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天官書(천관서)
中宮天極星, 其一明者, 太一常居也, 旁三星三公, 或曰子屬. 後句四星, 末大星正妃, 餘三星後宮之屬也. 環之匡衛十二星, 藩臣. 皆曰紫宮. 前列直斗口三星, 隨北端兌, 若見若不, 曰陰德, 或曰天一.
중궁천극성, 기일명자, 태일상거야, 방삼성삼공, 혹왈자속. 후구사성, 말대성정비, 여삼성후궁지속야. 환지광위십이성, 번신. 개왈자궁. 전렬직두구삼성, 수북단태, 약견약불, 왈음덕, 혹왈천일.
[解釋] 無限히 열린 하늘의 중앙에는 다섯 개의 별인 天極星이 있는데, 그 가운데 밝은 별 하나가 가장 존귀한 천신인 天帝를 이르는 太一이 상주하는 곳이다. 그 옆의 세별은 三公에 해당하는데, 또 어떤 이는 天帝의 아들들이라고도 한다. 태일 뒤로는 네별이 굽어져 있는데, 맨 끝의 큰 별은 천제의 正妃이고, 나머지 세별은 後宮의 무리이다. 이들을 둘러싸 호위한 열두 별은 변방을 지키는 제후들이다. 이들 모두를 紫微垣이라고 한다. 앞으로 길게 뻗어 北斗座의 입을 가리고 있는 세별은, 북쪽을 향해 드리워져 앞 끝이 가늘고 보일 듯 말듯 한데, 그 이름을 陰德座 또는 天一座라고도 한다.
紫宮左三星曰天槍, 右五星曰天棓, 後六星絕漢抵營室, 曰閣道. 北斗七星, 所謂 「旋、璣、玉衡以齊七政.」 杓攜龍角, 衡殷南斗, 魁枕參首. 用昏建者杓, 杓, 自華以西南.
자궁좌삼성왈천창, 우오성왈천부, 후륙성절한저영실, 왈각도. 북두칠성, 소위 「선、기、옥형이제칠정.」 표휴룡각, 형은남두, 괴침삼수. 용혼건자표, 표, 자화이서남.
[解釋] 자미원 왼쪽의 세별은 天槍座, 오른쪽의 다섯별은 天棓座라고 부르며, 뒤의 여섯별은 은하수를 가로질러 室宿에까지 이르는데, 이름을 閣道座라고 한다. 北斗座는 일곱별인데, 이른바, 「旋璣玉衡을 살펴 七政을 바로잡는다.」는 별이다. 杓는 角宿를 끌고, 衡은 斗宿를 마주하며, 魁는 參宿의 머리를 베개 삼고 있다. 황혼에 寅의 방향을 가리키는 것은 杓인데, 표의 分野는 華山서남 지역이다.
夜半建者衡, 衡, 殷中州河、濟之閒. 平旦建者魁, 魁, 海岱以東北也. 斗爲帝車, 運于中央, 臨制四鄉. 分陰陽, 建四時, 均五行, 移節度, 定諸紀, 皆系於斗.
야반건자형, 형, 은중주하、제지간. 평단건자괴, 괴, 해대이동북야. 두위제거, 운우중앙, 림제사향. 분음양, 건사시, 균오행, 이절도, 정제기, 개계어두.
[解釋] 밤중에 寅을 가리키는 것은 衡인데, 형의 분야는 中州의 황하와 濟水 사이의 지역이다. 새벽에 그것을 가리키는 것은 魁인데, 괴의 분야는 東海에서 泰山에 이르는 동북 지역이다. 북두좌는 천제가 타는 수레로서, 하늘의 정중앙을 운행하면서 사방을 통제한다. 음양을 나누고, 사계절을 정하고, 五行을 조절하며, 절기를 바꾸고, 諸紀를 확정짓는, 모든 것이 북두좌에 연계된다.
斗魁戴匡六星曰文昌宮. 一曰上將, 二曰次將, 三曰貴相, 四曰司命, 五曰司中, 六曰司祿. 在斗魁中, 貴人之牢. 魁下六星, 兩兩相比者, 名曰三能.
두괴대광륙성왈문창궁. 일왈상장, 이왈차장, 삼왈귀상, 사왈사명, 오왈사중, 육왈사록. 재두괴중, 귀인지뢰. 괴하륙성, 양량상비자, 명왈삼태.
