 망해야 한다. 즉, 공장은 계속 가동해야 한다. 그러면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인류는 이것을 새로운 시장개척으로 해결했다. 더 이상 본국에서는 상품을 팔 곳이 없으므로 아프리카, 인도, 남미, 아시아 등으로 미지의 판로를 개척하는 식민지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것이 제국주의 시대의 시작이다.
첫댓글 근대 자본주의에 대한 글 흥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네..감사합니다.
역사를 공부하는 것은 그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한 것이기보다는
지금의 나, 지금의 우리, 지금의 현실을
알기위한 것이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