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누구인가~~?!
꿈과 소망
사랑

영화[ 레미제라블 ]은 빅토르 위고의 원작소설(1862년) 보다는 1985년
런던 초연 이후 지금까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카메론 매킨토시(프로듀서)의 뮤지컬에 뿌리를 두어
거의 전 대사가 노래로 된 실제 공연의 감동을
스크린으로 옮긴 작품입니다

[레미제라블]을 연출한 톰 후퍼(Tom Hooper // 1972년 생)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후 TV 시리즈
연출을 하다가 영화계로 진출하였습니다.
2010년 [ 킹스 스피츠 ]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받았습니다.


고개 숙여, 하늘에는 신이 없고, 땅에는 자비가 없고, 나는 죄가 없네.
주님은 관심도 없어. 고개 숙여. 모두 다 널 잊었어.
넌 영원한 노예일 뿐
< Look down >
오프닝 테마곡 < Look down >으로 시작하는
영화[ 레미제라블 ] 속 사건과 시대적 배경을
잠시 살펴보려합니다.
{ 프랑스 대혁명 }
1789년 프랑스에서는 시민혁명이 일어나 국왕 루이 16세를 처형하고
왕이 없는 나라를 선포합니다. 왕은 사라졌지만
경제도 실종되어 살인적 물가고를 겪게 됩니다.

{프랑스 대혁명}이 일어난 7년(1796년) 후
굶주린 조카를 위해 빵을 훔치다
체포된 장발장은 19년 동안 '노역형'에 처해진
죄수가 되어 나폴레옹의 시대가 저문 1816년 가석방됩니다.
{ 나폴레옹 }
군인 출신 나폴레옹(1799년)이 쿠데타를 일으켜 통령에서 황제로
스스로 오르지만 워털루 전투(1815년)에서 패해
역사 너머로 사라집니다.

하루가 지나가면 또 하루 늙어갈 뿐. 이것이 가난한 자들의 삶.
주머니에는 1주일을 버틸 돈만 있어.
뼈 빠지게 일 안 하면 굶주릴 수밖에 없네.
공장 노동자들의 테마곡
< At the end of the day >

장발장은 기업가로 변신하여 1820년대 프랑스 북부 소도시
몽레이유에서 시장이 됩니다.
{ 7월 혁명 }
나폴레옹 몰락 이후 다시 왕조를 받아들인
프랑스인들은 왕이 점차 자유를 탄압하고
과거로 돌아가려는 모습을 보이자 1830년 7월
다시 한 번 혁명을 일으켜 새 왕을 추대합니다.

예전에 난 꿈을 꾸었었지 그땐 희망에 찼고
인생은 살아볼 만 했지 사랑은 영원하리라 믿었고
신은 자비로울 거라 여겼지만
잔혹한 현실은 한밤중에 천둥소리를 내며 들이 닥치네
< I Dreamed A Dream >

부르주아들은 부의 힘으로 귀족과 같은 위치로 오르지만
천민 자본주의시대의 헐벗은 판틴은 절규합니다.


판틴의 어린 딸 코제트를 만나 삶의 의미를
새롭게 다지는 장발장

TV를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에서 쉴 새 없이 쏟아지는
달콤한 CM처럼 사람을 현혹시켜 이득을 취하는
천박한 상혼과 사기의 경계선을 오가는
테나르디에 부부를 보면서
오늘의 상도의는 얼마나 좋아졌는지 생각하게 됩니다.

장발장의 배려와 보호,
에포닌의 죽음으로 맺어지는 코제트와 마리우스,
이 둘의 사랑과 행복은 결코 자력만의
결과가 아니기에 공감대가 다소 미약해보입니다.

난 그를 사랑해, 난 그를 사랑해
하지만 나 혼자 뿐이지
< on my own >

'에포닌' 역은 캐스팅에서 가장 치열한 경쟁이 있었던 배역으로서
2010년부터 뮤지컬《레 미제라블》에서도 '에포닌' 역을
맡고 있는 ‘사만다 바크스’가 낙점되었습니다.
에포닌이 보여주는 애틋한 정서는 지금도
가슴을 먹먹하게 합니다.

우리는 예전에 자유를 위해 싸웠는데 지금은 빵을 위해 싸우네.
평등이란 대체 무엇인가, 죽으면 평등해지지. 기회를 잡아.
비바 프랑스!
< Paris Look down >

처참한 바리케이드 몰락과 함께
어린 가브로슈의 안타까운 죽음은
물 한 방울에 불과하였지만 곧 바다를 이루게 됩니다.

악의 화신이라 믿고 있던 장발장의 용서 앞에 자베르는
영혼마저 죽임당하는 혼선을 겪으며,
맨붕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자살에 이릅니다.

자베르는 구약의 율법론자를 대변하는
장발장의 대척점에 있는 구시대의 수호자로서
비호감 인물이지만 ‘춘향전’의 ‘변사또‘와는
궤를 달리하는 엄정한 공인일 뿐입니다.
{ 2월 혁명 }
1835년부터 안정을 유지했던 루이 필리프 왕정은 1846년 대흉작으로
물가가 폭등하고, 실업자가 급증하면서
7월 혁명을 일으켰던 Guizot 내각의 부패와 무능을 규탄하는
노동자 계급이 중심이 돼, 1848년 2월
무장봉기로 루이 필리프 왕정을 끌어내리는데 성공합니다

우리가 죽고나면 민중들이 일어날 것이다.
내일이 오면 새 삶이 시작되리라
내일은 오리라.
< Do you hear the people sing >
영화의 마지막 합창 장면은 장발장의 죽음과 묘비명에 얽힌 후일담으로
끝나는 원작 소설과 달리 뮤지컬 버전입니다.

