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종혁 시 목록
동인지 『초우』
시 3편
1. 「겨울 태양」
―동인지 『초우』, 창간호(1981.12.31): 14. (학생 문예지)
2. 「盟誓」
―동인지 『초우』, 제2호(1982.1.31): 12. (학생 문예지)
3. 「秋」
―동인지 『초우』, 제2호(1982.1.31): 25. (학생 문예지)
나식(羅湜) 한시
한시 3편
1. 「한중우음」(閑中偶吟)
2. 「도봉사」(道峯寺)
3. 「제화원」(題畵猿)
* 출처: 『장음정선생문집(천연색 원문)』, 나식 원작, 나익 편, 나상일 중편, 나종혁 삼편, 도서출판 DRM연구원, 2017년.
나세찬(羅世纘) 한시
한시 16편
1. 「영사후」(詠射帿)
2. 「환칠정사」(還七精寺)
3. 「사후」(射帿)
4. 「증안정자」(贈安正字)
5. 「삼기시」(三奇詩)
6. 「사벽정」(四碧亭)
7. 「송송사중지연경」(送宋士重之燕京)
8. 「낙산채박」(落山採蒪)
9. 「학령청송」(鶴嶺聽松)
10. 「괴정사후」(槐亭射帿)
11. 「성천조어」(城川釣魚)
12. 「남강심백」(南岡尋栢)
13. 「용암망운」(龍庵望雲)
14. 「사지상연」(沙沚賞蓮)
15. 「모포귀범」(暮浦歸帆)
16. 「부차운담양부사노극창」
* 출처: 『송재선생문집(천연색 원문) 상(권1~2)』, 나세찬 저, 나종혁 편, 도서출판 DRM연구원, 2017년.
『아리랑―2017년 나라문학회 합동 시집』
시 14편
1. 「그리움」
2. 「기도하는 여인」
3. 「떠나간 그대에게 바치는 헌사」
4. 「민주의 꽃」
5. 「사랑하는 사람에게」
6. 「아름다움에 집을 지어줄게」
7. 「아리랑 본조」
8. 「외눈박이의 사랑 이야기」
9. 「인천아리랑―아리랑 별조」
10. 「자연의 언어」
11. 「자연의 존재」
12. 「자주의 꽃」
13. 「천년의 기억」
14. 「평화의 기원」
* 출처: 『아리랑―2017년 나라문학회 합동 시집』, 나라문학회 편, 전자책(PDF, epub), 2017년, 79~98.
『아리랑―나라문학회 합동 시집』(POD, 2018년); 『아리랑―2017년 나라문학회 합동 시집 <수정판>』(전자책, 2018년)
시 13편
1. 「기도하는 여인」
2. 「떠나간 그대에게 바치는 헌사」
3. 「민주의 꽃」
4. 「사랑하는 사람에게」
5. 「아름다움에 집을 지어줄게」
6. 「아리랑 본조」
7. 「외눈박이의 사랑 이야기」
8. 「인천아리랑―아리랑 별조」
9. 「자연의 언어」
10. 「자연의 존재」
11. 「자주의 꽃」
12. 「천년의 기억」
13. 「평화의 기원」
* 출처: 『아리랑―2017년 나라문학회 합동 시집 <수정판>』, 나라문학회 편, 전자책(PDF, epub), 2018년, 95~115; 『아리랑―나라문학회 합동 시집』, 나라문학회 편, POD/페이퍼백, 2018년, 79~98).
『한국 향가집―나종혁 향가 완역 시집』(2019년)
이두역 향가 30편
1. 서동요(薯童謠)
2. 혜성가(彗星歌)
3. 풍요(風謠)
4. 원왕생가(願往生歌)
5.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6. 헌화가(獻花歌)
7. 원가(怨歌)
8. 도솔가(兜率歌)
9. 제망매가(祭亡妹歌)
10.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11. 안민가(安民歌)
12.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13. 우적가(遇賊歌)
14. 처용가(處容歌)
15. 예경제불가(禮敬諸佛歌)
16. 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
17. 광수공양가(廣修供養歌)
18. 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
19. 수희공덕가(隨喜功德歌)
20. 청전법륜가(請轉法輪歌)
21. 청불주세가(請佛住世歌)
22. 상수불학가(常隨佛學歌)
23. 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24. 보개회향가(普皆廻向歌)
25. 총결무진가(總結無盡歌)
26. 도이장가(悼二將歌)
27. 정과정(鄭瓜亭)
28. 송사다함가(送斯多含歌)
29. 청조가(靑鳥歌)
30. 만신가(万身歌)
나종혁 현대 향가 8편
31. 가들막이
32. 경우가 밝은 여자
33~34. 나뭇가지―연작시 1~2
1. 나뭇가지 I
2. 나뭇가지 II
35. 무엇이 이리 너를 몰고 가는가
36. 실터
37. 씨름의 질서
38. 역시나
* 출처: 『한국 향가집―나종혁 향가 완역 시집』, 나종혁 작시, K-BOOK, 2019년.
무크북 『리라』 온라인판(통권 1호)
시 15편
1. 「바스티유」
2. 「바나나 DNA」
3. 「대피」
4. 「어아가」
5. 「순수관경비」
6. 「애환가」
7. 「헌하가」
8. 「도리가」
9. 「공무도하가」
10. 「황조가」
11. 「구지가」
12. 「여수장우중문시」
13. 「정읍사」
14. 「해가」
15. 「향악잡영」
* 무크북 『리라』 통권 1호 온라인판(http://cafe.daum.net/lyra/ocLU/2), 2019년.
『한국 고대시 선집―나종혁 고대시 완독 시집』(2020년)
한국 고대시 200편
1. 천부경/신지 혁덕
2~3. 신지비사/신지 발리
1. 삼신장/신지 발리
2. 삼한장/신지 발리
4. 어아가/작자 미상
5. 애환가/작자 미상
6. 헌하가/청포노인
7. 단군답시/단군 여을
8. 도리가/작자 미상
9. 맥수가/기자
10. 순수관경비/여홍성
11. 공무도하가/백수광부의 처
12. 점제현 신사비/점제현의 장
13. 개물교화경/고주몽
14. 황조가/유리왕
15. 고구려 덕흥리고분 묵서명/작자 미상
16. 광개토대왕비문 서/작자 미상
17. 고구려 모두루 명문/작자 미상
18. 고구려 중원비문/작자 미상
19. 평양성 석각 제1석/소형 상부 약모리
20. 평양성 석각 제2석/물구 소형 배회백두
21. 평양성 석각 제3석/내중 백두 상위사 이장
22. 평양성 석각 제4석/한성 하후부 소형 문달
23. 평양성 석각 제5석/괘루개절 소형 가군
24. 평양성 석각 제6석/작자 미상
25. 여수장우중문/을지문덕
26. 인삼찬/작자 미상 고구려인
27. 영고석/정법사
28. 연양가/연양의 위인
29. 칠지도 명문/백제 왕세자
30. 무령왕릉 방격규구신수경 명문/작자 미상
31. 숙세가/작자 미상
32. 사택지적당탑비문/사택지적
33. 정읍사/행상인의 처
34. 구지가/작자 미상
35. 울주 천전리 각석 명문/갈문왕 김입종
36. 임신서기석 이인병서기/신라인 학도 이인
37. 신라 진흥왕 순수비 북한산비/진흥왕
38. 송사다함가/미실
39. 청조가/김사다함
40. 신라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비/진흥왕
41. 서동요/서동
42. 비형랑주사/작자 미상
43. 혜성가/융천
44. 풍요/양지
45. 지귀주사/모 술사
46. 치당태평송/진덕여왕
47. 대승기신론소 게송/원효
48. 미타증성가―제1게송/원효
49. 미타증성가―제2게송/원효
50. 미타증성가―제3게송/원효
51. 오도송/원효
52. 법계도/의상
53. 오관석/표훈
54. 장모게/사복
55. 금강삼매경론 제1게송/원효
56. 금강삼매경론 제12게송/원효
57. 회소곡/원효
58. 법계도기총수록 게송 1/의상
59. 법계도기총수록 게송 2/의상
60. 원왕생가/광덕
61. 반속요/설요
62. 모죽지랑가/득오
63. 울주 천전리 영랑 각문/화랑 영랑
64. 영랑 명석구/화랑 영랑
65. 귀경송/명효
66. 해인삼매론 게송/명효
67. 회향송/명효
68. 해가/작자 미상
69. 헌화가/견우 노옹
70. 왕오천축국전 제1게송/혜초
71. 왕오천축국전 제2게송/혜초
72. 왕오천축국전 제3게송/혜초
73. 왕오천축국전 제4게송/혜초
74. 왕오천축국전 제5게송/혜초
75. 원가/신충
76. 송동자하산/김지장
77. 도천수관음가/희명 여인
78. 보살계본종요 게송/태현
79. 도솔가/월명사
80. 제망매가/월명사
81. 찬기파랑가/충담
82. 안민가/충담
83. 성덕대왕신종 명문/김필오
84. 사부시/부설
85. 팔죽시/부설
86. 오도송/부설
87. 열반송/부설
88~90. 양진게/영희․영조․부설
1. 영희게/영희
2. 영조게/영조
3. 부설게/부설
91. 우적가/영재
92. 간자가/심지
93. 진루선/김운경
94. 조춘/김입지
95. 제유선사/김가기
96. 등윤주자화사상방/최치원
97. 송오진사만귀강남/최치원
98. 추일재경우이현기이장관/최치원
99. 춘효우서/최치원
100. 모춘즉사화고운우사/최치원
101. 진정상태위/최치원
102. 화장진사교촌거병중견기교자송년/최치원
103. 수양섬수재/최치원
104. 야소/최치원
105. 추야우중/최치원
106. 우정야우/최치원
107. 도중작/최치원
108. 요주파양정/최치원
109. 산양여향우화별/최치원
110. 제우강역정/최치원
111. 춘일요지우불지인기절구/최치원
112. 유별서경김소윤준/최치원
113. 증금천사주/최치원
114. 증재곡란약독거승/최치원
115. 황산강임경대/최치원
116. 제가야산독서당/최치원
117. 강남여/최치원
118. 진달래꽃/최치원
119. 류별녀도사/최치원
120. 수진사양섬송별/최치원
121. 화우인제야견기/최치원
122. 봄바람/최치원
123. 해변춘망/최치원
124. 춘효한망/최치원
125. 화엄불국사 수석가여래상번찬 병서/최치원
126. 처용가/처용
127. 향악잡영/최치원
128. 교거정지기/최광유
129. 노사/최광유
130. 송향인급제환국/최광유
131. 상산로작/최광유
132. 세우/최광유
133. 어구/최광유
134. 억강남리처사거/최광유
135. 장안춘일유감/최광유
136. 정매/최광유
137. 조행/최광유
138. 진감선사비명/최치원
139. 분원시/왕거인
140. 낭혜화상비명/최치원
141. 경호/최승우
142. 관중송진책선배부빈주막/최승우
143. 독요경운전/최승우
144. 별/최승우
145. 송조진사송입나부/최승우
146. 억강서구유인기지기/최승우
147. 업하화리수재여경/최승우
148. 증설잡단/최승우
149. 춘일송위대위자서천제회남/최승우
150. 헌신제중서이사인/최승우
151. 지증대사비명/최치원
152. 숭복사비명/최치원
153. 강행정장준수재/박인범
154. 경주용삭사각겸간운서상인/박인범
155. 구성궁회고/박인범
156. 기향암산예상인/박인범
157. 마외회고/박인범
158. 상은원외/박인범
159. 상풍원외/박인범
160. 송엄상인귀건축국/박인범
161. 조추서정/박인범
162. 증전교서/박인범
163. 범일국사영찬/박인범
164. 무애지국사영찬/박인범
165. 천태지게/경명왕
166. 번화곡/경애왕
167. 만신가/작자 미상
168. 봉화기조신공영설시/양태사
169. 야청도의성/양태사
170. 정효공주묘명문/작자 미상
171. 공봉대덕령선화상시병서 게송/석정소
172. 공봉대덕령선화상시 병서/석정소
173. 봉칙배내연/왕효렴
174. 종출운주서정기양개칙사/왕효렴
175. 재변정부득산화희기양개영객사병자삼/왕효렴
176. 춘일대우득정자/왕효렴/
177. 화판령객대월사향견증지작/왕효렴
178. 칠일금중배연/석인정
179. 한송정곡/장연우
180. 예경제불가/균여
181. 칭찬여래가/균여
182. 광수공양가/균여
183. 참회업장가/균여
184. 수희공덕가/균여
185. 청전법륜가/균여
186. 청불주세가/균여
187. 상수불학가/균여
188. 항순중생가/균여
189. 보개회향가/균여
190. 총결무진가/균여
191. 도이장가/예종
192. 정과정/정서
193. 사모곡/작자 미상
194. 회소곡/김종직
195. 우식곡/김종직
196. 치술령곡/김종직
197. 달도가/김종직
198. 대악/김종직
199. 양산가/김종직
200. 황창랑/김종직
* 출처: 『한국 고대시 선집―나종혁 고대시 완독 시집』, 나종혁 작시, DRM IP, 2020년.
『고산―나종혁 시집』(2020년)
시 100편
1~2. 이별의 시―연작시 1~2
1. 이별의 시
2. 가는 인연
3~4. 저어새―연작시 1~2
1. 저어가
2. 십자성의 날개
5~10. 비―연작시 1~6
1. 시원한 비
2. 낭만의 비
3. 구슬픈 비
4. 운명의 비
5. 믿음의 비
6. 벗과 같은 비
11~12. 공포―연작시 1~2
1. 공포 1
2. 공포 2
13~15. 다시 혼자서―연작시 1~3
1. 다시 혼자서 1
2. 다시 혼자서 2
3. 다시 혼자서 3
16~18. 힘들어하던 너의 나날들―연작시 1~3
1. 힘들어하던 너의 나날들 1
2. 힘들어하던 너의 나날들 2
3. 힘들어하던 너의 나날들 3―아미스티스
19~20. 비나리―연작시 1~2
1. 비나이다 비나이다
2. 발원
21~22. 시조―연작시 1~2
1. 여기 머문 곳이 내 세상
2. 좋은 날
23. 나는 노래의 주인
24. 꿈
25. 가람
26. 세상의 바람 쓰러지다
27. 아아 어아
28. 고산
29. 기억
30. 헤어짐
31. 바다와 나
32. 너를
33. 영혼의 별
34. 솔밭
35. 봄 생각
36. 아카시아 꽃잎
37. 석양에 노을이 지다
38. 여행의 의미
39. 샛별눈
40. 너에게 바라는
41. 깃발
42. 어찌
43. 역사의 길―휴전협정문
44. 유성이 지다
45. 가난한 마음―정의의 외침
46. 여행을 꿈꾸리라
47. 서산에 지는 해
48. 나 이제 떠나줄 게
49. 미움과 사랑
50. 추상시(抽象詩)
51. 미결정성
52. 사실보다
53. 광시곡
54. 학도가 인간적 자아를 꿈꾸다
55. 뺑뺑이
56. 걱정거리
57. 지평선에서
58. 두려운 인생
59. 공항 고개
60. 전화 대화
61. 다름에 대해서―사람, 동물, 식물, 자연물
62. 사랑의 신비
63. 설총에 대한 두 가지 해석
64. 십자가의 예수
65. 천국과 지옥 사이에서
66. 강한 인간
67. 그리움
68. 누가 너를
69. 서쪽 생각
70. 숨바꼭질
71. 제발 날 잊고 살아 주오
72. 원의 미학
73. 의식
74. 꽃이 피었다 지다
75. 반포 가는 길
76. 세월
77. 관계
78. 무엇이 될꼬 하니
79. 정다웁게 살아라―금언시
80. 감정론-너와 나
81. 알다가도 모를 인생
82. 너 참 미쁘다
83. 노루잠
84. 동그마니
85. 뒤란
86. 마루는 하늘
87. 마파람
88. 뫼
89. 무서리
90. 연인
91. 애오라지
92. 이울어 가는 달
93. 주니
94. 가야 할 청춘
95. 하늘의 슬픔
96. 사랑의 눈빛
97. 시심(詩心)
98. 순수한 사랑
99. 누군가 노래하리
100. 에필로그―대전 한밭
* 출처: 『고산―나종혁 시집』, 나종혁 작시, NA_BOOK, 2020년.
