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에 대한 신체적 반응 |
우리는 음악적 경험을 통하여 혈압, 맥박의 속도, 호흡, 피부반응, 뇌파, 그리고 근육반응 등에 변화를 가져온다고 믿고 있다. 이러한 신체의 변화와 변화를 가져오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지난 수십 여 년 동안 진행되어왔다. 예를 들면 전류 피부반응에 의한 음악의 영향, 음악과 호흡작용에 대한 상호관계, 음악이 운동 활동에 미치는 영향, 긴장상태에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이 긴장 완화 훈련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해 연구가 이루어졌다. 한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음악이 사람의 생리적인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정되었으나 음악에 대해 일정한 형태의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음악에 대한 반응을 예측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가령 똑같은 음악이라도 상황이나 사람에 따라서 정반대의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다양성에 대한 여러 견해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결과를 통해 우리는 자극적인 음악의 성격을 대개 스타카토, 싱코페이션, 액센트가 많으며, 조성의 변화가 급격하고 음역의 폭이 넓으며, 예측할 수 없는 음악의 흐름을 지닌 것으로 일반화 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람을 안정시키고 침체시키는 음악의 성격으로 레가토적인 멜로디 중심의 음악이며, 조성의 변화가 거의 없거나 관계조의 자연스런 변화가 나타는 것, 음역의 폭이 좁고 급격한 멜로디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으며 대개 반복을 동반하는 음악으로서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활동을 자극시키는 음악은 사람의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근육 운동시스템을 활성화시키며, 침체시키는 음악은 사람의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로 유도한다는 것이다. |
|
- 음악에 대한 심리적 반응 |
음악이 의미 있는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임상적 상황에서 정서수정과 관련을 갖는다. 정서수정에서는 음악적 자극요소에 의해 불러일으켜지는 환기가 클라이언트의 상황적 필요에 맞아떨어질 때 정서수정이 일어나게 되며 이것은 행동변화를 유지시켜 주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한다는 것이다. 대개 음악에 대한 심리적인 반응에는 대상자의 과거 경험이 깊게 관여하게 되며 음악적 자극에 의해 내면에 형성되는 보상과 이것에 의해 평가되는 가치,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발되는 동기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음악심리학에서 특정 음악과 정서적 반응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는데, 음악 자체가 특정 정서를 유발하기보다는 음악을 듣는 사람의 과거 경험과 문화적 배경, 기호와 음악 교육 등이 음악을 들을 때의 정서적 반응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Radocy and Boyle). 그러나 리듬, 화성, 선율 등의 음악의 요소와 화성적 구조 등이 음악을 듣는 사람이 개인적으로 갖게 되는 음악적 의미를 어느 정도 결정한다. |
|
- 음악에 대한 사회적 반응 |
음악은 언어로써 표현하기 어려운 무의식의 잠재된 내면의 문제들을 음악 속으로 표현하게 돕는다. 음악적 표현은 새로운 자아 인식으로 연결되고, 자아 인식과 연결된 자기표현은 정신치료 집단 속에서 새로운 사회적 교류로 이어지게 된다.
음악의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는 음악을 위한 음악, 즉 미적인 기능으로서의 음악이며, 둘째는 사회의 기능적인 역할로서의 음악으로서 음악이 다른 목적을 위한 기능적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사회적 기능을 잘 분류한 대표적 학자로서 메리암(A. P. Merriam)을 들 수 있다. 메리엄이 분류한 음악의 기능은: (1)감정표현, (2)미적인 즐거움, (3)오락, (4)커뮤니케이션, (5)상징적 표현, (6)신체적 반응, (7)사회 규범, (8)사회 기관과 종교의식을 확인, (9)사회와 문화의 연속성, (10)사회의 통합에 기여하는 기능이다 이상과 같이 음악은 사람에게 생리적인, 심리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며 또 음악은 사회적 기반 위에 있기 때문에 사람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음악을 치료의 도구로 사용한다 했을 때는 음악이 사람의 행동변화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사실을 근거로 한 것이다. 이것을 사람의 신체생리에 미치는 영향력으로, 심리에 미치는 영향력으로, 그리고 사회적 구조가 기반이 되는 음악의 영향력을 살펴본 것이다. 그래서 임상의 현장에서는 다른 무엇으로도 반응을 보이지 않던 자폐아동이나 정신질환자가 음악에는 반응을 보이는 것을 보는데, 이것은 음악의 힘이 개인의 장애를 넘어서 개인과 관계를 맺는 것을 보게 되는 것이다. |
|
원리 |
- 개스턴 (관력적 접근)의 음악치료 원리 |
(1) 관계의 확립 내지는 재확립
음악은 비언어적 교류수단으로서 언어로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도록 도와준다. 음악은 사회적인 상황을 묘사하거나 미래의 방향을 예견하는 도구의 역할을 한다. 음악의 힘은 개인보다는 그룹을 통해 극대화된다.
