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퀴니코스학파, 스토아학파. 300–262 Zeno of Citium
**
335 제논(Zenon, Ζήνων, 전335-264) 사이프러스 키티움 출신의 스토아학파의 창시자,
크라테스에게 배웠다. (아리스토텔레스 사망시 제논은 3살, 디오게네스(87살에 사망) 사망시 제논 12살이었다.)
[323 알렉산드로스 세상을 뜬 해이다. 이미 아테네는 동방과 교류가 활발한 시기이다.]
313[스물들] 페르사아오스(Persaios)에 따르면 제논은 22살에 난파되어 아테네에 도착했다고 하고, 다른 전승에서는 312년이라고도 한다.
301 스토아 학당 창설 [306년 에피쿠로스의 정원 창설보다 5년 늦다.]
264 제논 세상을 뜨다. - [아흔 여덟을 살았다는 설도 있다.]
그의 묘비는 도자기로 만들어졌고, 청동 조각상도 세워졌다고 한다.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의하면, 그의 학설체계는 “살아있는 존재에 비교하여 논리학은 뼈와 힘줄이고, 윤리학은 살이며, 자연학은 영혼이라 한다. 또는 달걀에 비유아혀 논리학은 껍질이고, 흰자는 윤리학이며, 노른자가 자연이라” 한다. [제논과 스토아의 학설이 생리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 크뤼시포스의 프네우마도 생리학(자연구조학)에서 자연구조와 생리구조의 대비로 설명하고 있듯이 말이다.]
* 퀴니코스-스토아 연결
469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469-399; 70살), 이“뭣”꼬를 물었다. 아리스토파네스(Ἀριστοφάνης, 450-386)가 소씨를 아테네의 “등에”라고 불렀다.
444 안티스테네스(Antisthène, Ἀντισθένης, 기원전 444-365)(79살) 고르기아스와 소크라테스 제자(25살 어렸다, 플라톤보다 17살 많다), 흑인 혼혈이라는 설이 있다. 키니코스학파(Le Cynique, Κυνικός, Κυνικοί) 창설자. (스토아의 제논보다 109년 즉 한 세기 앞섰다.) 퀴노사르게스(Cynosarge, Κυνόσαργες) 학당장.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의하면 10권의 책을 썼으나 단편만 남아있다고 한다. 아이아스(Ajax Αἴας, 오뒤세우스(Ulysse Ὀδυσσεύς, 사톤(Sathon, Σάθων), 아르켈라오스(Archelaos, Ἀρχέλαος) 등이 있다. - 영.위키에서는,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에 의하면, 안티스테네스가 동시대인들을 공격했다고 하는데 Cyrus에서 알키비아데스를 사톤에서 고르기아스를, 아르케라오스에서는 플라톤을 비판했다고 한다. [Σπάρτα ou Λακεδαίμων = Λάκων et δαίμων]
- Marie-Odile Goulet-Cazé, "Un syllogisme stoïcien sur la loi dans la doxographie de Diogène le Cynique. A propos de Diogène Laërce VI 72", dans Rheinisches Museum, 125 (1982), p. 214-240, spéc. p. 233-236. / 굴레-까제(Goulet-Cazé, 1950-2023)는 스토아의 계보로서, 소크라테스, 안티스테네스, 디오게네스, 크라테스, 제논으로 이어지며, 스토아학파를 소크라테스의 후계로서 서술한다.
- en. Wiki: 안티스테네스의 별명은 절대적 개(The (Absolute) Dog (ἁπλοκύων, Diog. Laert. 6.13)라 한다. / 하프로퀴온(ἁπλοκύων), 소박한 개. 홀로지내는 개(ἁπλόος(형용사) + κυών: 홀로의, 하나의, 단순한, 진솔한, 소박한, 순수한) + 개.
413 디오게네스(Diogène le cynique, Διογένης, 전413-327; 87살), 시노페(Sinope, Σινώπη)출신, (소크라테스 사망시 14살) 고대철학자, 키니코스학파의 대표철학자. 은행가인 아버지가 위조화폐범으로 감옥에 가자 그는 아테네로 달아났다. 안티스테네스 제자가 되었다(서른하나 어리다). / 퀴니코스 학파의 기원인 퀴노사르게스(Cynosarge, Κυνόσαργες)학당의 퀴는 퀴노스(kunos, génitif de kuôn, 개)가 아니라, 라카다이몬의 전설에서 온 용어라 한다. / [크세니아데스(Xéniade ou Xéniadès de Corinthe, 전 5세기경)는 회의주의자로서 디오게네스와 모니모스를 가르쳤다고 한다.]
