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군의 섬 3 ( 압해도 1004섬 분재정원ㅡ죽도)2
◈ 일시 : 2025. 03. 07(금). 1차 2박 3일 중 셋째 날. 귀가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1km. 5시간 31분.
◈ 지도.
◈ 트랙.
◈ 일정정리.
03 :30에 잠이 깨서 뒤척이다 5에 호밀빵과 계란 야채 등으로 아침을 먹고 시간을 보내다.
07 ; 32분 호텔을 나와
07 : 45. 목포역 앞 차 없는 거리 정류소에서 송공항 가는 130번 버스를 탐. 시간이 다돼도 전광판에 운행정보가 뜨지를 않는다.
08 ; 36. 송공산자락을 돌아 송공항 거의 다가서 상촌정류소 하차. 요금을 4450원을 냈는데 100원을 돌려준다.
마을길 따라 언덕을 넘어가며 천사대교와 송공산을 바라본다.
08 : 47. 천사대교, 상촌 쪽에서 오는 2차선 도로를 만나 따라간다. 좌측에 신안금송재 한옥호텔과 민박집들.
08 : 57. 분재정원 저녁노을 미술관 표지석. 문은 잠겨있다.
09 ; 00 ~10 : 54. 1004 섬 분재정원 정문. 매표소. 분재정원 안내도. 입장료 10000원. 경로는 10000을 상품권으로 돌려준다.
쇼나조각원-암석원폭포-햇살연못-분재원ㅡ소나무길. 소사나무길-유리온실 ㅡ최병철분재기념관 ㅡ저녁노을미술관-
황해교류역사관-다시 암석원폭포-태산목길-초화원-애기동백온실을 둘러보고 정문으로 나간다.
11 : 02/33. 앞에 선착장이 있는 천사섬분재공원 해변. 노향림시비. 식당은 아직 준비가 안 됐다고 해서
신안군과 대전유성구와 자매결연 기념물 앞에서 송공항과 역도를 보며 빵과 계란. 야채로 점심.
11 : 55. 수락선착장.
12 ; 10. 쉼터.
12 : 22. 벤치가 있는 조류보호시설. 압해도 갯벌 안내판. 죽도와 봉엽산을 보며 간다.
12 : 28. 두 번째 조류 보호시설. 멸종위기 해양성 조류 보호시설 안내판.
12 : 45. 조천마을 앞 노두길.
12 ; 59. 2층으로 된 조류전망대.
13 : 14. 죽도입구. 죽도를 다녀온다.
13 : 24. 죽도. 되돌아간다.
13 : 40. 다시 돌아온 죽도입구.
13 : 45. 광립마을 선착장.
13 : 54. 하동서제방. 하동제방을 건너가면 버스정류소와 멀어지고 기운도 없어 여기서 끝내고 좌측으로 나간다.
14 : 09. 농업기술센터 정류소.
14 : 13. 농업기술쎈터 정류소에서 1004번 버스 타고(3000x2).
15 : 10.목포터미널에서 1번 버스로 환승(600x2)
15 : 30. M호텔 근처의 식당에서 순두부백반으로 점심(10000X2).
버스타고 오면서 올라가는 차표가 있나 알아보나 금요일이라 모두 매진이라 예약한 18 : 03분까지는
시간이 많이 남아있어 점심을 먹고 식당옆 카페에서 커피 한잔 마시며 죽치고 기다린다.
18 : 03. 예약한 KTX 타고ㅡ27900X2 ㅡ 천안아산역 20: 02 도착.
1부에 이어.
11 : 02/33. 앞에 선착장이 있는 천사섬분재공원 해변. 노향림시비. 식당은 아직 준비가 안 됐다고 해서
신안군과 대전유성구와 자매결연 기념물 앞에서 송공항과 역도를 보며 빵과 계란. 야채로 점심.
1004섬 분재정원 앞 송공산 분재공원 정류소.
우측으로 본 송공항과 역도.
앞쪽은 선착장.
대전유성구와 자매결연.
압해읍 김생산자 연합회 사무실앞을 지나 래안을 따라간다.
펜션이나 카페를 짓나?
11 : 55. 수락선착장.