(2) 자기성찰을 통한 자긍심의 증진
음악은 즐거움과 자기만족의 원천이다. 음악은 비경쟁적 성취를 허용한다.
(3) 에너지와 질서의 원천으로서의 리듬
음악은 구조적인 현실이다. 리듬은 조직자이며 에너지원이다 |
|
-시어즈 (경험적 접근) |
(1) 구조 속에서의 경험(Music)
음악은 시간에 입각한 행동(time-ordered behavior)을 요구(demands)한다. 음악은 능력에 따른 행동(ability-ordered bahavior)을 허용(permits)한다. 음악은 정서적인 행동(affectively ordered bahavior)을 불러일으킨다. 음악은 감각과 관련된 행동(sensory-elaborated behavior)을 이끌어낸다(2) 자신을 조직화하는 경험(Me)
음악은 자기표현(self-expression)을 하도록 한다. 음악은 장애인을 위한 보상적 행동을 제공한다. 음악은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상과 그렇지 않은 행동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음악은 자신의 자랑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3) 다른 사람과 관련된 경험(You & Me)
음악은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자기표현의 방법을 제공한다. 음악은 그룹에서 개인적 반응의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 음악은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책임감을 받아들이는 기회를 제공한다. 음악은 언어와 비언어 사회교류와 의사소통을 강화시킨다. 음악은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형태 속에서 협동과 경쟁의 경험을 제공한다. 음악은 일반적인 치료적 환경에 필요한 즐거움과 오락을 제공한다. 음악은 기관과 동료지역사회에서 허용되는 현실적인 사회적 기술과 개인적 행동의 패턴을 학습하도록 한다. |
|
방법 |
1) Nordoff-Robbins Model의 창조적 음악치료(Cretive Music Therapy) 두 명의 치료사가 팀이 되어 진행한다. 한사람은 피아노에서 환자와 치료적 음악경험을 해가고 다른 치료사는 환자를 도와 즉흥연주와 피아노에서 유도하는 치료사에 반응하도록 도와준다. 주요 과정으로는, 클라이언트가 음악적으로 반영하도록 하고 성악과 기악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음악적 기술과 자유로움을 표현하도록 하고,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내부적 반응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2) Priestly Model의 분석적 음악치료(Analytical Music Therapy) 치료사는 클라이언트가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단어나 상징적인 즉흥연주 음악을 사용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프로이드와 융의 이론에 입각하여 다음의 네 가지 진행과정이 있다.
