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
Champromis, Les Oeuvres I, Dictionnaire, PUF, 1992, p. 2003. (P.2190.)
샹프로미(Pierre Champromis, s.d.) 프랑스인으로 니체 탐구자. 독일 본에서(1952-1953), 그리고 하이델베르크에서(1954-) 가르쳤다.
[생애]
1844년에 독일 라이프찌히에 가까운 뢰켄(Röcken)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목사였으며, 그가 다섯 살 때 돌아가셨다. 포르타(Pforta)의 명성있는 고등학교에서 탁월한 중등교육을 마친 후, 본(Bonn)대학에서 그 다음에는 라이프찌히 대학에서 고대철학을 공부하였다. 그의 스승 리츨(Friedrich Wilhelm Ritschl, 1806-1876)의 추천으로, 그는 학위논문 없이 발(Basel, fr. Bâle)대학에 고전문헌학 교수가 되었다. 거기에서 그는 1869년부터 1879년까지 가르쳤다.
이 시기에 그는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와 내밀한 관계가 되었다. 그러나 그들의 관계는 변질되었는데, 그때는 그가 바그너주의에서 자리하고 있었던 희망들을 잃어버렸을 때이다. 1879년에 두통발작이라는 질병으로 그는 발대학의 (교수직) 사임계를 제출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발 대학 당국은 그에게 연금을 승인했다. 그 연금은 개인적으로 작은 수입과 더불어 그가 검소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가구가 갖추어진 방안의 주인이 되어, 그는 이제부터 건강에 좋다는 기후를 찾아서 방황하는 삶을 이어갔다. 여름에는 스위스 엔가딘(Engadin)의 실스 마리아(Sils Maria)에서, 매해 겨울에는 프랑스 니스(Nice)에서 있었다. 젊은 독일 작곡가 페테르 가스트(Heinrich Köselitz, le pseudonyme de Peter Gast, 1854-1918)가 실행한 헌신에도 불구하고 그는 고독하게 지냈다. 1882년 그는 루 살로메(Lou Andreas-Salomé, 1861-1937)를 만났는데, 그녀에게 반했다. 그러나 이런 모험은 본성상 본질적으로 정신적이었으며, 끝내는 좌초하였다. 그의 누이에 관한한, 그녀는 그가 살아있을 때 역할을 하지 못했는데, 그녀는 자신이 그 이후로 역할을 했다고 믿으려 했다.
1889년 초 몇날 동안에, 튀린에서 니체는 정신이상의 표시를 드러냈다. 이런 정신적 혼란의 시기 이후에, 그는 무의식에 빠져들었다. 사람들은 일반적인 마비라고 진단했다. 그는 [독일 바이마르에서] 1900년 8월 25일 죽었다. - (Pierre Champromis, s.d.) (52LMD)
#[연보]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쉰여섯)
1844 5. Oktober 1844 in Röcken에서 태어났다. 예전의 프로이센 (독일)의 작센 지방의 작은 마을인 뢰켄(Röcken)에서 루터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니체의 아버지인 카를 빌헬름 루트비히 니체(1813-1849)는 루터교회 목사이자 전직 교사이었고, 프란치스카 욀러(1826-1897)와 1843년에 결혼하였다.
1846 여동생인 엘리자베스 니체는 1846년에 태어났다.
1848 남동생인 루드비히 요셉이 1848년에 태어났다.
1851(일곱) 니체는 소년학교에 출석했고 그 다음에는 그가 구스타브 크루크(Gustav Krug , s.d.)와 빌헬름 핀터(Wilhelm Pinder, s.d.)와 친구가 되었다.
1854(열) 그는 나움부르크에 있는 돔김나지움(Domgymnasium Naumburg)에 다니기 시작했으나, 그의 특출한 재능은 음악과 언어에서 발휘되기 시작했다.
