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at is Behavior-Based Safety?
The emphasis of a behaviour-based approach to safety is through employee behaviour. 80-90% of all accidents can be linked to employee behavior. Often it enables many other preexisting safety critical behaviours. It is a proactive safety management tool, with the info being obtained without anyone being hurt.
BBS(행동기반안전) 접근방식은 직원의 행동을 강조하는 것이다. 전체사고의 80~90%가 직원 행동과 연관되며, 종종 BBS는 기존의 많은 중요하고 안전한 행동들이 일어나게 해 준다. 이는 예방적 안전관리 툴로 상해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수집된 정보를 사용한다.
Behavioural Based Safety is about the influence behaviour of a person (employee, contractor) or group has on the safety of an organization. This requires knowledge about the parameters that influence behaviour, for exampl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formal or informal communication, complex or easy technology, norms and values.
BBS는 개인(직원, 협력업체) 또는 구룹의 행동이 조직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다. 이는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예를 들어 조직의 구조와 문화, 공식 또는 비공식적 의사소통, 복잡하거나 단순한 기술, 규범과 가치 등에 대한 지식을 요구한다.
The purpose of a BBS program could be to learn employee how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 work and their role as a part of the system. To be effective the program should match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communication and culture of the organization.
BBS 프로그램의 목적은 직원들을 알고 안전 관리 시스템의 운영박식과 이러한 시스템의 일부로서 직원의 역할을 살펴보는 데 있다. 효과적인 BBS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조직 구조와 의사소통, 그리고 조직 문화가 잘 조화되어야 한다.
Readiness for Behavioral Change
A common mistake in the introduction of behavioral change programs for many organizations is the failure to assess the organization's "readiness" for change. Failure in the success of behavioral programs is often attributed to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al tool itself. However, the organization's "lack of readiness" for behavioral change is more accountable for failure than the behavioral tool itself. It is essential that an assessment of "readiness" is conducted. Assessment of "readiness" is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goals, setting targets, and establishing ways of achiveing targets. Behavioral change programs will drive this process measuring and providing feedback on success.
행동변화프로그램 도입시 많은 조직이 범하는 일반적인 실수는 먼저 그 조직이 변화할 "준비"가 되어있는지를 제대로 평가하지 않는 데 있다. 행동관리프로그램 도입의 실패를 흔히 행공관리 프로그램 자체의 효과성에 원인을 두는 경우가 있으나, 행동변화 도입의 실패원인은 대게 행동관리프로그램 자체보다는 행동변화에 대한 "준비의 결여"에 있다. 준비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BBS 프로그램에서 필수사항이다. "준비"에 대한 평가란 목적을 파악하고,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달성 방법을 구축하는 진행과정에 있다. 행동변화 프로그램은 이 과정을 이끌고, 평가하며 피드백을 제공한다.
In order for a BBS programme to be successful, careful diagnosis is required. Need to determine the level of safety culture/maturity of the organization. Also need to identify previous initiatives and current safety programmes to understand what has been successful and not successufl in the past. BBS works best in conjunction with other safety initiatives rather than stand alone.
BBS 프로그램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신중한 진단이 필요하다. 조직의 안전문화 수준/성숙도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과거에 성공한 것과 성공하지 않은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또한 이전과 현재의 안전 프로그램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BBS는 독립적일 때 보다는 다른 안전정책과 연계하여 진행할 때 가장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Requirements of a BBS program
Five important principles of changing employee beliefs and behavior :
▶ Management example - their modelling of all aspects of the safety programme impacts heavily
on workforce
▶ Feedback - effective constructive feedback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ir performance
▶ Training - demonstrates expectations of employees and highlights implications of their behaviour and
its effect on others
▶ Employee involvement - level will determine adherence to safe practices
▶ Promotional activities - adopting safe practices should be "sold" to the workforce and to ensure
that all are aware that safety measures exist
직원들의 신념과 행동을 바꾸기 위한 5가지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다.
▶ 경영진의 솔선수범 - 안전 프로그램의 모든 측면에서 경영진의 솔선수범은 직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 피드백 - 효과적이고 건설적인 피드백은 성과를 이해하고 개선하는데에 필수적이다.
▶ 교육훈련 - 직원에게 바라는 바를 보여주고 그들의 행동이 암시하는 바와 그러한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 직원참여 - 참여수준은 안전절차 준수를 결정한다.
▶ 홍보활동 - 채택된 안전절차를 직원들에게 알리고 모두에게 안전조치의 존재를 인식시킨다.
How does BBS work?
By enabling organizations to identify behaviours which can contribute to or have contributed accidents (through knowledge of the people involved and past experience); providing a system of ongoing observation and feedback (regular observations should be conducted); and utilizing information gathered to identify corrective actions (effective feedback delivers the information and allow corrective action to be taken).
사고 원인이 될 수 있거나 원인이 된 행동을 관련 인원의 지식과 과거 경험을 통해 파악하고, 계속적인 관찰과 피드백 시스템을 제공(정기적 관찰실시)하며, 시정조치들을 파악하기 위해 수집한 정보를 활용(효과적인 피드백은 정보전달 및 시정조치 실시를 가능하게 함)
It should be a system which enables shop floor employees to identify critical behaviours, measure workforce performance and to work together with management to remove identified barriers.
이 시스템은 현장 직원이 위험행동을 파악하고 성과를 측정하며, 경영지과 함께 파악된 장벽을 제거할 수 있게 만드는 시스템이어야 한다.
DNV GL Korea의 행동중심안전(BBS) 컨설턴트
이미 기업 현장에서 안전분야에 풍부한 경험을 하신 전문가를 DNV GL은 엄격한 과정 그리고 매년 업그레이드되는 교육훈련을 통하여 훌륭한 컨설턴트로 양성하고 있습니다. BBS컨설팅은 현장에서 진행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컨설턴트의 기업 실무 경험이 매우 중요합니다.
▶ 아래 사진은 DNV GL Korea의 행동중심안전(BBS) 컨설팅 분야에 등록된 모든 컨설턴트들입니다.
▶ 여기는 안전경영분야의 전문 컨설팅부서로서 인증원과는 다른 부서입니다.
본 컨설팅 내용과 관련하여서는 02-724-8042(고아름과장)으로 직접 연락하셔야 합니다.
▶ Dong.Ho.Lim@dnvgl.com 으로 문의주시면 상세 자료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