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궁서도 침착했던… 토끼의 지혜로 올 한 해를!
[2023, 癸卯年 토끼를 말하다]
작고 온순해 보여도 강단 있어
힘든 역경도 지혜롭게 헤쳐나가
새해는 토끼처럼 외유내강이 되길
토끼띠 소설가 서유미
입력 2023.01.02 03:00
/일러스트=박상훈
먼저 고백하자면 나는 빠른 1975년생이라 호랑이띠들과 같이 학창 시절을 보냈다. 그래서 몸은 토끼띠지만 영혼은 호랑이띠라고 생각하며 살았다. 어른이 된 뒤로 나이나 혈액형, MBTI에 대해 얘기할 기회는 많았지만 다들 띠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었다.
내가 무슨 띠인지 처음으로 진지하게 묻고 관심을 가진 사람은 아들이었다. 자신의 띠에 대해 알게 된 뒤로 아이는 한동안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무슨 띠인지 물었고 자신의 기준에 따라 좋아하는 띠를 분류하곤 했다. 내가 토끼띠라고 했을 때 아이가 보인 반응은 우와, 였다. 엄마, 엄청 귀여운 띠네. 아이에게 토끼는 어릴 때 입던 실내복에 그려진 귀여운 캐릭터이자 이모들이 사준 사랑스럽고 보드라운 인형이었고 기다란 귀가 위 아래로 움직이는 앙증맞은 모자였다.
그 뒤로 아이는 토끼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될 때마다 나에게 와서 말해주었다. 엄마. 토끼가 새벽에 옹달샘에 가는데 세수는 안 하고 물만 먹고 오는 거 알고 있었어? 엄마. 토끼가 거북이랑 달리기 경주하잖아. 그런데 다른 책에서는 거북이가 토끼를 태우고 용궁에 가더라고(별주부전을 말하는 것인데 거북이가 아니라 자라가 나온다). 아이의 얘기를 듣다 보니 토끼는 동요나 동화, 만화, 옛날 이야기에 자주 등장하는 친숙한 캐릭터이면서 단순히 귀엽기만 한 게 아니라 굉장히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있는 매력적인 동물이었다.
토끼를 좋아하는구나, 라고 하자 아이는 엄마가 토끼띠니까, 하며 웃었다. 그랬던 아이는 어느덧 토끼의 세계를 떠나 공룡과 몬스터, 게임 캐릭터들의 세계로 가버렸지만 덕분에 나는 토끼에 대해 꽤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누군가를 사랑하면 그 사람과 관련된 사소한 것까지 궁금해진다는 것을, 어떤 존재에 대해 많이 알게 되면 한 가지 특성으로 규정짓기 어렵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토끼띠 소설가 서유미
소설을 쓰면서 나는 동갑의 토끼띠 동료들과 띠동갑의 후배들을 많이 만났다. 그들은 아이가 말한 토끼의 특징을 두루 가지고 있었다. 부지런하면서 자신의 일을 똑 부러지게 해냈고 욕심도 반짝이는 아이디어도 많았다. 온순하고 부드러워 보이지만 강단이 있어 자신의 목소리를 숨기지 않았다. 민첩하고 꾀 많은 캐릭터로 알려진 토끼는 실제로 경계심이 많고 영역을 지키려는 습성이 강해 자신의 영역을 침범당하면 화를 내고 공격적인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그들이 쓴 소설을 읽고 그들과 함께 소설을 써나가는 동안 내게 토끼띠는 외유내강의 이미지가 되었다. 앞다리보다 뒷다리가 길어서 오르막길을 잘 올라가는 토끼처럼 글 쓰는 나의 동료들은 평온한 때보다 어려운 상황에서 더 진가를 발휘했다.
2023년 계묘년은 토끼의 해다. 검은 토끼는 작고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인생을 살다 보니 진짜 강한 사람은 몸이 크고 힘센 사람이 아니라는 걸 깨닫게 된다. 목소리를 크게 내는 사람보다 조용하고 부드러운 태도로 상대를 배려하면서도 자신을 잃지 않고 잘 지켜나가는 사람이 훨씬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내리막길에서 빠르게 이동하기는 쉽지만 오르막길을 신나게 오르는 것은 어렵다. 사는 게 팍팍하고 해결하기 힘든 문제를 만나게 될 때, 낯선 용궁에 도착해 간을 빼앗길 상황에 놓였는데도 침착하고 유머러스하게 위기를 모면했던 토끼의 지혜를 배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계묘년을 맞이하는 모두가 작고 귀여워 보이지만 특유의 지혜와 강단을 발휘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위기를 모면하는 토끼의 특성을 닮을 수 있기를 바라본다.
서울 性醫學 설현욱
2023.01.02 07:20:47
.... 그 사람의 여러 특징들은 태어난 해에 결정되지 않는다오.. 그러니까 토끼 띠이나까 어쩌구 저쩌구..호랑이 때이니까 어저구저쩌구가 아니라 ..命理 8글자 중 年柱가 아니라 日柱가 기준이 되는 것이고.. 이건 마치 무슨 혈액형 가지고 그 사람의 성격을 얘기하는 엉터리와 비슷하고 또 체게 융 C.G.Jung 의 성격이론을 가지고 만든 좀 엉터리 MBTI 검사와 유사하고..
답글작성
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