『영원한 인연―나종혁 시집』(2020년)
시 100편
1. 저기 멀리 홀로 서 있는
2. 마치 모든 것이 아닌 것처럼
3. 그것은 우정이야
4. 너는 그저
5. 늦음에 대하여
6. 나눔
7. 만남
8. 모든 게 웃음인 것과 같아
9. 우리 같이 살자
10. 오직 한 번
11. 못난 여자야
12. 쓰러지는 나무
13. 이도 저도
14. 전생과 후생
15. 지성이면 감천이다―설화시
16~21. 소금 장수―설화시 연작시 1~6
1. 소금 장수―보령 설화 1
2. 소금 장수―보령 설화 2
3. 소금 장수―부여 설화 1
4. 소금 장수―부여 설화 2
5. 소금 장수―공주 설화
6. 소금 장수―대덕 설화
22~23. 참을 인 자로 막다―설화시 연작시 1~2
1. 참을 인 자로 막다―대천 설화
2. 참을 인 자로 막다―당진 설화
24. 고샅
25. 간각
26. 밤놀이
27. 가라사대
28. 가라말
29. 섟
30. 시나브로 떠나세요
31. 밤글
32. 질그릇
33. 카페 앞에서
34. 커피에 띄운 시
35. 게으른 아파트
36. 바나나먹기
37. 멀리 아득히
38. 영원한 인연
39. 감정의 교류
40. 신문, 그리고
41. 책, 그리고
42. 쟁반 위 고깃덩이
43. 고향의 시
44. 분꽃
45. 설화
46. 낚시터
47. 섬진강
48. 한강에 서다
49. 시름
50. 밤에 대한 명상
51. 봄
52. 그리 반하셨다니
53~54. 바다-연작시 1~2
1. 바다 1
2. 바다 2
55. 저 하늘 저 바다
56. 자신 있게 발언하라
57. 진리의 빛
58. 나의 금언 칠 조항-이성과 합리성에 대해서
59. 사실
60~61. 인과-연작시 1~2
1. 인과 1
2. 인과 2
62. 굴렁쇠
63. 마음굴리기
64. 무제
65. 너는 왜
66~67. 보기-연작시 1~2
1. 보기 1
2. 보기 2
68. 사실보다 2
69. 상대적 빈곤감
70. 색
71. 잘못된 시각
72. 반대 의견
73. 핑곗거리
74. 우울한 날
75. 밤길
76. 붉은 개
77. 행과 불행 사이
78~80. 눈물―연작시 1~3
1. 시냇물이 눈물을 흘린다
2. 숲이 눈물을 흘린다
3. 하늘이 눈물을 흘린다
81. 울음
82. 하늘과 땅
83. 우림
84. 숲 속의 미녀
85. 감정
86. 세상과 같다면
87. 세상살이
88. 민들레
89. 사랑과 우정 사이로
90. 내가 너를 사랑했지
91~92. 새-연작시 1~2
1. 새 1
2. 새 2
93~94. 붉은 새-연작시 1~2
1. 붉은 새
2. 붉은 새의 기상
95. 구름을 밝히는 해를 가리는
96. 나무를 바라보는 시선
97. 갈림길
98. 세상
99. 장대비
100. 에필로그―시를 남기고 가 버린 너
* 출처: 『영원한 인연―나종혁 시집』, 나종혁 작시, NA_BOOK, 2020년.
『너울이 스러지다―나종혁 시집』(2020년)
시 100편
1. 기억, 또 다른
2. 갈라서기
3. 고리
4. 비정상의 정상
5. 광시곡 2-가치의 노래
6. 선
7. 점
8. 그랬으면
9. 나꾸러기
10. 나무거울
11. 두리
12. 물길
13. 바람기둥
14. 물바람
15. 너울이 스러지다
16. 윤슬
17. 어슴새벽
18. 아재
19. 여울
20. 이까지로
21. 물터
22. 새초롬히―해바라기
23. 나지리
24. 단어의 의미
25. 거짓말
26. 부자연스러운 관련성
27. 절반의 사랑
28. 짧은 글귀
29. 기분 좋은 날
30. 현상학적 경우의 수
31. 외출
32~33. 고요―연작시 1~2
1. 고요 1
2. 고요 2
34. 산화
35. 바다의 끝
36. 바스티유
37. 이것이 살아가는 가치인가
38. 사연
39. 무심
40. 혁신
41. 대피
42. 오인 사격
43. 경찰국가
44. 웃음꽃
45. 독백
46. 두 번의 실종
47. 천자의 모험
48. 찬 서리
49. 자유
50. 판단
51. 보이지 않는 거래
52. 지(知)
53. (포스트)모더니티
54. 기다림
55. 너의 시련
56. 지적인 거리
57. 여자
58. 의무
59. 시작과 끝
60. 순수
61. 하고 싶은 말
62. 나이
63. 깨달음
64. 극단적 선택
65. 바나나 DNA
66. 멀쩡하다
67. 성가신 청소부
68. 모델 앞에서
69. 잠 못 드는 밤
70. 고백
71. 색한
72. 편지의 의미
73. 시인의 사진
74. 집
75. 세상의 이치
76~77. 기쁠 때와 슬플 때―연작시 1~2
1. 기쁠 때
2. 슬플 때
78. 새로운 시작
79. 설마
80. 21세기 과학기술의 발전과 인문과학의 진로
81. 사랑의 사슬
82. 그리운 사람
83. 슬픔과 기쁨
84. 학인의 무능
85~86. 정열의 사나이(군가)-연작시 1~2
1. 정열의 사나이 1
2. 정열의 사나이 2
87. 애국의 길(군가)
88~89. 그리운 전우여(예비군가)-연작시 1~2
1. 그리운 전우여 1
2. 그리운 전우여 2
90. 단공
91. 백세단공(百歲段供)
92. 삼월 보름(이천십구 년)
93. 삼월 그믐(이천십구 년)
94. 사월 보름(이천십구 년)
95. 사월 그믐(이천십구 년)
96. 오월 보름(이천십구 년)
97. 오월 그믐(이천십구 년)
98. 유월 보름(이천십구 년)
99. 유월 그믐(이천십구 년)
100. 칠월 보름(이천십구 년)
* 출처: 『너울이 스러지다―나종혁 시집』, 나종혁 작시, 2020년.
『계시―나종혁 시집』(2020년)
시 100편
1. 바위산
2. 선바람
3. 새움
4. 술래
5. 애솔
6. 애오라지
7. 애초롬해라
8. 강
9. 그대의 사랑
10. 길 1
11. 길 2
12. 노래하리라
13. 두만강 2
14. 계시(啓示)
15. 아우라지
16. 환희 1
17. 환희 2
18. 다툼의 면제
19. 논리
20. 영웅 탄생
21. 역사의 부정
22. 기억의 말살(抹殺)
23. 감성(感性)
24. 이 인의 진실
25. 기다리는데
26. 내가 너를
27. 헌신의 사랑
28. 지혜
29. 사연 2
30. 사연 3
31. 목가삼간(木家三間)
32. 사례의 해체
33. 마음의 고향
34. 풀잎이 바람에 꺾이다
35. 어디로 여행을 갈까
36. 입장
37. 두 가지 건축의 지혜
38. 탈현대의 자각
39. 차연
40. 의미화
41. 해체
42. 불확정성
43. 오행시 1
44. 오행시 2
45. 오행시 3
46. 오행시 4
47. 오행시 5
48. 기다림
49. 남겨진 감정
50. 공포의 시대
51. 비이성의 사회
52. 거꾸로 도는 물레방아
53. 루이즈 호수(Lake Louise)
54. 북한산
55. 산행
56. 언제까지나
57. 잔디밭
58. 잡담 1
59. 잡담 2
60. 향(香)
61. 헤어지는 연인
62. 달노래
63. 물거울
64. 여운(餘韻)
65. 지푸라기
66. 자유의 의무
67. 돌에 새긴 옛 노래
68. 시소타기
69. 불숨
70. 노루글
71. 시간은 아쉽지 않아
72. 게송
73. 시간
74. 먼지
75. 두루미
76. 달삯
77. 물초
78. 물너울
79. 마음눈
80. 물숨
81. 물수제비
82. 다락바위
83. 달빛의 입맞춤
84. 꽃불
85. 구름길
86. 달넘이
87. 칠월 그믐(이천십구 년)
88. 팔월 보름(이천십구 년)
89. 팔월 그믐(이천십구 년)
90. 구월 보름(이천십구 년)
91. 구월 그믐(이천십구 년)
92. 시월 보름(이천십구 년)
93. 시월 그믐(이천십구 년)
94. 십일월 보름(이천십구 년)
95. 십일월 그믐(이천십구 년)
96. 섣달 보름(이천십구 년)
97. 섣달 그믐(이천십구 년)
98. 정월 보름(이천이십 년)
99. 정월 그믐(이천이십 년)
100. 이월 보름(이천이십 년)
* 출처: 『계시―나종혁 시집』, 나종혁 작시, 2020년.
『버들피리―나종혁 시집』(2020년)
시 100편
1. 눈이슬
2. 들못
3. 띠앗
4. 놀구름
5. 노루막이
6. 달풀이
7. 미추룸하고 미욱하다
8. 마음결
9. 널따란 들
10. 두 번의 이별
11. 이월 그믐(이천이십 년)
12. 세월 2
13. 월상국 범소백이―고대 시조
14. 북소리 들리는 절이―고대 시조
15. 일모창산원(日暮蒼山遠)하니―고대 시조
16. 묻노라 멱라수야―고대 시조
17. 인심(仁心)은 터가 되고―고대 시조
18. 강인한 마음
19. 쉽고도 쉬운 공모
20. 처음 본 사랑
21. 너와 나
22. 해바라기
23. 너희는 무엇으로 노래하느냐
24. 평화의 노래
25. 삼월 보름(이천이십 년)
26. 자기 고백
27. 생동하는 삶
28. 주제
29. 질식
30. 나는 어제 암묵을 보았다
31. 화보 속의 실루엣
32. 구름결
33. 시인의 삶
34. 삼월 그믐(이천이십 년)
35. 사월 보름(이천이십 년)
36. 기다림
37. 배는 어디로 갈까
38. 바다가 없는 나라
39. 제나두
40. 휴전의 도시
41. 화성으로 날아간 비행기
42. 나비의 꿈
43. 옷은 입으라고 있는 것
44. 가로수
45. 갯벌의 일상
46. 바다의 현실
47. 소나무
48. 해도 해도
49. 너의 존재
50. 혼잣말
51. 사월 그믐(이천이십 년)
52. 뭐야
53. 성격적 결함
54. 농촌 사람들
55. 승부의 세계
56. 종달새의 노래
57. 설움
58. 드라이버와 워커
59. 진리를 찾아서
60. 남하
61. 사라지고 나타나고
62. 자존감
63. 깊은 공간 속으로
64. 아주 큰 기대감
65. 실망
66. 어서 오십쇼
67. 오월 보름(이천이십 년)
68. 교실에서
69. 낯선 들 낯선 거리
70. 기어이 가시렵니까
71. 반가운 해후
72. 이게 웬일이에요
73. 전가(轉嫁)
74. 절레절레
75. 두리두리
76. 그리운 꿈길이었어라
77. 뒤꼍
78. 뒤바람
79. 드팀
80. 마른날
81. 마주이야기
82. 마침몰라
83. 물그림자
84. 미리아리
85. 미쁨
86. 바깥길
87. 배가 나뜨다
88. 길녘
89. 오월 그믐(이천이십 년)
90. 너의 이름
91. 공룡은 살아 있다
92. 유월 보름(이천이십 년)
93. 유월 그믐(이천이십 년)
94. 사랑의 전우
95. 만주에서 나주까지
96. 어색한 해후
97. 출몰
98. 어린 상처
99. 그리움 2
100. 에필로그—버들피리
* 출처: 『버들피리―나종혁 시집』, 나종혁 작시, 2020년.