{ 삼색기 }
자유 평등, 박애를 상징하는 프랑스국기의 삼색은 1789년
프랑스 혁명 당시 라파예트가 시민에게 나누어 준
모자의 빛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원래는 깃대 쪽에 빨강이 있었는데, 1794년 국기로 공식 제정하면서
현재의 배열로 바뀌었습니다.

Who am I ?
나는 누구인가 ?
장발장이 던지는 화두는
그 만의 것은 아닌 듯합니다.

사전 녹음 후 립싱크를 하는 전통적인 뮤지컬 영화 제작방식에서
탈피하여 촬영 현장에서 연기와 동시에 노래를 부르는 정공법을 시도한
영화[ 레미제라블 ]은 치밀하지 못한 구성과 평면적 연출이라는
결함에도 불구하고
진일보한 훌륭한 뮤지컬 영화입니다.
첫댓글 오 마이 갓~~너무 재미나군요!!
잼나 보아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편한 밤 되세요~~!!
레미제라블! 비참한 이들..
참으로 감동적인 영화였지요.
새벽산님의 포스팅을 보노라니 판틴과 에포닌의 비탄어린 울부짖음이 눈앞에 아른거리네요.
영화를 보면서 개떡같던 80년대가 떠올라 더욱 몰입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당시만 해도 이런 날이 올 것 같지 않았는데.. 우리나라도 많이 발전했습니다. 이땅의 레미제라블도 많았고.. 아직도 많겠지만...
그들의 영상과 운율을 떠올리면 가슴이 아려옵니다~~^^
[ 레미제라블 ]은 아직도 현재 진행형으로 느껴집니다~~!^!
좋은 밤 되세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아이맥스관에서 재개봉한답니다~~^ㅆ^
황산님 리퀘스트로 올린 글입니다~~!
고요한 밤 되세요~~!!
흐~음!!
담주에 마눌하고 보기로 했는데 줄거리를 미리 봤으니 취소 해야겠네요!!
뮤지컬 형식이라니 음향이 튼실해야 하는데...
디브디나 다운 받아서 5.1채널로 거실에서 봐야지~~~
ㅎㅎ 줄거리는 초딩도 아는 데~~^^
존밤 되시삼~~!
"난 그를 사랑해, 난 그를 사랑한 단 말이야"
그런데, 'on my own'
아~~~~!
총맞은 것 처럼, 구멍난 내 가슴아 !
에포닌은 마리우스 대신 총을 정말 맞게 됩니다~~^&^
남녀를 넘어 가족을 포함한 인간관계, 심지어 주변 사물에 이르기까지 집착이 아닌 참사랑은
남모르는 희생이 동반되는 것 같습니다~~!
'on my own' 은 두고두고 여운이 남는 가슴에린 명장면 입니다~~^*^
기업문화 강좌로 추천될정도로 괜찮다고 하던데
저도한번봐야겠다고 생각했는데..
아이맥스관에서 보시면 한결 나아요~~^^
저 여배우 노출로 마음고생 심했던 분 아닌가요?
옙~~! 맞습니다~~!!
여배우의 사생활과 극중 배역은 다른 맥입니당~~^^
두 아들과 마누라...
이렇게 네 식구가 함께 봤던 영홥니다.
앤 해서웨이의 I Dreamed a Dream이란 노래가 아주 인상 깊었죠.
러셀 크로우는 처음부터 위태로운 건물 난간을 걷는 장면을 실었는데
이는 러셀 크로우가 결국 나중에 건물에서 뛰어내려 자살 할거라는 암시를 한 것이 아닌가 생각되어지더군요.
소위 복선이라는 것인데요~~!
그의 캐릭터인 동시에 선악의 잣대위에 놓인 그를 표상하기도 합니다~~^^
좋은 영화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벼르다가 아직 못보고 있는데...
조만간 시간을 내어서 가족들과 함께 봐야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기왕 짬내시면 대극장에서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보려다가 안 봤던 영화였는데 , 다시 찾아서 봐야겠어요!! ㅋㅋ
다운로드 대신 영화관에서 보아주세요~~^^
영화 못보았지만.. 돈 굳었어요.ㅎㅎ
아마 새벽산님의 스토리만큼 재밌지 않을걸요.^*^
과하신 말 씀이십니다~~!
영화를 보고도 시대 배경을 혼돈하시는 분이 제법 있는 것 같아
프랑스 근대 혁명사를 짧게 축약해 보았습니다~~!
영화로 못 보았는 데;;
어느 날 조용히 봐야겠습니다.
강추드립니다~~!
정작 영화를 볼때는 지루해서 하품이 났는데 새벽산님의 글은 훨씬 재미나네요
공감주셔서 감사합니다~~!
각색이 재미있네요
ㅎㅎ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