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 | 단원명 | 교육과정 성취기준 | 수업방법 | 평가방법: 수업-평가 연계 주안점 |
월 | 주 (51) |
8 | 4~5 (6) | Ⅲ. 필드형 경쟁 (티볼의 이해와 기초기능) |
[9체03-06] 필드형 경쟁 스포츠에서 활용되는 유형별 경기 기능과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운동 수행에 적용하며, 운동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한다.
| 직접 교수
모둠 활동 협동학습
| ▪교사관찰: 학생들의 운동 수행을 관찰하고 올바른 수행에 관한 단서를 제공 ▪자기평가: 교사가 제공한 기준에 맞추어 자신의 수행을 평가 ▪모둠평가: 모둠원 간의 협력 수준을 관찰하고 평가 |
9 | 1~2 (6) | Ⅲ. 필드형 경쟁 (티볼의 경기기능과 전략) |
[9체03-07] 필드형 경쟁 스포츠의 경기 방법과 전략을 이해하고 경기에 활용할 수 있으며, 경기 상황에 맞게 전략을 진단하여 창의적으로 적용한다.
|
직접교수
모둠활동 협동학습
동료교수
| ▪교사관찰: 학생들의 자세와 경기 기능을 관찰하고 평가 ▪동료평가: 모둠원의 수행을 관찰하고 피드백 나누기 ▪자기평가: 교사가 제시한 기준에 맞추어 자신의 기능과 전략을 평가 |
3~4 (4) | Ⅲ. 필드형 경쟁 (티볼) |
[9체03-08] 필드형 경쟁 스포츠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역할에 책임을 다하고 팀의 공동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 모둠활동 협동학습 | ▪교사관찰: 학생들의 경기 기능과 전략을 관찰하고 기록 ▪동료 간 피드백: 모둠원의 기능 수행과 전략을 관찰하고 피드백 나누기 |
4 (2) | 수행평가 (티볼 타격과 송구) |
10 | 1 (0) | 중간고사 |
2~4 (9) | Ⅲ. 영역형 경쟁 (농구의 경기기능과 과학적 원리) | [9체03-02] 영역형 경쟁 스포츠에서 활용되는 유형별 경기 기능과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운동수행에 적용하며, 운동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한다. | 직접 교수 | ▪교사 관찰: 학생들의 수행 자세와 수행 결과를 관찰하고 기록 ▪자기평가: 교사가 제시한 기준에 맞추어 자세와 기록을 스스로 평가 |
4 (1) | 수행평가(농구 자유투) |
10 | 4 (2) | Ⅲ. 네트형 경쟁 (배구의 이해) |
[9체03-09] 네트형 경쟁 스포츠의 역사와 특성을 이해하고, 경기 유형, 인물, 기록, 사건 등을 감상하고 분석한다.
| 강의식 수업 모둠활동 | ▪문답법: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질문을 통해 점검 ▪교사관찰: 학생들의 수행을 관찰하고 기록 ▪동료 간 피드백: 모둠원과 함께 탐구하고 피드백 나누기 |
11 | 1~4 (12) | Ⅲ. 네트형 경쟁 (배구의 경기 기능과 경기전략) | [9체03-10] 네트형 경쟁 스포츠에서 활용되는 유형별 경기 기능과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운동 수행에 적용하며, 운동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한다.
[9체[03-11] 네트형 경쟁 스포츠의 경기 방법과 전략을 이해하고 경기에 활용할 수 있으며, 경기 상황에 맞게 전략을 진단하여 창의적으로 적용한다.
| 강의식 수업
모둠 협력 수업
탐구형 수업 | ▪문답법: 학생들에게 경기 전략에 대해 연역적-수렴형 질문을 제공하고 반응 기록 ▪교사관찰: 학생들의 운동 수행 자세와 결과를 관찰하고 기록 ▪동료 간 피드백: 모둠원들의 수행과 결과를 관찰하고 피드백 나누기 ▪자기평가: 교사가 제공한 기준에 맞추어 자신의 수행을 평가 |
12 | 1 (1) | 수행평가(배구 서브) |
2 (0) | 기말고사 |
3~4 (6) | Ⅴ. 여가 스포츠 안전 (야외 및 계절 스포츠와 안전) | [9체05-07] 야외 및 계절 스포츠 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예방 및 대처 방법을 설명한다, | 강의식 수업
개별학습 | ▪발표과제: 직접 계획한 예방 및 대처 방법을 발표 ▪교사평가: 학생들이 예방 및 대처 행동을 관찰하고 기준에 맞추어 평가 |
1 | 1~2 (2) | Ⅴ. 여가 스포츠 안전 (재미있는 안전 활동) |
[9체05-08] 야외 및 계절 스포츠 활동 시 안전사고의 종류, 원인, 예방 대책 등을 이해하고 상황별 응급 처치 및 구조의 올바른 절차와 방법을 실천한다.
[9체05-09] 스포츠 안전사고 발생 시 타인 및 공공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대처한다.
| 강의식 수업
모둠별 협력수업 | ▪교사관찰: 학생들의 예방, 응급 처치 및 구조 활동을 관찰하고 기록 ▪동료 간 피드백: 모둠원들의 예방, 응급처치 및 구조 활동을 관찰하고 피드백 나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