1858(열넷) 포르타학교(Schulpforta)에 다니다. - 인도철학사가인 파울 도이쎈(Paul Deussen, 1845-1919), 시종(侍從)인 칼 폰 게르도르프(Carl Freiherr von Gersdorff, 1844-1904)와 친구가 되었다. [이 후자와 편지교환이 책으로 네 권이다]
1864(스물)년 졸업을 한 후에 니체는 신학과 고대 철학을 본 대학에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 다비드 슈트라우스가 쓴 예수의 생애(Das Leben Jesus, 1835~1836)을 읽다.
1865(스물하나)년에 니체는 쇼펜하우어의 글들을 알게 되었고,
1866(스물둘)년 프리드리히 알베르트 랑게의 책, 유물론의 역사와 그 현재적 의미에 대한 비판(Geschichte des Materialismus und Kritik seiner Bedeutung in der Gegenwart)을 읽었다.
1866년 라이프치히에서 배우 헤드비히 라베(Hedwig Raabe 1844-1905)의 연극 공연에서 반했다. 그녀에게 편지를 보냈다.
1867(스물셋) 「(슬픈 격언의 시인인) 테오그니스 풍의 격언의 역사(Zur Geschichte der Theognideischen Spruchsammlung. 1867)」 [테오그니스(Théognis de Mégare, 전570–485) 시인과 작가. 애가(哀歌)의 금언(gnomique élégiaque) 시인]
1868(스물넷)년 10월 라이프치히대학에서 공부를 계속했다. 라이프치히 대학 시절에 우연히 책방에서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접하였고 이에 깊이 감동하였다. 고전문학자 에르빈 로데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 학업을 끝낸 후 그 다음 해에 바그너와 처음으로 만났다.
- 24살에 리츨(Friedrich Wilhelm Ritschl, 1806-1876)의 도움으로, 스위스 바젤 대학교의 고전문헌학 교수에 취임하였다. 바젤 대학교에 들어선 이후, 그는 프로이센의 국적을 포기했으며, 죽는 순간까지도 공식적인 시민권이 없었다고 한다.
1969(스물다섯) 그는 대학교에서 취임 강의로 “호메로스와 고전문헌학”(Homer und die klassische Philologie)(1869)을 연설했다. 그는 신학과 교수인 프란츠 오버베크(Franz Camille Overbeck, 1837-1905)와 어울렸으며, 그와 평생 동안 친구로 지냈다. 당시 러시아 철학자였던 아프리칸 스피르(Afrikan Alexandrowitsch Spir, 1837-1890), 니체가 자주 강의를 들었던 동료 역사학자 야코프 부르크하르트(Jacob Burckhardt, 1818-1897) 등도 니체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1869(스물다섯)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시험과 논문 없이 출판된 저술들만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870(스물여섯)년에서 1871년까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군의관(infirmier)으로 활동했는데, 카우프만은 그가 군의관 활동 당시 매독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이때 디프테리아(la diphtérie)를 앓았다.
- 바그너가 점차 기독교화 되고 〈파르지팔 Parsifal〉에서처럼 기독교적인 도덕주의 모티브를 많이 이용하고, 국수주의와 반유대주의에 빠지자 그와 결별했다.
- 리스트의 딸이고 작곡가 뵐러의 아내였다가 사별 후에 바그너(1813-1883)와 동거했던 코지마(Cosima Wagner, née Francesca Gaetana Cosima Liszt, 1837-1930). 무의식 속에 연인이며 “나의 여신”이라는 문구는 코지마를 이른다고 한다.
1870 소크라테스와 비극, 1870
「호머와 헤시오도스에 대한 피렌체풍의 논문 Der florentinische Tractat über Homer und Hesiod. 1870 (siehe: 호머와 헤시오도스의 갈등Certamen Homeri et Hesiodi).
1872(스물여덟) 니체는 1872년에 비극의 탄생(Die Geburt der Tragödie aus dem Geiste der Musik. 1872)을 썼다. 하지만 리츨과 같은 니체의 동료들은 이 책에 대해 별로 열정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1872 말비다 폰 마이젠부크(Malwida von Meysenbug, 1816-1903) 1872년 만났다가 1876년 다시 만났으나 니체가 적극적이지 못했다.
