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66년도 쯤 인가 박 대통령은 평소 측농증 증세가 있었다. 어느 날 낮에 시간을 내어 서울 대학 병원으로 차를 타고 가서 수술을 했다. 수술 하기 전 박 대통령은 의사에게 몇 시간이나 걸리겠냐고 물었더니 의사 말이 수술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으나 마취 깨는데 시간이 좀 걸린다고 대답하자 박 대통령 왈 "그러면 마취 하지 말고 그냥 하시요, 그렇게 한가하게 보낼 시간이 어딨나"
놀랜 의사가 그건 통증이 너무 심해서 안 된다고 하자 박 대통령은 고집대로 마취 하지 말고 바로 수술에 들어가자고 우겨서 기어이 마취 없이 그대로 했다.
수술 중에 단 한번도 소리를 내지 않고 끝났는데 담당 의사가 얼마나 놀랬는지는 우리로서는 알 수가 없다.
2) 70년대 중반 쯤 에 혜 화 동 로타리 근처의 막걸리 집에 박 대통령이 혼자 들어와서 막걸리 한 사발을 시켜서 김치를 안주 삼아 마셨다. 조금 있다 막걸리 주인이 부 스 럭 소리가 나서 뒤돌아보니 박 대통령이 막걸리 독에서 직접 또 한잔을 퍼 고 있더 란다. 다 먹고 나서 얼마냐고 묻고는 호주머니에서 동전을 꺼내어 계산하고 나가 더란다.
3) 이 동원 비서 실장이 박 대통령의 서 독 방문 시에 오는 길에 영국의 런던에 가서 도시 계획을 직접 한번 보시는 게 좋겠다고 하니까 박 대통령이 버럭 화를 내면서 "돈도 없는데 관광이나 다니게 됐어?" 했다.(이 동원 회고록에서)
4)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으로 남북이 전쟁발발직전까지 갔는데 박 대통령은 특별 임무를 부여한 작전이 진행 중인 그 시간에는 청와대에서 서류를 읽고 있었다. 김정렴비서실장은 전쟁이 나는 걸 기정사실로 알고서 안절부절 못했다. 마침내 김정렴비서실장에게 보고가 올라왔다. 작전은 성공적으로 끝났고 북 괴 놈들은 아무런 저항이 없었다는 ...... 김정렴비서실장은 너무 기뻐서 급히 박 대통령에게 이 기쁜 소식을 전하기 위해 집무실로 달려갔다. 문을 열고 들어가 보니 박 대통령은 쳐다보지도 않고 서류만 들여다보고 있었다. 그 상태대로 급히 성공적인 상황 종료를 보고하자 박 대통령은 시선을 서류에 그대로 고정 한 채 이렇게 말했다. "그렇겠죠. 알겠습니다." 김정렴비서실장은 이때의 장면을 회고하면서 "그 작은 체구가 그땐 그렇게 크게 보일 수가 없었다." 고 쓰고 있다.
5)박 대통령이 문경에서 교사 생활을 하던 어느 날 학교 근처에서 여학생이 물에 빠져서 야단이 난 적이 있었다. 교사들이 우왕좌왕하면서 소리만 지르고 있을 때 어깨에 트럼펫을 맨 어느 선생님이 트럼펫을 맨 채로 물에 뛰어들어 그 여학생을 구했다 한다, 그 선생님이 박정희선생님이었다고 당시의 학생이 증언하는 걸 들은 적이 있다 (99년 KBS프로에서)
6)대구 사범 학교 시절의 학생 기록 부 에 "일본인 교사에게 반항적이며 불손하다."고 적혀있다 "(99년 KBS 제작프로에서) 당시 동급생들의 증언에 의하면 항시 나폴레옹 사진을 가지고 다녔으며 프루타크 영웅전을 손에 들고 있던 걸 기억한다고 증언함.
7)) 문 세광이 쏜 총알이 연설 대 모서리를 맞고 튕겨나가자 그때 서야 위급함을 알아차린 박 통은 얼른 자세를 낮춰서 상황이 끝나기를 기다렸다. 상황이 종료되자 박 대통령은 아까 읽던 문장의 단어까지 정확하게 찾아내서 "계속 말씀드리겠습니다." 하고는 침착하게 연설문을 읽어나갔다. 연설문을 읽고 난 뒤에 무대 위를 훑어보고는 육 여사의 신발을 발견하곤 주워서 손에 든 채로 걸어나갔다.
8))자유 당 시절 장군 들 끼리의 회식 자리에서 박통이 이 승만을 비난하자 다른 장군이 흥분해서 권총을 꺼내어 "이 새끼. 금방 한 말 취소해, 안 하면 죽이겠어!"하고 소리 지르며 머리에 권총을 갖다 대자 모두 놀라서 숨죽이고 봤다. 박 대통령은 눈도 깜짝 안 하고 앞에 있던 빈 술잔에 술을 따라서 붓고는 태연하게 마셨다. 권총을 겨누고 있던 그 장군은 한참 있다 스스로 권총을 내렸다. 김 재규의 총을 가슴에 맞고도 꼿꼿한 자세로 그대로 있어서 옆에 있던 심 수 봉은 총알이 빗나간 줄 알았다고 증언했다. 나중에 앞으로 쓰러지자 놀란 심 수봉이 "각하! 괜찮으십니까?" 하고 묻자 "응, 나는 괜찮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