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해안길 3. (접도연육교-죽림-굴포-남도진성-서망항). 1
◈ 일시 : 2023. 12. 20(수). 진도 1차 3박 4일 중 셋째 날.
새벽부터 종일 눈발 날리고 음산한데 바람이 불어 춥다.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0km. 8시간 01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회동-초평-도목-금갑-접도연육교구간은 내일 하고 오후에 귀가하기로 하고
오늘은 연육교 서망항구간을 먼저 한다.
06 : 40. 진도터미널에서 금갑. 접도 가는 버스 타고 1000X2.
06 ; 58. 접도연육교앞 하차. 날은 아직 밝지 않았는데 눈발이 날린다. 우비를 꺼내 입고 18번 국도를 따라간다.
07 : 01. 금갑 나루터.
07 : 17. 고개. 접도 연육교를 뒤돌아 보고 좌측 능선길이 아닌 살짝 내려서며 국도 버리고 좌측 길로 간다.
07 ; 24. 금갑 해수욕장. 우측으로 꺾어 여귀산을 보며 금갑해수욕장을 돌아간다.
07 ; 34. 18번 국도로 올라서 국도를 따라간다. 금갑해수욕장 입간판.
07 ; 49. 금갑해수욕장과 접도, 갈방향의 죽림마을을 건너다본다.
07 ; 52. 의신면을 작별하고 임회면으로 들어선다.
07 ; 59. 강계마을과 죽림마을을 내려다본다.
08 ; 06. 강계 경로당과 쉼터.
08 ; 11. 강계리 정류소. 봉호산 안부를 넘어온 서해랑길을 만나는 삼거리다. 국도를 건너 동현리 방향으로 간다.
08 ; 13. 동현마을 입구 표지석.
08 ; 16. 죽림 어촌 체험 휴양마을. 서해랑길 8코스 종점 7km. 아리랑마을 관광단지 6.4km. 우측으로 간다.
08 : 27. 죽림어촌 체험장 숙소(?).
08 : 39. 죽림리 마을회 경로당. 쉼터. 눈이 쏟아진다. 마을을 지나 18번 국도로 올라 국도 따라 고개를 올라간다.
09 ; 11. 고개 위. 국도 좌측 아랫길로 간다. 여귀산과 탑립마을, 오봉산을 보며 간다.
09 ; 18. 탑립마을 입구 삼거리. 좌측은 탑립마을. 서해랑길 따라 직진한다.
09 : 33. 18 국도. 여귀산 돌탑길. 돌탑들. 좌측으로 국도를 따라간다.
09 ; 39. 탑립마을 입구 삼거리. 탑립마을 표지석. 서해랑길은 직진해 산으로 가고 우리는 우측으로 도로 따라간다.
09 ; 56. 국립 남도국악원. 좌측 아래로 귀성제와 귀성마을. 장고모양의 아리랑마을 건물이 보인다.
10 ; 09. 아리랑마을 입구 귀성 삼거리. 잠시 눈발이 그쳤다. 여기가 9코스 시작점인 모양인데 못 봤다.
진도지맥이 여귀산에서 연대산으로 이어가는 고개다.
10 ; 15. 우측에 나절로 미술관. 성인 3000원.
10 ; 22. 상만마을. 국도 버리고 좌측 농로 따라간다. 고산둑 윤고산 사당 2.8km. 9코스 시점 0.7km. 눈이 온다
10 ; 33. 상만 3교. 중 만리에서 오는 2차선 도로를 만나 따라간다. 뒤로 중만마을과 여귀산을 돌아본다.
10 ; 45. 고개 위. 우측에 창고지붕(?) 위에 태양광시설. 대파 수확. 진도지맥 마루금인데 기억이 없다
10 ; 54. 굴포 뒤로 질매봉과 소산에 눈보라가 몰려온다.
10 :58. 진도미르길 안내판. 우측으로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11 ; 08. 굴포 선착장.-중만마을 표지석.
11 : 15/55. 굴포식당에서 복탕으로 점심(14000x2). 단일 메뉴. 맛집이란다. 잘 먹었다.
12 ; 04. 윤선도 사당. 바로 앞은 윤고산둑으로 민간 간척 1호로 1649~1650에 고산 윤선도가 축조.
전에 있던 배중손 사당과 동상은 용장성 앞으로 옮겼단다.
12 ; 11. 굴포 삼거리. 굴포마을 정류소. 우측으로 도로 따라간다.
12 ; 27. 남선마을회관. 질매봉 정상의 암벽을 올려다 보고 마을을 지나 18 국도로 올라가 따라간다.
12 ; 44. 고개. 동령개 삼거리. 좌측은 국립진도자영휴양림. 동령개마을을 보며 우측으로 도로 따라간다.
12 ; 56/03. 공원. 쉼터. 53.4m 수준점. 사자도와 불무도 바라보고.
13 ; 07. 동령계재 삼거리. 서해랑길 이정표 남도진성 3.3km. 진도미르길 제5코스(동령개재~남동) 입구 표지판.