[解釋] 斗魁는 文昌座를 이고 있는데, 이는 별 여섯 개가 광주리 모양으로 열을 지어 있다. 문창좌의 첫째별은 上將, 둘째별은 次將, 셋째별은 貴相, 넷째별은 司命, 다섯째별은 司中, 여섯째별은 司祿이다. 두괴의 중앙은 貴人의 감옥이다. 두괴 아래에는 여섯 개의 별이 있어, 두 개씩 나란히 열을 지어있는데, 이것을 三能座라고 부른다.
三能色齊, 君臣和, 不齊, 爲乖戾. 輔星明近, 輔臣親彊, 斥小, 疏弱. 杓端有兩星, 一內爲矛, 招搖. 一外爲盾, 天鋒. 有句圜十五星, 屬杓, 曰賤人之牢. 其牢中星實則囚多, 虛則開出.
삼태색제, 군신화, 부제, 위괴려. 보성명근, 보신친강, 척소, 소약. 표단유량성, 일내위모, 초요. 일외위순, 천봉. 유구환십오성, 속표, 왈천인지뢰. 기뢰중성실즉수다, 허즉개출.
[解釋] 삼태좌의 색이 화평하면, 임금과 신하가 화목하며, 그 색이 화평하지 못하면, 임금과 신하가 서로 어긋나게 된다. 輔星이 밝고 가까이 있으면, 大臣이 친근해 힘을 지니고, 보성이 미약하고 멀리 있으면, 대신이 소원해 능력을 지니지 못한다. 斗柄의 앞 끝에는 두 개의 별이 있는데, 가까이 있는 것이 天矛星으로 招搖星이라고도 부른다. 멀리 있는 것은 天盾星으로, 天鋒星이라고도 부른다. 꺾여 둘러선 열다섯별이 두병에 닿아 있는데, 이것이 賤人의 감옥이다. 이 감옥 안에 별이 가득 차면 죄인이 많아지고, 별이 드물면 죄인이 풀려난다.
天一、槍、棓、矛、盾動搖, 角大, 兵起. 東宮蒼龍, 房、心. 心爲明堂, 大星天王, 前後星子屬. 不欲直, 直則天王失計. 房爲府, 曰天駟. 其陰, 左右驂. 旁有兩星曰鉤衿, 北一星曰舝.
천일、창、부、모、순동요, 각대, 병기. 동궁창룡, 방、심. 심위명당, 대성천왕, 전후성자속. 불욕직, 직즉천왕실계. 방위부, 왈천사. 기음, 좌우참. 방유량성왈구금, 북일성왈할.
[解釋] 天一座, 天槍座, 天棒座, 天矛星, 天盾星이 동요하며, 光芒이 커지면, 전쟁이 발생한다. 동관은 蒼龍의 형상이며, 房宿와 心宿가 있다. 심수는 明堂인데, 그 큰 별은 天王이고, 그 앞의 별과 뒤별은 太子와 庶子이다. 이 별들은 직선으로 늘어서지 말아야 하며, 만약 직선을 이루면 천왕의 정책결정이 잘못된다. 방수는 천제의 官署이며, 또 천제의 마차이다. 그 북쪽은 左驂星과 右驂星이고, 그 옆의 두 별은 鉤星과 衿星이며, 북쪽의 한 별은 舝星이다.
東北曲十二星曰旗. 旗中四星天市, 中六星曰市樓. 市中星眾者實, 其虛則秏. 房南眾星曰騎官. 左角, 李, 右角, 將. 大角者, 天王帝廷. 其兩旁各有三星, 鼎足句之, 曰攝提. 攝提者, 直斗杓所指, 以建時節, 故曰 : 「攝提格.」
동북곡십이성왈기. 기중사성천시, 중륙성왈시루. 시중성중자실, 기허즉모. 방남중성왈기관. 좌각, 이, 우각, 將. 대각자, 천왕제정. 기량방각유삼성, 정족구지, 왈섭제. 섭제자, 직두표소지, 이건시절, 고왈 : 「섭제격.」
[解釋] 동북쪽에 열두 개의 별이 굽어져 있는데 이를 天旗座라고 하며, 천기좌 가운데에는 天市垣이라는 네 개의 별이 있고, 또 市樓座라는 여섯 개의 별이 있다. 천시원 속에 별이 많으면 경제가 번영하고, 그 속에 별이 드물면 경제가 궁핍해진다. 방수 남쪽에 있는 매우 많은 별들은 騎官座라고 부른다. 角宿 왼쪽의 별은 법관이고, 그 오른쪽의 별은 장군이다. 大角星은 천왕의 조정이며, 그 양쪽에 각각 세 개의 별이, 마치 삼각대처럼 굽어 싸고 있는데, 이를 攝提座라고 부른다. 섭제좌라는 것은, 두병이 가리키는 방향에 마주해 있어, 사계의 절기를 세워주며, 그래서 「攝提格의 해」라고 말한다.
