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하착(放下着) 착득거(着得去),
방하착, 내려 놓아라.
착득거, 지니고 가다.
방하착이란,
마음 속에 있는 번뇌, 갈등, 집착, 원망을 비워라. 마음을 내려 놓아라.
아무 것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그 생각조차 내려 놓으라는 뜻입니다.
---
방하착(放下着)과 착득거(着得去)라는 말의 일화는 중국 당나라 때의 이야기다.
어느 날 탁발승 엄양존자가 선승(禪僧) 조주선사를 친견한 자리에서 엄양존자가 가르침을 청하면서 "하나의 물건도 가져오지 않았을 때는 어찌 합니까"" 하고 물으니, 조주선사는 "방하착(放下着) 하라"고 답한다. 이에 엄양은 다시 물었다. "한 물건도 갖고 오지 않았는데 무엇을 방하하라는 말씀이신지요?" 하고는 몸에 지닌 염주와 지팡이를 내려놓고 선사의 눈치를 살피니 선사께서는 바로 "착득거(着得去) 하시게." 라고 말했다.
세상을 살면서 자연스레 득했던 모든 것을 비우고 다시 모든 걸 지고 가라는 뜻의 선문답을 주고 받았다는 내용이다.
인생은 空手來 空手去란 말과 같이 사물의 모든 것은 공(空)인데 하물며 인간에게서 온갖 번뇌와 갈등, 원망, 집착, 애착, 이득과 손실 등등에 얽힌 모든 것을 부처님께 공손히 바치고 나와 내것에 매달려 어리석은 아집으로부터 마음을 비우고, 마음을 내려 놓으라는 뜻이 방화착(放下着)의 진정한 의미일 것이다.
방하착(放下着)과 대비되는 말이 착득거(着得去)이다. 윗 엄양존자와 조주선사의 대화에서 "한 물건도 갖고 오지 않았는데 무엇을 방하(放下)하라는 말씀이신지요?" 하고는 몸에 지닌 염주와 지팡이를 내려놓고 선사의 눈치를 살피니 선사께서는 바로 "착득거(着得去) 하시게." 라고 말한다. 여기에서 "착득거(着得去) 하시게."란 말은 "마음에 지닌 온갖 잡상을 그대로 지고 그냥 가시게나"라는 깊은 뜻을 포함하고 있다. 즉 마음 속에 갖고 있는 온갖 번뇌와 갈등, 오욕칠정을 포함한 유무형의 가치를 그대도 가지고 여기를 떠나라는 선승의 말이다.
출처_네이버블로그 JWKIM8993
---
인생은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채우고 또 비우는 과정의 연속이다.
무엇을 채우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지며
무엇을 비우느냐에 따라 가치는 달라진다.
인생이란 그렇게 채우고 또 비우며
자신에게 가장 소중한 것을
찾아가는 길이다.
- 에릭 시노웨이, 메릴 미도우의 《하워드의 선물 》 중에서
---
<방하착(放下着)과 착득거(着得去)>
<방하착(放下着)>
산사의 스님들 사이에 방하착이란 예화가
자주 등장한다.
한 스님이 탁발을 하러 길을 떠났는데,
산세가 험한 가파른 절벽 근처를 지나게 되었다.
그때 갑자기 절벽 아래서 사람 살려! 라는
절박한 소리가 실낱같이 들려왔다.
소리가 들려오는 절벽 밑을 내려다보니
어떤 사람이 실족을 했는지 절벽으로 굴러 떨어지면서
다행히 나뭇가지를 붙잡고 대롱대롱 매달려
살려달라고 발버둥을 치고 있는 것이었다.
이게 어떻게 된 영문이오? 라고
스님이 물어보니 다급한 대답이 들려왔다.
사실은 나는 앞을 못보는 봉사 올시다.
산 넘어 마을로 양식을 얻으러 가던 중 발을 헛딛어
낭떠러지로 굴러 떨어졌는데 다행히 이렇게,
나뭇가지를 붙잡고 구사일생으로 살아 있으니
뉘신지 모르오나 어서 속히 나 좀 구해주시오~
이제 힘이 빠져서 곧 죽을 지경이오! 하는 것이었다.
스님이 자세히 아래를 살펴보니
그 장님이 붙잡고 매달려 있는 나뭇가지는
땅 바닥에서 겨우 사람 키 하나 정도 위에 있었다.
뛰어 내려도 다치지 않을 정도의 위치였던 것이다.
그래서 스님이 장님에게 외쳤다.
지금 잡고있는 나뭇가지를 그냥 놓아 버리시오.
그러면 더 이상 힘 안들이고 편안해 질수있소!
그러자, 절벽 밑에서 봉사가 애처롭게 애원했다.
내가 지금 이 나뭇가지를 놓아버리면
천길 만길 낭떠리지로 떨어져 즉사할 것인데,
앞못보는 이 사람을 불쌍히 여기시어
제발 나좀 살려주시오~ 라고 애걸복걸 했다.
그러나, 스님은 봉사의 애원에도 불구하고
살고 싶으면 당장 그 손을 놓으라고 계속 소리쳤다.
그런 와중에 힘이 빠진 봉사가 손을 놓치자
땅밑으로 툭 떨어지며 가볍게 엉덩방아를 찧었다.
잠시 정신을 차리고 몸을 가다듬은 장님은
졸지간에 벌어졌던 어처구니 없는 상황을 파악하고
멋적어 하며 인사치례도 잊은채 황급히 자리를 떠났다.
그렇다, 우리도 앞못보는 장님과 크게 다를 바 없다.
봉사가 붙잡고 있는 나뭇가지가 오직 자신을
살려주는 생명줄인 줄 알고 죽기살기로 움켜쥐듯이,
끝없는 욕망에 집착하며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놓아버리면 곧 죽고 못 살 것 처럼 아둥바둥 발버둥치는
청맹과니와 같이 눈뜬 장님이 바로 우리들이 아닌지.
썩은 동아줄과 같은 물질을 영원한 생명줄로 착각하고
끝까지 붙들고 발버둥치는 불쌍한 우리네 중생들,
자기를 지켜주는 생명줄이라고 집착하고 있는 것들을
과감하게 놓아 버려야 편안하게 살 수있는 길이라고
알려 주는데도 불구하고, 귀담아 듣는 사람은 별로없다.
<착득거(着得去)>
중국 당나라때 선승 조주스님이 말씀하셨다는
착득거(着得去)는 지고 가거라는 말로 방하착의 반대이다
스님들의 화두중에 '방하착'이
"집착하는 마음을 내려놓는 것,
또는 마음을 편하게 가져라는 뜻"을 방하착이라 하는데,
그와는 반대로는 조주 스님이 내리신 역화두인
"모든 것을 다 내려놓아 내려놓을게 없으면 지고 가거라."의
착득거(着得去)가 있다.
출처_ 다음카페, 주행연의 세상사는 이야기
---
비우지 않으면 끊임없이 괴로움만 남습니다.
번뇌, 갈등, 집착, 원망 모든 것을 비움으로서
본래 그 참마음을 지킬 수 있습니다.
비우면 채워지고 또 비우면 채워지는 것이 인생입니다.
자꾸 욕심을 부려 채우기만 한다면 그릇은 깨지고 맙니다.
그러니 불필요한 것들을 하나씩 비워나가
삶의 그릇을 오롯이 지켜나가야 합니다.
오늘 하루도 온갖 번뇌망상을 비우시고,
참다운 나의 본 모습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불교이야기 #매일한줄불교이야기 #조주선사 #방하착착득거 #불교
#청현다원
첫댓글 허공을 삼키고 허공을 내뱉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