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로사회"에 대한 서평을 쓰고, 또 읽으신 과정에서 찾은 논의할 지점을 댓글로 작성해주세요.- 편한 방식으로 작성하시되, 모두가 논의를 따라가기 편하도록 고려 부탁드립니다.Ex) 인용을 통한 질문인 경우 쪽수 명시, 시사 문제를 들고 올 경우 설명이나 링크 공유
첫댓글 1. 시대적 질환이라는 개념은 개연성이 충분한가? 1-1. 긍정성의 과잉이 현대의 시대적 질환을 야기한다는 그의 주장은 어디까지 수용할 수 있는가?2. 시대적 질환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단지 시대가 변함으로써, 새로운 질환으로 바뀔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는가?
1. 면역학적 접근은 시대착오적인가? 1-1. 외부의 적은 더 이상 강력하지 못한가? 1-2. 과거의 유산으로서 면역학적 접근은 완성되었는가? 외부의 적들에 대한 적절한 대응법은 도대체 무엇이라고 정립되었는가?
첫댓글 1. 시대적 질환이라는 개념은 개연성이 충분한가?
1-1. 긍정성의 과잉이 현대의 시대적 질환을 야기한다는 그의 주장은 어디까지 수용할 수 있는가?
2. 시대적 질환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단지 시대가 변함으로써, 새로운 질환으로 바뀔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는가?
1. 면역학적 접근은 시대착오적인가? 1-1. 외부의 적은 더 이상 강력하지 못한가? 1-2. 과거의 유산으로서 면역학적 접근은 완성되었는가? 외부의 적들에 대한 적절한 대응법은 도대체 무엇이라고 정립되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