수락선착장.
수락 선착장에서 갈 방향.
호안도로.2021.06.10에 준공.
저자마을.
멀리 광립마을과 죽도가 보이고.
좌측 용안저수지 둑 뒤로 송공산이 보이고 사진 좌측 전봇대 있는곳에 수락정류장
산자락을 돌아 오르면 수달장군 동산이 있다는 송공산입구 정류소 .
12 ; 10. 쉼터.
쉼터와 죽도.
뒤 돌아 본 수락선착장.
12 ; 16. 양식장앞 해안둑길을 따라간다.
뒤돌아 보고
갈방향 앞쪽으로 멀리 조천마을의 큰 교회가 보인다.
좌측에 조류보호시설이 나오고 조천마을.
물이빠지니 차도 노두길에
12 : 22. 벤치가 있는 조류보호시설. 압해도 갯벌 안내판. 죽도와 봉엽산을 보며 간다.
갯고랑 뒤로 죽도(우)와 구항산(59.2m 좌)
조천마을 교회.
좌측에 조천마을.
좌측끝에 압해농협 종합미곡처리장. 우측에 조천미을.
살아 있는 갯벌.
뒤돌아 본 온길과 송공산.
12 : 45. 조천마을 앞 노두길.
조천마을에서 농사용 상토가 나왔으니 찾아가라는 방송이 들려온다.
개인별 상토숫자를 방송하는데 보틍은 몇백포,어느집은 3000포가 넘는걸보니 농토가 넓다.
조천마을 앞 노두길.
죽도(우)와 구항산(59.2m 중)
꼬막섬(좌) ㅡ 소안도ㅡ 외안도 ㅡ죽도(우).
조천마을의 큰 교회를 당겨보고.
12 ; 59. 2층으로 된 조류전망대.
죽도와 갯고랑.
뒤돌아 본 송공산과 지나온 해안.
2층으로 된 조류전망대에서 창문으로 본 광립마을.
탐조대에서 조망.
13 : 14. 죽도입구. 죽도를 다녀온다.
죽도입구.
죽도입구에서 좌측으로 본 갈방향의 광립마을 포구.
죽도 앞면.
죽도 앞면에서 뒤 돌아 본 광립마을.
13 : 24. 죽도. 선착장과 노도길뒤로 유달산과 죽도입구를 돌아보고 되돌아 나간다.
죽도 후면의 선착장.
죽도 후면의 노두길 뒤로 유달산.
광립마을과 죽도 입구.
죽도앞에서 본 지나온 송공산쪽.1
죽도앞에서 본 지나온 조촌마을쪽 2.
죽도앞에서 본 죽도입구 3.
죽도앞에서 본 갈 방향의 하동서제방과 구항산(59.2m.중)-꼬막섬-외안도(우).
13 : 40. 다시 돌아온 죽도입구.죽도왕복 26분 걸렸다.
죽도입구.
광립선착장과 하동서제방- 구항산(59.2m.우)
13 : 45. 광립마을 선착장.
립마을 선착장에서 꼬막섬과 외안도.소외안도.
하동서제방과 구항산(59.2m)을 보며 간다.
13 : 54. 하동서제방. 하동제방을 건너가면 버스정류소와 멀어지고 오늘따라 기운도 없어 여기서 끝내고 좌측으로 나간다.
하동서제방.
하동서제방에서 뒤 돌아 본 죽도.
하동서제방에서 뒤 돌아 본 유달산과 소외안도. 외안도, 뒤로 죽도.
우측에 하얀건물의 농업기술센터를 향하여.
14 : 09. 농업기술센터 정류소.
농업기술센터 정류소.
14 : 13. 농업기술쎈터 정류소에서 1004번 버스 타고(3000x2).
15 : 10.목포터미널에서 1번 버스로 환승(600x2)
15 : 30. M호텔 근처의 식당에서 순두부백반으로 점심(10000X2).
버스타고 오면서 올라가는 차표가 있나 알아보나 금요일이라 모두 매진이라 예약한 18 : 03분까지는
시간이 많이 남아있어 점심을 먹고 식당옆 카페에서 커피 한잔 마시며 죽치고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