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암호화폐 비판론자들의 일관된 주장은 시세가 크게 출렁이고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없다는 것이다. 실사용처가 없으니 투기 자본이 몰려 변동성이 커지고, 그러다 보니 사용할 만한 곳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여러 스테이블 코인이 등장했지만 대부분 실패했다.
토큰이코노미 생태계 구축에 나선 신현성 티켓몬스터 의장의 대안은 무엇일까. 그는 거대한 e커머스 연합체에 ‘테라’라는 스테이블 코인 결제망을 얹고, 고객들에게 수수료를 환원해주는 구조의 생태계를 만들려고 한다. e커머스 파트너로 티몬과 배달의민족 큐텐·캐러셀·티키 등 굵직한 사업자들이 뛰어들었다. 고객 기반은 4500만 명, 연 거래액은 250억 달러(약 30조원)에 달한다. 테라 프로젝트 시드 투자 규모는 3200만 달러(약 380억원). 바이낸스 랩·후오비 캐피탈·두나무 등이 핵심 투자자로 참여했다. 테라가 차세대 결제 서비스로 자리를 잡을 수 있을지 테라 재단이 있는 서울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신 의장을 만나 물었다. 그는 거시적 관점에서 생태계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테라는 어떤 프로젝트인가.
발행이나 소각만으로 가격을 통제하는 게 가능한가.
“가격 급변 때 테라 매입해 가치 유지”
테라를 비자·마스터카드와 비교하는 것은 무리 아닌가.
블록체인에 관심을 두게 된 이유는.
M&A로 통합 이뤄야 e커머스 흑자 가능
................................
기사전문보기
http://jmagazine.joins.com/economist/view/3262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