365 크라테스(Cratès de Thèbes, Κράτης, 전365-285년) 그리스 퀴니코스 학파 철학자. 제논의 스승. 그의 제자로 메트로클레스(Métroclès), 모니모스(Monime), 메니포스(Ménippe), 클레안테스(Cléanthe, Κλεάνθης, 전331경-전232) 등이 있다. / 히파르키아(Hipparchia. Ἱππαρχία; Hipparchia of Maroneia, fl. c. 325 BC)는 메트로클레스(Métroclès Μητροκλῆς, 기원전325경)의 누이이며, 크라테스와 결혼했다.
335 제논(Zenon, Ζήνων, 전335-264) 사이프러스 키티움 출신의 스토아학파의 창시자, 크라테스에게 배웠다. (아리스토텔레스 사망시 제논은 3살, 디오게네스(87살에 사망) 사망 시 제논 12살이었다.)
- 스토아(ἡ στοά, un portique) <ποικίλη στοά, « portique peint »> - portique pœcile 기둥 줄지어 선 회랑.
* 스토아 학당장
[초대] 클레안테스(Cléanthe, Κλεάνθης, 전330경-232), 스토아학파 철학자. 제논의 계승자. 초대 학당장으로 262-232까지 맡았다.
[2대] 크뤼시포스(Chrysippe de Soles, Χρύσιππος / Khrýsippos, 전281-205) 아테네에서 제논의 제자 클레안테스에게 배웠다. 스토아학파 철학자. 스토아2대 학장, (230-205)
계승자는 타르소스 출신 제논(Zénon de Tarse, Ζήνων Ταρσός, Zeno of Tarsus, 전성기 200)[전250-185]이다.
[3대] 디오게네스(Diogène de Babylone, « Diogène de Séleucie », 전240-150) 스토아 철학자, 스토아의 3대학장.
[4대] 타르소스의 제논(Zénon de Tarse, Ζήνων Ταρσός, 전성기 전200) 타르소스 출신, 크뤼시포스를 이어서 제4대 스토아 학장
[안티파트로스(Antipatros ou Antipater de Tarse, Ἀντίπατρος, 전성기 전150-129) 4대학장 (145–129)(en Wiki) ]
[5대] 파나이티오스(Panétios, Παναίτιος Ῥόδος, Panaetius Rhodius 전185-112) 스토아 중기 학자. 스토아 5대학장. 자연학을 앞에다 세웠다. 제자로는 포시도니오스(Posidonios)가 있다. 의무론(De Officiis, Du Devoir)(전 140)
[6대] 포세이도니오스(Posidonius d'Apamée, Ὁ Ποσειδώνιος ὀ Ἀπαμεύς, 전135-51) 스토아학파의 그리스 철학자이다. 별명은 운동가(« l'athlète »)이다. 그는 헬레니스트 정신의 총명한, 그리고 경험적이고 동시에 사변적인, 대표자이다. 112년[스물셋]에 그는 스승 파나이티오스가 죽고 난 뒤 제6대 스토아학장이 되었다.
* 연관 인물들
469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469-399; 70살) 아리스토파네스(Ἀριστοφάνης, 450-386)가 소씨를 아테네의 “등에”라고 불렀다.
444 안티스테네스(Antisthène, Ἀντισθένης / Antisthénês, 기원전 444-365)(79살) 고르기아스와 소크라테스 제자(25살 어렸다, 플라톤보다 17살 많다), 키니코스학파(Le Cynique Κυνικός) 창설자. (스토아의 제논보다 109년 즉 한 세기 앞섰다.) 퀴노사르게스(Cynosarge, Κυνόσαργες) 학당장.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의하면 10권의 책을 썼으나 단편만 남아있다고 한다. 아이아스(Ajax Αἴας, 오뛰세우스(Ulysse Ὀδυσσεύς, 사톤(Sathon Σάθων 등이 있다. 아르케라오스 톤(Sathon Σάθων)
- 퀴노사르게스(Cynosargue (Κυνόσαργες) 사원, 이 사원은 아틱지방 동쪽 외방에 있는데, 알로페케 데모스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non loin du dème d'Alopèce Ἀλωπεκή, de la tribu Scambonide), 헤라클레스를 서원하고 있다. 이 사원은 퀴니코스 학당이기도 하다.
413 디오게네스(Diogène le cynique, Διογένης / Diogénês, 413-327; 87살) 시노페(Sinope, Σινώπη)출신, (소크라테스 사망시 14살) 고대철학자, 키니코스학파의 대표철학자. 은행가인 아버지가 위조화폐범으로 감옥에 가자 그는 아테네로 달아났다. 안티스테네스 제자가 되었다. / kunos, génitif de kuôn(개),
365 크라테스(Cratès de Thèbes, Κράτης, 전365-285년) 그리스 퀴니코스 학파 철학자. 제논의 스승. 그의 제자로 메트로클레스(Métroclès), 모니모스(Monime), 메니포스(Ménippe), 클레안테스(Cléanthe, Κλεάνθης, 전331경-전232) 등이 있다. / 히파르키아(Hipparchia. Ἱππαρχία; Hipparchia of Maroneia, fl. c. 325 BC), 메트로클레스(Métroclès Μητροκλῆς, fl. c. 325 BC)의 누이이며, 크라테스와 결혼했다.