(a) 감정적인 조사가 필요한 이슈를 확인하고 즉흥연주를 위한 타이틀을 만든다. (b) 즉흥적 역할을 치료사와 클라이언트가 정한다, (c) 타이틀에 맞추어 즉흥연주를 해간다, (d) 연주 후 토의한다. 3) Riordan-Bruscia Model의 경험적 즉흥연주(Experimental Improvisation Therapy) 기악, 소리, 몸 동작 등 개인의 음악적 경험과 표현을 그룹의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 가도록하는 그룹 즉흥연주 모델이다. 치료자의 역할을 그룹의 일원으로서 혹은 그룹의 밖에서 돕는 사람으로 두기도 한다. 자유로운 연주의 과정을 가지기도 하며 혹은 치료사가 어떤 제시를 하면 그룹이 그 주제적 생각이 형성될 때까지 즉흥연주를 해 가게도 한다. 몇 가지 주제가 분명해지고 또 서로 연결 될 때까지 그룹은 매 번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또 반응한다. 4) Orff 또는 Bitcon이 모델 된 임상적 올프 즉흥 음악치료(Orff Improvisation Models) 동작이나 말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리듬 위에 치료사는 창의적인 음악적 활동을 한다. 올프 즉흥연주에서는 형식(form)을 과정을 돕는 수단으로 이용하는데 대개 론도형식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기본적 형식(일반적으로 치료사가 요구하기보다는 그룹에서 나타내어지는) 위에 치료사에 의해 제시되는 (대개 모델링을 통해) 어떤 조그만 아이디어로 시 작되는 즉흥연주는 과정을 거치며 발전하는데 대개 결과는 대단한 진전으로 나타나게 된다. 어떠한 경우에라도 성공적인 음악적 경험과 개인의 긍정적인 경험에 중요성을 갖는다. 클라이언트들이 언제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조절하며 즉흥연주를 형성시킨다. |
|
- 재창조 연주의 경험 |
재창조 연주의 형태는 악기를 배우고 가르치는 활동과 핸드벨이나 그 외 그룹악기 연주 활동, 성악활동을 포함한다.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음악치료사가 악기를 가르치거나 합주그룹을 인도하지만 그것이 일반 음악활동과 다른 점은 음악 활동이라는 도구를 통해 치료사가 목표로 하는 것이 음악외적인 행동의 변화라는 점이다. 다음은 재창조 연주의 경험이 가지는 치료적 목적들이다(1) 감각운동기술을 발달 (2) 시간에 입각한 행동과 적응적 행동을 발달 (3) 집중력과 현실감각을 향상 (4) 기억기술을 발달 (5) 다른 사람과 감정이입, 정체성 등의 기술을 발달 (6)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커뮤니케이션 하도록 하며 다른 사람의 것 을 받아들이도록 함 등이다. |
|
-창작적 경험 |
창작적 경험의 형태는 노래가사 고쳐 부르기와 노래만들기(song-writing)로 나타난다. 창작적 경험이 가지는 치료적 목적들은
(1) 계획과 조직력의 발달 (2) 창의적 문제해결기술 발달 (3) 책임감을 증진 (4) 기억기술을 발달 (5) 내면 경험으로부터 커뮤니케이션을 발달 (6) 노래가사를 통한 치료적 주제를 탐구 하고자 한다 |
|
-감상적 음악경험 |
감상적 음악경험이 치료의 목적을 달성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한 음악경험의 목적들은(1) 수용력을 향상 (2) 특정한 몸의 반응을 유발 (3) 개인을 활성화시키거나 진정시킴 (4) 청각/운동기술을 발달 (5) 정서적 상태나 경험을 일깨움 (6) 기억, 회상, 회귀(regression)를 유발 (7) 심상을 유발 (8) 절정의 경험 영적인 경험으로 자극시키도록 한다. |
|
-작곡 (composition expriences) |
협동심을 발달시키고 감정, 생각, 경험의 공유를 촉진한다. 입원한 아동의 경우 노래가사를 쓰는 것은 알 수 없는 두려움과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종말기 환자의 경우, 삶과 죽음의 의미에 관한 감정을 표현하는 도구이며 또한 남겨진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한 창조적인 유산이 된다. 클라이어트를 위한 또는 클라이언트와 함께 노래를 통한 치료는 자기인식(self-awareness)과 카타르시스의 순간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한 음악경험의 목적들은(1) 조직화 계획수립 능력 발달 (2) 창조적 문제해결 기술 발달 (3) 자기 책임성 조장 (4) 내면세계와 의사소통하고 기록하는 능력 발달 (5) 가사를 통한 치료적 주제 탐구를 조장 (5) 부분을 전체로 통합하고 종합하는 능력 발달시키도록 한다 |