1872 쓰여지지 않는 다섯권의 책의 다섯 서문(Fünf Vorreden zu fünf ungeschriebenen Büchern. 1872 KSA 1:
I. Über das Pathos der Wahrheit.
II. Gedanken über die Zukunft unserer Bildungsanstalten. (1985년 출간)
III. Der griechische Staat.
IV. Das Verhältnis der Schopenhauerischen Philosophie zu einer deutschen Cultur.
V. Homers Wettkampf.
1873 부적절한 도덕적 의미에서 진리와 거짓말(Vérité et mensonge au sens extra-moral (Über Wahrheit und Lüge im außermoralischen Sinn) (1873)
1873 비극적 고대 그리스시대에서 철학의 탄생(Die Philosophie im tragischen Zeitalter der Griechen. 1873) - 그리스 비극 시대에서 철학의 탄생(La naissance de la philosophie à l’époque de la tragédie grecque) (1873) fr. 1938 [펠로포네소스 전쟁으로부터 비극과 인간본성의 철학이 탄생한다.]
1873년과 1876년 사이에는 반시대적 고찰(Unzeitgemäße Betrachtungen. 1873–1876)을 썼는데, 총4편으로 다비드 슈트라우스, 고백자와 저술가(David Strauß, der Bekenner und der Schriftsteller. 1873), 삶에 대한 역사의 공과Vom Nutzen und Nachteil der Historie für das Leben. 1874), 교육자로서의 쇼펜하우어(Schopenhauer als Erzieher. 1874), 바이로이트의 리하르트 바그너 Richard Wagner in Bayreuth. 1876)로 나뉜다. 네 편의 에세이는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1860)와 바그너가 주장하는 대로, 독일 문화의 발전 노선에 도전하는 문화 비평의 방향을 공유하고 있다.
1876(서른둘) 바이로이트 축제에서 진부한 공연과 대중의 천박함에 혐오감을 느끼고 실망했기 때문에, 결국에는 바그너와 거리를 두게 되었다.
1878(서른넷) 니체는 그 특유의 경구가 가득한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Menschliches, Allzumenschliches: Ein Buch für freie Geister. (mit zwei Fortsetzungen), 1878)을 출판하였다. 또한 니체는 쇼펜하우어와 바그너의 철학에서 이탈하기 시작했다.
1879(서른다섯) 건강이 더욱 악화되면서 니체는 바젤 대학교의 교수직을 사임했다. 사실 그는 어릴 적부터 병치레가 잦았는데, 가끔 두통이나 복통을 겪기도 했다. 1868년에 낙마사고와, 1870년에 걸린 병 때문에 니체의 건강이 더욱 악화된 것으로 보이며, 실제 바젤 대학교에서 휴가를 많이 갖기도 했다.
1881(서른일곱) 아침 놀(Morgenröte. Gedanken über die moralischen Vorurteile. 1881)
1881년 스위스 실스마리아(Sils-Maria)에서 니체가 이 생각을 벼락처럼 떠올린 건, 마호메트가 동굴 속에서 알라의 계시를 받은 것과 비슷해 보인다.
1881-1888 여름 휴양 스위스 실스마리아(Sils-Maria)에서, 겨울 휴양은 이탈리아(in Italien (Genua, Rapallo, Turin) und in Nizza)에서
1882(서른여덟) 즐거운 지식 Die fröhliche Wissenschaft („la gaya scienza“). 1882)
- 1876에 이어 1882년 둘째 만남, 마틸데 트람페다하((Mathilde Trampedach, 1853-?) Malvida von M 그녀에게 청혼의 편지를 주었지만 용기있게 말을 하지 못했다.
- 1882년 루 살로메(Lou Salomé, 1861-1937)를 파울 레((Paul Rée, 1849-1901)의 소개로 만났다. 두 번이나 청혼했으나 거절당했다고 한다.