亢爲疏廟, 主疾. 其南北兩大星, 曰南門. 氐爲天根, 主疫. 尾爲九子, 曰君臣, 斥絕, 不和. 箕爲敖客, 曰口舌.
항위소묘, 주질. 기남북량대성, 왈남문. 저위천근, 주역. 미위구자, 왈군신, 척절, 불화. 기위오객, 왈구설.
[解釋] 亢宿는 外朝로서. 질병을 관장한다. 그 남쪽과 북쪽에 있는 두 개의 큰 별은. 南門座라고 부른다. 氐宿는 각수, 항수의 밑바닥에 있으며, 전염병을 관장한다. 尾宿에는 아홉 개의 새끼 별[子星]이 있는데, 군주와 신하를 상징해,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군신 사이에 불화가 생긴다. 箕宿는 시비를 가리는 說客으로 분쟁을 상징한다.
火犯守角, 則有戰. 房、心, 王者惡之也. 南宮朱鳥, 權、衡. 衡, 太微, 三光之廷. 匡衛十二星, 藩臣, 西, 將, 東, 相, 南四星, 執法, 中, 端門, 門左右, 掖門. 門內六星, 諸侯. 其內五星, 五帝坐.
화범수각, 즉유전. 방、심, 왕자오지야. 남궁주조, 권、형. 형, 태미, 삼광지정. 광위십이성, 번신, 서, 장, 동, 상, 남사성, 집법, 중, 단문, 문좌우, 액문. 문내륙성, 제후. 기내오성, 오제좌.
[解釋] 火星이 각수의 자리를 침범하거나 점거하면, 전쟁이 일어난다. 화성이 방수, 심수의 자리를 범하거나 점거하는 것은 제왕이 싫어하는 현상이다. 남관은 朱雀의 형상이며, 權座와 衡座가 있다. 형좌는 太微垣이라고도 하는데 해와 달, 그리고 다섯 행성의 宮廷이다. 보좌와 시위를 담당하는 열두 개의 별은, 제왕을 보위하는 대신들이며, 서쪽의 것은 장군이고, 동쪽의 것은 재상이고, 남쪽의 네별은, 궁정의 관리인데, 중간은, 端門이고, 단문의 좌우 양쪽은, 掖門이다. 문 안의 여섯 개의 별은, 諸侯이다. 그 안의 다섯 개의 별은 五帝座이다.
後聚一十五星, 蔚然, 曰郎位, 傍一大星, 將位也. 月、五星順入, 軌道, 司其出, 所守, 天子所誅也. 其逆入, 若不軌道, 以所犯命之.
후취일십오성, 울연, 왈랑위, 방일대성, 장위야. 월、오성순입, 궤도, 사기출, 소수, 천자소주야. 기역입, 약불궤도, 이소범명지.
[解釋] 뒤쪽에 열다섯 개의 별이, 빽빽이 모여 있는데, 郎位座라고 하며, 옆쪽에 한 개의 큰 별이 있는데, 將位星이라고 한다. 달과 다섯 행성이 서쪽에서 태미원으로 들어가며, 正常의 길을 따르면, 이들이 오제좌로 나올 때까지, 이들에게 자리를 점거[守]당하는 별을 관찰한다. 그리하여, 그 별에 의해 상징되는 대신과 관리들에게 황제의 징벌을 내린다. 만약 동쪽으로부터 태미원에 들어가 정상의 길을 따라가지 않으면, 이들에게 침범하는 별을 살펴, 그 별에 의해 상징되는 대신과 관리에 대해 황제가 죄명을 내리게 된다.
