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날, 긴장되고 설렜습니다. 합동연수로 실습 시작했습니다. 한덕연 선생님의 복지요결 강독회와 강감찬종합사회복지관 김별 선생님,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권대익 선생님의 사례발표로 진행되었습니다. 복지요결을 탐구하며 배웠던 내용 정리했습니다.
요약
머리말
1. 기본개념 1) 복지요결은 사회사업 바르게 잘하는 길을 근본으로부터 탐구하는 이야기 2)사람과 사회에 관한 생각을 정하고 개념 가치 이상 철학 주안점 밝혀 사회사업 방법을 구함 3) 열쇠 말 (keyword) ・ 핵심요소 - 사람과 사회 → 당사자와 지역사회
2. 시선 1) 이론 ① 대상자와 당사자 ② 주간센터와 주간활동 지원센터(혹은 주간생활 지원센터) ③ 사례관리자와 사례관리 지원자 / 사례관리 대상자와 사례관리 대상자 2) 실무 ① 반찬 사업 - 복지사업 시선: 반찬을 만들거나 사거나 후원받아서 배달해주는 방식 - 당사자의 삶, 지역사회 사람살이 시선: 당사자와 둘레 사람이 반찬 만들거나 나누고 더불어 살게 돕는 방식 ② 집단 활동 프로그램 - 복지사업 시선: 사회사업가가 계획 준비 진행, 사회사업가 쪽 강점과 자원 활용 - 당사자의 삶, 지역사회 사람살이 시선: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계획 준비 진행하게 돕는 방식, 당사자쪽 강점과 자원 활용, 지역사회 일반 수단 이용 주선
사람과 사회
1. 기본개념 ① 사람다움 - 자기 삶의 주인으로 살아야 함 -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야 함 ② 사회다움 - 약자도 살 만해야 하고 약자와 더불어 살아야 함 - 이웃이 있고 인정이 있어야 함
2. 내용 ① 사회사업학 - 사회사업 바르게 잘하는 길 탐구하는 학문 - 복지요결: 사람을 사람답게 돕고 사회를 사람 사는 사회 같게 하기 위함 ② 사람다움 - 복지를 이루는 데 주인 노릇 하거나 주인 되게 도움 - 복지를 이루는 데 둘레 사람과 함께하기 도움 * 소외되거나 고립된 사람일수록 이렇게 도움 ③ 사회다움 - 일반 수단으로써 복지 이루게 도움 - 제 마당 제 삶터에서 함께하거나 돕거나 나누게 주선 – 자연스러운 사람살이 - 이웃 관계와 인정의 소통을 살려 복지 이루게 함 ④ 어른다움 - 어른답다: 어른 구실, 어른 노른 - 복지관은 어르신들이 어른 구실 어른 노릇 하시게 돕는 프로그램을 주선 * 기력이 없거나 의식이 흐려도 이렇게 도움, 장애나 치매증이 심해도 이렇게 도움
3. 약자 1) 사회적 약자 2) 상황적 약자 * 사회사업가는 사람 자체를 약자로 보지 않음 * 사회사업에서 신체장애 정보 필요 없음 언급하지 않고 의식하지 않음
4. 이웃과 인정 - 이웃과 인정의 소통을 살려야 함 - 이웃과 인정이야 말로 인간사회의 생명력
5. 인공복지/미래사회 - 인공복지 뒤편으로 인정 이웃 자꾸 멀어져감 - 아직 이웃 인정으로써 사회사업 할 만함 – 도시는 사람이 많고 이웃 인정에 대한 그리움이나 목마름이 있기 때문
사회사업 개념
1. 기본개념 1) 근본 관점 (사람다움 사회다움 관점에서 보는 관점) ① 당사자와 지역사회: 당사자가 이루게 도움, 지역사회도 함께하게 도움 ② 복지와 공생: 복지를 이루게 도움, 더불어 살게 도움 2) 사회 관점 ① 사회적 방법: 지역사회에서 지역사회로써 복지를 이루게 도움 / 당사자 – 둘레 사람 – 지역사회 – 일반수단 ② 사회적 목표: 지역사회에 복지가 흐르게 함 3) 생태 관점 사회사업은 사회생태를 좋게 하는 일
2. 내용 1) 사회사업의 본질: 더불어 살게 돕는 일 2) 당사자: 복지를 이루는 데 사회사업 도움을 받는 사람 3) 지역사회: 당사자의 지역사회 곧 당사자와 서로 자연스럽게 연락하거나 만나거나 왕래할 수 있는 사람 4) 복지: 복스러운 상태 또는 그런 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 ① 소극적 사업: 어렵지 않거나 덜 어려운 상태 또는 그런 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 ② 적극적 사업: 좋은 상태 또는 그런 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 *151p 직접강점 – 소극적 사업: 부작용 多 / 간접강점 – 적극적 사업: 문제 희석 상쇄 해결