360 오네시크리토스(Onésicrite Ὀνησίκριτος; 전360경–290경), 퀴니코스 철학자. 역사가. 알렉산더 원정의 동시대인이다. 알렉산더 교육에 관한 책을, Alexandropédie 썼으나 소실되었으며, 이 책은 문명화된 왕에 대한 찬사라 한다. 참조: Paul Pédech, Historiens compagnons d'Alexandre : Callisthène, Onésicrite, Néarque, Ptolémée, Aristobule, 2011
350? 모니모스(Monime, Μόνιμος; 전4세기경) 시라쿠스 출신, 노예출신 퀴니코스 학자. Les instincts, en On Impulses Exhortation à la philosophie 크세니아드(Xéniade Ξενιάδης)에게 디오게네스와 함께 배웠다. 디오게네스의 충고로 모니모스는 미친척하여 노예부터 풀려났다고 한다. 그리고 크라테스에게 배웠다.
345 메네데모스(Ménédème d'Érétrie, Μενέδημος ὁ Ἐρετριεύς, 전345/4–전261/0) 에레트리애우스 출신, 그리스 (퀴니코스) 철학자. 파이돈의 엘리스학파에 속하며, 스틸폰의 제자이다. 소크라테스의 교육을 받아들이고 플라톤의 교육을 배척했다. 메가라학파와 뒤섞여 있다.
335 제논(Zenon, Ζήνων, 전335-264) 사이프러스 키티움 출신의 스토아학파의 창시자, 크라테스에게 배웠다. (아리스토텔레스 사망시 제논은 3살, 디오게네스(87살에 사망) 사망시 제논 12살이었다.)
330 클레안테스(Cléanthe, Κλεάνθης, 전330경-232), 스토아학파 철학자. 제논의 계승자. 초대 학당장으로 262-232까지 맡았다.
325 비온(Bion de Borysthènes, Bion dit Βορυσθενίτης, 전325-?) 퀴니코스 철학자. 노예. 풍자에 뛰어났다. 처음에는 크라테스의 제자였다가, 무신론자인 테오도로스의 제자였다. 그의 청강자로서 요약문을 작성했던 델레스(Télès, Τέλης, 전 240년경활동)가 있다. 비온의 아소카의 불교전파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럼에도 인도와 교류를 부정할 수 없다.
307 페르사이오스(Persée de Cition, Περσαῖος, 전307-전243) 스토아 철학자. 동향인 제논의 제자. 향연의 대화록들(Dialogues de banquets (Συμποτικοὶ Διάλογοι), 플라톤 법률에 반대하여(Contre les lois de Platon (Πρὸς Πλάτωνος νόμους),
300 메니포스(Ménippe, Μένιππος / Ménippos, 전300경-전260?) 가다라(Gadara, 안티오그라고도 불린다) 출신, 페니키아인 퀴니코스 철학자. 노예에서 해방되었다. Les Enfants d'Épicure, Les Fêtes du vingtième jour 이 두 권은 에피쿠소스와 그 제자들에 대한 비판이다. Vertu de Diogène(Vente de Diogène),
?? 필로니데스(Philonide, Philonidès de Thèbes, Φιλωνίδης, s.d.) 스토아학파 제논의 제자.
?? 아리스톤(Ariston de Chios, Ἀρίστων ὁ Χῖος, ?-?) 키오스 출신 스토아철학자. 4세기경 태생, 제논에게 배우기 위해 아테네에 갔다. 대머리인 그는 일사병으로 죽었다고 한다.
285 헤릴로스(Hérillos de Carthage, 전250경 활동) 전285?-) [이설을 제기한] 스토아철학자. Περὶ ἀσϰήσεως (Sur l’entraînement), Περὶ παθῶν (Sur les passions), Περὶ ὐπολήψεως (Sur la précompréhension), Νομοθέτης (Le Législateur), Μαιευτιϰός (Maïeutique), Άντιφέρον (L’Adversaire), Διδάσϰαλος (Le Maître), Διασϰευάξων (Le Réviseur), Εὐθύνων (L11e Correcteur), Ἑρμῆς (Hermès), Μήδεια (Médée), Θέσεων ἠθιϰῶν (Thèses éthiques)
285 스파이로스(Sphéros du Bosphore, Σφαῖρος; 전285경–210경) 3세기경 스토아철학자(전250년경 주로 활동)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에 의하면, Πρὸς τὰς ἀτόμους καὶ τὰ εἴδωλα, Contre les atomes et les simulacres, Against Atoms and Images, Περὶ ὁρμῆς, Du Désir, On Impulse, Περὶ Λακωνικῆς πολιτείας, De la Constitution de Sparte, On the Lacedaemonian Constitution, Περὶ μαντικῆς, De la Divination, On Divination, Περὶ ὁμοίων, Des Semblables, On Things Similar
281 크뤼시포스(Chrysippe de Soles, Χρύσιππος, 전281-205) 아테네에서 제논의 제자 클레안테스에게 배웠다. 스토아학파 철학자. 스토아2대 학장, 계승자는 타르소스 출신 제논(Zénon de Tarse, Ζήνων Ταρσός, Zeno of Tarsus, 전성기 200)[전250-185]이다.