『한국 고대시 선집 II—나종혁 고대시 완독 시집』(2020년)
한국 고대시 II 166편
1. 양아리 석각
2. 평양 법수교비
3. 해동역대명가필보 신지 문자 1
4. 해동역대명가필보 신지 문자 2
5. 해동역대명가필보 신지 문자 3
6. 해동역대명가필보 신지 문자 4
7. 거섭원년명 내행화문경/작자 미상
8. 중화군 금상감동괴 명문/작자 미상
9. 월상국 범소백이/을파소
10. 고구려 동천왕 벽비문/작자 미상
11. 천추총 전명/작자 미상
12. 집안 고구려비 명문/작자 미상
13. 고구려 태왕릉 벽돌 명문/작자 미상
14. 장수왕 비문/장수왕
15. 태화 13년명 석불상/작자 미상
16. 고구려 금동여래입상 연가 7년명/도영
17. 고구려 금동판 탑지/혜랑
18. 영강 7년명 금동광배 금문/작자 미상
19. 건흥 5년명 금동광배 금문/아엄
20. 백제 청동 인물화상경 금문/무령왕
21. 부여 사언시 목간/사비인
22. 부여 쌍북리 구구단 목간/작자 미상
23. 갑오명 금동일광삼존불상/화구
24.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명문/창왕
25. 갑인명 석가상 광배/왕연손
26. 금동석가여래삼존입상 정지원명/정지원
27. 갑신명 금동석가상 광배/작자 미상
28. 익산 미륵사지 서탑 금제 사리봉안기/작자 미상
29. 묻노라 멱라수야/부여성충
30. 가야 환두대도 명문/작자 미상
31. 제천 점말동굴 각석 명문/작자 미상
32. 신라경와편/작자 미상
33. 포항 중성리 신라비/작자 미상
34. 영일 냉수리 신라비/작자 미상
35. 울진 봉평 신라비/작자 미상
36. 성류굴 석각 명문/작자 미상
37. 단양 적성비/진흥왕
38. 경주 황룡사지 신수문동경 명문/작자 미상
39. 진흥왕 척경비 창녕비/진흥왕
40. 진흥왕 순수비 마운령비/진흥왕
41. 경산 임당동 고비/작자 미상
42. 신선사 마애불상군 석각/작자 미상
43. 인심(仁心)은 터가 되고/설총
44. 경주 태종무열왕릉 비편/작자 미상
45. 청주 운천동 신라사적비/작자 미상
46. 계유명 삼존천불비상 명문/미차내 외 화랑도 250명
47. 계유명 전 씨 아미타불 비상 명문/전 씨, 술황우, 이혜개
48. 경주 안압지 우욕가 목간/작자 미상
49. 경주 문무왕릉비/작자 미상
50. 영암 정원명 석비/작자 미상
51. 선림원종 명문/작자 미상
52. 백률사 석당기―이차돈 순교비/작자 미상
53. 곡성 대안사 적인선사탑비 명문/극일
54. 우흥/최치원
55. 접시꽃/최치원
56. 고의/최치원
57. 장안의 여사에서 이웃에 거하는 우신미 장관에게 주다/최치원
58. 운문 난야의 지광 상인에게 주다/최치원
59. 운봉사에 제하다/최치원
60. 당성에 나그네로 노닐면서 선왕의 악관에게 주다/최치원
61. 바다에 배를 띄우고/최치원
62. 여지도에 제하다/최치원
63. 고소대/최치원
64. 벽송정/최치원
65. 호원 상인에게 부치다/최치원
66. 희랑 화상에게 증정하다/최치원
67. 순응 화상에 대한 찬/최치원
68. 대화엄종 불국사의 아미타불상에 대한 찬 병서/최치원
69. 이정 화상에 대한 찬/최치원
70. 좌주 상서가 난을 피하며 유양에 들러 보여 준 절구 세 수에 화운하다/최치원
71. 귀연음을 지어서 태위에게 바치다/최치원
72. 일행이 산양에 머물 적에 태위가 잇따라 옷감을 보내면서 어버이를 뵙고 축수하는 예물로 삼게 하였으므로 삼가 시를 지어 사례하다/최치원
73. 초주 장 상서가 수곽에서 영접하기에 시를 지어 사례하다/최치원
74. 오만 수재의 석별 시에 답한 절구 두 수/최치원
75. 바위 봉우리 중화(中和) 갑진년(884) 10월에 사명(使命)을 받들고 동쪽으로 향하다가 대주산(大珠山) 아래에 정박하였는데, 그때 눈에 보이는 대로 시의 제목을 삼아서 풍월을 읊은 뒤에 10수를 모아 고 원외(高員外)에게 부쳤다/최치원
76. 조수 물결/최치원
77. 바닷가 모래톱/최치원
78. 바다 갈매기/최치원
79. 우인이 제야에 보낸 시에 화운하다/최치원
80. 바닷가를 한가로이 거닐며/최치원
81. 김 원외가 참산의 청 상인에게 준 시에 화운하다/최치원
82. 해문의 난야에 있는 버들을 읊다/최치원
83. 산꼭대기의 아슬아슬한 바윗돌/최치원
84. 바위 위의 작은 소나무/최치원
85. 단풍나무/최치원
86. 바위 위에 흐르는 샘물/최치원
87. 해동으로 돌아올 즈음에 참산의 봄 경치를 바라보며/최치원
88. 합천 홍류동 석각―전 최치원 석각/최치원
89.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추명/작자 미상
90. 해인사 운양대 길상탑기/최치원
91. 오대산사 길상탑사·곡치군/승 훈
92. 정혜공주비 명문/작자 미상
93. 발해상경불비상 명문/작자 미상
문(명문, 금문, 각문, 비문)
94. 고구려 호로고루 명문/작자 미상
95. 평양 북성 각석/작자 미상
96. 집안현 와당/작자 미상
97. 고구려 도용 명문/작자 미상
98. 안악 3호분 묵서명/작자 미상
99. 광개토태왕릉 청동 방울 호태왕명/작자 미상
100. 광개토대왕 청동 호우 명문/작자 미상
101. 고구려 연수명은합 각명/장수왕
102. 정릉사지 토기명/작자 미상
103. 농오리산성 마애석각/작자 미상
104. 공주 송산리 벽돌 명문/작자 미상
105. 공주 송산리 벽돌 사 임진년작 명/작자 미상
106. 무령왕비 은팔찌 명문/다리
107. 무령왕 지석 명문/작자 미상
108. 무령왕비 지석 명문/작자 미상
109. 나주 복암리 관등 명 모라 목간/작자 미상2
110. 백제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명문/작자 미상
111. 부여 북나성 명문석/작자 미상
112. 백제 백령산성 기와 명문/이문
113. 흑치상지 묘지명/작자 미상
114. 합천 매안리비
115. 천전리 서석 신해명 기타 명문/주배랑
116. 천전리 서석 을묘명 기타 명문/작자 미상
117. 천전리 서석 계해명 기타 명문/작자 미상
118. 천전리 서석 임오명 기타 명문/작자 미상
119. 천전리 서석 을미명 기타 명문/도안혜
120. 천전리 서석 정유명 기타 명문/작자 미상
121. 천전리 서석 신해명 기타 명문/예웅
122. 천전리 서석 술년명 기타 명문/영랑
123. 천전리 서석 을사명 기타 명문/아랑•도부지
124. 천전리 서석 기명 기타 명문/김자랑•부수랑
125. 천전리 서석 마멸 기타 명문/사부지
126. 천전리 각석 계사명/작자 미상
127. 수력지명 각석편/작자 미상
128. 천전리 서석 을묘명/안급 외
129. 천전리 서석 계해명/능지소사
130. 천전리 서석 을축명/피진간지
131. 경주 명활산성 작성비/원흔리 아척
132. 경주 명활산성비/작자 미상
133. 계미명 금동 삼존불입상/조보화
134. 대구 무술명 오작비/일리혜 일척
135. 경주 남산 신성비 제1비/작자 미상
136. 경주 남산 신성비 제2비/작자 미상
137. 경주 남산 신성비 제3비/작자 미상
138. 경주 남산 신성비 제4비/작자 미상
139. 경주 남산 신성비 제5비/작자 미상
140. 경주 남산 신성비 제6비/작자 미상
141. 경주 남산 신성비 제7비/작자 미상
142. 경주 남산 신성비 제8비/작자 미상
143. 경주 남산 신성비 제9비/작자 미상
144. 경주 남산 신성비 제10비/작자 미상
145. 영주 순흥 어숙묘 명문/작자 미상
146. 영주 순흥 벽화 묵서 명문/작자 미상
147. 아도비/작자 미상
148. 천전리 서석 상원 2년명/작자 미상
149. 천전리 서석 상원 4년명/작자 미상
150. 천남생 묘지명/왕덕진
151. 부여융 묘지명/작자 미상
152. 고현 묘지명/작자 미상
153. 천헌성 묘지명/양유충
154. 고자 묘지명/작자 미상
155. 천남산 묘지명/작자 미상
156. 흑치준 묘지명/작자 미상
157. 순장군 공덕비/곽겸광
158. 천비 묘지명/천은
159. 천전리 서석 병술명 기타 명문/관랑
160. 천전리 서석 병신명 기타 명문/도곡형
161. 고진 묘지명/양경
162. 사천 선진리 신라비/작자 미상
163. 천전리 서석 개성 3년명/작자 미상
164. 발해통보 금화 명문/작자 미상
165. 발해사 목간/작자 미상
166. 견고려사 목간/작자 미상
* 출처: 『한국 고대시 선집―나종혁 고대시 완독 시집』 II, 나종혁 편역, 2020년.
『단풍나무―나종혁 시집』(2021년)
시 100편
1. 봄비
2. 갈라짐
3. 단풍나무
4. 사륙시(四六詩)
5. 주사위 놀이
6. 구구단
7. 발해통보
8. 두견화(杜鵑花)
9. 새벽별
10. 라이스 파크
11. 태권 동자—8구체 신향가
12. 향(鄕)
13. 비사
14. 슬픈 안녕
15. 대화
16. 내원성가
17. 길가에 서서
18. 화내지 말아요
19. 대상
20. 산보
21. 이부자리
22. 이국인
23. 세상살이 보깨어도
24. 물노래
25. 만가을
26. 반둥반둥
27. 오후의 거리
28. 나름길
29. 다보록이
30. 놀구름
31. 나울대는 가을바람
32. 숲속 소나무
33. 대놀음
34. 재넘이
35. 안갯길
36. 불나무
37. 반물빛
38. 생각의 집
39. 희미한 기억
40. 하나의 진위성 그리고 단일성
41. 근거(根據)
42. 헛것
43. 버릇
44. 떠넘기기
45. 경험
46. 진정성
47. 다람쥐
48. 비 걱정
49. 유령
50. 우리가 모르는 것
51. 정체
52. 있게 없게
53. 야만의 시대
54. 밖에서
55. 진짜 공짜
56. 자신의 길과 타인의 길
57. 떠나기 전
58. 또라이
59. 표현주의
60. 공간
61. 칭찬합시다
62. 자유로운 마음
63. 겨울 좋다
64. 잊힌 나날
65. 오늘도 안녕
66. 세 가지 길
67. 호두에 대한 기억
68. 배드민턴
69. 우드칩
70. 아베 마리아
71. 추모의 사(辭) 1—벗의 부친상에 부쳐
72. 추모의 사(辭) 2—벗의 부친상에 부쳐
73. 단천아리랑
74. 온성아리랑
75. 서도아리랑
76. 통천아리랑
77. 무산아리랑
78. 경상도아리랑
79. 이종혁(李種赫)
80. 정재용(鄭在鎔)
81. 나석주(羅錫疇)
82. 박자혜(朴慈惠)
83. 칠월 보름(이천이십 년)
84. 칠월 그믐(이천이십 년)
85. 팔월 보름(이천이십 년)
86. 팔월 그믐(이천이십 년)
87. 구월 보름(이천이십 년)
88. 구월 그믐(이천이십 년)
89. 시월 보름(이천이십 년)
90. 시월 그믐(이천이십 년)
91. 동짓달 보름(이천이십 년)
92. 동짓달 그믐(이천이십 년)
93. 섣달 보름(이천이십 년)
94. 섣달그믐(이천이십 년)
95. 정월 보름(이천이십일 년)
96. 정월 그믐(이천이십일 년)
97. 이월 보름(이천이십일 년)
98. 이월 그믐(이천이십일 년)
99. 삼월 보름(이천이십일 년)
100. 삼월 그믐(이천이십일 년)
* 출처: 『단풍나무―나종혁 시집』, 나종혁 시, 2021년.
『한국 고대시 선집 III―나종혁 고대시 완독 시집』(2021년)
한국 고대시 187편
1. 지덕가(至德歌)/작자 미상 원작
2. 지덕가(至德歌)/이유원 실전작
3. 하수가(河水歌)/기자 원작
4. 연양가(延陽歌)/연양의 위인 원작
5. 연양가(延陽歌)/이유원 실전작
6. 내원성가(來遠城歌)/작자 미상 원작
7. 정읍사(井邑詞)/행상인의 처 원작
8. 정읍사(井邑詞)/이익 실전작
9. 백제요(百濟謠)/작자 미상 원작
10. 완산아(完山兒)/작자 미상 원작
11. 산유화(山有花)/작자 미상 원작
12. 동경(東京)/작자 미상 원작
13. 안압지 주령구 명문(雁鴨池酒令具銘文)/작자 미상 원작
14. 신라승 게송(新羅僧偈頌)/신라승 원작
15~16. 태을산인 2구(太乙山人路次雲際寺二句)/박앙 원작
17. 몰부가(沒斧歌)/원효 원작
18. 경주 석장사지 출토 탑상문전명(慶州錫杖寺址塔像紋塼銘)/작자 미상 원작
19. 수혜미시(酬惠米詩)/김지장 원작
20. 과해연구(過海聯句)―전연구(前聯句)/고려사 원작
21. 과해연구(過海聯句)―전후연구(前後聯句)/고려사가도 원작
22. 사설봉화상(辭雪峰和尙)/도윤(道允) 원작
23. 추야망월(秋夜望月)/김입지 원작
24. 현산사완월(峽山寺翫月)/김입지 원작
25. 증청용사승(贈靑龍寺僧)/김입지 원작
26. 숙풍덕사(宿豊德寺)/김입지 원작
27. 증승(贈僧)/김입지 원작
28. 추석(秋夕)/김입지 원작
29. 조춘(早春)/김입지 원작
30. 꿈에 쓰다(夢中作)/최치원 원작
31. 화려천화상송(和麗天和尙頌)/영조 원작
32. 병기(兵機)/최치원 원작
33. 필법(筆法)/최치원 원작
34. 성잠(性箴)/최치원 원작
35. 설영(雪詠)/최치원 원작
36. 사조(飼鳥)/최치원 원작
37. 안화(安化)/최치원 원작
38. 연병(練兵)/최치원 원작
39. 반계(磻溪)/최치원 원작
40. 사호(射虎)/최치원 원작
41. 진성(秦城)/최치원 원작
42. 생사(生祠)/최치원 원작
43. 사편(射鞭)/최치원 원작
44. 안남(安南)/최치원 원작
45. 천위경(天威徑)/최치원 원작
46. 작구경(作口徑)/최치원 원작
47. 수성비(收城碑)/최치원 원작
48. 집금오(執金吾)/최치원 원작
49. 천평(天平)/최치원 원작
50. 조어정(釣魚亭)/최치원 원작
51. 상인(相印)/최치원 원작
52. 서천(西川)/최치원 원작
53. 평만(平蠻)/최치원 원작
54. 축성(築城)/최치원 원작
55. 형남(荊南)/최치원 원작
56. 조운(漕運)/최치원 원작
57. 절서(浙西)/최치원 원작
58. 항구(降寇)/최치원 원작
59. 회남(淮南)/최치원 원작
60. 조상청(朝上淸)/최치원 원작
61. 진정(陳情)/최치원 원작
62. 가야산 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둔세시」(遁世詩)/최치원 원작
63. 연주에서 이원외에게 보내는 헌시(兗州留獻李員外)/최치원 원작
64. 자화산에 오르다(登慈和山)/최치원 원작
65. 장안의 버드나무(長安柳)/최치원 원작
66. 낙양에서 벗에게 보내는 증시(留贈洛中友人)/최치원 원작
