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3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반 밤듕 혼쟈 이러 뭇노라 이? ⓐᄭᅮᆷ아
만리(萬里) 요양(遼陽)을 어ᄂᆡ ᄃᆞᆺ ᄃᆞᆫ녀온고
반갑다 학가 선용(鶴駕仙容)(1)을 친히 뵌 듯ᄒᆞ여라.(제1수)
박제상(2) 듁은 후에 님의 실람 알 리 업다
ⓑ이역 춘궁(異域春宮)(4)을 뉘랴셔 모셔 오리
지금에 치술령 귀혼(歸魂)을 못ᄂᆡ 슬허ᄒᆞ노라.(제4수)
조정을 바라보니 무신(武臣)도 하 만하라
신고(辛苦)ᄒᆞᆫ 화친(和親)을 누를 두고 ᄒᆞᆫ 것인고
슬프다 조구리(趙廐吏)5) 이미 죽으니 참승(參乘)(6) ᄒᆞ리 업세라.(제6수)
구렁에 낫는 풀이 봄비에 절로 길어
알을 일 업스니 긔 아니 조흘소냐
우리는 너희만 못ᄒᆞ야 실람 겨워 ᄒᆞ노라.(제8수)
이거사 어린 거사 잡말 마라스라
칠실(漆室)의 비가(悲歌)(7)를 뉘라서 슬퍼하리
어듸셔 탁주 한 잔 얻어 이 실람 풀가 ᄒᆞ노라.(제10수)
-이정환, ‘비가(悲歌)’
(주) (1) 요양: 청나라의 심양.
(2) 학가 선용: 왕자.
(3) 박제상: 신라 때의 충신으로, 볼모로 일본에 잡혀간 미사흔을 귀국시키기 위해 자신을 희생함. 부인은 박제상을 기다리다가 치술령에서 망부석이 되었다고 함.
(4) 이역 춘궁: 청나라에 있는 왕자.
(5) 조구리: 조씨 성을 가졌던 마부. 구리는 마부, 즉 ‘길잡이가 될 만한 충신’의 뜻.
(6) 참승: 참승(參乘)으로 판단됨. 호위하여 수레를 같이 타는 일.
(7) 칠실의 비가: ‘칠실’은 중국 노나라의 고을로 그곳의 여자가 나라의 우환을 생각하고, 군신·부자가 모두 욕을 당했는데, 어찌 홀로 피하겠느냐며 슬퍼했다는 고사.
37.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계절의 순환을 활용하여 미래의 상황을 낙관하고 있다.
② 의문형 형태의 문장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③ 과거의 기대가 현재 이루어진 것에 대해 만족감을 표현하고 있다.
④ 다양한 색채어를 활용하여 시의 분위기를 다채롭게 구성하고 있다.
⑤ 의성어와 의태어를 구사하여 화자의 처지를 구체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38. (보기)를 바탕으로 윗글을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조선의 조정은 남한산성으로 옮겼으며 백성들의 삶은 피폐해졌다. 전쟁이 지속되자 청나라에 끝까지 대항해야 한다는 세력과 화친을 해야 한다는 세력으로 나뉘게 되고, 결국 화친을 해야 한다는 세력이 힘을 얻게 된다. 그래서 조선의 임금은 청나라에 치욕적인 항복을 하고, 소현 세자와 봉림 대군은 볼모로 청나라에 끌려가는 굴욕을 당한다. 이런 상황에서 이정환은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에 대한 한탄과 볼모로 잡혀간 두 왕자에 대한 그리움을 ‘비가’에 담았다.
① ‘학가 선용을 친히 뵌 듯ᄒᆞ여라.’에는 볼모로 잡혀간 두 왕자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이 표현되어 있군.
② ‘박제상 듁은 후에 님의 실람 알 리 업다’에는 두 왕자를 국내로 모셔 오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슬픔이 표현되어 있군.
③ ‘신고ᄒᆞᆫ 화친을 누를 두고 ᄒᆞᆫ 것인고’에는 청나라와의 화해를 주장했던 세력에 대한 원망이 표현되어 있군.
④ ‘구렁에 낫는 풀이 봄비에 절로 길어’에는 병자호란으로 인해 어려운 현실을 살아가는 백성에 대한 애민 정신이 표현되어 있군.
⑤ ‘어듸셔 탁주 한 잔 얻어 이 실람 풀가 ᄒᆞ노라.’에는 병자호란으로 당한 굴욕을 현실적으로 극복하기 어렵다는 안타까움이 표현되어 있군.
39. ⓐ, ⓑ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가 사라지면 ⓑ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② ⓐ가 ⓑ보다 시간적으로 앞서 일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③ ⓑ가 조정으로 돌아온다면 이는 ⓐ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④ ⓑ를 보고 싶어 하는 간절한 소망으로 인해 ⓐ가 발생했다고 할 수 있다.