?? 아폴로도로스(Apollodore de Séleucie, Ἀπολλόδωρος, s.d.) 크뤼시포스 제자. 셀레우케이아(Séleucie, Σελεύκεια) 출신이다.
250? 아리스톤(Ariston de Chios, ou Ariston le Chauve, Ἀρίστων ὁ Χίος ou ὁ Φάλανθος, 기원전 3세기), 고대 스토아철학자.
240 디오게네스 바빌론 출신 (Diogène de Babylone, « Diogène de Séleucie », 전240-150) 스토아 철학자, 스토아의 3대학장.
200? 클레오메데스(Cléomède, Κλεoμήδη, s.d.) 전150경 그리스 스토아철학자. 천체들의 순환이론(Cyclice theoria, Théorie circulaire des corps célestes
200? 타르소스의 제논(Zénon de Tarse, Ζήνων Ταρσός, 전성기 전200) 타르소스 출신, 크뤼시포스를 이어서 제4대 스토아 학장
?? 크리니스(Crinis, Κρὶνις, 전2세기경) 불분명하다. 크뤼시포스 제자. 에픽테투스가 언급했고,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에 의하면 그의 작품, 변증법적 기술(Dialectic Art, διαλεκτικὴ τέχνε)이 전한다.
186 로마의 원로원은 186년에 피타고라스학파의 책들을 없애버렸으며, 그러고 나서 173년과 161년에는 에피큐로스 사상도 쾌락주의와 정치적 포기를 함축하고 있다는 이유로 금지하였다. 이후 스토아학파가 중심이 되다.
185 파나이티오스(Panétios, Παναίτιος Ῥόδος, Panaetius Rhodius 전185-112) 스토아 중기 학자. 스토아 5대학장 자연학을 앞에다 세웠다. 제자로는 포시도니오스(Posidonios)가 있다. 의무론(De Officiis, Du Devoir)(전 140)
150? 퀸투스 티베로(Tuberon, Quintus Aelius Tubero, ? ) 스토아 철학자. 파나이티오스의 제자. 전130년에 호민관, 118년에 콘술 118년에 최고 집정관(suffète, en suffect consul)이 되었다. 스키피오(Scipion Émilien)의 조카이다. 심판관의 의무에 대하여(De Officiis, Sur l'Office du juge)
150? 아르케데모스(Archédème de Tarsus, Άρχέδημος ὁ Ταρσεύς, 전140년경) 스토아 학자. Περὶ Φωνῆς: On the Voice Περὶ Στοιχείων: On Elements)
150? 보에토스(Boéthos de Sidon, Βοηθός, 전2세기경) 비정통 스토아 학자. [현 레바논의] 페니케(Phénicie, Φοινίκη, Phoenicia) 지방의 시돈(Sidon, Σιδών)출신이다. 바빌론의 디오게네스 제자. 자연에 대하여(De la Nature), 운명(Le Destin)(2 livres au moins).
150 안티파트로스(Antipatros ou Antipater de Tarse, Ἀντίπατρος, 전성기 전150-129) 스토아 철학자. 창시자 제논의 사상을 잘 표현하고자 시도 한자. 디오게네스 드 바빌론(Diogène de Babylone)의 제자, 파네티오스(Panétios de Rhodes)의 스승, 카르네아드(un adversaire de Carnéade)의 반대자. 세계에 관하여(Sur le Monde (7 livres), 존재에 관하여(Sur l'être), 영혼에 대하여(De l'Âme)
?-? 크리니스(Crinis, Κρὶνις, s.d.), 그리스 스토아 철학자.
150? 헤라클레이데스(Héraclide de Tarse, Ἡρακλείδης Ταρσός) 2세기경 활동, 스토아 철학자. 안티파트로스(Antipater de Tarse, Ἀντίπατρος)의 제자이며 친구. 스토아 3대학장인 타르소스의 제논과 같은 동향 출신.