|
- Guided Imagery and Music (GIM) |
GIM이란 무엇인가 |
- 음악심리치료의 깊은 적용 특별히 프로그램 된 고전음악이며, 다이나믹을 창출시 키고 내면의 경험을 펼치도록 한다. - 복잡한 교류의 결과로 나오는 경험 음악 감상자의 감정적 상태 감상자의 삶의 경 험 - 음악과 치료사는 감상자의 경험에서 상호 협동치료사이다. 지원(Supporting) 반영 (Reflectng) 촉발(Faclitating) - 음악은 지속적으로 무의식과 대화를 나누도록 촉발시킨다. - 치료사는 감상자와 활발한 대화를 통하므로 기저를 제공한다. - 치료사는 초점을 그리고 몰입되는 것을 장려하는데... 감각이미지(Sensory Images) 신체적느낌(Physical Sensatons) 기억들(Memores) 생각들(Thoughts) |
|
GIM 세션 |
(예비)대화 - 진단평가 - 유 도 - 긴장이완 (Relaxation) - 말로 초점 (Verbal Focus) - 음악적 경험 - 여행 (Traveling) - 안정 (Stabilzation) - 돌아옴 (Return) - 세션 후 통합 - 미술과정을 경유 (Graphic Art Transition) - 언어적 과정 (Verbal Processing) - 모든 사람이 시각적 이미지를 경험하지 않는다. 이미지는 청각 촉각 운동감각 시각과 관련음악이 협동치료사 - GIM에서 음악적 요소들에 의해 감상자의 경험은 영향을 받 게 된다. -음악은 천천히 절정의 경험을 형성시켜 안정된 휴식장소로 돌아와야하며 다이나 믹, 리듬, 속도에 급격한 변화가 없어야하며 이미지가 계속 움직이도록 충분한 변 화가 있어야 한다. -화성적 긴장은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악기 구성은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 -조직(texture)은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 -메시지는 분명한 것에서 불분명한 것으로 -간격은 고른 것에서 변화로 -무드는 슬픈, 행복한, 지친 장조/단조 협화음/불협화음 -구조는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 잦은 해결은 안전함과 구조를 일깨운다 -음고는 높고 낮게 -장식음은 피치카토/레가토 엑센트, 반복 -상징적 이미지/기억 작곡가의 의도/타이틀 GIM에서 감정의 역할 유도된 상상은 다음을 혼합하여 여행자를 위한 독특한 경험 을 창조해 낸다. -음악 상상(이미지) 감정 전인격 음악은 감정을 유발시킨다 -GIM현장에서의 음악은 개인의 삶과 관련된, 그 시간의 감정으로 자극시킨다. 감정 은 이미지를 불러오도록 하는데, 기억(종종 잊혀진) 감정(종종 무의식) -첫 번째의 이미지에 대개 적절한 이미지가 따라 나온다. 이 때 음악은 지속적으로 이미지가 새로운 상황을 만들어 가도 록 한다. |
|
GIM의 사용 |
- 임상치료의 영역 신경성 노이로제 (Neurosis): 불안, 우울, 결백증, 기피증,... - 상호 관계적 치료 (Relationship Therapy): 상호관련문제에 있어서 개인의 강점을 키우고, 커뮤니케이션의 활성... - 우울증 (Depression): 좀 더 오랜 기간이 필요. - 정신과 질환 (Psychiatric Inpatients): - 다양한 치료계층 (Various Populations): treating substance abuse, addicts, prison populations, hospice, child-birth, elderly -일반영역: 자아실현(Self-Actualization) 종교적/영감발달 창의성 촉발 |
|
GIM 사용에 있어 유의사항 |
GI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가 다음의 4가지 사항에 반드시 해당되어야 한다.
1)상징적인 생각을 할 수 있어야 함. 2)상징적인 생각과 현실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하고 3)클라이언트 자신의 경험을 치료사에게 알릴 수 있어야 하고, GIM치료를 통해 그 결과가 긍정적인 발달로 귀결되는 것을 보여야 함. 4)이고(ego)가 약한 사람에게는 그리고 신경적 손상, 정신분열증세의 사람은 GIM 의 효과가 적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