中坐, 成形, 皆群下從謀也. 金、火尤甚. 廷藩西有隋星五, 曰少微, 士大夫. 權, 軒轅. 軒轅, 黃龍體.
중좌, 성형, 개군하종모야. 금、화우심. 정번서유수성오, 왈소미, 사대부. 권, 헌원. 헌원, 황룡체.
[解釋] 오제좌를 침범하거나 점거해 재앙이 분명히 표현되면, 반드시 여러 신하들과 관리들이 짜고 난리를 도모하는 것이다. 금성과 화성의 침범이나 점거는 특히 더 심하다. 태미원에 딸린 열을 지은 별들의 서쪽에 드리운 다섯 개의 별은 少微座라고 하는데, 사대부를 상징한다. 권좌는 軒轅座라고도 하는데, 헌원좌는 黃龍의 형상을 하고 있다.
前大星, 女主象, 旁小星, 御者後宮屬. 月、五星守犯者, 如衡占. 東井爲水事. 其西曲星曰鉞. 鉞北, 北河, 南, 南河, 兩河、天闕閒爲關梁. 輿鬼, 鬼祠事, 中白者爲質.
전대성, 녀주상, 방소성, 어자후궁속. 월、오성수범자, 여형점. 동정위수사. 기서곡성왈월. 월북, 북하, 남, 남하, 양하、천궐간위관량. 여귀, 귀사사, 중백자위질.
[解釋] 앞쪽의 큰 별은 황후이고 옆쪽의 작은 별들은 비빈과 희첩들이다. 이들이 달과 다섯 행성에게 침범이나 점거를 당하는 경우의 징조는 형좌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井宿는 물의 일을 관장한다. 그 서쪽에 깊이 숨은 한 개의 별이 있는데 鉞星이라고 한다. 월성의 북쪽은 北河座이고, 남쪽은 南河座이다. 북하좌, 남하좌, 天闕座의 중간은 교통의 요충지이다. 鬼宿는 제사와 축원의 일을 주관하는데, 그 중앙에 있는 한 바탕의 횐 빛은 質宿이다.
火守南北河, 兵起, 穀不登. 故德成衡, 觀成潢, 傷成鉞, 禍成井, 誅成質. 柳爲鳥注, 主木草.
화수남북하, 병기, 곡부등. 고덕성형, 관성황, 상성월, 화성정, 주성질. 류위조주, 주목초.
[解釋] 화성이 남하좌, 북하좌를 점거하면, 전쟁이 발생하고, 곡물이 익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왕의 덕정은 衡座에, 유람행차는 天潢座에 나쁜 행위는 鉞星에, 재앙은 井宿에, 誅殺은 質宿에 그 징조가 나타난다. 柳宿는 朱雀의 부리로서 초목을 관장한다.
七星, 頸, 爲員官. 主急事. 張, 素, 爲廚, 主觴客. 翼爲羽翮, 主遠客. 軫爲車, 主風. 其旁有一小星, 曰長沙, 星星不欲明, 明與四星等, 若五星入軫中, 兵大起. 軫南眾星曰天庫樓, 庫有五車. 車星角若益眾, 及不具, 無處車馬.
칠성, 경, 위원관. 주급사. 장, 소, 위주, 주상객. 익위우핵, 주원객. 진위차, 주풍. 기방유일소성, 왈장사, 성성불욕명, 명여사성등, 약오성입진중, 병대기. 진남중성왈천고루, 고유오거. 거성각약익중, 급불구, 무처서마.
[解釋] 星宿는 주작의 목줄기이니, 목청으로서 긴급한 사안을 관장한다. 張宿는 모이 주머니이며, 廚房으로서, 손님의 식사대접을 관장한다. 翼宿는 날개로서, 먼 곳의 손님을 접대하는 일을 관장한다. 軫宿는 차량으로서 바람을 관장한다. 그 옆에 작은 별이 하나있어 長沙星이라고 하는데, 微小해 보통은 밝게 빛나지 않으며, 이것이 진수의 네별과 같은 밝기의 빛을 내거나, 다섯 행성이 진수 가운데로 침입하면 큰 전쟁이 발발한다. 진수 남쪽의 매우 많은 별들은 天庫座, 天樓座라고 한다. 천고좌에는 五車星이 있는데, 이것이 광망을 내뿜거나 또는 더 많아지거나, 숨어 없어지거나 하면, 車馬를 처리할 수 없게 된다.