150? 디오뉘시오스(fr. Denys, en. Dionysius of Cyrene, Διονύσιος). 전150경 스토아학파 철학자. 수학자. 그의 스승은 디오게네스와 안티파데르(Diogenes of Babylon and Antipater of Tarsus)이다. 필로데모스의 기호들에 관하여(Sur les Signes)에 나오는 인물. 프랑위키(fr.Wiki)에는 없음. [Denys le Transfuge (en), Διονύσιος philosophe stoïcien d'Héraclée qui se tourna vers le cyrénaïsme, vers 300 av. J.-C.]
135 포세이도니오스(Posidonius d'Apamée, Ὁ Ποσειδώνιος ὀ Ἀπαμεύς, 전135-51) 스토아학파의 그리스 철학자이다. 별명은 운동가(« l'athlète »)이다. 그는 헬레니스트 정신의 총명한, 그리고 경험적이고 동시에 사변적인, 대표자이다. 112년에 그는 스승 파나이티오스가 죽고난 뒤 제6대 스토아학당장이 되었다.
106 키케로(Cicéron, en lat. Marcus Tullius Cicero, 전106-43) 로마 철학자, 국가인물, 작가. 운명에 관하여(De fato, Sur le destin, 전46?), 아카데미학자들(Academica, les Académiques, 전45), 신의 본성에 대하여(De Natura Deorum, De la nature des dieux, 전45), 예언에 관하여(De divinatione, Sur la divination, 전44) 최고 선들과 최고 악들(De finibus bonorum et malorum; Sur les termes extrêmes des Biens et des Maux(Des suprêmes biens et des suprêmes maux, 알맞은 번역), (la) Consolation(왜 라틴어 제목이 없는 지 모르겠다), / 공화국(De Republica)의 제6권(마지막 권)인 스키피온의 몽상(Songe de Scipion, Somnium Scipionis) / 투스쿨룸 사람들과 대화(논쟁)들(Tusculanes, Tusculanae disputationes)(Tusculum은 로마 지방의 한 도시 이름이다)
100? 알렉산드로스 폴뤼이스토르(Lucius Cornelius Alexander Polyhistor, ou Alexandre Polyhistor, Ἀλέξανδρος ὁ Πολυΐστωρ, 기원전 1세기 전반활동) 박학다식 (le surnom polyhistôr signifiant « très érudit ») 철학자들의 계승보(Successions des philosophes, Διαδοχὴ τῶν φιλοσόφων)
50? 아폴로니오스(Apollonios de Tyr, Ἀπολλώνιος, 전 50년경 활동) 스토아 철학자, 철학사가. 제론학파 철학자들의 총람(Répertoire des philosophes de l'école de Zénon).. 편집 발췌본인 제논에 관하여(Sur Zénon)
04 세네카(Lucius Annaeus Seneca, 전4년-후65) 로마 제국 시대의 정치인, 사상가, 문학자, 황제 네로의 스승이었다. 「Lettres à Lucilius, lat.: Epistulae morales ad Lucilium」(말년인 63-64년 편지로서 124편이 실려있다.) [Lucilius le Jeune, 1세기경 인물, 네로통치 시기에 시실리 총독이었다. 에피쿠로스파의 신도인 루키리우스를 세네카가 스토아로 전향시키기 위해 편지를 썼다
O
20 무소니우스(Musonius Rufus, 20/30-100경), 로마시대 스토아 철학자.
35 에우프라스테스(Euphrates, Εὐφράτης, 35-118) 스토아 철학자.
50 노예출신 에픽테토스(Epictète, Ἐπίκτητος/Epíktêtos, 50-125/30), 스토아철학자. 그의 제자 아리아노스(Arrien, en lat. Flavius Arrianus Xenophon, en gr. Ἀρριανός, 85경-146경)이 대담들(Les Entretiens (διατριϐαί [diatribaí]), 에픽테투스의 교범(Le Manuel d'Épictète (Ἐγχειρίδιον Επικτήτου [Enchiridion Epiktetou]) 두권을 펴냈다. 독일어판, Epicteti dissertationes ab Arriano digestae 1916(Heinrich Schenkl (ed.), Lipsiae, in aedibus B. G. Teubneri, 1916) / 슈바이크호이저(Johann Schweighäuser, 1742-1830)판; 쉔클(Henricus Schenkl, 1859-1919)판이 있다. 불어판 논술편(Dissertation)은 누구의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50? 코르누투스(Lucius Annaeus Cornutus, Ἀνναῖος Κορνοῦτος, 후60년경) 스토아철학자. 네로시대 로마에서 활동, 그리스 신학적 전통의 조망(Survol de la tradition théologique grecque) / Abrégé des traditions relatives à la théologie grecque (Ier s.), trad. G. Rocca-Serra, Thèse, Paris, 1988. [로까-세라(G. Rocca-Serra, s.d.)
