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이다. 647년(신라 진덕여왕 1) 영원(靈源)이 창건하였다. 영원은 보개산에 영원사(靈源寺)· 법화사(法華寺)와 함께 이 절을 세웠는데, 당시에는 흥림사(興林寺)라고 하였다. 고려 때 나머지 절은 폐사되었으나 이 절만은 명맥을 유지했다. 720년(성덕왕 19) 사냥꾼 이순석(李順碩) 형제가 지장보살의 감화를 입어 석대암(石臺庵)을 세웠으며, 이후 우리 나라 제일의 지장신앙 성지로 이름났다. 859년(헌안왕 3) 범일(梵日)이 천불을 조성했고, 1393년(조선 태조 2) 불에 탄 것을 1395년에 자초(自超)가 중창하면서 산 이름을 영주산(靈珠山)에서 현재의 보개산으로 바꾸고 절 이름도 심원사로 고쳤다고 한다. 1398년 성주암, 1400년(정종 2) 석대암을 각각 중창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1595년 인숭(印崇)과 정인(正印) 등이 중건했다. 이후 많은 고승을 배출하고 천불전과 해장전 등 건물 만도 250칸이 넘는 대사찰로 발전했으나 1907년에 대부분의 건물이 불에 타고 말았다. 1909년 연수 등이 중창하였으며, 1931년 사찰 건물의 내부를 완전히 중수하였다. 1950년 6·25전쟁으로 다시 절이 불에 탔고, 전쟁 후에는 비무장지대 안에 들어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자 1955년 김상기(金相基)가 현재의 위치로 옮겨 중창하였다. 본래 절터의 위치는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내산리이다. 1962년 명주전을 짓고, 1970년에 대웅전과 요사채 2동을 지어 오늘에 이른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명주전과 대웅전·삼성각·노전·화산경원 등이 있다. 이 중 화산경원은 1935년 한규설(韓圭卨)의 부인 박선심화(朴善心華)가 지장보살의 발광을 보고 시주하여 지은 불교연구원이다. 유물로는 1991년 4월 12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재138호로 지정된 연천군 심원사지 부도군이 있으며, 옛 절터에 사적비와 공적비 등이 남아 있다.
심원사 입구
심원사 요사채
심원사 전경
심원사 수조
심원사 대웅전
심원사 지장원불전
정면 5칸, 측면 3칸의 목조 팔작건물로 중앙 어칸을 통해 명주전으로 출입할 수 있는 누각형 건물이다. 2002년 심원사 가람정비사업 당시 건립되었으며, 현재 1층은 종무소 겸 찻집으로, 2층은 삼천불의 지장원불을 봉안한 지장원불전으로 사용되고 있다.
1층은 석조 팔각기둥을 골조로 하여 좌우 벽면을 벽돌로 마감하고 2층은 목조 팔작건물을 올린 현대식 건물로 보개산을 배산으로 남향해 있다. 2층인 지장원불전은 기둥 상부에 내외 1출목의 주심포를 포작하고, 측면은 다포식 공포를 구성한 특이한 모습을 갖추었다. 또한 전면과 배면은 꽃빗살창으로 장식된 4분합의 창호로 단장되어 있으며, 배면은 명주전을 바라볼 수 있도록 통유리를 가설하여 설법전의 구조를 보여준다.
건물 내부에는 3면의 벽체에 돌로 조각한 3천기의 지장원불이 정연한 단을 따라 봉안되어 있으며, 지장단에는 1965년에 조성한 칠여래탱이 걸려 있다.
심원사 전경
명주전 소멧돌
심원사 삼성각
심원사 대웅전내 석가모니불
명주전과 석지장보살상
명주전은 옛 명주전을 헐고 새로 지은 신축건물이다. 구 명주전은 1962년 주지 김상기(金相基) 스님이 건립한 것이며, 심원사의 주법당으로 석대암의 지장보살을 봉안한 전각이었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다포계 팔작건물로 건물 전면에는 1902년 퇴경당 상노(退耕堂 相老)가 쓴 명주전 편액과, 흰 글씨로 음각한 4개의 주련이 걸려 있었다.
명주전의 불단 위에서 중생을 굽이살피며 앉아 있는 지장보살로서, 영험 높은 보살로 널리 알려져 있다. 높이 90㎝, 폭 70㎝의 자그마한 소형 불상으로 석불로 만든 특이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머리는 고려시대 지장보살에서 볼 수 있는 두건을 쓴 모습으로, 내리감은 두 눈은 매우 길게 묘사되어 있으며, 입가에는 잔잔한 미소를 한껏 머금고 있다. 상호의 이목구비는 중앙으로 몰려 있지만 자비로운 모습이며, 턱 중앙에는 보조개를 머금은 것 같은 홈이 파여 있다.
석대암(石臺庵) 창건설화를 증명하듯 왼쪽 어깨에 이순석이 쏜 화살에 맞은 흔적이 남아 있으며, 오른손 위에는 가슴 아래로 한 알의 보주(寶珠)를 쥐고 있다. 전반적으로 신체는 상호에 비해 신체가 세장한 모습으로 불신은 삼각형의 안정된 구도를 보여준다.
특이한 점은 이 지장보살은 도금을 하여도 얼마 지나지 않아 금칠이 벗겨지고 말아 현재에도 개금이나 장식을 하지 않고 있으며, 그로 인해 더욱 정감있는 불상의 모습을 보여준다
심원사 찾아가는 길
퇴계원 I.C에서는 퇴계원 시내를 거쳐 전도치 삼거리에서 47번 또는 43번 국도를 따라 의정부로 진입하며, 의정부역 앞에서 43번 국도(54km)를 따라 신철원 사거리(4.2km)로 접어들면 문혜리 삼거리가 나온다. 그곳에서 좌회전하여 463번 지방도를 따라 진입하면 승일교를 지나 고석정 국민관광지입구가 나타나며, 이곳에서 463번 지방도를 따라가서 동송 읍내로 진입한다. 동송읍에서 약 15분 거리에 있으며, 87번 지방도를 따라 관인면으로 진입하기 전에 상로리 버스정류장에서 심원사표지판을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