67. 동생 엄부를 집으로 보내며(送舍第嚴府)/최치원 원작
68. 봄날(春日)/최치원 원작
69. 진사 전인의에게(成名後酬進士田仁義見贈)/최치원 원작
70. 강물 위에서 봄을 생각하며(江上春懷)/최치원 원작
71. 야증악관(夜贈樂官)/최고운 원작
72. 처용가(處容歌)/처용 원작
73. 처용가(處容歌)/이익 실전작
74. 환동국(還東國)/최치원 원작
75. 증별시(贈別詩)―고운편(孤雲篇) 1수/고운 원작
76~77. 송최치원서유장환(送崔致遠西遊將還)―고운편(孤雲篇) 2수/고운 원작
78. 구룡폭포(九龍瀑布)/최치원 원작
79. 공산성(公山城)/최치원 원작
80~87. 지리산(智異山) 8수/최치원 원작
88. 지리산(智異山)―제9수/최치원 원작
89. 산승에게(贈山僧)/최치원 원작
90. 천학(天鶴)/최치원 원작
91. 새벽의 노래(詠曉)/최치원 원작
92. 해인사 선안주원 벽기 절구삼수(海印寺善安住院壁記絶句三首)/최치원 원작
93. 인제 가면 언제 오나(麟蹄歌)/마의태자 원작
94. 계림요(鷄林謠)/최치원 원작
95. 여행에서 만난 벗(亂後旅中遇友人)/최치원 원작
96. 변하의 옛 생각(邊河懷古)/최치원 원작
97. 신축년 진사 오첨에게 보내다(辛丑年寄進士吳瞻)/최치원 원작
98. 율수 최소부에게 보내는 증시(贈시水崔少府)/최치원 원작
99. 이전 장관의 겨울날 산사 방문 화답시(和李展長官冬日遊山寺)/최치원 원작
100. 재헌계(再獻啓)/최치원 원작
101. 신라고경명문(新羅古鏡銘文)/신라의 사신 최치원 원작
102. 동일연우서자각부일자득색(冬日宴于庶子各賦一字得色)/봉행고 원작
103. 회일연고씨임정(晦日宴高氏林亭)/고교 원작
104. 회일중연(晦日重宴)/고교 원작
105. 삼월삼일연왕명부산정(三月三日宴王明府山亭)/고근 원작
106. 회일연고씨임정(晦日宴高氏林亭)/고근 원작
107. 회일중연(晦日重宴)/고근 원작
108. 상원야효소유풍(上元夜效小庾僼)/고근 원작
109. 제야작(除夜作)/고적 원작
110. 원일(元日)/고적 원작
111. 영주가(營州歌)/고적 원작
112~113. 별동대 2수(別董大二首)/고적 원작
114. 춘색만황주(春色滿皇州)/봉오 원작
115. 제서은사(題西隱寺)/봉오 원작
116. 화이상서명기전최시어(和李尙書命妓餞崔侍御)/봉언경 원작
117. 화설봉증별(和薛逢贈別)/고거 원작
118. 구(句)/고거 원작
119. 견흥(遣興)/고병 원작
120~121. 사회 2수(寫懷二首)/고병 원작
122. 기호두이수양처사(寄鄠杜李遂良處士)/고병 원작
123. 대화정막중(對花呈幕中)/고병 원작
124. 과천위경(過天威徑)/고병 원작
125. 금성사망(錦城寫望)/고병 원작
126~127. 새상곡 2수(塞上曲二首)/고병 원작
128. 변방춘흥(邊方春興)/고병 원작
129. 대설(對雪)/고병 원작
130. 풍쟁(風箏)/고병 원작
131~132. 간지거진상 전이구(簡知擧陳商前二句)/고원유 원작
133~134. 간지거진상 후이구(簡知擧陳商後二句)/고원유 원작
135. 백저가(白著歌)/고운 원작
136. 오언춘일시연차망해응조(五言春日侍宴次望海應詔)/고사렴 원작
137. 삼오칠언체시(三五七言體詩)/고매 원작
138. 위호주군졸일여동년이대속시주창수이질조환급유작차시(爲湖州軍倅日與同年李大속詩酒唱酬以疾阻歡及愈作此詩)/봉특경 원작
139. 이별난(離別難)/봉특경 원작
140. 술회(述懷)/이우 원작
141. 환단구결(還丹口訣)/이현광 원작
142. 환단가(還丹歌)/이현광 원작
143. 방은자부우(訪隱者不遇)/고병 원작
144. 산정하일(山亭夏日)/고병 원작
145. 한송정곡(寒松亭曲)/작자 미상 원작, 장연우 한역작
146. 한송정(寒松亭)/이유원 실전작
147. 계림의 누런 잎(黃葉鷄林)/동경노인 원작
148. 정과정(鄭瓜亭曲)/정서 원작
149. 정과정곡(鄭瓜亭曲)/이익 실전작
150. 정과정(鄭瓜亭)/김양근 실전작
151. 대동강(大同江)/기자(箕子) 원작, 이익(李瀷) 실전작
152. 도솔가(兜率歌)/월명사 원작, 이유원 실전작
153. 회소곡(會蘇曲)/작자 미상 원작, 김종직 실전작
154. 회소곡(會蘇曲)/작자 미상 원작, 김양근 실전작
155. 회소곡(會蘇曲)/작자 미상 원작, 이유원 실전작
156. 동경곡(東京曲)/작자 미상 원작, 이유원 실전작
157. 여나가(余那歌)/작자 미상 원작, 이익 실전작
158. 목주가(木州歌)/작자 미상 원작, 이유원 실전작
159. 지리산가(智異山歌)/도미(都彌)의 아내 원작, 김양근(金養根) 실전작
160. 물계자가(勿稽子歌)/물계자 원작, 이익 실전작
161. 황창랑(黃昌郞)/황창랑 원작, 김종직 실전작
162. 황창무(黃昌舞)/황창랑 원작, 이익 실전작
163. 황창랑무(黃昌郞舞)/황창랑 원작, 이유원 실전작
164. 우식악(憂息樂)/눌지왕 원작, 이유원 실전작
165. 치술령곡(鵄述嶺曲)/작자 미상 원작, 김종직 실전 향가
166. 치술령곡(鵄述嶺曲)/작자 미상 원작, 이유원 실전 향가
167. 대악(碓樂)/백결선생 원작, 김종직 실전작
168. 대악(碓樂)/백결선생 원작, 김양근 실전작
169. 달도가(怛忉歌)/작자 미상 원작, 김종직 실전 향가
170. 달도가(怛忉歌)/작자 미상 원작, 이유원 실전 향가
171. 명주가(溟洲歌)/김무월랑 원작, 김양근 실전작
172. 냉림원(冷林怨)/실혜 원작, 이익 실전작
173. 천관원(天官怨)/천관 원작, 이익 실전작
174. 무애가(無㝵歌)/원효 설서당 원작, 이유원 실전작
175. 해론가(奚論歌)/작자 미상 원작, 이익 실전작
176. 양산가(陽山歌)/작자 미상 원작, 김종직 실전작
177. 양산가(陽山歌)/작자 미상 원작, 김양근 실전작
178. 양산가(陽山歌)/작자 미상 원작, 이유원 실전작
179. 양산가(陽山歌)/작자 미상 원작
180. 이견대가(利見臺歌)/작자 미상 원작, 이익 실전작
181. 이견대가(利見臺歌)/작자 미상 원작, 이유원 실전작
182. 반등산곡(半登山曲)/작자 미상 원작, 이유원 실전작
183. 표풍곡(飄風曲)/귀금 선생 전수작, 이익 실전작
184. 낙랑 초원사년 목간(樂浪初元四年木簡)/작자 미상 원작
185. 이성산성 욕살명 목간(二聖山城褥薩銘木簡)/작자 미상 원작
186. 함안 성산산성 사면 묵서 목간(咸安城山山城四面墨書木簡)/작자 미상 원작
187. 경산 소월리 토지 문서 목간(慶山所月里土地文書木簡)/작자 미상 원작
이성산성 무진년명 목간(二聖山城戊辰年銘木簡)/작자 미상 원작
* 출처: 『한국 고대시 선집 III―나종혁 고대시 완독 시집』(2021년)
『삶의 교훈―나종혁 시집』(2021년)
시 100편
1. 삶의 교훈 1
2. 삶의 교훈 2
3. 삶의 교훈 3
4. 역사의 비정―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대
5. 역사의 비정―낙랑 시대
6. ‘정읍사’ 소고(小考)
7. ‘정과정’ 소고(小考)
8. ‘진달래꽃’ 소고(小考)
9. 이별
10. 한림(寒林)
11. 훗날 1―시조
12. 훗날 2―시조
13. 냇바람
14. 물빛
15. 하늘빛
16. 하늘가
17. 냇버들
18. 낯꽃
19. 나비잠
20. 노루막이 2
21. 빈숲은 덩그맣고 동그맣다
22. 학업과 일은 어떻게 하고 인생은 어떻게 살아가는가
23. 너는 지금 어떤 시간을 가고 있는가
24. 그대는 무엇이 그리 즐거운가
25. 나는 얼마나 위대한 존재인가
26. 길가
27. 가
28. 가슴
29. 폭염
30. 폭우
31. 함께 걸어요
32. 하늘의 소명
33. 기다림의 기도
34. 세상이 바뀌었어요
35. 기억의 넋
36. 산과 바다
37. 집단의 추락
38. 영광과 충성
39. 여행
40. 백조의 계시
41. 마지막 바다
42. 마을
43. 삶의 확보, 또는 확보적 삶
44. 머리가 나쁘면
45. 삶을 독차지한 신세
46. 섬과 바다
47. 운명
48. 바다는 해
49. 나이넘이
50. 보듬기
51. 공포의 고춧가루
52. 떠나리
53. 맘대로 해먹기
54. 뜨내기
55. 상승과 하강
56. 자를까 말까
57. 백전백승(百戰百勝)
58. 호두과자
59. 사월 보름(이천이십일 년)―사월의 하오
60. 사월 그믐(이천이십일 년)―빈 공간 속으로
61. 오월 보름(이천이십일 년)―줄비
62. 오월 그믐(이천이십일 년)―봉우리
63. 유월 보름(이천이십일 년)―새벽길
64. 유월 그믐(이천이십일 년)―환한 달빛
65. 칠월 보름(이천이십일 년)―햇살
66. 칠월 그믐(이천이십일 년)―울고 나는 비둘기
영시(English Poems)
67. Winter of the Red Sun
68. Exotic Summer without an Air Conditioner
69. W-I-G
70. Fall
71. Red, Red, Red Knightingale’s Song
72. Lands and Regions
73. I saw the Sun
74. Well
75. A Fortunate and Happy Man: To the Remembrance of Ernest Miller Hemingway (1899~1961)
76. My Mug
77. What is Security?
78. I am Watching
79. Rusty Titanic
80. Banks
81. Waiting for Godot
82. Card and Candy
83. Ung
84. On and On
85. Children
86. Promise
87. Detergent
88. Deodorant
89. An Elevator
90. If You
91. Epiphany
92. Foucaultdian Epistemology
93. Ever and Forever of Life
94. Yogurt
95. H Shape
96. Road and Lord
97. River Banks
98. CODA―L-O-V-E
99. Epilogue Poem 1―A Drive
100. Epilogue Poem 2―An Unexpected Visit
『신라 향가집―나종혁 향가 완역 시집 <제4판>』(2021년)
향가 73편
I. 『삼국유사』 14편
1. 서동요(薯童謠)
2. 혜성가(彗星歌)
3. 풍요(風謠)
4. 원왕생가(願往生歌)
5.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6. 헌화가(獻花歌)
7. 원가(怨歌)
8. 도솔가(兜率歌)
9. 제망매가(祭亡妹歌)
10.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11. 안민가(安民歌)
12.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13. 우적가(遇賊歌)
14. 처용가(處容歌)
II. 『균여전』 11편
15. 예경제불가(禮敬諸佛歌)
16. 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
17. 광수공양가(廣修供養歌)
18. 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
19. 수희공덕가(隨喜功德歌)
20. 청전법륜가(請轉法輪歌)
21. 청불주세가(請佛住世歌)
22. 상수불학가(常隨佛學歌)
23. 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24. 보개회향가(普皆廻向歌)
25. 총결무진가(總結無盡歌)
III. 고려 시대 향가 3편
26. 도이장가(悼二將歌)
27. 정과정(鄭瓜亭)
27. 정과정곡(鄭瓜亭曲)—이익 실전 향가
27. 정과정(鄭瓜亭)—김양근 실전 향가
28. 사모곡(思母曲)
IV. 『화랑세기』 2편
29. 송사다함가(送斯多含歌)
30. 청조가(靑鳥歌)
V. 『목간』 3편
31. 숙세가(宿世歌)
32. 만신가(万身歌)
33. 우욕가(憂辱歌)
VI. 명문 4편
34.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 이인병서기(二人幷誓記)
35. 사택지적당탑비문(砂宅智積堂塔碑文)
36. 울주 천전리 각석(蔚州川前里刻石) 원명(銘文)
37. 울주 천전리 각석(蔚州川前里刻石) 추명(追銘)
VII. 참요 2편
38. 인제가(麟蹄歌)
39. 아야가(阿也歌)
VIII. 게송 1편
40. 회소곡(會蘇曲)
IX. 주사 2편
41. 비형랑주사(鼻荊郞呪辭)
42. 지귀주사(志鬼呪辭)
X. 고대 가요 6편
43. 연양가(延陽歌)
44. 내원성가(來遠城歌)
45. 해가(海歌)
46. 번화곡(繁花曲)
47. 정읍사(井邑詞)
48. 동경(東京)
XI. 실전 향가 25편
49. 도솔가(兜率歌)—이유원 실전 향가
50. 연양가(延陽歌)―이유원 실전 향가
51. 동경곡(東京曲)—이유원 실전 향가
52. 여나가(余那歌)—이익 실전 향가
53. 목주가(木州歌)—이유원 실전 향가
54. 지리산가(智異山歌)—김양근 실전 향가
55. 물계자가(勿稽子歌)—이익 실전 향가
56. 황창랑(黃昌郞)—김종직 실전 향가
56. 황창무(黃昌舞)—이익 실전 향가
56. 황창랑무(黃昌郞舞)—이유원 실전 향가
57. 대악(碓樂)—김종직 실전 향가
57. 대악(碓樂)—김양근 실전 향가
58. 우식곡(憂息曲)—김종직 실전 향가
58. 우식악(憂息樂)—이유원 실전 향가
59. 치술령곡(鵄述嶺曲)—김종직 실전 향가
59. 치술령곡(鵄述嶺曲)—이유원 실전 향가
60. 달도가(怛忉歌)—김종직 실전 향가
60. 달도가(怛忉歌)—이유원 실전 향가
61. 냉림원(冷林怨)—이익 실전 향가
62. 명주가(溟洲歌)―김양근 실전 향가
63. 천관원(天官怨)—이익 실전 향가
64. 무애가(無㝵歌)—이유원 실전 향가
65. 해론가(奚論歌)―이익 실전 향가
66. 양산가(陽山歌)—김종직 실전 향가
66. 양산가(陽山歌)—김양근 실전 향가
66. 양산가(陽山歌)—이유원 실전 향가
66. 양산가—민요
67. 정읍사(井邑詞)—이익 실전 향가
68. 이견대가(利見臺歌)—이익 실전 향가
68. 이견대가(利見臺歌)—이유원 실전 향가
69. 반등산곡(半登山曲)—이유원 실전 향가
70. 표풍곡(飄風曲)—이익 실전 향가
71. 처용가(處容歌)—이익 실전 향가