1885(마흔하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Also sprach Zarathustra: Ein Buch für Alle und Keinen. 1883–1885)
1886(마흔둘) 선악의 저편(Jenseits von Gut und Böse: Vorspiel einer Philosophie der Zukunft. 1886)
1887(마흔셋) 도덕의 계보학(Zur Genealogie der Moral: Eine Streitschrift. 1887)
이 사람을 보라(Ecce homo: Wie man wird, was man ist. (1888)
1888(마흔넷) 이 사람을 보라(Ecce Homo: Wie man wird, was man ist)는 프리드리히 니체의 마지막 저작이다. 1888년에 쓰여졌으며, 1908년에 출판되었다.
1889(마흔다섯) 년 1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졸도한 후 정신병원에 입원하여 생애의 마지막 10년을 보냈다
1889 와그너에 반대하는 니체(Nietzsche contra Wagner. 1889
1889 디오니소스 찬가(Die Dionysos-Dithyramben, 1889(1991 부분 출판, 1895 완간) fr. Dithyrambes de Sionysos, 니체의 연작시(Gedichtzyklus)
1890(마흔여섯) 이때부터 병에 시달림.
1895(쉰하나) 안티크리스트(Der Antichrist: Fluch auf das Christentum. 1895)
우상의 황혼(Gotzen-Dämmerung oder Wie man mit dem Hammer philosophiert (fr. Crépuscule des idoles) [영위키: Twilight of the Idols (1888) The Antichrist (1888)]
1900(쉰여섯) 25. August 1900 in Weimar에서 죽었다.
†1901 ; 권력의 의지(Willen zur Macht)(권능의 의지(La Volonté de puissance, The Will to Power)은 여동생(Elisabeth Förster-Nietzsche 1846–1935)과 니체의 친구인 가스트(Peter Gast, 본명: Johann Heinrich Köselitz, 1854–1918)에 의해 정리된 글들이다(1888년에 쓰다만 글이라 한다) - 기획된 제목 La Volonté de puissance, essai de transmutation de toutes les valeurs (Der Wille zur Macht - Versuch einer Umwertung aller Werte).
1895
**
80?경 호메로스(Homère, Ὅμηρος /Hómêros, «otage» ou «celui qui est obligé de suivre», av. J.-C. 9세기) 그 시인(le Poète, ὁ Ποιητής/ho Poiêtếs)이라 불린다. 이오니아인으로 추정하며 맹인일 것이다.『일리아드(Iliade Ἰλιάς/Iliás,)』와 『오딧세이(Odyssée Ὀδύσσεια/Odússeia)』/ 니체는 「호머와 고전 문헌학(Homer und die klassische Philologie. 1869」(바젤 대학 취임 강연)
610-546 아낙시만드로스(Anaximandre, Ἀναξίμανδρος/Anaxímandros 기원전 610-546): 무규정자(l'indétermine, apeiron)
585-500 퓌타고라스(Pythagore, Πυθαγόρας/Pythagóras 기원전 580-497) 사모스 출생 83살. 수(le nombre) / (580-485년경) 그는 종교개혁자이며 수학자. [퓌타고라스 죽고 난 30년이 지나야 소크라테스가 출생한다. 퓌타고라스 3세대 후에 티마이오스가 나올 수 있다]
570 테오그니스(Théognis de Mégare, 전570–485), 시인과 작가. 애가(哀歌)의 금언(gnomique élégiaque) 시인
544 헤라클레이토스(Héraclite, Ἠράκλειτος, 기원전 544-480) 이오니아 에페소스 출신, 불(le feu), 투쟁의 변증법. fr.Wiki, 전544경/541 Éphèse -전480경 Éphèse.
