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대문구
![]() | |
![]() | |
현황 | |
---|---|
면적 | 17.6 km² |
세대 | 138,473가구 (2012.1.1.) |
총인구 | 324,541명 (2012.1.1.) |
행정동 | 14개 |
법정동 | 20개 |
구청장 | 문석진 |
국회의원 | 갑 : 우상호, 을 : 정두언 |
구청 | |
소재지 | 연희로 248 (연희동 168-6) |
홈페이지 | http://www.seodaemun.seoul.kr |
상징 | |
구목 | 소나무 |
구화 | 장미 |
구조 | 까치 |
서대문구(西大門區)는 서울특별시의 중서부에 있는 자치구이다. '서대문'의 명칭은 조선 시대의 도읍지인 한양의 서문인 서대문(돈의문)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헐어진 서대문의 자리는 서대문구가 아닌 종로구에 속해 있다.
목차[숨기기] |
[편집] 역사
행정구역의 역사는 서울 서대문구의 행정 구역#연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서대문구가 설치되었다. [1]
- 1944년 11월 1일 일부 지역이 마포구로 분리되었다. [2]
- 1946년 10월 16일 서대문구역소를 서대문구청으로 개칭하였다.
- 1946년 10월 1일 기존의 ~정(町)의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 [3]
- 1949년 8월 13일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11리), 연희면(7리)이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 [4] 새로 편입된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서대문구 은평출장소가 설치되었다. [5]
- 1950년 3월 15일 리가 동으로 개칭되었고, 홍제외리는 홍은동으로 개칭되었다.
- 1964년 6월 1일 노고산동과 대현동 일부가 마포구에 편입되고, 마포구 아현동 일부가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
- 1973년 7월 1일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 등이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6]
-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 중 평창동 등이 종로구로, 서소문동 등이 중구로, 상암동 등이 마포구로 편입되었다.[7]
- 1979년 10월 1일 서대문구 은평출장소가 은평구로 분리되었다. [8]
- 2008년 5월 6일 충정로동과 북아현3동이 충현동으로, 북아현1동과 북아현2동이 북아현동으로, 대신동과 창천동이 신촌동으로, 연희1~3동이 연희동으로, 홍제2동이 홍제1동으로, 홍은2동이 홍은1동으로 합동되고, 홍제3동이 홍제2동으로, 홍제4동이 홍제3동으로, 홍은3동이 홍은2동으로 개칭되었다.
[편집] 지리
서대문구는 동경 126˚와 북위 37˚에 위치한 비교적 온난한 지대로서 서울특별시 종로구 만세문 비각 도로원표로부터 반경 5㎞내에 위치하며, 구의 동쪽은 종로구와 중구에 접하여 있고 남쪽은 마포구, 서쪽은 은평구와 마포구 일부지역, 북쪽은 은평구에 접해 있으며, 대부분이 임야지, 분지, 구릉의 세 지역으로, 임야지는 인왕산(338m), 안산(296m)등 여러 봉우리가 종립하고 있어 홍은동, 홍제동 지역의 분지를 이루고 있다. 연연한 계곡일대에는 자연의 조화와 아울러 산지 수려한 선경을 이루고 있으며 한강을 향하여 서서히 감하고 있어 구 전체의 1/3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검천을 원류로 흘러내리는 홍제천과 불광천은 한강을 향해 나란히 흐르고 있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처럼 자연녹지가 풍부한 환경으로 인해 일찍이 전형적인 주거지역을 이루어 노후주택 및 시민아파트가 밀집되어 있어 도로·주택 등에 대한 환경개선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문화재와 사적지, 유서 깊은 대학을 비롯한 수십 개의 교육기관이 밀집된 문화와 교육의 중심지로서 그에 걸맞은 다양한 사업이 펼쳐지고 있다. 한편 산업화에 따른 도시의 다핵화 현상에 따라 지역별로 특성에 맞춰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는데 충로 정지역은 서울 도심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상업·업무지구로써의 기능을, 가좌지역은 유통과 주거의 기능을, 홍은 지역은 상업과 주거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신촌 지역은 서울 부도심의 하나로 상업 지구를 이루고 있는 한편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 8개의 대학이 밀집되어 있는 만큼 젊은 문화의 거리로서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9]
[편집]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서대문구의 행정 구역입니다.