85 아리아노스(Arrien Ἀρριανός, Lucius Flavius Arrianus, 85경-146) 로마 시대 그리스 작가. 고위 행정가, 군인 에픽테투스 대담집(Entretiens d'Épictète), 지침서(Manuel (Enchiridion)(에픽테투스 요약본)
12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Marc Aurèle, Caesar Marcus Aurelius Antoninus Augustus. 121–180), 로마 황제, 스토아철학자. 재위(161-180)
123 아울루스-겔리우스(Aulu-Gelle (en latin Aulus Gellius), 123/130-180경), 로마 행정관, 문법학자. 라틴 문헌 편찬자. Nuits attiques (en latin Noctes Atticae)(유명한 스승들의 강연과 강의에서, 문학, 예술, 철학, 법, 기하학, 의학, 자연과학, 기상학, 지리학 등 10권(?)으로, 각 학문 분야를 요약)
150? 아에티우스(Aétius, Aetius le Doxographe, 후 1세기에서 2세기) 로마시대의 그리스 학설사가, 작가. Placita philosophorum(= Opinions des philosophes), in Hermann Diels, Doxographi Græci (Berlin, 1879, rééd. 1965), p. 267-444 (en grec). ]
250?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ène Laërce Διογένης Λαέρτιος / Diogenês Laertios, Diogenes Laertius, 3세기경) 역사가, 철학자 시인 학설사가. 철학에서 유명한 학자들의 생애와 사상(Λαερτίου διογένους βίων καὶ γνωμῶν τῶν ἐν φιλοσοφία εὐδοκιμησάντων καὶ τῶν ἑκάστη αἱρέσει ἀρεσάντων τῶν εἰς δέκα τὸ πρῶτον (manuscrit de Florence : De Diogène Laërce, vies et pensées de ceux qui en philosophie se sont illustrés, et recueil des doctrines de chaque école en dix livres - livre premier)
450? 스토바이오스(Jean Stobée, Ἰωάννης ὁ Στοβαῖος / Joannes Stobæus, 원명 Stobi (Macédoine) 5세기 중엽활동 이교도이며, 학설사가 편집자. Anthologie 여기에는 많은 단편들이 있는데 다른 곳에서 없는 것이 있다. 자연학과 윤리학 선집(Eclogæ physicæ et ethicæ), 철학선집(Eclogae philosophorum(1575 출판) Florilegium, ou Sermones (fr. Florilège)(1536년 첫 출간)
**연구자
1813 라베송(Félix Ravaisson-Mollien, 1813-1900) 벨기에 출신 프랑스 철학자, 스토아학파에 관한 두 논문이 있다. 습관론(L'Habitude, 1839), Essai sur le stoïcisme, Académie des inscriptions et belles-lettres, Paris, 1857.
1814 젤러(Eduard Zeller, 1814-1908) 독일 역사가 철학자. 그리스의 역사 발전에서 그리스철학(Die Philosophie der Griechen in ihrer geschichtlichen Entwicklung (1844-1852). - La philosophie des Grecs dans son développement historique (1844-1868, 2e éd. 1 856 t. I p. 361-617), I, 1, trad. de l'all. É. Boutroux, 1877, t. I, p. 280-474.
1818 호비우(Félix Robiou, 1818-1894) 프랑스 역사가 대학교수. De L'influence du stoïcisme à l'époque des Flaviens et des AntoninsDe L'influence du stoïcisme à l'époque des Flaviens et des Antonins, Rennes : J. M. Vatar, 1852.
1821 드니(Jacques-François Denis, 1821-1897, 고대에서 도덕적 이론들과 관념들의 역사(Histoire des théories et des idées morales dans l'antiquité, 1856)
1820 마르타 (Constant Martha, 1820-1895) 프랑스 도덕론자, 고대 도덕론 역사가. Les Moralistes sous l'Empire romain, philosophes et poètes (1865), Études morales sur l'antiquité (1883).
1835 막스 하인쩨(Franz Friedrich Maximilian Heinze, 1835-1909) 독일 철학자. 고전에는 스토아철학과 아낙사고라스, 근세에는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칸트 연구. Zur Erkenntnislehre der Stoiker. 1879(1886)
1846 꾸아(Auguste Couat, 1846-1898), 헬레니즘 전문가, 보르도 대학 총장,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번역)
1846 히르젤(Rudolf Hirzel, 1846-1917) 독일 고전 문헌학자. Untersuchungen zu Cicero's philosophischen Schriften(3 Bde. Hirzel, Leipzig 1877–1883) 1883, 제2부, 제1단원 “Le développement de la philosophie stoïcienne.
1848 브로샤르(Victor Brochard, 1848-1907) 프랑스 철학자. 고대철학사 전공. 1900년 도덕 정치 아카데미 회원. De assensione Stoici quid senserint, Parisiis, Berger-Levrault, 1879, (박사학위 부논문).