⑤ ⓑ를 다시 만날 수 있다는 낙관적 기대가 ⓐ에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2014년 EBS수능완성국어영역 국어 B형
[수능완성 국어영역 국어 B형 실전편]
실전 모의고사 2회
37. ② 38. ④ 39. ④
고전 시가 37~39.
이정환, ‘비가’
지문 이해하기
(해제) 이 작품은 병자호란 때 당한 국치에 대한 비분강개와 볼모로 잡혀간 두 왕자에 대한 그리움을 형상화하고 있다. 조선은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대항했으나 결국 화친한다. 이때 왕이 굴욕적인 항복을 했으며 소현 세자와 봉림 대군이 볼모로 끌려간다. 작가는 이런 굴욕적인 항복에 대한 아픔과 두 왕자에 대한 그리움을 10수로 된 연시조에 담아 표현했다.
(주제) 국치에 대한 비분강개와 두 왕자에 대한 그리움
흐름 파악하기
* 제1수: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간 두 왕자에 대한 그리움
* 제4수: 신하로서 잡혀간 두 왕자를 모셔 오지 못하는 불충에 대한 개탄
* 제6수: 조정에 진정한 충신이 없는 상황에 대한 한탄
* 제8수: 국치를 당한 것에 대한 아픔과 근심
* 제10수: 국치를 당한 것에 대한 비분
37. 표현상 특징 파악
답: ②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② 확인: 의문형 형태의 문장
‘어ᄂᆡ ᄃᆞᆺ ᄃᆞᆫ녀온고’, ‘뉘랴셔 모셔 오리’, ‘누를 두고 ᄒᆞᆫ 것인고’, ‘긔 아니 조흘소냐’, ‘뉘라서 슬퍼하리’ 등 각 수 두 번째 행에서 모두 의문형 형태의 문장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확인: 계절의 순환
미래의 상황에 대한 낙관을 계절의 순환을 활용하여 드러낸 부분을 찾을 수 없다.
③ 확인: 과거의 기대
과거의 기대가 드러나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재 상황에 대해 만족하고 있지도 않다.
④ 확인: 다양한 색채어
다양한 색채어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
⑤ 확인: 의성어와 의태어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
38. 외적 준거에 따른 작품 감상
답: ④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④ 확인: 애민 정신
구렁에 난 풀은 봄비에 절로 자랐다. 하지만 화자가 처한 인간 현실은 병자호란으로 인해 상당한 아픔을 겪었다. 이런 아픔을 자연인 풀과 대비하여 드러낸 것이다. 따라서 풀을 백성으로 보고 ‘구렁에 낫는 풀이 봄비에 절로 길어’에 애민 정신이 들어 있다고 파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확인: 두 왕자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학가 선용’은 볼모로 잡혀간 두 왕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꿈에서라도 본 듯했다는 것은 그만큼 두 왕자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② 확인: 현실에 대한 슬픔
박제상은 볼모로 잡혀간 사람을 구해 와 임금의 시름을 덜어 주었지만 현재는 박제상과 같은 인물이 없어 두 왕자를 구해 올 수 없다는 슬픔이 내포되어 있다.
③ 확인: 화해를 주장했던 세력에 대한 원망
청나라와 화해를 주장한 사람들 때문에 두 왕자가 볼모로 잡혀갔다고 생각하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원망이 내포되어 있다.
⑤ 확인: 굴욕을 현실적으로 극복하기 어렵다는 안타까움
시름을 탁주 한 잔으로 푸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는 의미로, 현실적으로 병자호란으로 당한 굴욕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안타까움이 내포되어 있다.
39. 소재의 기능 파악
답: ④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④ 확인: ⓑ를 보고 싶어 하는 간절한 소망으로 인해 ⓐ가 발생
화자는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간 두 왕자를 간절히 그리워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두 왕자를 만날 수 없다. 그래서 그 간절함은 더 커져 두 왕자를 꿈에서 보고 한밤중에 일어난 상황이다. ‘이역 춘궁’은 청나라에 있는 두 왕자를 의미하므로, 결국 ‘이역 춘궁’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이 화자로 하여금 ‘꿈’을 꾸게 했다고 볼 수 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확인: ⓑ도 존재하지 않는다
꿈이 사라진다고 해서 볼모로 잡혀간 두 왕자의 존재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② 확인: 시간
작품의 상황으로 볼 때 꿈은 현재에 일어난 것이고, 두 왕자가 청나라로 잡혀간 일은 과거에 일어난 것이다.
③ 확인: ⓐ의 결과
꿈은 두 왕자를 보고 싶다는 화자의 간절한 그리움이 반영된 것일 뿐이므로, 이것의 결과로 두 왕자가 조정으로 돌아오는 것은 아니다.
⑤ 확인: 다시 만날 수 있다는 낙관적 기대
화자는 두 왕자를 다시 만나기 어렵다는 시름을 탁주를 통해 해소하려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