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所가 멀어서 못 가고 원거리에서 지낼 때 祝文
維歲次 甲申 十月 己未朔 初八日 壬寅 十六世孫 載閏敢昭告于
顯先祖考承仕郞奉事府君
顯先祖比宜人慶州金氏之墓
氣序流易 霜露旣降 適値行路 險難權行 隨時瞻望拜禮 不勝感慕 謹以淸酌 庶羞恭伸奠獻尙饗
해설:유세차 갑신(04년)시월 기미삭(음력10월1일간지)초팔일 임인(음력10월팔일간지)
십육세손 재윤감소고우
현선조고 승사랑봉사부군
현선조비 이인 경주김씨지묘
기서류역 상로기강 적치행로 험난권행 수시첨망배례 불승감모 근이청작 서수공신전헌 상 향
○墓祭 당일 雨天으로 집에서 지낼 때 祝文
維歲次 甲申 十月 己未朔 初八日 壬寅 十六世孫 載閏敢昭告于
顯先祖考承仕郞奉事府君
顯先祖比宜人慶州金氏之墓
氣序流易 霜露旣降 雨天向拜奠于 不勝感慕 謹以淸酌 庶羞恭伸奠獻尙饗
해설:유세차 갑신(04년간지)시월 기미삭(10월1일간지)초파일 임인(10월8일간지)십육세손 재윤감소고우
현선조고 승사랑봉사부군
현선조비이인경주김씨지묘
기서유역 상로기강 우천향배전우 불승감모 근이청작 서수공신전헌상 향
※상기 서식은 특별한 경우에 한하여 축문을 개정하여 사용하는 예문임※
※선조고 묘제 축문을 종손이 써서 가야 할 때는 아래와 같이 예문을 두었으니 참고하여 사용하기 바람
※신광군 춘계 봄에 묘제를 지낼 때 축문임
維歲次 甲申 三月 己未朔 初八日 壬寅 二十四世孫 載閏敢昭告于
顯先祖考平章事崇祿大夫門下侍中壁上三韓三重大匡府君
顯先祖比貞夫人密陽朴氏之墓
氣序流易 雨露旣濡 瞻掃封營 不勝感慕 謹以淸酌 庶羞恭伸奠獻尙 饗
유세차 갑신 시월 기미삭 초팔일 임인 24세손 재윤감소고우
현선조고평장사숭록대부문하시중벽상삼한삼중대광부군
현선조비정부인밀양박씨지묘
기서류역 우로기유 첨소봉영 불승감모 근이청작 서수공신전헌상 향
우제축(虞祭祝) 초우,재우,삼우,축문(初虞,再虞,三虞,祝文)
維歲次 甲申 十月 壬寅朔 初八日 乙亥 孝子(哀子,孤哀子)敢昭告于
유세차 갑신 십월 임인삭 초팔일 을해 효자(애자,고애자)감소고우
顯考處士府君 日月不居 奄及初虞(再虞,三虞) 夙興夜處 哀慕不寧 謹以 淸酌庶羞 哀薦祫事 尙 饗
현고처사부군 일월불거 음급초우(재우,삼우) 숙흥야처 애모불령 근이 청작서수 애천협사 상 향
조기탈상 매혼축(早期脫喪 埋魂祝)
維歲次 甲申 十月 壬寅朔 初八日 乙亥 孝子(哀子,孤哀子)敢昭告于
유세차 갑신 십월 임인삭 초팔일 을해 효자(애자,고애자)감소고우
顯考處士府君(또는 顯妣孺人某氏) 濫從時制 今將澈筵 魂箱埋于墓所 帝號罔極 謹以 酒果用伸 虔告 謹告
현고처사부군(또는 현비유인모씨) 남종시제 금장철연 혼상매우묘소 제호망극 근이 주과용신 건고 근고

※예문:유세차 갑자 이월 병진삭 초팔일 을묘 효자 김갑동 감소고우 현고처사부군 현비 유인김해김씨
세서처역 휘일부임 추원감시 호천망극 근이청작 공신전헌 상 향
※ 상기 예문은 부친 기제사 축문

※ 지방 쓰는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