서해랑길은 좌측으로 가서 천등산밑을 돌아 남도진성 앞으로 가고 우리는 도로 따라 남도진성으로 바로 갔다.
13 ; 38. 공사 중인 남도진성안으로 갔다가 다시 나와 남도진성 앞 사거리. 우측 남도진성을 들려간다.
쌍윤교및 단운교 안내판. 좌측에서 오는 서해랑길을 만나 같이 간다.
13 ; 45. 남도진성. 사적 127호. 삼별초군이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사용하였다 현재 남은성벽은 세종 이후 쌓은 듯.
13 ; 51. 다시 진성 앞 사거리로 되돌아와서 18번 국도를 따라간다. 다시 눈발이 거세진다.
14 : 02. 진도지맥 173.1m 봉과 그 좌측 끝을 바라본다.
14 ; 06. 전남대 자연학습장.
14 ; 24. 사자도 바라보고
14 ; 34. 진도지맥의 고개. 좌측 173.1m 봉 우측 129.5m. 서망항과 죽도를 보며 내려간다.
14 ; 45. 서망리 마을회관 지나 서망항. 진도지맥끝자락과 우측 항로표지 높은 건물을 바라본다.
14 ; 49. 진도 항로표지 사무소. 도로 따라 되돌아 나간다.
14 ; 51. 서해랑길 9.10코스 시종점 안내판.
14 ; 59. 서망 정류소. 사거리. 버스를 기다린다. 팽목방조제 4.8km. 10코스 시점 0.4km.
16 : 18. 15 : 40분에 터미널에서 출발한 팽목항에서 오는 버스를 타고 (1000x2)
16 : 51. 진도 터미널 도착.
저녁 먹을 식당을 찾다가 마땅찮아 하나로마트에서 10개들이 계란 2판(한판은 건드려 깨서 물어주고)
두부. 당근. 빵. 자유시간 2(27000) 사서 대동모텔에서 3박.
06 : 40. 진도터미널에서 금갑. 접도 가는 버스 타고 1000X2. 금갑.접도가는 버스는 06 : 40. 08 ; 20. 10 ;00...
06 ; 58. 접도연육교앞 하차. 날은 아직 밝지 않았는데 눈발이 날린다. 우비를 꺼내 입고 18번 국도를 따라간다.
접도연육교앞에서 본 접도연육교와 접도.
접도연육교앞에서 본 금갑마을.
07 : 01. 금갑 나루터.
금갑 나루터.
뒤돌아 본 접도.
07 : 17. 고개. 접도 연육교를 뒤돌아 보고 좌측 능선길이 아닌 살짝 내려서며 국도 버리고 좌측 길로 간다.
고개위.
고개에서 뒤 돌아 본 접도연육교와 접도.
07 ; 24. 금갑 해수욕장. 우측으로 꺾어 여귀산을 보며 금갑해수욕장을 돌아간다.
금갑 해수욕장.
금갑 해수욕장에서 본 죽림마을뒤로 여귀산(458.4m. 가운데 우측 뒤).
07 ; 34. 18번 국도로 올라서 국도를 따라간다. 금갑해수욕장 입간판.
07 ; 49. 금갑해수욕장과 접도, 갈방향의 죽림마을을 건너다 본다.
접도(좌측 뒤).
접도(좌)-죽림리 헌복동 뒤로 106.5m봉.
07 ; 52. 의신면을 작별하고 임회면으로 들어선다.
07 ; 59. 강계마을과 죽림마을을 내려다 보며간다.
강계마을앞 .
강계마을 앞 에서 금갑해수욕장(좌)과 뒤로 접도.
08 ; 06. 강계 경로당과 쉼터.
정자앞 건물이 강계마을회관. 경로당.
08 ; 11. 강계리 정류소. 봉호산 안부를 넘어온 서해랑길을 만나는 삼거리다. 국도를 건너 동현리 방향으로 간다.
우측앞이 정류소. 서해랑은 우측에서 와서 도로를 건너
강계리 정류소.
08 ; 13. 동현마을 입구 표지석.
08 ; 16. 죽림 어촌 체험 휴양마을. 서해랑길 8코스 종점 7km. 아리랑마을 관광단지 6.4km. 우측으로 간다.
저앞 소나무숲 있는곳에 죽림보건지소.
08 : 27. 죽림어촌 체험장 숙소(?).
숙소앞에서 뒤 돌아 본 죽림 보건지소옆 죽림해변의 송림.
여귀산을 보며 죽림마을로.
08 : 39. 죽림 마을회관 경로당. 쉼터. 눈이 쏟아진다. 마을을 지나 18번 국도로 올라 국도 따라 고개를 올라간다.
죽림 마을회관 경로당. 쉼터.
죽림마을.
저위 산중턱의 18번국도로 올라간다.
08 : 53. 18번 국도로 올라 국도 따라 고개를 올라간다.
국도에 올라서 뒤돌아 본 죽림마을과 멀리 금갑 해수욕장.
<자로 꺾어 올라간다.
09 ; 11. 고개 위. 국도 좌측 아랫길로 간다. 여귀산과 탑립마을, 오봉산을 보며 간다.