540-450 파르메니데스(Parménide, Παρμενίδης/ Parmenídês, 기원전 540-450) 존재가 있다(L'Etre est) / fr.Wiki 520/510 - vers 450-448[2]. [소크라테스 20살에 파르메니데스가 죽었다]
487-380?? 고르기아스(Gorgias, Γοργίας 487-380??) 시실리 레온티노이(Léontinoi en Sicile)출신, 못말리는 자(Enfant terrible), 때 맞는 시간(Kairos, καιρός) 개념 창안. / 고르기아스(Gorgias en gr. Γοργιαςs) 460?경활동 (fr. 위키) 시실리 출신, 엠페도클레스의 제자, 108세까지 살았다.
485-411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d'Abdère, Πρωταγόρας, 기원전 485-411) 압데라 출신, 인간 만물척도(L'homme est la mesure de toutes choses)
480-406 유리피데스(Euripide, Εὐριπίδης / Euripídês, Salamine 480 -Macedoine 406) 소크라테스(Socrate, 전470-399)의 친구였다. / 그리스 3대 비극 작가: 아이스퀼로스(Eschyle, Αἰσχύλος 전525-전456), 소포클레스(전497-전406), 에우리피데스.
470 멜리소스(Mélissos de Samos, Μέλισσος ὁ Σάμιος/Mélissos ó Sámios) 그리스철학자. 정치가, 이오니아 제독. 엘레아 학파 최후의 인물 444년경에 활동
469-399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469-399; 70살) 아리스토파네스(Ἀριστοφάνης, 450-386)가 소씨를 아테네의 “등에”라고 불렀다.
466 의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crate, Ἱπποκράτης, 466-377) 탄생 ??
460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Δημόκριτος/Dêmókritos, «choisi par le peuple», 전v. 460-v. 370)(90살?) 아브데라( Ἄϐδηρα/Ábdēra) 출신이다. 원자론자 53권의 저술을 썼으나 남아있지 못하다. [소크라테스에 비해 10여 년 어리다. 플라톤 보다 33살정도 많다.]
431-404 펠로포네소스 전쟁(la guerre du Péloponnèse, 기원전 431-404) 시작
427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본명 아리스토클레스 Aristoclès 427-347; 80살) 플라톤이란 ‘어깨가 넓음’을 의미한다. 이데아의 철학자. (소크라테스 나이 42살이었고) [그리고 18년 후에 배울 수 있을 있었다면, 소크라테스 나이 60살이었으며 10여년을 따라다니며 배울 수 있었을 것이다.]
384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Ἀριστοτέλης/Aristotélēs, 384-322: 62살) 스타지르(Stagire)에서 탄생. (플라톤 나이 33세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367년(17살)에 플라톤의 나이 50살에 아카데미아 입학했다고 한다.
4. 나자렛 예수(Jesus de Nazareth, 전04-후29) 태어남. Xristos는 메시아의 번역어이다.
O
1712 룻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 프랑스 17세기 절대왕정 시대에, 사회와 문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지니고, 인민의 자아의식의 성장을 직감했던 계몽의 철학자이다.
1744 라마르크(Jean-Baptiste-Pierre Antoine de Monet, Chevalier de Lamarck, 1744-1829), 『동물철학, 1809』
1788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1860) 독일 철학자. [니체와 쉰여섯 차이] 교육자로서의 쇼펜하우어(Schopenhauer als Erzieher. 1874)(Schopenhauer éducateur, 1874)
1792 바우어(Ferdinand Christian Baur, 1792-1860) 독일의 신학자. 그리스도교 교회사 Geschichte der christlichen Kirche I-V, 1853-63)
1804 포이에르바흐(Ludwig Feuerbach, 1804-1872) 독일 철학자이다.
1806 리츨(Friedrich Wilhelm Ritschl, 1806-1876) 니체의 스승. 니체의 대학교수직 추천.