西宮咸池, 曰天五潢. 五潢, 五帝車舍. 火入, 旱, 金, 兵, 水, 水. 中有三柱, 柱不具, 兵起. 奎曰封豕, 爲溝瀆. 婁爲聚眾. 胃爲天倉. 其南眾星曰廥積.
서궁함지, 왈천오황. 오황, 오제거사. 화입, 한, 금, 병, 수, 수. 중유삼주, 주불구, 병기. 규왈봉시, 위구독. 누위취중. 위위천창. 기남중성왈괴적.
[解釋] 서관에는 咸池座가 있고, 天五潢座라고 한다. 五潢座는 五方 천제의 수레 창고이다. 화성이 침입하면, 旱魃[가뭄]이, 금성이 침입하면, 전란이, 수성이 침입하면, 水災가 발생한다. 그 중간에는 三柱座가 있는데, 삼주좌가 숨어 없어지면, 전쟁이 발생한다. 奎宿는 封豕座라고도 하며, 수로를 관장한다. 婁宿는 군중의 소집을 관장한다. 胃宿는 천제의 식량 창고이다. 그 남쪽에 매우 많은 별들이 있는데 廥積座라고 부른다.
昴曰髦頭, 胡星也, 爲白衣會. 畢曰罕車, 爲邊兵, 主弋獵. 其大星旁小星爲附耳. 附耳搖動, 有讒亂臣在側.
묘왈모두, 호성야, 위백의회. 필왈한거, 위변병, 주익렵. 기대성방소성위부이. 부이요동, 유참란신재측.
[解釋] 昴宿는 髦斗座라고도 하는데, 胡人을 상징하는 별로서, 喪事를 관장한다. 畢宿는 罕車座라고도 해 변방의 군대를 상징하며 사냥을 관장한다. 그것의 큰 별 곁에 있는 작은 별은 附耳星인데, 부이성이 요동하면, 讒言으로 분란을 일으키는 간신이 제왕 가까이에 있다.
昴、畢閒爲天街. 其陰, 陰國, 陽, 陽國. 參爲白虎. 三星直者, 是爲衡石. 下有三星, 兌, 曰罰, 爲斬艾事. 其外四星, 左右肩股也. 小三星隅置, 曰觜觿, 爲虎首, 主葆旅事.
묘、필간위천가. 기음, 음국, 양, 양국. 삼위백호. 삼성직자, 시위형석. 하유삼성, 태, 왈벌, 위참애사. 기외사성, 좌우견고야. 소삼성우치, 왈자휴, 위호수, 주보려사.
[解釋] 묘수와 필수의 사이에는 天街座가 있는데, 그 북쪽은 음의 국가이고, 남쪽은 양의 국가이다. 參宿는 白虎의 형상이다. 직선으로 늘어선 세별은 저울대이다. 아래쪽에는 세 개의 별이 있는데, 이것들은 상단이 뾰족하고, 罰座[伐座]라고 부르며, 참형의 일을 관장한다. 삼수 바깥의 네별은 左肩, 右肩과 左腿, 右腿이다. 세 개의 작은 별이 귀퉁이에 배열되어 있는데, 이름은 觜宿이고 호랑이 머리 모양이며, 야생의 음식물을 관장한다.
其南有四星, 曰天廁. 廁下一星, 曰天矢. 矢黃則吉, 青、白、黑, 凶. 其西有句曲九星, 三處羅, 一曰天旗, 二曰天苑, 三曰九游.
기남유사성, 왈천측. 측하일성, 왈천시. 시황즉길, 청、백、흑, 흉. 기서유구곡구성, 삼처라, 일왈천기, 이왈천원, 삼왈구유.