1848 딜스(Hermann Alexander Diels, 1848-1922) 독일 문헌학자. 고대철학 전공, 그리스 학설(사)(Doxographi Graeci, 1879), 소크라테스 이전철학자들의 단편(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1903).,
1848 오즈로(François Ogereau, 1848-19..), 프랑스 철학자(?),Essai sur le système des Stoïciens, 1885.,
1853 브룬스(Ivo Bruns, 1853-1901) 독일 고전문헌학자. De schola Epicteti, 1897
1856 아믈랑(Octave Hamelin, 1856-1907), 프랑스 철학자. Sur la logique des Stoïciens, (Année philosophique, 1902, p. 23.)
1858 바르트(Paul Ernst Emil Barth, 1858-1922) 독일 철학자, 교육자. 스토아 학파(Die Stoa 1922)(1908년 초판)
1859 뒴러(Georg Ferdinand Dümmler, 1859–1896) 독일 고전 문헌학자, 고고학자. 1882년 안티스테네스에 관한 주제로 박사학위. 아카데미카(Akademika)
1859 아르님(Hans von Arnim, 1859-1931), 독일 고전 문헌 학자. 특히 스토아학파 단편들 연구자.
1859 본회퍼(Adolf Friedrich Bonhöffer, 1859-1919) 독일 신학자, 고전문헌학자. 철학사가. Epictet und die Stoa. 1890, Die Ethik des Stoikers Epiktet. 1894, Epiktet und das Neue Testament. 1911)
1859 슈타인(Ludwig Stein, 1859–1930), 헝거리-스위스 철학자. Psychologie der Stos, Berlin, 1886.
18?? 간터(Ganter s.d.), Das stoische System der αἴσθησις, Philologus, vol. LIII. Zur Psychologie der Stoa, Philologus, vol. LIV. 1895.
1864 호디에(Georges Rodier, 1864-1913), 프랑스 철학자, 그리스철학 전문가. Histoire extérieure et intérieure du stoicïsme, (Etudes de philosophie grecque, 1926, p. 219-269). La cohérence de la morale stoïcienne, (Etudes, p. 270-308)
1866 로방(Léon Robin, 1866-1947) 프랑스철학자, 그리스철학 전문, 소르본에서 고대철학사 교수. La Pensée grecque et les Origines de l'esprit scientifique, 1923(480 p).
1866 디로프(Adolf Dyroff, 1866–1943), 독일 문헌학자. 옛 스토아학파의 윤리학(Die Ethik der alten Stoa, 1897), L'origine de la morale stoïcienne(Archive fu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tome XII, [s.d.])
1866 베르베르(Louis Weber, 1866-1949), 프랑스 철학자, La morale d'Epictète et les besoins présente de l'renseignement moral, Revue de Metaphysique, 1905.
1870 비반(Edwyn Robert Bevan, 1870–1943) 영국 철학자, 철학사가. Stoïcien et Sceptiques(스토아학자들과 회의주의 학자들), tr. fr. Paris, 1927.
1871 카펠레(Wilhelm Capelle, 1871-1961) 독일 고전 문헌학자. Die Schrift von der Welt, Neue Jahrbücher f. d. kl. A., XV, 1905, p. 55. Die griechische Erdkunde une Poseidonios, ibid, XXXIII, 1920, p. 305. Die Vorsokratiker: Die Fragmente und Quellenberichte, 1968
1872 폴렌쯔(Max(imilian) Hugo Pohlenz, 1872-1962) 독일 고전문헌학자. Antikes Führertum. Cicero de officiis und das Lebensideal des Panaitios. Teubner, Leipzig/Berlin 1934. 스토아 학파(Die Stoa, 1959)(Göttingen, 1959, t. I.)
1875 발쯔 (René Waltz, 1875-1957?), La Vie de Sénèque. 1909
1876 브레이어(Emile Brehier, 1876-1952), 프랑스 철학자. Sur une des origines de l'humanisme moderne, Etudes de philosophie antique, Paris, 1955, p. 131. 기념비적 저작 철학사(1926- 1932)의 저자. 샤를 페기와 함께 베르그송의 플로티노스 강의를 들었다.
1878 레비(Adolfo Levi, 1878–1948), 이탈리아 철학자. Sulla psicologia gnoseologica degli Stoici, (Athenaeum, juillet et octobre 1925)
1880 알베르티니(Eugène Albertini, 1880-1941) ENS, 문학으로 교수자격 라틴문학 교수, 로마의 북아프리카 역사 전문가. 비명[금석] 연구자. La composition dans les ouvrages philosophiques de Sénèque, 1923.
1885 수일레(Joseph Souilhé, 1885-1941), 프랑스 철학자. 철학사 교수. 에픽테투스 번역.
