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서영거 학장
| |
[약학전문대학원] 약대 6년제, 약업계 전체가 힘을 합칠 때
| |
"진정한 약대 6년제의 성공여부는 학계, 약사회, 제약업계의 협력에 달려있다." 약대 6년제 시행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약학대학협의회(이하 약대협) 서영거 회장이 "양질의 약사배출을 위해 산학연이 힘을 모을 것"을 강조하고 있다. 서영거 회장은 기자와의 만남에서 "곧 6년제가 시행되기는 하나, 아직 교육방법이나 실습과정 등에서 부족한 면이 많다"며 "6년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약대협이 '임상약학을 강조한 약학교육'이라는 기본적인 틀 안에서 교과과목이나 실습안들을 마련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양질의 약사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각 단체간의 적극적인 협력관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서영거 회장의 말에 따르면, 약대협이 마련한 '이론 교육'(안)은 임상약학 강의를 대폭 강화해 기존 과목별로 조정이 이뤄졌다. 전 약학대학은 약대협이 제시하는 기본안을 바탕으로 개별 약학대학의 학교상황에 맞는 교과목으로 수정, 보완돼 활용하게 된다. 과목선정만큼 중요한 것이 개편된 과목을 깊이 있게 가르칠 실력 있는 임상약학 강사진을 확보하는 것이다. 서 회장은 "새로운 교과과정이 도입되는 만큼 대학은 새 교수를 확보해야 한다"며 "서울대도 마찬가지로 외국 임상약학 교수 초빙을 계획하는 등 우수한 임상약학 강사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임상약학 교수진들 중에는 "임상 경험 많은 현직 약사들도 한몫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6년제 교과과정 중에서 가장 중요시 되고 있는 임상약학 '실무실습'은 병원, 연구원, 개국약국, 제약회사 등의 4개 분야에서 1년 과정으로 진행되는 만큼, 실습장소 선정 및 실무실습지도자 양성 등도 해결돼야 한다.
이것이 서 회장이 각 단체 간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하는 부문이다. 서 회장은 "현재 전국의 각 대학에서 실무실습을 위한 협력기관 선정 및 실습장소 마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효과적인 실습교육을 위해서는 각 업체가 학생들에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학생들의 실습을 관리 감독하는 '지도자'의 역할이 강조되는 것도 이번 교육과정이다. 서회장이 제기하고 있는 프리셉터 양성도 같은 취지다. 그는 "대학 교수들이 학생들의 현장 교육까지 함께 할 수는 없다"며 "학교에서 배운 이론 교육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직접 업무를 배워야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대학의 이론 교육과 업계의 현장 교육을 연계해줄 수 있는 실무실습 담당지도자(preceptor)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체계적인 학생들의 실무실습 교육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전문지도자의 양성이 지금부터 이뤄져야 한다"며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어 "현재 서울대 대학원에서 양성중인 약료전문지도자(preceptor) 과정이 그 예"라며 "이를 위해 대학이 전문지도자를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한약사회가 적정한 기준을 정해 이를 인정하거나 조절해주는 역할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그는 "향후 배출되는 6년제 약사와 기존의 4년제 약사들간의 융합도 해결해 나가야 하는 과제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약대 6년제가 양질의 약사를 배출하려고 하는 만큼 현장에서 활동 중인 약사들도 재교육을 통해 함께 발전의 길을 걸어야 한다는 것이다.
서 회장은 "그동안 약대교육보다 업그레이드된 교육을 이수한 약사들이 사회로 배출되면 기존의 약사들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며 "기존세대와 공존하기 위해서는 약사들의 재교육 여부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외국의 경우에도 지속적인 재교육을 통한 자격유지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예로 들며, "6년제 시행에 맞춰 재교육 프로그램의 도입도 고려해봐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로써 6년제 약사와 4년제 약사간의 개입을 점차 줄여나가 함께 발전하는 약업계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 회장은 약대 6년제 시행이라는 제도개편이 "단순히 2년이라는 기간(양)이 늘어나는 것이 아닌 깊이(질) 있는 교육이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고 당부하고 있다.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에게는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국내 제약업계에서는 신약개발을 할 수 있는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약대 6년제의 목표인 셈이다.
아울러 임상약학의 전문가 양성을 위해 약업계가 지속적인 노력을 함과 동시에 우리 사회도 수준 높은 약사를 받아들일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현재 약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약업계가 자정하고 발전하면 약사를 대하는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향후 6년제가 올바로 정착되면, 국민의 약사 보는 눈높이, 기존의 병원과 제약사 등의 약사 대우도 덩달아 좋아져야 한다는 것이다.
서 회장은 이같은 6년제로 인한 우수한 인재양성은 사회로 하여금 약사를 인정할 수 있게 하는 계기를 제공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확신한다.
마지막으로 서영거 회장은
"지속적으로 약업계가 노력한다면 신약개발과 의료봉사 등 사회에 기여하는 약사사회로서의 궁극적인 약사위상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될 날이 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
|
첫댓글 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수의대 1998 년에 6년제 전환했습니다.ㅡㅡ; 6년제라는 의미는 고상한 의미 접어두고 현실적 의미로 따져 봤을때 의대.한의대.치대.수의대와 그 학문 레벨을 나란히 하겠다는 의미이며 또한 6년제가 됨으로서 교육과정이 늘어날텐데.. 한약학이나 다른 기타 약학 부분을 통합할 수 도 있습니다. (대한민국 약사들이라면.... 그런 짓 할 듯.. ) 제 생각에 약대 메리트는 연봉도 있지만 4년제 라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