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통
산후통은 여성이 아이를 낳은 뒤에 나타나는 병입니다. 흔히 산후풍이라고 부른다. 이름 그대로 여성들이 아이를 낳은 후에는 기력이 떨어져 있고 모공이 열려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바람, 한기, 습기 등에 노출 되었을 때 풍한습(風寒濕)의 사기(邪氣)에 침입하여 발생한다. 팔, 다리, 허리, 어깨, 신경선, 뼈마디 같은 데가 쑤시고, 시리고, 저리고, 아픈 증상 등이 나타나는 병이다.
산후에 몸조리를 잘못해서 생기는 병으로 서양 여성에게는 거의 없고 동양 여성에게 많다.
산후통은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올 때, 곧 공중의 습도가 높을 때 잘 나타나므로 날궂이병 이라고도 한다. 날씨가 맑을 때는 아무렇지도 않다가 날지 궂을 때는 온 몸의 뼈마디가 견딜 수 없을 만큼 쑤시거나, 몹시 시리고, 찬바람이 나는 것 같거나, 피부가 찬물이아 찬바람에 닿으면 마비되거나 저리를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에는 우울증까지 동반할 수 있다. 신경통이나 관절염, 디스크와 비슷하기도 하며 또 산후에 나타나는 온갖 병을 모두 아울러서 산후통이라 한다.
또 산후통은 아이를 낳고 나서 몸 안에 있던 어혈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남아 있다가 신경선이나 관절 같은데 모여서 염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생기는 병이다. 아이를 낳고 나서 땀을 푹 내어 출산 때 생긴 어혈이나 독소들을 밖으로 내보지 않으면 어혈과 독소가 그대로 몸 안에 남아 있게 된다. 또 출산으로 몸 전체가 완전히 이완되었을 때 갑자기 찬바람을 쐬거나 습한 기운, 찬 기운을 맞으면 사기(邪氣)가 몸 안으로 들어온다. 즉 산후통의 원인은 어혈과 풍한습기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아이를 낳을 때 자궁과 질, 골반이 열리는 것이 아니라 온 몸 전체의 근육과 뼈마디가 완전히 늘어져 풀렸다가 천천히 본래대로 되돌아간다. 그 기간을 한의학에서는 대략 49일쯤 걸린다고 하여 그 기간 동안 몸조리를 하게 합니다. 이 기간 동안에 몸을 따뜻하게 하여 몸의 모든 땀구멍을 열어 땀을 푹 내면 어혈과 독기가 땀구멍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되지만, 땀을 충분히 내지 못하면 어혈과 독기가 몸 안에 남아 있게 된다. 또 갑자기 찬바람이나 찬 기운을 쐬면 땀구멍으로 찬 기운이 스며들면서 땀구멍이 수축이 된다. 이렇게 몸 안에 남은 어혈과 찬 기운이 뭉쳐서 몸 안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다가 원기가 쇠약해지면 신경통, 관절염, 디스크, 요통 같은 합병증이 되어 산후풍으로 나타난다. 산후풍은 몸을 풀고 나서 곧 나타나는 수도 있지만, 몇 년 혹은 수십 년이 지나서 나타나는 수도 적지 않다.
서양 의학에서는 산후통이나 산후풍이라는 병이 없다. 산후통은 서양 여성들에게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병인데, 이것은 동양 여성과 체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서양 여성은 자궁이 튼튼하여 아이를 쉽게 낳고 산후 조리를 거의 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처럼 몸 풀고 나서 미역국을 먹는 일도 거의 없습니다.
사람은 폐로만 숨을 쉬는 것이 아니라 피부나 창자에서도 숨을 쉰다. 피부의 땀구멍을 통하여 숨을 쉬는 것을 모공 호흡이라고 하며 창자로 하는 호흡을 장호흡이라고 한다. 동물 중에서는 미꾸라지가 장호흡을 많이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개. 늑대. 토끼 같은 짐승들은 털구멍이 없으므로 피부호흡을 하지 않습니다.
땀구멍을 통해서 하는 호흡은 모세혈관의 흐름을 도와주고 몸 안의 독소를 내보내는 일을 한다. 만약에 땀구멍을 모두 막아버리면 혈액순환이 어려워지고 몸 안의 독소를 밖으로 내보내지 못해 생명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를테면 페인트 같은 것을 칠해서 땀구멍을 모두 막아 버리면 그 사람은 얼마 지나지 않아 몸이 퉁퉁 붓고 피부가 썩어 죽게 된다. 피부호흡과 장호흡은 폐호흡 못지않게 중요하다.
몸을 풀고 나서 온 몸의 땀구멍이 열려 어혈과 독소를 밖으로 내보내어 몸의 기능을 천천히 회복시키는 도중에 갑자기 찬바람을 쐬면 모공이 닫혀져서 모공 호흡이 멈춰 버린다. 그러면 혈액순환이 어려워져서 어혈과 독소가 몸 안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폐나 장호흡 통하여 얻은 산소를 모세혈관으로 보내어 혈액순환을 돋게 되는데 모공 호흡으로 산소를 충분히 얻지 못하면 폐와 심장에 부담이 커져 폐의 기능에도 무리가 오고 아울러 심장의 기능에도 문제가 생겨 산후천식 산후부종 등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