1886 라인하르트(Karl Ludwig Reinhardt, 1886-1958) 독일 고대문헌학자. 포세이도니오스(Poseidonios. 1921), Kosmos und Sympathie, Munch, 1926, - Poseidonios über Ursprung und Entartung - Art, Poseidonios, Realenzyklopaedie, Pauly-Wissowa. 플라톤의 신화들(Platons Mythen. 1927)
1888 프레샥(François Préchac, 1888-1977), 문학으로 교수자격, Sénèque, lecture royale sous le dernier Valois. In: Bulletin de l'Association Guillaume Budé : Lettres d'humanité, n°9, mars Année 1950 LH-9 pp. 185-205
1890 마튜(Georges Constant Mathieu, 1890-1948) 프랑스 헬레니스트. 파리대학 문학부(현4대학) 교수. 이소크라테스의 정치적 생각들(Les Idées politiques d’Isocrate, 1925)(Paris, Belles Lettres, 1925)
1893 브리두(André Bridoux, 1893–1982), 프랑스 철학자. Le stoïcisme et son influence(스토아주의와 그 영향), Paris, 1966.
1900 모로(Joseph Moreau 1900-1988), 프랑스 철학자. 플라톤 전문가. 플라톤에서 스토아학자들에 이르는 세계의 영혼(L'Âme du monde de Platon aux Stoïciens, 1939)
1910 베르베케(Gerard Verbeke, fr. Gérard Verbeke, 1910-2001) 벨기에 철학사가. 아소스의 클레안테스(Kleanthes van Assos. 1949), Augustin et le stoicisme, in: RA 1 (1958) S. 67-89.
1902 쉴(Pierre-Maxime Schuhl, 1902-1984), 프랑스 철학자. Le dominateur et les possibles, 1960), Étude sur la fabulation platonicienne, 1947) Panaitios et la philosophie active, Revue philosophique, 1960.
1902 그뤼마흐(Ernst Grumach, 1902–1967), 독일고전 문헌학자. 언어학자. 옛스토아에서 자연과 훌륭함(Physis und Agathon in der Alten Stoa. 1932)
1902 가제(Jean Gagé, 1902-1986) 프랑스 역사가, 로마사 전공. Les Classes sociales dans l'Empire romain, 1964, "La propaganda serapiste et la lutte des empereurs flaviens avec avec les philosophes (Stoïciens et Cyniques)," Revue philosophique. 149 (1959-1), pp 73-100.
1908 쟈그(Amand Jagu, 1908-1999), 신부, 앙제대학 교수, Epictete et Platon, 1946, 171 p.
1910 비리외-레이몽(Antoinette Virieux-Reymond, 1910–1992) 스위스 여성 철학자. 스토아학자들의 논리학과 인식론(La logique et l'épistémologie des stoïciens, 1949).
1910 베르베케(Gerard Verbeke, fr. Gérard Verbeke, 1910-2001) 벨기에 철학사가. 아소스의 클레안테스(Kleanthes van Assos. 1949), Augustin et le stoicisme, in: RA 1 (1958) S. 67-89.
1912 밀통-발랑뜨(Padre Milton Valente, 1912–1989), 프랑스 철학자. Les sources de l'éthique stoïcienne chez Cicéron, Paris, 1956. - L'éthique stoïcienne chez Cicéron (1958 Prix Broquette-Gonin (philosophie)상 수상),
1914 골드슈미트(Victor Goldschmidt, 1914-1981), 프랑스 철학자. 스토아의 체계와 시대관념들(Le système stoïcien et l'idées de temps, 1953)(Vrin, 1953, éd. augm. 1979).
1920 그릴리(Alberto Grilli, 1920–2007) 이탈리아 고전 라틴연구자. 철학자. Studi panezani, Studi italiani, di Filologia, classica, XXXIX, I 1957; cf. Revue philosophique, 1960, 9. 233.
1922 마리 시몬(Marie Simon, Marie Jalowicz, 1922-1998)과 하인리히 시몬(Heinrich Simon 1921-2010), Die alte Stoa und ihr Naturbegriff. Ein Beitrag zur Philosophiegeschichte des Hellenismus, 1956), 마리는 고대 문헌학자. 유대계 독일인 하인리히 시몬(Heinrich Simon 1921-2010)는 오리엔탈리스트이다. 1948년 둘은 결혼했다.
1929 힌만스(Benjamin Lodewijk Hijmans, 1929-2008), 네델란드 대학교수, Ἄσκησις(un exercice 연습, 훈련): Notes on Epictetus' Educational System, Assen 1959,
*
1972 한경자(韓慶子, 1972-) 서울대, 서양고대철학(헬레니즘철학, 스토아철학), 서울대 학위 <초기 스토아 자연학에서 '우주적 프네우마(pneuma)' 연구 - 크뤼시포스를 중심으로-, 2016, 서울대, 강상진.>
(4:29, 56QMH) (8:17, 56RKC) (9:29, 57VLH) (9:37, 57WKF) (10:11, 58LM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