사회사업 가치
1. 기본개념 1) 가치: 유용하거나 바람직한 속성 / 사회사업 가치: 어떤 사람에게 어떤 일에 유용하거나 바람직한 속성 ① 당사자의 자주성 ② 지역사회의 공생성 2) 윤리: 사회사업 가치를 이야기하는 주목적은 사회사업 윤리에 있음
사회사업 이상
1. 기본개념 1) 사회사업 이상: 사회사업으로써 이루고자 하는 목표 또는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 2) 사회사업이 지향하는 방향 3) 이상은 실무를 규정 통제 평가하는 최상의 기준
2. 내용 1) 약자도 살 만하고 약자와 더불어 사는 사회 2) 정붙이고 살 만한 사회
3. 연구 방법 1) 실용성 ① 근본을 밝혀 이야기 함 ② 실무에 닿게 이야기 함 ③ 알맞은 수준으로 설정함 2) 당사자, 사람다움 * 사회사업 이상의 본질은 복지생태임 (복지사회와는 상극) |
와 닿은 내용, 느낀 바, 사업 적용점
- 권대익 선생님께서 “사업이 잘 풀리지 않는다 생각이 들 땐 보통 선행연구가 안되어서 그래요.” 말씀하셨습니다. 사회사업 바르게 잘하고 싶습니다. 근본을 좇아 행하고 싶습니다. 근본으로써 성찰하겠습니다.
- 실제 당사자가 주인 노릇하면, 둘레 사람들은 관심을 가진다는 것 배웠습니다.
- 둘레사람, 지역사회에서 어른 구실, 어른 노릇하게 거들어야한다는 것 배웠습니다. 복지관은 그런 일을 프로그램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풀꽃향기와의 과업에서도 어르신들이 어른 구실, 어른 노릇하게 거들겠습니다.
- 사회사업 개념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복지를 이루고 더불어 살게 돕는 일입니다.”에서 지역사회는 당사자의 지역사회 곧 당사자와 서로 자연스럽게 연락하거나 만나거나 왕래할 수 있는 사람을 뜻한다는 것 배웠습니다. 공간은 복지를 이룰 수 없기에 사람을 의미하는 것 알았습니다.
- 적극적 사업 – 간접 강점으로 문제를 희석 상쇄 해결한다는 것 기억에 남습니다. 특히 「복지요결」 151쪽 '문제를 따돌리기'가 기억에 남습니다. 소극적 사업 – 직접강점은 부작용이 많아 신중히 해야 함을 배웠습니다.
- 한덕연 선생님께서 “상상해보세요. 당사자가 꾸리는 사업입니다. 이루고 누리는 당사자의 삶, 지역사회 사람살이를 보세요. 그것이 시나리오입니다. 만능해법입니다.” 말씀하셨습니다. 풀꽃향기와 함께하는 사업을 곰곰이 생각해보았습니다. 어르신들이 직접 어르신들 것으로 어르신들에게 나누는 사업. 상상하니 즐겁습니다. 더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생각하겠습니다.
활동
실습 동료들과 떡볶이
처음으로 다 같이 식사를 했습니다. 개화산 튀김명가에 가서 나눠주신 김밥, 떡볶이, 튀김을 먹었습니다.
서로의 이야기를 들으며 함께 도란도란 이야기하니 더 친해진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일정에서 서로 의지되고 힘이 되길 바랍니다.
같이 가자고 제안해준 어진이, 하연이 고맙습니다. 함께 앉아 열심히 듣자며 북돋아준 강현이, 기준이 고맙습니다.
첫댓글 복지요결 공부 많이 어려울 수도 있었을텐데 맨 앞자리에 앉아 열심히 청강하는 모습들에 응원을 보냅니디~^^ 귀한 배움들이 짧게는 단기사회사업안에 길게는 앞으로 선생님들의 인생에 든든한 바탕이 되길 희망합니다^^
부지런히 오늘의 배움을 가장먼저 기록해준 주영선생님 대단합니다~^^ 내일의 배움도 기대하며 굿밤입니다!!
팀장님, 늦은 시간까지 일지 확인해주시고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복지요결 열심히 학습하여 바탕이 되게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