72. 한송정곡(寒松亭曲)—장연우 한역시
72. 한송정(寒松亭)—이유원 실전 향가
73. 회소곡(會蘇曲)—김종직 실전 향가
73. 회소곡(會蘇曲)—김양근 실전 향가
73. 회소곡(會蘇曲)—이유원 실전 향가
『최치원 한시집 <제2판>』(2021년)
최치원 한시 153편
I. 『고운집』(孤雲集) 권1 32편
1. 흥겨움(寓興)
2. 접시꽃(蜀蔡花)
3. 강남의 여인(江南女)
4. 옛 생각(古意)
5. 가을밤 빗속에서(秋夜雨中)
6. 우정의 밤비(郵亭夜雨)
7. 길에서(途中作)
8. 요주 파양정에서(饒州鄱陽亭)
9. 이별 이야기(山陽與鄕友話別)
10. 우강역 정자(題芋江驛亭)
11. 봄날(春日邀知友不至)
12. 유별(留別西京金少尹)
13. 금천사(贈金川寺主)
14. 재곡의 난야(贈梓谷蘭若獨居僧)—「증독거승」(贈獨居僧)
15. 황산강 임경대(黃山江臨鏡臺)
16. 가야산 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둔세시」(遁世詩)
17. 장안의 여사(長安旅舍與于愼徵長官接隣)
18. 운문의 난야(贈雲門蘭若智光上人)
19. 운봉사(題雲峯寺)
20. 당성에서(旅遊唐城贈先王樂官)
21. 자화사(登潤州慈和寺上房)
22. 가을날(秋日再經旴眙縣寄李長官)
23. 강남의 산으로 들다(送吳進士歸江南)
24. 봄날 새벽(春曉偶書)
25. 벗 고운에게 보내는 화답시(暮春卽事和顧雲友使)
26. 장진사에게 보내는 화답시(和張進士村居病中見寄)
27. 바다에 뜨다(泛海)
28. 여지도(題輿地圖)
29. 고소대(姑蘇臺)
30. 벽송정(碧松亭)
31~36. 희랑화상에게(贈希郞和尙)—6수
37. 호원상인에게(寄顥源上人)
II. 『고운집』 권2 2편
38. 사산비명(四山碑銘)
39. 낭혜화상 비명(朗慧和尙碑銘)
40. 진감선사 비명(眞鑑禪師碑銘)
III. 『고운집』 권3 6편
41. 사산비명(四山碑銘)
42. 숭복사 비명(崇福寺碑銘)
43. 지증대사 비명(智證大師碑銘)
찬
44. 불국사 석가여래상 번찬(佛國寺釋迦如來像幡贊)
45. 불국사 아미타불상 찬(佛國寺阿彌陀佛像讚)
46. 순응화상 찬(順應和尙贊)
47. 이정화상 찬(利貞和尙贊)
IV.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 권17 31편
계
48. 재헌계(再獻啓)
칠언기덕시(七言記德詩) 30편
49. 병기(兵機)
50. 필법(筆法)
51. 성잠(性暫)
52. 설영(雪詠)
53. 사조(謝鵰)
54. 안화(安化)
55. 연병(練兵)
56. 반계(磻溪)
57. 사호(射虎)
58. 진성(秦城)
59. 생사(生祠)
60. 사편(射鞭)
61. 안남(安南)
62. 천위경(天威徑)
63. 작구경(岝口徑)
64. 수성비(收城碑)
65. 집금오(執金吾)
66. 천평(天平)
67. 조어정(釣魚亭)
68. 상인(相印)
69. 서천(西川)
70. 평만(平蠻)
71. 축성(築城)
72. 형남(荊南)
73. 조운(漕運)
74. 절서(浙西)
75. 항구(降寇)
76. 회남(淮南)
77. 조상청(朝上淸)
78. 진정(陳情)
V. 『계원필경집』 권20 27편
79. 태위 진정서(陳情上太尉詩)
80~82. 좌주 상서에게 보내는 화운시 절구삼수(奉和座主尙書避難過維陽寵示絶句三首)
83. 귀연음(歸燕吟獻太尉)
84. 양섬 수재에게 보내는 화답시(酬楊贍秀才送別)
85. 감사의 시(行次山陽續蒙太尉寄賜衣段令充歸覲續壽信物謹以詩謝)
86. 이별(留別女道士)
87. 진사 양섬에게 보내는 화답시(酬進士楊贍送別)
88. 사례의 시(楚州張尙書水郭相迎因以詩謝)
89~90. 오만 수재에게 보내는 화답시 이절구(酬吳蠻秀才惜別二絶句)
91. 바위 봉우리(石峯)
92. 바다 물결(潮浪)
93. 바닷가 모래톱(沙汀)
94. 들불(野燒)
95. 진달래꽃(杜鵑)
96. 바다 갈매기(海鷗)
97. 바윗돌(山頂危石)
98. 어린 소나무(石上矮松)
99. 단풍나무(紅葉樹)
100. 흐르는 샘물(石上流泉)
101. 벗에게 보내는 화운시(和友人除夜見寄)
102. 봄바람(東風)
103. 바닷가의 봄(海邊春望)
104. 한가로운 봄날 새벽(春曉閒望)
105. 바닷가를 거닐며(海邊閒步)
106. 참산의 봄(將歸海東嶢山春望)
107. 김 원외의 시에 대한 화운시(和金員外贈嶢山淸上人)
108. 해문 난야의 버들(題海門蘭若柳)
VI. 『동문선』(東文選) 26편
1) 권9 4편
장안의 여사(長安旅舍興于愼徵長官接隣有寄)
운문의 난야(贈雲門蘭若智光上人)
운봉사(題雲峯寺)
당성에서(旅遊唐城有先王樂官將西歸夜吹數曲戀思悲泣以詩贈之)
2) 권12 9편
자화사(登潤州慈和寺上房)
가을날(秋日再經旴眙縣寄李長官)
강남의 산으로 들다(送吳進士巒歸江南)
봄날 새벽(春曉偶書)
벗 고운에게 보내는 화답시(暮春卽事和顧雲友使)
태위 진정서(陳情上太尉)
장 진사에게 보내는 화답시(和張進士喬村居病中見寄喬字松年)
수재 양섬에게 보내는 화답시(酬楊贍秀才)
들불(野燒)
3) 권19 12편
가을밤 빗속에서(秋夜雨中)
우정의 밤비(郵亭夜雨)
길에서(途中作)
요주 파양정(饒州鄱陽亭)
이별 이야기(山陽與鄕友話別)
우강역 정자(題芋江驛亭)
봄날(春日邀知友不至因寄絶句)
유별(留別西京金少尹峻)
금천사(贈金川寺主)
재곡의 난야(贈梓谷蘭若獨居僧)
황산강 임경대(黃山江臨鏡臺)
가야산 독서당(題伽倻山讀書當)
4) 권50 1편
찬
불국사 석가여래상 번찬(華嚴佛國寺繡釋迦如來像幡贊)(『고운집』 권3)
VII. 『국조시선』(國朝詩選) 2편
해인사(海印寺)
109. 야증악관(夜贈樂官)
VIII. 『지리산 시첩』(智異山詩帖) 9편
110. 지리산—제1수(智異山第一首)
111. 지리산—제2수(智異山第二首)
112. 지리산—제3수(智異山第三首)
113. 지리산—제4수(智異山第四首)
114. 지리산—제5수(智異山第五首)
115. 지리산—제6수(智異山第六首)
116. 지리산—제7수(智異山第七首)
117. 지리산—제8수(智異山第八首)
118. 지리산—제9수(智異山第九首)
IX. 『천재가구』(千載佳句) 연구(聯句) 9편
119. 연주에서 이원외에게 보내는 헌시(兗州留獻李員外)
120. 자화산에 오르다(登慈和山)
121. 장안의 버드나무(長安柳)
122. 낙양에서 벗에게 보내는 증시(留贈洛中友人)
123. 동생 엄부를 집으로 보내며(送舍第嚴府)
124. 봄날(春日)
125. 진사 전인의에게(成名後酬進士田仁義見贈)
126. 강물 위에서 봄을 생각하며(江上春懷)
X. 「향악잡영」(鄕樂雜詠) 5편
127. 향악잡영―제1수(鄕樂雜詠第一首) 금환(金丸)
128. 향악잡영―제2수(鄕樂雜詠第二首) 월전(月顚)
129 향악잡영―제3수(鄕樂雜詠第三首) 대면(大面)
130. 향악잡영―제4수(鄕樂雜詠第四首) 속독(束毒)
131. 향악잡영―제5수(鄕樂雜詠第五首) 산예(狻猊)
XI. 기타(其他) 23편
132. 해인사 운양대 길상탑기(海印寺雲陽臺吉祥塔記)
133~135. 해인사 선안주원 벽기 절구삼수(海印寺善安住院壁記)
136. 공산성(公山城)
137. 산승에게(贈山僧)
138. 변하의 옛 생각(汴河懷古)
139. 신축년 진사 오첨에게 보내다(辛丑年寄進士吳瞻)
140. 율수 최소부에게 보내는 증시(贈凓水崔少府)
141. 이전 장관의 겨울날 산사 방문 화답시(和李展長官冬日遊山寺)
142. 새벽의 노래(詠曉)
143. 천부경(天符經)
144. 여행에서 만난 벗(亂後旅中遇友人)
145. 천학(天鶴)
146. 구룡폭포(九龍瀑布)
147. 계림요(鷄林謠)
148. 환동국(還東國)
149. 몽중작(夢中作)
150. 과해연구(過海聯句)
151. 신라고경명문(新羅古鏡銘文)
152. 봄날 들판의 정자에서 벗에게 보내는 화답시(和友人春日遊野亭)
153. 시어사 고운에 화답하여 중양절에 국화를 노래하다(和顧雲侍御重陽詠菊)
초주에서 장 상서의 영접에 대한 감사의 시(楚州張尙書水郭相迎因以詩謝)
벗에게 보검을 보내는 답례시(友人以我枕見惠以實刀爲答)
『생각, 기억, 단서, 일과―나종혁 시집』(2021년)
시 100
영원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1. 영원에 대해서―영원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1
2. 영원의 빛―영원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2
3. 영원의 기도―영원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3
4. 영원한 여행―영원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4
5. 영원한 사랑―영원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5
6. 영원한 행복―영원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6
7. 영원한 생명―영원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7
평화를 위한 일곱 가지 일과
8. 평화에 대해서―평화를 위한 일곱 가지 일과 1
9. 평화의 기도―평화를 위한 일곱 가지 일과 2
10. 평화의 빛―평화를 위한 일곱 가지 일과 3
11. 평화로운 여행―평화를 위한 일곱 가지 일과 4
12. 평화로운 사랑―평화를 위한 일곱 가지 일과 5
13. 평화로운 행복―평화를 위한 일곱 가지 일과 6
14. 평화로운 생명―평화를 위한 일곱 가지 일과 7
충효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15. 충성과 효도―충효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1
16. 효행―충효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2
17. 신의―충효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3
18. 선행―충효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4
19. 규범―충효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5
20. 의무―충효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6
21. 도덕―충효에 대한 일곱 가지 생각 7
홍익인간의 일곱 가지 단서
22. 신화―홍익인간의 일곱 가지 단서 1
23. 국시―홍익인간의 일곱 가지 단서 2
24. 이념―홍익인간의 일곱 가지 단서 3
25. 홍(弘)―홍익인간의 일곱 가지 단서 4
26. 익(益)―홍익인간의 일곱 가지 단서 5
27. 인간―홍익인간의 일곱 가지 단서 6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일곱 개의 기억
28. 지금―시간과 공간에 대한 일곱 개의 기억 1
29. 고향 1―시간과 공간에 대한 일곱 개의 기억 2
30. 그리운 것들―시간과 공간에 대한 일곱 개의 기억 3
31. 세월―시간과 공간에 대한 일곱 개의 기억 4
32. 고향 2―시간과 공간에 대한 일곱 개의 기억 5
33. 신의―시간과 공간에 대한 일곱 개의 기억 6
34. 사랑―시간과 공간에 대한 일곱 개의 기억 7
날.달.해.
35. 기도―날.달.해. 1
36. 의지 1―날.달.해. 2
37. 의지 2―날.달.해. 3
38. 배떠나기―날.달.해. 4
39. 한글 글자표
40. 사전식 한글 자모 순서
41. 역사의 비정(批正)―대금(大金) 시대
42. ‘인제가’(麟蹄歌) 소고
43. 보내드리우리다
44. 단군의 탄생
45. 영웅 주몽
46. 해 지는 마을
47. 나비
48. 이슬빛
49. 이슬비
50. 호박꽃
51. 가녘
52. 어둠 속의 달
53. 꽃과 나비 1
54. 꽃과 나비 2
55. 꽃과 나비 3
56. 비원(悲願)의 벽
57. 가치론
58. 사실무근(事實無根)
59. 인과론
60. 설득
61. 우주인과 점(點)
62. 원인
63. 악연(惡緣)
64. 문제의 벽
65. 탄생의 신비
66. 가치론 비판
67. 그냥 떠나
68. 편지
69. 바닷게의 행진
70. 갯벌의 역사
71. 달빛 속의 거룻배
72. 온유한 미소
73. 고향
74. 자비에 관한 생각
75. 윤회
76. 나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
77. 나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을까
78. 떨어지는 집
79. 나무
80. 비
81. 빗물
82. 해
83. 생각
84. 떠나갈 거야
85. 데이트족(族)
86. 싱글족(族)
87. 한 번 가면 그만인데
88. 가도가도
89. 오후의 관찰
90. 메아리
91. 비정(秕政)
92. 야한 인생
93. 야비한 사람
94. 오늘도 어제같이
95. 나이
96. 지금 뭐해
97. 배고픔
98. 한 달
99. 팔월 보름(이천이십일 년)
100.
산문
1. 한글 상고사
2. 녹도 문자
3. 세종어제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4. 단군 신화
5. 주몽 신화
『자아론, 회복을 위한 단초―나종혁 시집』
시 91편
1. 주제, 자아의 상실 그리고 회복
2. 자아(自我)의 예시
3. 자아와 타아
4. 판단의 도
5. 판단의 보류, 공유와 합의
6. 훈육과 훈련
7. 철원에서 보내는 편지
8. 새야새야
9. 수레
10. 똑바로 가라
11. 한탄(漢灘)에서
12. 한 세월 두 세월
13. 말과 글
14. 마지막 크리스마스
15. 설마
16. 여파
17. 썰물 1
18. 썰물 2
19. 너의 미소 가는 곳
20. 어디로
21. 너를 잊어야 한다면
22. 나이
23. 시인의 말로
24. 백두산―이행시
25. 한라산―이행시
26. 두만강―이행시
27. 낙동강―이행시
28. 겨를
29. 가림담
30. 나그넷길
31. 다붓이
32. 갯벌
33. 담마루
34. 나무바다
35. 눈옷
36. 높드리
37. 꽃기운
38. 달밤의 체조
39. 달빛
40. 봄바람
41. 대나무