1808 스트라우스(David Friedrich Strauss, 1808-1874) 독일 역사가, 신학자. [서른두 살 위] - 다비드 슈트라우스, 고백자와 저술가(David Strauß, der Bekenner und der Schriftsteller. 1873)(David Strauss, sa profession de foi et son style) -
1809 찰스 다윈 (Charles Darwin 1809-1882) 진화론. 1859년 종의 기원발표
1813 바그너(Wilhelm Richard Wagner, 1813-1883) 독일 작곡가. 수필가. [니체와 서른하나 차이] 트리스탄과 이졸데 (Tristan und Isolde)(1859), 니벨룽의 반지(Der Ring des Nibelungen)는 다음 네 개의 악극으로 구성됨: 라인의 황금"(Das Rheingold)(1854), 발퀴레(Die Walküre)(1856), 지크프리트(Siegfried)(1871), 신들의 황혼(Götter- dämmerung)(1874). 파르지팔(Parsifal)(1882) / 바이로이트의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 in Bayreuth. 1876)(Richard Wagner à Bayreuth, 1876)
1816 니체의 연인(?), 말비다 폰 마이젠부크(Malwida von Meysenbug, 1816-1903) 1872년 만났다가 1876년 다시 만났으나 니체가 적극적이지 못했다.
1818 니체가 자주 강의를 들었던 동료 역사학자 야코프 부르크하르트(Jacob Burckhardt, 1818-1897) 등도 니체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1820 코르센(Wilhelm Paul Corssen, 1820-1875) 독일의 고전 문헌학자. Götzen-Dämmerung oder Wie man mit dem Hammer philosophirt (1889)
1837 신학과 교수인 프란츠 오버베크(Franz Camille Overbeck, 1837-1905). 니체의 평생 친구.
1837 러시아 철학자였던 아프리칸 스피르(Afrikan Alexandrowitsch Spir, 1837-1890).
1837 코지마(Cosima Wagner, née Francesca Gaetana Cosima Liszt, 1837-1930): 리스트의 딸이고 작곡가 뵐러의 아내였다가 사별 후에 바그너(1813-1883)와 동거했던 코지마(Cosima Wagner, née Francesca Gaetana Cosima Liszt, 1837-1930). 무의식 속에 연인이며 “나의 여신”이라는 문구는 코지마를 이른다고 한다.
1837 오베르벡(Franz Camille Overbeck, 1837–1905) 독일 프로테스탄트 신학자. 니체의 친구. 1870년 바젤대학의 교수(신약 및 크리스트교 역사 전공), 니체의 “반시대적 고찰”과 같은 시기에 나온 Christlichkeit unserer heutigen Theologie(1873), Über die Christlichkeit unserer heutigen Theologie 1873 ("À propos du caractère chrétien de notre théologie actuelle") 이 시기에 David Strauss의 Von alten and neuen Glaube (L'Ancienne et la Nouvelle Foi)(1872), 독일 정치이론가인 라가르데(Paul de Lagarde) Über das Verhältniss des deutschen Staates zu Theologie, Kirche und Religion (La Relation de l'État allemand à la théologie, à l’Église et à la religion)(1873) 등이 있다.
1838 폴크만(Diederich Volkmann, 1838-1903) 독일 교사? 고전문학 연구자. 1861 bis 1864까지 고등학교에서 같이 다녔다.
1841 만데스(Catulle Mendès, Abraham Catulle Mendès, 1841-1909) 포르투갈 유대계. 프랑스 작가, 시인. / Friedrich Nietzsche a dédié ses Dithyrambes pour Dionysos à Catulle Mendès, le célébrant comme « le plus grand et le premier satyre vivant aujourd’hui ― et pas seulement aujourd’hui. »
1844 배우 헤드비히 라베(Hedwig Raabe 1844-1905): 1866년(스물둘 동갑) 라이프치히에서 배우 헤드비히 라베(Hedwig Raabe 1844-1905)의 연극 공연에서 반했다. 그녀에게 편지를 보냈다.
1846 여동생(Elisabeth Förster-Nietzsche 1846–1935) 니체의 병상을 지켰다.
1849 파울 레(Paul Ludwig Karl Heinrich Rée, 1849-1901) 독일 철학자, 의사.
1852 프리취(Theodor Fritsch, Emil Theodor Fritsche; 1852–1933) 독일출판업자, 기자. 반유대주의자. 1887년 3월 니체와 편지교환.