서울 서대문구의 행정 구역은 14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17.69㎢이다. 서대문구의 인구는 2012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10]
행정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 지도 |
---|---|---|---|---|---|
충현동 | 忠峴洞 | 1.12 | 9,408 | 20,441 | ![]() |
천연동 | 天然洞 | 0.97 | 8,567 | 20,267 | |
북아현동 | 北阿峴洞 | 0.46 | 5,100 | 11,126 | |
신촌동 | 新村洞 | 2.63 | 10,734 | 18,257 | |
연희동 | 延禧洞 | 3.05 | 18,846 | 41,143 | |
홍제1동 | 弘濟1洞 | 1.23 | 11,518 | 27,708 | |
홍제2동 | 弘濟2洞 | 1.05 | 6,152 | 15,960 | |
홍제3동 | 弘濟3洞 | 0.81 | 8,428 | 20,370 | |
홍은1동 | 弘恩1洞 | 1.58 | 10,547 | 26,557 | |
홍은2동 | 弘恩2洞 | 2.06 | 12,033 | 29,891 | |
남가좌1동 | 南加佐1洞 | 0.48 | 1,933 | 4,088 | |
남가좌2동 | 南加佐2洞 | 0.79 | 12,858 | 30,797 | |
북가좌1동 | 北加佐1洞 | 0.53 | 4,000 | 10,293 | |
북가좌2동 | 北加佐2洞 | 0.84 | 13,719 | 34,713 | |
서대문구 | 西大門區 | 17.60 | 133,843 | 311,611 |
[편집] 볼거리
한국불교 태고종의 총본산 사찰이다. 서울 서대문구 봉원동 산1번지의 안산 자락에 있다. 신라 말기 진성여왕 3년인 889년에 도선이 처음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의 이름은 반야사(般若寺)였다. 이후 고려 공민왕 때 보우가 크게 중창하였다. 조선 태조가 불교에 심취했을 때 삼존불을 조성해 봉원사에 봉안하였고, 사후에는 태조의 초상이 봉안되기도 했다.
독립협회가 중심이 되어 조선이 독립국임을 상징하기 위해 영은문을 무너뜨리고 그 터에 지은 문으로[11][12] 서재필의 주도로 건립되었으며 세레딘사바틴이 설계했고, 그 현판은 이완용의 작품이다.
1907년 융희 원년 대한제국을 점령한 한국통감부가 서울에 세운 형무소이다. 이후 해방 뒤에도 교도소, 구치소로 활용되다가 1987년 교도소 시설은 경기도 의왕시로 옮기고, 박물관, 문화재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그 건물에 독립 공원의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이 설치되어 있다. 대한제국 말기에 지어져 일제강점기 때의 독립운동뿐만 아니라 광복 이후 정치적 격변과 군사독재 정부에 대항한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사의 고난과 아픔을 간직한 역사의 현장이다. 다른 이름은 서대문 구치소였다.
서대문구 신촌동(대현동)과 창천동, 마포구 노고산동과 대흥동 일대를 일컫는 지명이다. 주변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 명지대학교(인문캠퍼스) 등의 대학교들이 밀집해 있다. 서울역에서도 멀지 않고 고양, 김포, 파주, 인천 등지로 연결되는 교통편이 발달하였으며, 많은 유흥업소 등이 모여 있어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서울의 대표적인 부도심 중 하나이다. 신촌오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에서 바로 연결되고, 이화여자대학교 인근의 경의선 신촌역도 연계된다. 마포구 노고산동, 동교동, 서교동, 상수동, 신수동, 창전동 일대를 포함하는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 주변도 신촌 권역에 속한다.
[편집] 교통
[편집] 철도
[편집] 버스
서울 도심과 강서구, 관악구, 구로구, 양천구, 영등포구 은평구 등을 연결하는 간선버스 상당수가 서대문구를 통과하며, 인천광역시, 부천시, 김포시, 고양시로 가는 광역좌석버스도 상당수가 서대문구를 경유하거나 서대문구에서 회차한다.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버스도 있다.
[편집] 교육 기관
- 대학원대학교
|
|
|
|
|
|
- 특수학교
|
[편집] 문화
[편집] 의회
이 부분의 본문은 서울 서대문구의 국회의원입니다.
[편집] 자매 결연
[편집] 주석
- ↑ 조선총독부령 제163호(1943년 6월 9일 공포) 참조.
- ↑ 조선총독부령 제350호(1944.10.23 공포)
- ↑ 서울시 헌장 제1조
- ↑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제정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159호) 및 서울시구출장소설치에관한건 (제정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160호)에 의함.
- ↑ 서울시구출장소설치에관한건 (제정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160호)에 의함.
- ↑ 서울특별시및경기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73년 3월 12일 법률 2596호)
- ↑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제정 1975년 9월 23일 대통령령 제7816호)
- ↑ 서울특별시은평구등7개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제정 1979년 9월 26일 대통령령 제9630호)
- ↑ 2011년 통계연보, pp 26-27
- ↑ 주민등록인구통계, 2012년 8월 1일 기준, 2012년 8월 24일 확인
- ↑ 이태진 (2000년 8월 30일). 《고종시대의 재조명》, 초판 2쇄, 서울: 태학사. ISBN 89-7626-546-7 04910
- ↑ 주진오 (1993). 〈교과서의 독립협회 서술은 잘못되었다〉, 역사문제연구소 편: 《바로 잡아야 할 우리 역사 37장면 1》. 역사비평사, 33~34쪽쪽 “독립협회는 단지 독립문을 건립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추진위원회의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33쪽) 그것은 바로 청국으로부의 독립을 의미한다.(34쪽)”
[편집] 참고자료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서대문구청 (공식)
[보이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의 행정 구역 | |
---|---|
구청소재지: 연희동 | |
![]() |
[숨기기]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 |
---|---|
시청소재지: 중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