42. 부러진 칼 조각
43. 밤하늘
44. 인기척
45. 한 걸음
46. 논틀밭틀길
47. 감귤
48. 백년의 세월
49. 풀잎
50. 마음
51. 기원
52. 원두커피 1
53. 바다로 떨어진 비행기
54. 뒷전
55. 전원의 창
56. 뒤
57. 강에 대해 개와 나눈 인터뷰
58. 그 나이가 되도록
59. 원두커피 2
60. 쾌사
61. 권력
62.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63. 유행이 지났습니다
64. 아직도 너는
65. 어느새
66. 테크놀로지
67. 인생
68. 헤어짐의 오류
69. 감귤의 지혜
70. 연말연시
71. 돼지
72. 옹벽
73. 외출
74. 집안에서
75. 개조심
76. 태우지 마
77. 잡담
78. 아름다운 날들
79. 누구세요
80. 정신
81. 머리
82. 계단을 내려오는 여자
83. 목이 왜 타는 걸까
84. 윤선도(尹善道, 1587년~1671년)
85. 공험진(公嶮鎭)은 어디인가
86. 윤관(尹瓘) 장군
87. 만분가(萬憤歌)―조선 가사/조위(曺偉)
88. 오우가(五友歌)―조선 시조/윤선도(尹善道)
89.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조선 연시조/윤선도(尹善道)
90. 동짓달 그믐(이천이십일 년)―체크 수트
91. 삼월 보름(이천이십이 년)―이토록 순수할 줄이야
산문 9편
92. 나의 일지(日誌)―구월 그믐(이천이십일 년)~이월 말일(이천이십이 년)
93. 한글 상고사 재고
94. 구결 문자
95. 고조선 팔조법금
96. 태백일사 팔조법금
97. 고려 태조의 훈요십조(訓要十條)
98. 윤관(尹瓘)의 고려정계비(高麗定界碑)
99. 대한국 국제
100. 대한민국 임시 헌장
『신라 향가집―나종혁 향가 완역 시집 <제5판>』
향가 74편
I. 『삼국유사』 14편
1. 서동요(薯童謠)
2. 혜성가(彗星歌)
3. 풍요(風謠)
4. 원왕생가(願往生歌)
5.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6. 헌화가(獻花歌)
7. 원가(怨歌)
8. 도솔가(兜率歌)
9. 제망매가(祭亡妹歌)
10.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11. 안민가(安民歌)
12.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13. 우적가(遇賊歌)
14. 처용가(處容歌)
II. 『균여전』 11편
15. 예경제불가(禮敬諸佛歌)
16. 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
17. 광수공양가(廣修供養歌)
18. 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
19. 수희공덕가(隨喜功德歌)
20. 청전법륜가(請轉法輪歌)
21. 청불주세가(請佛住世歌)
22. 상수불학가(常隨佛學歌)
23. 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24. 보개회향가(普皆廻向歌)
25. 총결무진가(總結無盡歌)
III. 고려 시대 향가 4편
26 .사모곡(思母曲)
27. 도이장가(悼二將歌)
28. 정과정(鄭瓜亭)
정과정곡(鄭瓜亭曲)—이익 실전 향가
정과정(鄭瓜亭)—김양근 실전 향가
29. 호목요(瓠木謠)
IV. 『화랑세기』 2편
30. 송사다함가(送斯多含歌)
31. 청조가(靑鳥歌)
V. 『목간』 3편
32. 숙세가(宿世歌)
33. 만신가(万身歌)
34. 우욕가(憂辱歌)
VI. 명문 4편
35.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 이인병서기(二人幷誓記)
36. 사택지적당탑비문(砂宅智積堂塔碑文)
37. 울주 천전리 각석(蔚州川前里刻石) 원명(銘文)
38. 울주 천전리 각석(蔚州川前里刻石) 추명(追銘)
VII. 참요 2편
39. 인제가(麟蹄歌)
40. 아야가(阿也歌)
VIII. 게송 1편
41. 회소곡(會蘇曲)
IX. 주사 2편
42. 비형랑주사(鼻荊郞呪辭)
43. 지귀주사(志鬼呪辭)
X. 고대 가요 6편
44. 연양가(延陽歌)
45. 내원성가(來遠城歌)
46. 해가(海歌)
47. 번화곡(繁花曲)
48. 정읍사(井邑詞)
49. 동경(東京)
XI. 실전 향가 25편
50. 도솔가(兜率歌)—이유원 실전 향가
51. 연양가(延陽歌)―이유원 실전 향가
52. 동경곡(東京曲)—이유원 실전 향가
53. 여나가(余那歌)—이익 실전 향가
54. 목주가(木州歌)—이유원 실전 향가
55. 지리산가(智異山歌)—김양근 실전 향가
56. 물계자가(勿稽子歌)—이익 실전 향가
57. 황창랑(黃昌郞)—김종직 실전 향가
황창무(黃昌舞)—이익 실전 향가
황창랑무(黃昌郞舞)—이유원 실전 향가
58. 대악(碓樂)—김종직 실전 향가
대악(碓樂)—김양근 실전 향가
59. 우식곡(憂息曲)—김종직 실전 향가
우식악(憂息樂)—이유원 실전 향가
60. 치술령곡(鵄述嶺曲)—김종직 실전 향가
치술령곡(鵄述嶺曲)—이유원 실전 향가
61. 달도가(怛忉歌)—김종직 실전 향가
달도가(怛忉歌)—이유원 실전 향가
62. 냉림원(冷林怨)—이익 실전 향가
63. 명주가(溟洲歌)―김양근 실전 향가
64. 천관원(天官怨)—이익 실전 향가
65. 무애가(無㝵歌)—이유원 실전 향가
66. 해론가(奚論歌)―이익 실전 향가
67. 양산가(陽山歌)—김종직 실전 향가
양산가(陽山歌)—김양근 실전 향가
양산가(陽山歌)—이유원 실전 향가
양산가—민요
68. 정읍사(井邑詞)—이익 실전 향가
69. 이견대가(利見臺歌)—이익 실전 향가
이견대가(利見臺歌)—이유원 실전 향가
70. 반등산곡(半登山曲)—이유원 실전 향가
현금포곡(玄琴抱曲)―실전 향가 3가(三歌)
대도곡(大道曲)―실전 향가 3가(三歌)
문군곡(問君曲)―실전 향가 3가(三歌)
71. 표풍곡(飄風曲)—이익 실전 향가
72. 처용가(處容歌)—이익 실전 향가
73. 한송정곡(寒松亭曲)—장연우 한역시
한송정(寒松亭)—이유원 실전 향가
74. 회소곡(會蘇曲)—김종직 실전 향가
회소곡(會蘇曲)—김양근 실전 향가
회소곡(會蘇曲)—이유원 실전 향가
대구 무술명 오작비(大邱戊戌銘塢作碑)
『고산 윤선도 시조집』
가사(歌辭) 75수
1~18. 산중신곡(山中新曲)
1~6. 「만흥」(漫興)
7. 「조무요」(朝霧謠)
8. 「일모요」(日暮謠)
9. 「야심요」(夜深謠)
10. 「기세탄」(饑世嘆)
11~12. 「하우요」(夏雨謠)
13~18. 「오우가(五友歌)
19~20. 산중속신곡 2장(山中續新曲 二章)
19. 추야조(秋夜操)
20. 춘효음(春曉吟)
21. 고금영(古琴詠)
22. 증반금(贈伴琴)
23~24. 초연곡 2장(初筵曲 二章)
25~26. 파연곡 2장(罷宴曲 二章)
27~66.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어부사 여음(漁父詞 餘音)
67~69. 몽천요 3장(夢天謠 三章)
70~74. 견회요 5편(遣懷謠 五篇)
75. 우후요(雨後謠)
『어부가계 시조집』
어부가계 시조 139수
1~24. 어부가(漁父歌)/작자 미상
25~38. 어부사(漁父詞)/이현보
25~29. 어부단가 5장(漁父短歌 五章)/이현보
30~38. 어부장가 9장(漁父長歌 九章)/이현보
39~78.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윤선도
79~87. 강호구가(江湖九歌)/나위소
88~139. 어부가 52장(漁父歌 五十二章)/윤선도
『고려 가요집―나종혁 고려 가요 완역 시집 <제4판>』
고려 가요 105편
I. 향가계 고려 가요 3편
1. 도이장가(悼二將歌)
2. 사모곡(思母曲)
3. 정과정(鄭瓜亭)
II. 속요계 고려 가요 37편
4. 가시리(歸乎曲)
5. 구천(九天)
6. 군마대왕(軍馬大王)
7. 나례가(儺禮歌)
8. 내당(內堂)
9. 대국(大國)
10. 대왕반(大王飯)
11. 동동(動動)
12.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13. 별대왕(別大王)
14. 삼성대왕(三城大王)
15. 상저가(相杵歌)
16. 서경별곡(西京別曲)
17. 서경(西京)
18. 성황반(城隍飯)
19. 작호행(斫虎行)
20. 쌍화점(雙花店)
21. 삼장(三藏)
22. 양화사(楊花詞)
23. 유구곡(維鳩曲)
24. 이상곡(履霜曲)
25. 정석가(鄭石歌)
26. 처용가(處容歌)
27. 청산별곡(靑山別曲)
28. 풍입송(風入松)
29. 야심사(夜深詞)
30. 자하동(紫霞洞)
31. 어부가(漁父歌)
32. 서왕가 제1(西往歌 第一)
33. 서왕가 제2(西往歌 第二)
34. 낙도가(樂道歌)
35. 심우가(尋牛歌)
36. 납씨가(納氏歌)
37. 횡살문(橫殺門)
38. 쌍화곡(雙花曲)
39. 생가요량(笙歌寥亮)
40. 잡처용(雜處容)
III. 경기체가계 고려 가요 27편
41. 가성덕(歌聖德)
42. 관동별곡(關東別曲)
43. 구월산별곡(九月山別曲)
44. 금성별곡(錦城別曲)
45. 기우목동가(騎牛牧童歌)
46. 도동곡(道東曲)
47. 독락팔곡(獨樂八曲)
48. 배천곡(配天曲)
49. 미타경찬(彌陀經讚)
50. 미타찬(彌陀讚)
51. 불우헌곡(不憂軒曲)
52. 상대별곡(霜臺別曲)
53. 서방가(西方歌)
54. 안양찬(安養讚)
55. 엄연곡(儼然曲)
56. 연형제곡(宴兄弟曲)
57. 오륜가(五倫歌)
58. 육현가(六賢歌)
59. 죽계별곡(竹溪別曲)
60. 축성수(祝聖壽)
61. 충효가(忠孝歌)
62. 태평곡(太平曲)
63. 한림별곡(翰林別曲)
64. 화산별곡(華山別曲)
65. 화전별곡(花田別曲)
66. 관서별곡(關西別曲)
67. 유림가(儒林歌)
IV. 잡가계 고려 가요 8편(민요동요참요)
68. 완산아(完山兒)
69. 보현찰(普賢刹)
70. 호목요(瓠謠)
71. 사룡(蛇龍)
72. 묵책요(墨冊謠)
73. 아야마(阿也麻)
74. 우대후(牛大吼)
75. 아야가(阿也歌)
V. 실전 고려 가요 30편
76. 거사련(居士戀)
77. 금강성(金剛城)
78. 남장가(男糚歌)
79. 노인성(老人星)
80. 동백목(冬栢木)
81. 벌곡조(伐谷鳥)
82. 사룡(蛇龍)
83. 사리화(沙里花)
84. 소년행(少年行)
85. 소악부 제2장(小樂府第二章)
86. 소악부 제3장(小樂府第三章)
87. 송산가(松山歌)
88. 수성명(壽星明)
89. 수정사(水精寺)
90. 안동자청(安東紫靑)
91. 양주곡(楊州曲)
92. 예성강(禮成江)
93. 오관산(五冠山)
94. 월정화(月精花)
95. 장단곡(長湍曲)
96. 장생포(長生浦)
97. 장암(長巖)
98. 정과정곡(鄭瓜亭曲)
99. 제위보(濟危寶)
100. 총석정(叢石亭)
101. 탐라요(耽羅謠)
102. 한송정곡(寒松亭曲)
103. 후전진작(後殿眞勺)
104. 관산별곡(關山別曲)
105. 임강선(臨江仙)
『고산 윤선도 시조집 <제2판>』
시조 177수
1~18. 산중신곡(山中新曲)
1~6. 「만흥」(漫興)
7. 「조무요」(朝霧謠)
8. 「일모요」(日暮謠)
9. 「야심요」(夜深謠)
10. 「기세탄」(饑世嘆)
11~12. 「하우요」(夏雨謠)
13~18. 「오우가(五友歌)
19~20. 산중속신곡 2장(山中續新曲 二章)
19. 추야조(秋夜操)
20. 춘효음(春曉吟)
21. 고금영(古琴詠)
22. 증반금(贈伴琴)
23~24. 초연곡 2장(初筵曲 二章)
25~26. 파연곡 2장(罷宴曲 二章)
27~66.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어부사 여음(漁父詞 餘音)
67~69. 몽천요 3장(夢天謠 三章)
70~74. 견회요 5편(遣懷謠 五篇)
75. 우후요(雨後謠)
76~125. 『악학습령』(樂學拾零) 윤선도 시조 50수
126~177. 어부가 52장(漁父歌 五十二章)
『고려 가요집―나종혁 고려 가요 완역 시집 <제4판>』
고려 가요 108편
I. 향가계 고려 가요 3편
1. 도이장가(悼二將歌)
2. 정과정(鄭瓜亭)
3. 사모곡(思母曲)
II. 속요계 고려 가요 39편
4. 유구곡(維鳩曲)
5. 작호행(斫虎行)
6. 쌍화점(雙花店)
7. 삼장(三藏)
8. 이상곡(履霜曲)
9. 서왕가 제1(西往歌 第一)
10. 서왕가 제2(西往歌 第二)
11. 낙도가(樂道歌)
12. 심우가(尋牛歌)
13. 자하동(紫霞洞)
14. 양화사(楊花詞)
15. 어부가(漁父歌)
16. 납씨가(納氏歌)
17. 쌍화곡(雙花曲)
18. 가시리(歸乎曲)
19. 청산별곡(靑山別曲)
20. 정석가(鄭石歌)
21.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22. 상저가(相杵歌)
23. 서경별곡(西京別曲)
24. 서경(西京)
25. 처용가(處容歌)
26. 풍입송(風入松)
27. 야심사(夜深詞)
28. 성황반(城隍飯)
29. 나례가(儺禮歌)
30. 내당(內堂)
31. 대국(大國)
32. 대왕반(大王飯)
33. 능엄찬(楞嚴讚)
34. 관음찬(觀音讚)
35. 생가요량(笙歌寥亮)
36. 군마대왕(軍馬大王)
37. 삼성대왕(三城大王)
38. 동동(動動)
39. 구천(九天)
40. 별대왕(別大王)
41. 횡살문(橫殺門)
42. 잡처용(雜處容)
III. 경기체가계 고려 가요 27편
43. 한림별곡(翰林別曲)
44. 관동별곡(關東別曲)
45. 죽계별곡(竹溪別曲)
46. 상대별곡(霜臺別曲)
47. 안양찬(安養讚)
48. 유림가(儒林歌)
49. 서방가(西方歌)
50. 오륜가(五倫歌)
51. 구월산별곡(九月山別曲)
52. 화산별곡(華山別曲)
53. 가성덕(歌聖德)
54. 축성수(祝聖壽)
55. 연형제곡(宴兄弟曲)
56. 미타경찬(彌陀經讚)
57. 미타찬(彌陀讚)
58. 기우목동가(騎牛牧童歌)
59. 불우헌곡(不憂軒曲)
60. 금성별곡(錦城別曲)
61. 배천곡(配天曲)
62. 화전별곡(花田別曲)
63. 도동곡(道東曲)
64. 엄연곡(儼然曲)
65. 육현가(六賢歌)
66. 태평곡(太平曲)
67. 관서별곡(關西別曲)
68. 독락팔곡(獨樂八曲)
69. 충효가(忠孝歌)
IV. 잡가계 고려 가요 8편(민요‧동요‧참요)
70. 완산아(完山兒)
71. 보현찰(普賢刹)
72. 호목요(瓠謠)