[解釋] 삼수의 남쪽에 네별이 있는데, 天厠座라고 한다. 천측좌 아래에 별이 하나 있는데, 이것이 天矢星[天屎星]이다. 천시성이 황색을 띠면 길하고 청, 백, 흑색을 띠면, 흉하다. 삼수의 서쪽에는 아흡 개의 별이 굽어져 있는데, 이것들은 세 곳에 나뉘어 배열되어 있어, 첫째 무리는 天旗座이고, 둘째 무리는 天苑座이며, 셋째 무리는 九旒座이다.
其東有大星曰狼. 狼角變色, 多盜賊. 下有四星曰弧, 直狼. 狼比地有大星, 曰南極老人. 老人見, 治安, 不見, 兵起. 常以秋分時候之于南郊. 附耳入畢中, 兵起.
기동유대성왈랑. 랑각변색, 다도적. 하유사성왈호, 직랑. 낭비지유대성, 왈남극로인. 노인현, 치안, 불현, 병기. 상이추분시후지우남교. 부이입필중, 병기.
[解釋] 삼수의 동쪽에 큰 별이 하나 있는데, 이것이 天狼星다. 천랑성의 빛줄기의 색깔이 변하면 도적이 많아진다. 아래에는 弧座라는 네 개의 별 있는데 천랑성을 마주하고 있다. 지평선 가까이에 큰 별이 하나 있는데, 이것이 南極老人이다. 남극노인이 나타나면, 평안해 사건이 없고, 나타나지 않으면, 전쟁이 일어난다. 늘 추분 때에 성의 남쪽 교외에서 관측된다. 附耳星이 畢宿 속으로 들어가면 전쟁이 일어난다.
北宮玄武, 虛、危. 危爲蓋屋, 虛爲哭泣之事. 其南有眾星, 曰羽林天軍. 軍西爲壘, 或曰鉞. 旁有一大星爲北落. 北落若微亡, 軍星動角益希, 及五星犯北落, 入軍, 軍起. 火、金、水尤甚, 火, 軍憂, 水, [水]患, 木、土, 軍吉.
북궁현무, 허、위. 위위개옥, 허위곡읍지사. 기남유중성, 왈우림천군. 군서위루, 혹왈월. 방유일대성위북락. 북락약미망, 군성동각익희, 급오성범북락, 입군, 군기. 화、금、수우심, 화, 군우, 수, [수]환, 목、토, 군길.
[解釋] 북관은 玄武의 형상이며, 虛宿와 危宿가 있다. 위수는 궁실의 축조를 관장하며, 허수는 哭泣하는 일을 관장한다. 그 남쪽에는 많은 별들이 있는데, 이를 羽林天軍이라고 부른다. 天軍座의 서쪽은 壘座로서, 鉞座라고도 한다. 그 옆에 큰 별이 하나 있는데 北落星이다. 만약 북락성이 숨어 없어지고, 천군좌가 요동하며 광망이 점점 드물어지면, 그리고 다섯 행성이 북락성을 침범해 천군좌에 침입하면, 전쟁이 일어난다. 화성, 금성, 수성이 침범, 침입하면 특히 심하다. 화성이 침입하면, 전쟁의 걱정이 있고, 수성이 침입하면, 홍수의 재해를 당하고, 목성과 토성이 침입하면, 전쟁이 유리하다.
危東六星, 兩兩相比, 曰司空. 營室爲清廟, 曰離宮、閣道. 漢中四星, 曰天駟. 旁一星, 曰王良. 王良策馬, 車騎滿野. 旁有八星, 絕漢, 曰天潢. 天潢旁, 江星. 江星動, 人涉水.
위동륙성, 양량상비, 왈사공. 영실위청묘, 왈리궁、각도. 한중사성, 왈천사. 방일성, 왈왕량. 왕량책마, 차기만야. 방유팔성, 절한, 왈천황. 천황방, 강성. 강성동, 인섭수.
[解釋] 위수 동쪽의 여섯별은 두 개씩 나란히 열을 지어 있는데, 이를 司空座라고 한다. 室宿는 제왕의 종묘인데, 또는 제왕의 離宮 복도라고도 한다. 銀河 속에는 네 개의 별이 있는데, 이것이 天駟座다. 옆의 별 한 개는 王良星이다. 왕량성이 策星을 채찍 삼아 천사좌의 말을 몰고 있으면, 전차와 기마병이 들판을 가득 채운다. 그 옆에 여덟 개의 별이 있어 은하를 가로지르는데, 이를 天潢座라고 한다, 천황좌 옆은 江星인데, 강성이 요동하면 사람들이 걸어서 물을 건너야 한다.