서해랑길은 사진 가운데 좌측의 산모랭이를 돌아가고 중앙 뒤에 있는 높은 산이 여귀산(458.4m).
좌측 앞쪽이 탑마을. 맨좌측 뾰족산이 오봉산(200.5m). 가운데 봉긋한 산을 우측으로 돌아 산넘어 쪽에 탑립마을 입구.
18번 국도는 우측의 여귀산중턱으로 돌아간다.
오봉산과 탑마을.
몇년전엔 빈집이라 했는데 지금은 새로 말끔히 단장을 했다.
09 ; 18. 탑립마을 입구 삼거리. 좌측은 탑립마을. 서해랑길 따라 직진한다.
탑립마을 입구 삼거리.
좌측봉이 여귀산(458.4m).
오름길에 여귀산밑 18번 국도옆의 돌탑을 올려다 보고
09 : 33. 18 국도. 여귀산 돌탑길. 돌탑들. 좌측으로 국도를 따라간다.
좌측 탑립마을 입구쪽.
우측 여귀산쪽.
봉을 우측으로 돌아 탑립마을 가는길.
09 ; 39. 탑립마을 입구 삼거리. 탑립마을 표지석. 서해랑길은 직진해 산으로 가고 우리는 우측으로 도로 따라간다.
서해랑길은 직진해 산으로 가고 우리는 우측으로 도로 따라간다.
서해랑길은 직진해 임도 따라가서 오봉산전 안부에서 우측으로 내려가 귀성마을을 지나
아리랑마을 입구로 올라와 같이간다.
09 ; 56. 국립 남도국악원. 좌측 아래로 귀성제와 귀성마을. 장고모양의 아리랑마을 건물이 보인다.
국립 남도국악원.
국립 남도국악원앞에서 본 귀성제와 귀성마을.
국립 남도국악원앞에서 본 아리랑마을과 오봉산.
당겨 본 아리랑마을.
국립 남도국악원앞에서 본 월평마을과 황금기미 포구.
뒤돌아 본 남도국악원.
10 ; 09. 아리랑마을 입구 귀성 삼거리. 잠시 눈발이 그쳤다. 여기가 9코스 시작점인 모양인데 못 봤다.
진도지맥이 여귀산에서 연대산으로 이어가는 고개다.
아리랑마을 입구 귀성 삼거리.
아리랑마을 입구 귀성 삼거리.
아리랑마을 입구 귀성 삼거리.
2014. 2.27에 지나간 진도지맥 2구간(왕무덤재-봉호산-여귀산 -귀섬삼거리) 산행기.
10 ; 15. 우측에 나절로 미술관. 성인 3000원.
나절로 미술관.
10 ; 22. 상만마을. 국도 버리고 좌측 농로 따라간다. 고산둑 윤고산 사당 2.8km. 9코스 시점 0.7km. 눈이 온다
9코스 시작점이 0.7km인걸보니 시점이 귀성 삼거리인 모양인데 차뒤에 있었나 못봤다.
저앞 질매봉(259m. 우)과 소산(좌. 154.5m)
10 ; 33. 상만 3교. 중 만리에서 오는 2차선 도로를 만나 따라간다. 뒤로 중만마을과 여귀산을 돌아본다.
중만마을.
뒤돌아 본 여귀산과 상만마을.
당겨 본 질매봉(259m).
상만3교. 서해랑 트랙은 저앞봉을 좌측으로 돌아 가서 만난다.
10 ; 45. 고개 위. 우측에 창고지붕(?) 위에 태양광시설. 대파 수확. 진도지맥 마루금인데 기억이 없다
고개를 넘어가며 본 굴포(우)와 질매봉(우).
10 ; 54. 굴포 뒤로 질매봉과 소산에 눈보라가 몰려온다.
소산(좌)-질매봉(우)과 굴포.
10 :58. 진도미르길 안내판. 우측으로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해안에서 좌측 모습.멀리 보이는 섬들은 상. 하구자도.매섬인듯.
눈보리가 지나가니 질매봉과 소산. 굴포마을이 저만치 보인다.
11 ; 08. 굴포 선착장.-중만마을 표지석.
굴포 선착장.
질매봉과 굴포마을.
뒤돌아 보고
11 : 15/55. 굴포식당에서 복탕으로 점심(14000x2). 단일 메뉴. 맛집이란다. 잘 먹었다.
굴포식당.
복탕.
단일메뉴.
검색해보면 별5인 맛집이다.
식당을 나오니 다시 눈보리가 밀려온다.
12 ; 04. 윤선도 사당. 바로 앞은 윤고산둑으로 민간 간척 1호로 1649~1650에 고산 윤선도가 축조.
전에 있던 배중손 사당과 동상은 용장성 앞으로 옮겼단다.
윤선도 사당.
문은 잠겨있다.
들어갈 수없어 앞 사진을 당겨봤다.
오우가.
앞 의 사적비 건립내역을 읽어보면 사연을 알수있다.
소나무는 담장안에 보호수 팻말은 담장밖에 있다.
2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