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Biostatistics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자료실 유의수준(level of significance)
안재형 추천 0 조회 16,839 11.04.20 04:05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1.04.21 00:02

    첫댓글 p값의 개념을 설명하는 게 참 어려운 일이지요. 저도 p값을 설명해야 할 일이 가끔 있는데 그때마다 적절한 사례를 들기 어렵더군요.ㅎㅎ

  • 11.05.18 17:52

    A라는 나뭇잎이 N(10,1^2)을 따른다고 가정한다면, 이는 아마도 식물학에 의거하여 충분한 Data로 확보한 Parameter
    일 것입니다. 이에, 가설 수립을 H0: 하나 발견한 나뭇잎은 A 나뭇잎일 것이다. H1: 하나 발견한 나뭇잎은 A 나뭇잎이
    아닐 것이다. 정량적으로 표현한다면 H0: μ=10cm H1: μ≠10cm 일 것입니다. 물론 양측검정 시입니다.
    여기서 표본수가 1개로 12.5의 관측치를 얻어냈습니다. 물론 이해 시키기기위한 예이긴 하겠지만, 실무에 있어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식물학적으로 A라는 나뭇잎의 표준편차가 1cm라는게 매우 충분히 작은 값이라면 개개 Data로 검정한는데 무리가 없겠지만,

  • 11.05.18 17:53

    그렇치 않다면 충분한 시료수를 설계하여 표본평균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가령, 몸의 체온에 대한 검정일 경우, 개개인의 체온은 정상적인 건강상태를 유지할때 편차가 극히 적습니다. 몸에 감기기운이 생길 경우 체온은 급격히 차이가 납니다. 이러한 경우는 개개 Data로 분석하는 경우가 있으나 실무에서는 극히 찾아보기 힘듭니다. 어떤 확률변수의 특성을 생각하지 않고(편차가 큼에도 불구하고) 1,2개 표본으로 모수를 일반화 시키려는 행위가 생각보다 의외로 많다는 것입니다.
    또한, N(10,1^2)는 Parameter인데 Parameter로 계산한 범위를 Confidence Interval이라고 지칭한 것은 오류 아닌지 여쭈고 싶습니다.

  • 11.05.18 17:54

    "95% Confidence Interval"이란 정의로 참 얘기도 많았지만(공부하는 자들과), 어떤 확률변수는 N(μ,σ^2)을 따르는 정규분포일때, 적절 표본(그 분야의 기술적 전문가와 협의하에)을 채취하여 얻은 통계량으로 Confidence Interval을 구하고, 표본을 측정했을 때와 차이나지 않는조건(변수통제)하에 이런한 Test 표본채취를 100번할 경우 95번은 구한 Confidence Interval에 포함할 것이다.입니다. 좋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작성자 11.05.18 21:32

    명시는 안했지만 여기서 신뢰구간은 "귀무가설이 사실"일때 신뢰구간입니다. 보통 통계패키지에서 보여주는 CI입니다. 주어진 데이터를 가지고 구하려면 bootstrap등 여러가지가 있겠죠.

  • 11.11.26 07:49

    유의수준과 p value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학교를 나와도 그저 그러했는데 오늘 잘 봤습니다.
    시나브로님 얘기도 잘 들었습니다. 모수(parameter)로 계산한 범위와..... 표본 채취 100번 했을때 95번이 포함되는 범위를
    CI로 하는지...... 일반적으로는 모수로 간단히 하지 않나요? 그리고 그 CI의 실제 의미가 100번 반복시 95번이 포함된다라고
    하지 않는지요 ?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