1854 페테르 가스트(Heinrich Köselitz, le pseudonyme de Peter Gast, 1854-1918) 독일 작곡가. 니체와 우정을 나눈 자로 유명하다.
1861 루 살로메(Lou Andreas-Salomé, née Louise von Salomé ou Luíza Gustavovna Salomé (russe Луиза Густавовна Саломе) 1861-1937) 러시아출신 독일여류 문학가.
1882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1962) 프랑스 철학자, 과학철학, 시인. 공기와 공상들(L'Air et les Songes, 1943 ch. 5 : « Nietzsche et le psychisme ascensionnel »에서 <와그너의 경우>, <즐거운 지식>을 언급한다고 한다.
1889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 독일 철학자. 나치에 협력자이며 반유태주의자였다. 존재와 시간(Sein und Zeit)
1899 The term "world riddle" concerns the nature of the universe and the meaning of life. / The term "world riddle" or "world-riddle" has been associated, for over 100 years, with Friedrich Nietzsche (who mentioned Welträthsel in several of his writings) and with the biologist-philosopher Ernst Haeckel, who, as a professor of zoology at the University of Jena, wrote the book Die Welträthsel in 1895–1899, in modern spelling Die Welträtsel (German "The World-riddles"), with the English version published under the title The Riddle of the Universe, 1901. / 일단 1899년에 니체는 거의 글을 쓸 수 없었을 것이다. 그 다음해 죽는다. - Also sprach Zarathustra (1896)에 “세계 수수께끼”라는 단어가 여러 번 언급되어 있다고 한다. 그러나 둘이 같이 쓴 것은 아닌데, 같이 쓴 것으로 알려진 것은 니체를 국가주의 또는 나치에 부합한다고 여긴 사람들의 견해인 것 같다. 물론 헤켈(Haeckel)의 사상은 국가주의가 들어 있다고 한다.]
1905 클로소프스키(Pierre Klossowski, 1905–2001) 소설가, 수필가, 철학자, 번역가, 배우 화가.
1920 김기전(金起瀍, 1894-(월북)몰년 미상), 「신(新)-인생표(人生標)의 수립자(樹立者), 프리드리히 니체 선생을 소개함」, 開闢, 권1, 1920. 제2호.
1962 들뢰즈 니체와 철학(Nietzsche et la philosophie)을 출간(PUF)하다. 푸꼬는 1983년 회고에서 들뢰즈와 평생 공유한 문제의식을 이렇게 정식화한다. “우리가 진정으로 니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1965 들뢰즈 니체(Nietzsche)를 출판(PUF)하였다. 여기서 니체의 텍스트를 발췌 편집하였다.
1965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 “Klossowski ou les corps-langage”, in Critique, n°214, mars 1965. 의미의 논리 부록으로 Phantasme et littérature moderne: III. Klossowski ou les corps-langage. / Deleuze, “Klossowski or Bodies-language” in “Phantasm and Modern Literature,” appendix to The Logic of Sense,
1966년 프랑스판 니체 전집이 출간된다. (갈리마르 출판사) Gilles Deleuze avec Foucault
2005 니체 전집(전21권) 출간. (프리드리히 니체, 니체편집위원회 (감수), 책세상, 2005)
(5:32, 52LMD) (9:18, 52PKH)
수정,첨가
1920 김기전(金起瀍, 1894-(월북)몰년 미상), 「신(新)-인생표(人生標)의 수립자(樹立者), 프리드리히 니체 선생을 소개함」, 開闢, 권1, 1920. 제2호.
1923 그르릭(Danko Grlić, 1923–1984) 인문주의 맑스 주의자. 유고슬라비아 대학에서 미학을 가르쳤다. Friedrich Nietzsche (1981)
1925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 프랑스 철학자. 내재성의 철학. 니체와 철학(Nietzsche et la philosophie, 1962), 니체(Nietzsche, 1965). 「드라마화의 방법(La méthode de dramatisation, 1967)」
1926 푸꼬(Paul-Michel Foucault, 1926–1984), 프랑스 철학자, 사회이론가. 문학비평가.