73. 사룡(蛇龍)
74. 묵책요(墨冊謠)
75. 아야가(阿也歌)
76. 아야마(阿也麻)
77. 우대후(牛大吼)
V. 실전 고려 가요 31편
78. 장단곡(長湍曲)
79. 한송정(寒松亭)
80. 금강성(金剛城)
81. 벌곡조(伐谷鳥)
82. 임강선(臨江仙)
83. 수성명(壽星明)
84. 정과정곡(鄭瓜亭曲)
85. 노인성(老人星)
86. 사룡(蛇龍)
87. 안동자청(安東紫靑)
88. 소악부 제2장(小樂府第二章)
89. 소악부 제3장(小樂府第三章)
90. 남장가(男糚歌)
91. 동백목(冬栢木)
92. 후전진작(後殿眞勺)
93. 총석정(叢石亭)
94. 신도가(新都歌)
95. 관산별곡(關山別曲)
96. 월정화(月精花)
97. 거사련(居士戀)
98. 송산가(松山歌)
99. 양주곡(楊州曲)
100. 예성강(禮成江)
101. 장생포(長生浦)
102. 사리화(沙里花)
103. 소년행(少年行)
104. 수정사(水精寺)
105. 오관산(五冠山)
106. 장암(長巖)
107. 제위보(濟危寶)
108. 탐라요(耽羅謠)
『고산 윤선도 시조집 <제3판>』
시조 177수
1~18. 산중신곡(山中新曲)
1~6. 「만흥」(漫興)
7. 「조무요」(朝霧謠)
8. 「일모요」(日暮謠)
9. 「야심요」(夜深謠)
10. 「기세탄」(饑世嘆)
11~12. 「하우요」(夏雨謠)
13~18. 「오우가(五友歌)
19~20. 산중속신곡 2장(山中續新曲 二章)
19. 추야조(秋夜操)
20. 춘효음(春曉吟)
21. 고금영(古琴詠)
22. 증반금(贈伴琴)
23~24. 초연곡 2장(初筵曲 二章)
25~26. 파연곡 2장(罷宴曲 二章)
27~66.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어부사 여음(漁父詞 餘音)
67~69. 몽천요 3장(夢天謠 三章)
70~74. 견회요 5편(遣懷謠 五篇)
75. 우후요(雨後謠)
76~125. 윤선도 시조 50수
126~177. 어부가 52장
178~179. 파연곡 3장(罷宴曲 二章)
180~181. 윤선도 시조 2수
『새날이 오라―나종혁 시집』
시
1. 아리 사랑
2. 나그네의 정의
3. 하늘땅
4. 이별
5. 이어라
6. 개보기
7. 설레임, 마지막 언사
8. 흔들리는 갓
9. 노을
10. 봄가물
11. 윗녘
12. 바람칼
13. 바윗길
14. 반물빛
15. 보슬비
16. 별바다
17. 별숲
18. 비보라
19. 빈터
20. 새날
21. 새초롬히
22. 시새움
23. 쓰르라미
24. 아기별
25. 아늘거리는 연
26. 아르렁
27. 아하
28. 안다미로
29. 앞터
30. 애초롬하고 새뜻하다
31. 어간마루
32. 어슬녘
33. 어둠별
34. 어우리
35. 어름
36. 나이넘이 2
37. 해넘이
38. 꽃바람
39. 빛과 그늘
40. 기다림, 그리움, 운명
41. 어법(語法)의 시작
42. 말의 합리성
43. 합리성으로 이어라
44. 내셔널리스트의 인생
45. 가 버린 기억
46. 나의 생각
47. 주관적 오류
48. 느낌
49. 목적
50. 배는 어디로 가는가
51. 여름의 끝
52. 이별 2
53. 책임과 의무
54. 그리운 그대
55. 어차피
56. 이나이나
57. 너 밖에 남지 않은 나
58. 슬픔의 지도
59. 시험
60. 저항의 의무
61. 인질극
62. 검은 뱀
63. 가을이 성큼 왔다
64. 지나치지 마
65. 인간성
66. 바라기
67. 역사의 비수
68. 안타까운 헤어짐
69. 좋은 날
70, 아름다운 밤에
71. 비의 종류
72. 이상향(理想鄕)
73. 어디로 가는 걸까
74. 너의 탄생
75. 살고 지고 살고 지고
76. 가족
77. 감정
78. 죽음이란 무엇인가
79. 백세의 공
80. 향불
81. 신성한 복
82. 33세의 끝
83. 번제(燔祭)
84. 천우신조(天佑神助)
85. 하늘의 비
86. 신의 아이들
87. 구세주
88. 제주에서
89. 낙원(樂園)으로의 권리
90. 회고(懷古)
역시(譯詩)
91. 웅진도(熊津渡)/고려 현종(顯宗)
92. 부여회고(夫餘懷古)/이곡
93. 부여회고(扶餘懷古)/민사평
94. 등전주망경대(登全州望景臺)/정몽주(鄭夢周)
95. 부여회고차가정시(扶餘懷古次稼亭詩)/이승소
96. 부여회고(扶餘懷古)/서거정
97. 부여회고차가정운(扶餘懷古次稼亭韻)/조위
98. 부소산모우(扶蘇山暮雨)/심재찬
99. 석문정구곡도가(石門亭九曲櫂歌)―어부가계 가사/채헌(蔡瀗)
산문
100. 삼월 그믐~사월 그믐(이천이십이 년)
『백제 시선』(2022년)
<백제 시대 고대시>
1. 부여 사언시 목간(夫餘四言詩木簡)/사비인(泗沘人)
2. 부여 쌍북리 구구단 목간(夫餘雙北里九九段木簡)/작자 미상
3. 숙세가(宿世歌)/작자 미상
4. 사택지적당탑비문(砂宅智積堂塔碑文)/사택지적(砂宅智積)
5. 묻노라 멱라수야/부여성충(夫餘成忠)
6. 정읍사(井邑詞)/행상인의 처
7. 백제요(百濟謠)/작자 미상
8. 산유화(山有花)/작자 미상
9. 완산아(完山兒)/작자 미상
<백제 시대 고대문>
10. 칠지도 명문(七支刀 銘文)/백제(百濟) 왕세자(王世子)
11. 백제 청동 인물화상경 금문(百濟靑銅人物畵像鏡金文)/무령왕(武寧王)
12. 무령왕릉방격규구신수경 명문(武零王陵方格規矩神獸鏡 銘文)/작자 미상
13. 공주 송산리 벽돌 명문(公州宋山里甎銘文)/작자 미상
14. 공주 송산리 벽돌 사 임진년작 명(公州宋山里塼士壬辰年作銘)/작자 미상
15. 무령왕비 은팔찌 명문(武寧王妃銀製釧銘文)/다리(多利)
16. 무령왕 지석 명문(武寧王誌石銘文)/작자 미상
17. 무령왕비 지석 명문(武寧王妃誌石銘文)/작자 미상
18. 나주 복암리 관등명 모라 목간(羅州伏岩里官等名毛羅木簡)/작자 미상
19. 백제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명문(百濟陵山里寺址石造舍利龕銘文)/작자 미상
20. 갑오명 금동일광삼존불상(甲午銘金銅一光三尊佛像)/화구(和丘)
21.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명문(夫餘王興寺址舍利器銘文)/창왕(昌王)
22. 갑인명 석가상 광배(甲寅銘 釋迦像 光背)/왕연손(王延孫)
23. 금동석가여래삼존입상 정지원명(金銅釋迦如來三尊立像鄭智遠銘)/정지원(鄭智遠)
24. 갑신명 금동석가상 광배(甲申銘 金銅釋迦像 光背)/작자 미상
25. 익산 미륵사지 서탑 금제 사리봉안기(益山彌勒寺址西塔金製舍利奉安記)/작자 미상
26. 부여 북나성 명문석(扶餘北羅城銘文石)/작자 미상
27. 백제 백령산성 기와 명문(百濟栢嶺山城起臥銘文)/이문(移文)
28. 흑치상지 묘지명(黑齒常之墓誌銘)/작자 미상
<그 밖의 백제 관련 시문>
29. 지리산가(智異山歌)/도미(都彌)의 아내
30. 황창랑(黃昌郞)/황창랑(黃昌郞)
31. 이성산성 무진년명 목간(二聖山城戊辰年銘木簡)/작자 미상
32. 이성산성 욕살명 목간(二聖山城褥薩銘木簡)/작자 미상
33. 해론가(奚論歌)/작자 미상
34. 양산가(陽山歌)/작자 미상
35. 부여융 묘지명(扶餘隆墓誌銘)/작자 미상
36. 흑치준 묘지명(黑齒俊墓誌銘)/작자 미상
37. 순장군 공덕비(珣將軍功德碑)/곽겸광(郭謙光)
38. 반등산곡(半登山曲)/작자 미상
39. 곡성 대안사 적인선사탑비 명문(谷城大安寺寂忍禪師塔碑銘文)/극일(克一)
40.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추명(南原實相寺秀澈和尙塔碑追銘)/작자 미상
41. 공산성(公山城)/최치원(崔致遠)
42. 지리산(智異山)—전 8수/최치원(崔致遠)
43. 지리산(智異山)―제9수/최치원(崔致遠)
<백제 회고시>
44. 웅진도(熊津渡)/고려 현종(顯宗)
45. 부여회고(夫餘懷古)/이곡(李穀)
46. 부여회고(扶餘懷古)/민사평(閔思平)
47. 석탄행(石灘行)/이존오(李存吾)
48. 등전주망경대(登全州望景臺)/정몽주(鄭夢周)
49. 부여회고차가정시(扶餘懷古次稼亭詩)/이승소(李承召)
50. 부여회고(扶餘懷古)/서거정(徐居正)
51. 부여회고시(扶餘懷古詩)/어우동(於宇同)
52. 부여회고차가정운(扶餘懷古次稼亭韻)/조위(曺偉)
53. 낙화암(落花巖)/홍춘경(洪春卿)
54. 반월성(半月城)/황준량(黃俊良)
55. 조룡대(釣龍臺)/황준량(黃俊良)
56. 부산(浮山)/이춘영(李春英)
57. 의열사(義烈祠)/이춘영(李春英)
58. 자온대(自溫臺)/김홍욱(金弘郁)
59. 고란사(皐蘭寺)/김홍욱(金弘郁)
60. 부여회고(扶餘懷古) 2수/이경엄(李景嚴)
61. 고란사(皐蘭寺)/윤선거(尹宣擧)
62. 부여회고(扶餘懷古)/처능 스님(僧 處能)
63. 부여회고(夫餘懷古)/유득공(柳得恭)
64. 부소산모우(扶蘇山暮雨)/심재찬(沈載瓚)
65. 평제탑석조(平濟塔夕照)/윤대영(尹大榮)
『나계종 한시집』(2022년)
<나계종(羅繼從) 한시 85수>
1. 태양(陽明)
2. 화정림곡(和鄭林谷 佐慶)
3. 자견(自遣)
4. 동지(冬至)
5. 숙호중호사가(宿湖中豪士家)
6. 천안도중(天安途中)
7. 화택승정주인운(和擇勝亭主人韻)
8. 하남(河南)
9. 송이정언적탐라(送李正言 鵠 謫耽羅)
10. 우제(偶題)
11. 간매(磵梅)
12. 과설처사유거(過偰處士 元道 幽居)
13. 과이판관산거(過李判官 旭 山居)
14. 간송(磵松)
15. 신추유회(新秋有懷)
16. 중춘시종상원서외지(仲春侍從上苑西隈池)
17. 이른 아침(早朝)
18. 정사우제(精舍偶題)
19. 과구산이건사조대(過龜山李虔士 植 釣臺)
20. 모춘숙두씨정(暮春宿杜氏亭)
21~22. 추차포은평교관수제운(追次圃隱平郊舘手題韻)
23. 제과학당(題課學堂)
24. 과소어사교거(過蘇御史 衡 郊居)
25. 추연(秋燕)
26. 학등곡(䳡藤谷)
27. 도화(桃花)
28. 낙화(落花)
29. 증맹생희경(贈孟生煕卿)
30. 송포은부(送圃隱赴 中朝)
31~32. 여구병(余久病)
33. 은율적중(殷栗謫中)
34. 동도은등협선루(同陶隱登挾僊樓)
35. 기금잡단장유거(寄金雜端𤨿幽居)
36. 과이사인유거(過李舍人 廈 幽居)
37. 농금(籠禽)
38. 별후(別後)
39. 재봉양사군(再逢楊使君 軾)
40. 갈협로중(葛峽路中)
41. 범주(泛舟)
42. 과이수재박별업(過李秀才璞別業)
43. 복약(服藥)
44. 술회(述懷)
45. 산색(山色)
46. 과나정랑계거(過羅正郞 允濟 溪居)
47. 고금(古琴)
48. 중춘기족제판관거제적중(仲春寄族弟判官 啓儒 巨濟謫中)
49. 증이좌윤(贈李左尹 子希)
50. 장사현서루억리감(長沙縣西樓憶李監 淑)
51. 삼월에 동백화를 보다(三月見冬栢花)
52. 중춘수이영숙제군상화류운(仲春酬李永叔諸君賞花柳韻)
53. 기금응교폐문독거(寄金應敎暢閉門獨居)
54. 애서직(哀徐稷)
55. 희증수죽정주인(戱贈脩竹亭主人)
56~57. 만흥(漫興)
58. 추일유구로암(秋日遊九老巖)
59. 기정부정귀고리(寄鄭副正 寔 歸故里)
60. 과이주서유거(過李注書 子益 幽居)
61. 지선(至善)
62. 물성(物性)
63. 행주곡(行舟曲)
64. 제서도사고정(題徐道士古亭)
65. 증서생(贈徐生 僴)
66. 제삼려화상하(題三閭畫像下)
67. 고의(古意)
68. 과이처사고택(過李處士大承故宅)
69. 과두문동(過杜門洞 癸酉 承召命時)
70. 구월과진성고허(九月過珍城故墟)
71. 객중새식(客中塞食)
72. 저녁놀(殘照)
73. 어옹(漁翁)
74. 강촌(江村)
75. 병중사엄처사(病中謝嚴處士 愨)
76. 자풍악귀시이제군(自楓嶽歸示李 景修 諸君)
77. 숙이산인유거(宿李山人 戩 幽居)
78. 따뜻한 겨울(冬暖)
79. 춘일감회(春日感懷)
80. 중춘유서린(仲春遊西隣 咸修撰所居)
81. 숙김해소가정(宿金海蘇家亭)
82. 감회(感懷)
83. 선단(仙丹)
84. 도원(桃源)
85. 증이주서(贈李注書 鴻漸)
『나해봉 한시집』(2022년)
<남간(南磵) 나해봉(羅海鳳) 한시 100수>
<칠언 절구(七言絶句) 28수>
1. 동홍(冬虹)
2. 문적(聞笛)
3. 동야유회(冬夜有懷)
4~5. 유선사(游仙詞)
6. 오죽장구증윤전중희일(烏竹杖句贈尹殿中希一)
7. 도금강(渡錦江)
8. 자야문가(子夜聞歌)
9. 제모선(題毛扇)
10. 병중음(病中吟)
11. 최평사부인만(崔評事 四勿 夫人挽)
12. 차립택과송현고인거운(次笠澤過松峴故人居韻)
13. 여차서회(旅次書懷)
14. 사원성주영공혜필선(謝元城主 斗杓 令公惠筆扇)
15. 잡영(雜詠)
16. 영종정구원영공(詠鍾呈九畹令公)
17. 자전반혼시작(慈殿返魂時作)
18. 송림동야승소입경(送林東野承召入京)
19. 매화(梅花 重出)
20. 금시길길보만(金時咭咭(晧晧)甫挽)
21. 해당 일(海棠 一)
22. 봉화원방백운(奉和元方伯韻)
23. 동야형제래방계거(東野兄弟來訪溪居)
24. 동백나무 씨앗(種山茶)
25. 석가산(石假山)
26. 자강소시기정승암(子薑小詩寄呈繩庵)
27. 설중매영(雪中梅詠)
28. 차창죽이관창운(次蒼竹李應蓍觀漲韻)
<오언 절구(五言絶句) 28수>
29. 병와봉황산하작(病卧鳳凰山下作)
30. 로중작(路中作)
31. 임동야만휴당운(林東野晩休堂韻)
32. 강구목적(江口牧笛)
33. 한계세우(寒溪細雨)
34. 관수청연(官樹晴烟)
35. 무현금(無絃琴)
36. 영강한(詠江漢)
37. 야문도의(夜聞搗衣)
38. 좌백악망남산(坐白岳望南山)
39. 영등(詠燈)
40~41. 억계거(憶溪居)
42. 야문적(夜聞笛)
43. 여적재사영회(余適在司詠懷)
44. 영리화(詠梨花)
45. 운금정호운(雲錦亭呼韻)
46. 우제(偶題)
47~48. 영홍매(詠紅梅)
49. 구일등장원봉(九日登壯元峰)
50. 걸주(乞酒)
51. 해당 이(海棠 二)
52. 제남계이석(題南溪異石)
53. 여자준휴장의류별가료(與子俊休仗義留別家僚)
54. 둔해도상음(遯海道上吟)
55. 문림동야승질희이기증(聞林東野陞秩喜而寄贈)
56. 차시장방나정보교거(次市丈訪羅正甫郊居)
<오언 율시(五言律詩) 26수>
57. 청후견월(晴後見月)
58. 귀신사차금거비증일상인운(歸信寺次金去非贈逸上人韻)
59. 나판관숙씨개장만(羅判官叔氏改葬挽)
60. 기정장흥태수한동년욱재령공(寄呈長興太守韓同年勗哉令公)
61. 시종숭은전사사(侍從崇恩殿祀事)
62~63. 차승암기운(次繩庵寄韻)
64. 문로적범경주상이어남한인술회(聞虜賊犯京主上移御南漢因述懷)
65. 기정승암(寄呈繩庵)