杵、臼四星, 在危南. 匏瓜, 有青黑星守之, 魚鹽貴. 南斗爲廟, 其北建星. 建星者, 旗也. 牽牛爲犧牲. 其北河鼓. 河鼓大星, 上將, 左右, 左右將. 婺女, 其北織女. 織女, 天女孫也. 察日、月之行以揆歲星順逆.
저、구사성, 재위남. 포과, 유청흑성수지, 어염귀. 남두위묘, 기북건성. 건성자, 기야. 견우위희생. 기북하고. 하고대성, 상장, 좌우, 좌우장. 무녀, 기북직녀. 직녀, 천녀손야. 찰일、월지행이규세성순역.
[解釋] 杵臼座의 네별은 危宿의 남쪽에 있다. 匏瓜座 자리를 客星이 점거하면 물고기, 소금 등의 값이 오른다. 斗宿는 朝堂이며, 그 북쪽은 建座이다. 건좌는 하늘의 깃발[天旗]이다. 牛宿는 제사에 쓸 희생의 짐승을 관장한다. 그 북쪽은 河鼓座다. 하고좌의 큰 별은 上將이고, 왼쪽의 별은 左將이며, 오른쪽의 별은 右將이다. 女宿의 북쪽에는 織女座가 있는데, 직녀좌는 천제의 손녀들이다. 해와 달의 운행을 관찰해 歲星순행과 역행을 추정한다.
曰東方木, 主春, 日甲乙. 義失者, 罰出歲星. 歲星贏縮, 以其捨命國. 所在國不可伐, 可以罰人. 其趨舍而前曰贏, 退舍曰縮. 贏, 其國有兵不復, 縮, 其國有憂, 將亡, 國傾敗. 其所在, 五星皆從而聚於一舍, 其下之國可以義致天下.
왈동방목, 주춘, 일갑을. 의실자, 벌출세성. 세성영축, 이기사명국. 소재국불가벌, 가이벌인. 기추사이전왈영, 퇴사왈축. 영, 기국유병불복, 축, 기국유우, 장망, 국경패. 기소재, 오성개종이취어일사, 기하지국가이의치천하.
[解釋] 목성은 동방을 상징해 나무에 해당하며, 봄을 주관하고, 갑, 을의 날짜에 배합된다. 임금이 정의를 잃으면, 그 警戒가 목성에 나타난다. 목성의 운행에는 贏과 縮이 있으며, 그것이 도달한 舍에 따라 그 분야의 나라를 확정한다. 목성이 위치하는 국가에 대한 정벌은 불가능하고 그 국가가 다른 이를 정벌할 수는 있다. 보통 도달하던 여러 자리를 지나 전진한 것은, 贏이라고 하고, 여러 자리에 못 미쳐 머무는 것은, 縮이라고 한다. 영의 경우에는, 그 국가에 병란이 일어 회복되지 못하며, 축의 경우에는, 그 국가에 우환이 있어, 장군이 죽고, 국운이 기울어 패망하게 된다. 다른 네 행성이, 모두 목성을 따라와 다섯별이 같은 사에 모이면, 그 밑의 나라가 천하에 정의를 펼 수 있다.
以攝提格歲, 歲陰左行在寅, 歲星右轉居丑. 正月, 與斗、牽牛晨出東方, 名曰監德. 色蒼蒼有光. 其失次, 有應見柳. 歲早, 水, 晚, 旱.
이섭제격세, 세음좌행재인, 세성우전거축. 정월, 여두、견우신출동방, 명왈감덕. 색창창유광. 기실차, 유응견류. 세조, 수, 만, 한.
[解釋] 攝提格의 해에는, 歲陰이 왼쪽으로 운행해 寅에 이르고, 목성은 오른쪽으로 돌아 丑에 머문다. 정월에는, 목성이 斗宿, 牛宿와 함께 이른 아침 동방에 출현하는데, 이를 監德이라고 하며, 매우 푸른색의 빛을 뿜는다. 목성이 星次를 어기면, 그 응하고 應驗함이 柳宿의 분야에 보여, 그해의 전반에는 물이 많고 후반에는 한발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