1928 몬티나리(Mazzino Montinari, 1928–1986) 이탈리아 언어학자, 대학교수, 번역가. 1964년부터 독일에서 매년 게르만 문학 확장에 기여한 외국인에게 주는 상(Friedrich- Gundolf) 수상 [군도르프(Friedrich Gundolf, 본명 Friedrich Leopold Gundelfinger, 1880-1931) 독일 시인, 문학전문가]]
?? 가에드(Edouard Gaède, s.d.) / Nietzsche et Valéry: Essai sur la comédie de l'esprit 1962(국가박사학위 논문) 「Nietzsche et la littérature. 1964」
1930 레지날드 J. 홀링데일(Reginald J. Hollingdale, 1930-2001) 영국 작가, 니체 번역가 니체: 생애와 철학(Nietzsche: The Man and his Philosophy, 1965)
1936 바티모(Gianteresio Vattimo, 1936-) 이탈리아 철학자, 정치가. (1993) The Adventure of Difference: Philosophy after Nietzsche and Heidegger,
1952 모리에스(Patrick Mauriès 1952-) 니스부근 출생, 생클루 사범학교 출신, 작가, 기자. 편집장, 문학비평가. Nietzsche à Nice, Gallimard, 2009.
1953 레만(Jan Rehmann, 본명 Johann Rehmann, 1953-) 독일 사회학자, 철학자. Postmoderner Links-Nietzscheanismus. Deuleuze & Foucault. Eine Dekonstruktion, 2004.
1960 박찬국(朴贊國, 1960-) 서울대 교수 <Die seinsgeschichtliche Ubersindung des Nihilismus im Denken Heideggers, 1993, Bayerische, Julius-Maximilian Univ. Wuerzburg.>
1960 김정현(金正鉉, 1960-), 고려대 학 석사, 원광대 교수 <Nietzsches Sozialphilosophie: Versuch einer Ueberwindung der Moderne im Mittelpunkt des Begriffes "Leib", 독일, Bayerische, Julius-Maximilian Univ. Wuerzburg, 2004, Alfred Schoepf>,
1962 들뢰즈 니체와 철학(Nietzsche et la philosophie, 1962)을 출간(PUF)하다. 푸꼬는 1983년 회고에서 들뢰즈와 평생 공유한 문제의식을 이렇게 정식화한다. “우리가 진정으로 니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1963 디오리오(Paolo D’Iorio, 1963-) 이탈리아 철학자, 문헌학자. 니체 전문가. 그는 “권능의 의지”를 조작 또는 표절이라 한다. 권능의 의지라는 기획은 포기되었고 “안티크리스트”로 나오게 된다고 한다.
1965 들뢰즈 니체(Nietzsche, 1965)를 출판(PUF)하였다. 여기서 니체의 텍스트를 발췌 편집하였다.
1965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 “Klossowski ou les corps-langage”, in Critique, n°214, mars 1965. 의미의 논리 부록으로 Phantasme et littérature moderne: III. Klossowski ou les corps-langage. / Deleuze, “Klossowski or Bodies-language” in “Phantasm and Modern Literature,” appendix to The Logic of Sense,
1966년 프랑스판 니체 전집이 출간된다. (갈리마르 출판사) Gilles Deleuze avec Foucault
2005 니체 전집(전21권) 출간. (프리드리히 니체, 니체편집위원회(감수), 책세상, 2005)
2006 김정현(金正鉉, 1960-), 니체, 생명과 치유의 철학(책세상, 2006)
2013 박찬국(朴贊國, 1960-), 니체와 불교(2013), 씨아이알(CIR), 2013, 344쪽
(5:32, 52LMD) (8:18, 52PKH) (9:21, 52RKH) (10:17, 53LKJ) (10:30, 53MMA) (11:09, 53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