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3월 15일 정ㆍ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자유당은 국민들이 더 이상 자신들을 원하지 않음을 알면서 영구 집권을 위해 개헌을 하거나 부정선거로 정권을 계속 이어 갈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들은 선거에서 온갖 부정적인 방법을 아끼지 않았고, 결국 이에 항거해 2월 28일(일요일) 대구 시내에서 장면 박사(야당 부통령 후보)의 선거연설회가 열리게 된다. 이 연설회는 대구는 물론 전국의 관심을 모았고, 자유당은 불안을 느끼게 된다. 그들은 결국 그 연설회에 사람들이 참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무리수를 두게 된다.
일요일 임에도 공장은 임시 가동을 하였고, 군대들은 오락회를 열었으며, 학교들은 온갖 이상한 핑계로 등교를 시키게 했던것이다. 당시 대구의 경북고등학교, 대구고, 사대부고 등에도 일요일 등교령이 떨어졌고, 학생들은 이 일의 뒷면에 얽힌 이해관계를 읽어내고 분개한다.
2월 28일 오후 1시 학교에 나온 학생들은 자유당을 디스 하는 모임으로 돌변해 궐기하고, 800 여명의 학생들이 학교를 뛰쳐나가 인구 밀집지역과 경북도청, 대구시청, 자유당 경북도당사 등을 돌며 자유당의 간계를 사람1960년 2월 27일 대구에서 자유당의 유세가 있었다. 그리고 다음날인 28일에 민주당의 유세가 예정되어 있었다. 민주당 유세에 학생들이 참여 할 것을 우려한 자유당 측은 각 급 학교에 일요일 등교 령을 내린다.
당시 대구지역 학교들이 일요일 등교 명분으로 삼은 핑계도 가지가지다. 다음 달로 예정되어 있던 시험을 갑작스레 앞당기는 곳도 있고, 토끼사냥을 핑계로 삼은 곳도 있다. 학생들이 갑작스런 시험일정 변경에 항거하자. “그럼, 영화감상이나 할까?”라고 하는 웃지 못 할 일도 있었다. 이는 일요일에 학생을 학교에 묶어두려는 의도를 고스란히 내비친 말이다. 자유당 측 인사가 대구를 방문 할 때는 환영행사에 강제로 학생들을 동원하는 등 학교와 자유당의 부당한 행태 때문에 불만이 쌓여 있는 대구의 학생들이었다.
경북고, 대구고, 경북사대부고, 경북여고, 대구여고, 대구공고, 대구농고, 대구상고 등 대구의 학생들은 2월 28일 학교에 등교 하였다가 “학생을 정치도구로 사용하지 말라!”, “우리에게 자유를 달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거리로 달려 나왔다. 이것이 전날 경북고와 대구고 학생들은 반월당에서 합류할 것을 약속해 두었다. 반월당에서 합류한 학생들은 경북도청과 자유당사, 시청앞 광장, 대구역 광장 등을 돌면서 산발적인 시위를 벌이다가 경찰에 의해 강제 해산 당했으며 그중 일부는 수성 천변에서 열리고 있는 민주당 유세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들에게 알렸다. 이후 대구상고, 경북여고 학생들이 차례차례 이 시위에 동참했고, 시위 학생 수는 1,200명에 달하게 되며 대구에는 반독재 물결이 빠르게 퍼져 나아가게 된다. 이에 당황한 정부는 경찰을 풀었고 학생들을 숨겨주거나 하면서 도움을 아끼지 않았던 대구시민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이 억압당하고 체포되었다.
허나 지금껏 숨죽이고 있던 어른들을 대신해 어린 학생들이 시위를 시작했다는 것에 나라는 충격을 받았고, 언론도 지금까지의 소극적인 자세를 버리고 이 사건을 보도한다. 이 보도를 읽고 분개한 전국의 학생들은 차례차례 일어나 3.8일 대전, 3.10일 수원, 충주, 3,12일 부산, 청주 등의 시위가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되며 이후 4ㆍ19혁명과 4ㆍ26 이승만 대통령 하야로 이어져 이 나라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기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