66. 견분(遣憤 聞胡差稱勅)
67. 차중씨석호처사제교거운(次仲氏石壕處士題郊居韻)
68. 설날(元日 癸酉)
69. 기최리판지천령공(寄崔吏判遲川 鳴吉 令公)
70. 갑술정월초오일(甲戌正月初五日)
71. 안개(烟)
72. 차나옥과계빈형루상운(次羅玉果季彬兄樓上韻)
73~74. 차시서증림동야운(次市西贈林東野韻)
75. 기고청사령공(寄高晴沙 用厚 令公)
76. 기정목사령공(寄鄭牧使 孝誠 令公)
77. 차제벽류정운(次題碧流亭韻)
78. 문노적래구순안작(聞奴賊來冦順安作)
79. 홍처만(洪 逷 妻輓)
80. 문청원량이남한희이유작(聞靑原量移南漢喜而有作)
81. 병음(病吟)
82. 문화성수분이작정축(聞和成遂憤而作 丁丑)
<칠언 율시(七言律詩) 18수>
83. 용반환시서증태호운중증태호(用磐桓市西贈苔湖韻重贈苔湖)
84. 봉별박성주기관귀경(奉別朴城主 茂業 棄官歸京)
85. 술회(述懷)
86. 차성와형신옥지십(次醒窩兄新屋之什)
87. 차운정성형(次韻呈醒兄)
88. 봉별민성주령공파관귀경(奉別閔城主 振衣 令公罷官歸京)
89. 자전만사(慈殿挽詞)
90. 비회응률(飛灰應律)
91. 재사중작(在司中作)
92. 억사계김선생(憶沙溪金先生)
93. 차류참봉평증운(次柳參奉 坪 贈韻)
94. 차윤장주휘기운(次尹長洲暉 景春 寄韻)
95. 초궤아적백발(招簋兒摘白髮)
96. 차승암방백제함열청좌당운(次繩庵方伯題咸悅淸坐堂韻)
97. 기창죽(寄蒼竹)
98. 여청원출유복암(與靑原出遊伏巖)
<기타>
99. 벽류정(碧流亭)
100. 만시(挽詩)
『나식 한시집』(2022년)
나식(羅湜) 한시 88수
1~3. 해오라기 그림(畫鷺)
4~6. 증우인필지고귀래약(贈友人弼之固歸來約)
7~9. 송신간성(送申杆城), 수정(守正), 부임(赴任) 3수(三首)
10. 사민가화송유(謝閔可和送油)
11. 고양농사(高陽農舍)―견황봉사송주육기사(見黃奉事送酒肉寄謝)
12. 동호(東湖)―동이좌랑언국 제숙급제우범주음(同李佐郞彥國 弟淑及諸友泛舟吟)
13. 기경성이자장 원손(寄鏡城李子長 元孫)
14. 한중우음(閑中偶吟)
15. 우음(偶吟)
16. 제운계사(題雲溪寺)
17. 춘일증이언화 장영(春日贈李彥華 長榮)
18. 정우후산정관덕(鄭虞侯山亭觀德)―희증정수찬근부(戲贈鄭修撰謹夫)
19~20. 제윤이온화란 이수(題尹而溫畫蘭 二首)
21~22. 제두성공자화조 2수(題杜城公子畫鵰 二首)
23~24. 영화원 2수(詠畫猿 二首)
25. 강천모설(江天暮雪)
26. 동정추월(洞庭秋月)
27~28. 송이군자장윤기성 2수(送李君子長尹箕城 二首)
29. 남원촌사(南原村舍)―견등죽유감(見燈竹有感)
30. 시일증최생원(是日贈崔生員)
31. 차오수역루운(次獒樹驛樓韻)
32. 십이월회효우음(十二月晦曉偶吟)
33. 추일(秋日)―송별이이중 승상 부북경(送別李彝仲 承常 赴北京)
34. 추일(秋日)―방정참봉종지(訪鄭參奉琮之)
35. 재방종지(再訪琮之)
36. 유인치사(有人致仕)―기전사환사 작시기지(棄田舍還仕 作詩譏之)
37. 여우음화(與友飮話)
38. 영화매(詠畫梅)
39. 갑진사월초이일(甲辰四月初二日)―여언구유중흥 차조참봉 욱 운 서상인시축(與彥久遊中興 次趙參奉 昱 韻 書上人詩軸)
40. 차윤언구 춘년 운(次尹彥久 春年 韻)
41. 종지월담정서사(琮之月潭亭書事)
42. 월담정즉사(月潭亭卽事)
43. 월담정증인(月潭亭贈人)
44. 월담정서사(月潭亭書事)
45. 사인송춘간요(謝人送春簡邀)
46. 오사의 복정 강정서사(吳司議 福貞 江亭書事)
47. 배침선생 의 유오사의강정(陪沈先生 義 遊吳司議江亭)
48. 영학(詠鶴)
49. 사인증금도접지(謝人贈金桃接枝)
50. 황감기인(黃柑寄人)
51. 평안도중(平安道中)
52. 지월십오일평안도중(至月十五日平安道中)
53. 병중 수인어염(病中 受人魚鹽)
54. 병중억모(病中憶母)
55. 차운 1(次韻 一)
56. 기상경청작인풍도(寄祥卿請作仁風圖 祥卿善畫故云)
57. 차운 2(次韻 二)
58. 남계서사(南溪書事)
59. 인풍루간홍(仁風樓看虹)
60. 차운희정상경(次韻戲呈祥卿)
61. 절규고진(折葵枯盡)―고영유존 잉우발화 유감(孤英猶存 仍雨發花 有感)
62. 사부사김경석혜웅장(謝府使金景錫惠熊掌)
63~64. 기증관서병사이로경 사증 ○2수(寄贈關西兵使李魯卿 思曾 ○二首)
65. 제화매(題畫梅)
66. 우흥(偶興)
67. 희증전우치(戲贈田禹治)
68. 구한봉우(久旱逢雨)―서시전전사 승개(書示田典祀 承漑)
69. 송강희윤유송도(送姜希尹遊松都)
70. 우기(又寄)
71~72. 제강희이윤송도록후 2수(題姜希夷尹松都錄後 二首)
73. 구호 좌시작(口號 坐時作)
74. 강송간 희이 제여전생음화(姜松磵 希夷 第與田生飮話)
75. 등루원(登樓院)
76. 등백운대 삼각중봉(登白雲臺 三角中峯)
77. 연비사(鳶飛詞)
78. 만음(謾吟)
79. 제명원구전서곡(弟明源柩前書哭)
80. 곡이린장 대(哭李隣丈 薱)
81. 만우인허호부 한(挽友人許浩夫 澣)
82. 우만(又挽)
장음정유고(長吟亭遺稿) 보유(補遺) 시(詩)와 결시(缺詩) 6수
83. 유적성석벽(遊積城石壁)
84. 차적성동헌운(次積城東軒韻)
85. 적강계시행점작(謫江界時行店作)
86. 감흥(感興)
87. 문명원재적성환려(聞明源在積城患癘)―치지신암사작(馳至新庵寺作) 결시(缺詩)
88. 납매(蠟梅) 결시(缺詩)
『고구려 시선』(2023년)
고구려 시대 고대시
1. 개물교화경/고주몽
2. 연양가(延陽歌)/연양(延陽)의 위인(爲人) 원작
3. 내원성가(來遠城歌)/작자 미상
4. 황조가/유리왕
5. 고구려 덕흥리고분 묵서명/작자 미상
6. 광개토대왕비문 서/작자 미상
7. 고구려 모두루 명문/작자 미상
8. 고구려 중원비문/작자 미상
9. 평양성 석각 제1석/소형 상부 약모리
10. 평양성 석각 제2석/물구 소형 배회백두
11. 평양성 석각 제3석/내중 백두 상위사 이장
12. 평양성 석각 제4석/한성 하후부 소형 문달
13. 평양성 석각 제5석/괘루개절 소형 가군
14. 평양성 석각 제6석/작자 미상
15. 여수장우중문/을지문덕
16. 인삼찬/작자 미상 고구려인
17. 영고석/정법사
18. 중화군 금상감동괴 명문(中和郡金象嵌銅魁銘文)/작자 미상
19. 월상국 범소백이/을파소(乙巴素) 원작
20. 북소리 들리는 절이/을파소 원작
21. 일모창산원(日暮蒼山遠)하니/을파소 원작
22. 고구려 동천왕 벽비문(高句麗東川王壁碑文)/작자 미상
23. 천추총 전명(千秋塚塼銘)/작자 미상
24. 집안 고구려비 명문(集安高句麗碑銘文)/작자 미상
25. 고구려 태왕릉 벽돌 명문(高句麗太王陵塼銘文)/작자 미상
26. 고조다 비문(高助多碑文)/장수왕(長壽王) 원작
27. 태화 13년명 석불상(大和十三年銘石佛像)/작자 미상
28. 고구려 금동여래입상 연가 7년명(高句麗金銅如來立像延嘉七年銘)/도영(擣穎) 원작
29. 고구려 금동판 탑지(高句麗金銅版塔誌)/혜랑(慧郞) 원작
30. 영강 7년명 금동광배 금문(永康七年銘金銅光背金文)/작자 미상
31. 건흥 5년명 금동광배 금문(建興五年銘金銅光背金文)/아엄(兒奄) 원작
고구려 시대 고대문
32. 고구려 호로고루 명문(高句麗漣川銘文)/작자 미상
33. 호로고루 토고(土鼓) 명문(高句麗漣川土鼓銘文)/작자 미상
34. 호로고루 산판 기와 명문(高句麗漣川算板瓦銘文)/작자 미상
35. 고구려 호로고루 관일 기와 명문(高句麗漣川官一瓦銘文)/작자 미상
36. 평양 북성 각석(平壤北城刻石)/작자 미상
37. 집안현 와당(輯安縣瓦壋)/작자 미상
38. 태령사년명 와당(太寧四年銘瓦壋)/작자 미상
39. 기축명 와당(己丑銘瓦當)/작자 미상
40. 조행명 와당(照行銘瓦壋)/작자 미상
41. 태자명 와당(泰字銘瓦壋)/작자 미상
42. 십곡민조명 와당(十谷民造銘瓦壋)/작자 미상
43. 월조기명 와당(月造記銘瓦壋)/작자 미상
44. 고구려 도용 명문(高句麗陶俑銘文)/작자 미상
45. 안악 3호분 묵서명(安岳三號墳墨書銘)/작자 미상
46. 정사명 와당(丁巳銘瓦壋)/작자 미상
47. 광개토태왕릉 청동 방울 호태왕명(廣開土太王陵靑銅鈴好太王銘)/작자 미상
48. 이작명 와당(顊作銘瓦壋)/작자 미상
49. 광개토대왕 청동 호우 명문(廣開土大王靑銅壺杅銘文)/작자 미상
50. 고구려 연수명은합 각명(高句麗 延壽銘銀盒 刻銘)/장수왕(長壽王) 원작
51. 정릉사지 토기명(定陵寺址土器銘)/작자 미상
52. 정릉사지 와명(定陵寺址瓦銘)/작자 미상
53. 농오리산성 마애석각(籠吾里山城磨崖石刻)/작자 미상
고구려 실전 가요
54. 지서가(芝栖歌)/작자 미상
55. 연양가(延陽歌)/이유원(李裕元) 실전작, 연양 위인(延陽爲人) 원작
『조선 시조』(2023년)
시조 500수
고대 시조 5수
삼국 시대 시조 5수
고구려 시대 시조
월상국(越相國) 범소백(范小伯)이/을파소(乙巴素)
북소리 들리는 절이/을파소(乙巴素)
일모창산원(日暮蒼山遠)하니/을파소(乙巴素)
백제 시대 시조
문노라 골라수(汨羅水)이야/부여성충(扶餘成忠)
신라 시대 시조
정일(貞一) 집중(執中)홈은/설총(薛聰)
중세 시조 495수
고려 시조 33수
고려 시대 전기 시조
5
일생(一生)의 원(願)하기를/최충(崔沖)
백일(白日)은 서산(西山)의 지고/최충(崔沖)
고려 시대 중기 시조
남양(南陽)에 궁경(躬耕)홈은/곽여(郭輿)
오장원(五丈原) 추야월(秋夜月)에/곽여(郭輿)
고려 시대 후기 시조
춘일방산사(春日訪山寺)/이규보(李奎報)
10
탄로가 1(嘆老歌 一)/우탁(禹倬)
탄로가 2(嘆老歌 二)/우탁(禹倬)
탄로가 3(嘆老歌 三)/우탁(禹倬)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이조년(李兆年)
흥망(興亡)이 유수(有數)하니/원천석(元天錫)
15
눈마자 휘어진 대를/원천석(元天錫)
가마귀 싸호난 골에/정몽주(鄭夢周) 모친 이(李) 씨
구름이 무심(無心)탄 말이/이존오(李存吾)
청산은 나를 보고/나옹화상(懶翁和尙)
청산이 마주해도/나옹화상(懶翁和尙)
20
호기가(豪氣歌)/최영(崔瑩)
외솔/최영(崔瑩)
불굴가(不屈歌)/변안렬(邊安烈)
하여가(何如歌)/이방원(李芳遠)
단심가(丹心歌)/정몽주(鄭夢周)
25
백설(白雪)이 자자진 골에/이색(李穡)
남산(南山)에 비 갠 후(後)에/이색(李穡)
사람의 선악(善惡)이/이색(李穡)
일 심어 늦어 피니/성여완(成汝完)
태산(泰山)이 평지(平地)되고/성여완(成汝完)
30
초산(楚山)에 우는 호(虎)와/이지란(李之蘭)
회고가(懷古歌)/길재(吉再)
암반(巖盤) 설중(雪中) 고죽(孤竹)/서견(徐甄)
가마귀 검다 하고/이직(李稷)
선인교(仙人橋) 나린 물이/정도전(鄭道傳)
35
술을 취(醉)케 먹고 오다가/조준(趙浚)
석양(夕陽)에 취흥(醉興)을 계워/조준(趙浚)
한송정(寒松亭) 달 밝은 밤의/홍장(紅粧)
조선 시조 462수
조선 시대 전기 시조
언충신(言忠信) 행독경(行篤敬)하고/성석린(成石磷)
내라 내라 하니/변계량(卞季良)
40
내해 좋다 하고/변계량(卞季良)
치천하(治天下) 오십년(五十年)에/변계량(卞季良)
강호사시가 1(江湖四時歌 一)/맹사성(孟思誠)
강호사시가 2(江湖四時歌 二)/맹사성(孟思誠)
강호사시가 3(江湖四時歌 三)/맹사성(孟思誠)
45
강호사시가 4(江湖四時歌 四)/맹사성(孟思誠)
사시가 1(四時歌 一)/황희(黃喜)
사시가 2(四時歌 二)/황희(黃喜)
사시가 3(四時歌 三)/황희(黃喜)
사시가 4(四時歌 四)/황희(黃喜)
50
삭풍(朔風)은 나무 같이 불고/김종서(金宗瑞)
장백산(長白山)에 기(旗)를 꽂고/김종서(金宗瑞)
나의 님 향(向)한 뜻이/성삼문(成三問)
수양산(首陽山) 바라보며/성삼문(成三問)
이 몸이 죽어 가셔/성삼문(成三問)
55
금생여수(金生麗水)이라 한들/박팽년(朴彭年)
가마귀 눈비 마자/박팽년(朴彭年)
초당(草堂)에 일이 업서/유성원(柳誠源)
간밤의 부든 바람/유응부(兪應孚)
촉루가(燭淚歌)/이개(李塏)
60
객산문경(客散門扃)하고/하위지(河緯地)
천만리(千萬里) 머나먼 길헤/왕방연(王邦衍)
오추마(烏騶馬) 우난 곳에/남이(南怡)
장검(長劍)을 빠혀들고/남이(南怡)
적토마(赤兎馬) 살지게 먹여/남이(南怡)
65
맹자(孟子) 견양혜왕(見梁惠王)하신데/김시습(金時習)
당우(唐虞)를 어제 본 듯/소춘풍(笑春風)
제(齊)도 대국(大國)이오/소춘풍(笑春風)
전언(前言)은 희지이(戱之耳)라/소춘풍(笑春風)
유비군자(有斐君子)를/소춘풍(笑春風)
70
조선 시대 중기 시조
첨피기오(瞻彼淇澳)혼 데/박은(朴誾)
져 건너 일편석(一片石)이/조광조(趙光祖)
꿈에 증자(曾子)끠 뵈와/조광조(趙光祖)
소선(小船)에 그믈 시를 제/김식(金湜)
술을 취(醉)케 먹고/김식(金湜)
75
월파정(月波亭) 노픈 집에/김식(金湜)
선반가(宣飯歌)/이현보(李賢輔) 모친 권 씨
선(善)으로 패(敗)한 일 보며/엄흔(嚴昕)
마음아 너는 어니/서경덕(徐敬德)
마음이 어린 후(後)이니/서경덕(徐敬德)
80
오륜가(五倫歌) 제1수/주세붕(周世鵬)
오륜가(五倫歌) 제2수/주세붕(周世鵬)
오륜가(五倫歌) 제3수/주세붕(周世鵬)
천복(天覆) 지재(地載)하니/이언적(李彦迪)
산두(山頭)에 한운기(閒雲起)하고/이현보(李賢輔)
85
구버는 천심녹수(千尋綠水)/이현보(李賢輔)
청하(靑荷)애 밥을 싸고/이현보(李賢輔)
장안(長安)을 도라보니/이현보(李賢輔)
귀전록 1(歸田綠 一)−효빈가(效嚬歌)/이현보(李賢輔)
귀전록 2(歸田綠 二)−농암가(聾巖歌)/이현보(李賢輔)
90
귀전록 3(歸田綠 三)−생일가(生日歌)/이현보(李賢輔)
유벽(幽僻)을 차자 가니/조욱(趙昱)
이려도 태평성대(太平聖代)/성수침(成守琛)
치천하(治天下) 오십 년(五十年)에/성수침(成守琛)
천지대(天地大) 일명월(日明月)하신/성수침(成守琛)
95
청량산(靑凉山) 육륙봉(六六峯)을/이황(李滉)
도산십이곡 제1곡(陶山十二曲 第一曲)/이황(李滉)
도산십이곡 제2곡(陶山十二曲 第二曲)/이황(李滉)
도산십이곡 제3곡(陶山十二曲 第三曲)/이황(李滉)
도산십이곡 제4곡(陶山十二曲 第四曲)/이황(李滉)
100
도산십이곡 제5곡(陶山十二曲 第五曲)/이황(李滉)
도산십이곡 제6곡(陶山十二曲 第六曲)/이황(李滉)
도산십이곡 제7곡(陶山十二曲 第七曲)/이황(李滉)
도산십이곡 제8곡(陶山十二曲 第八曲)/이황(李滉)
도산십이곡 제9곡(陶山十二曲 第九曲)/이황(李滉)
105
도산십이곡 제10곡(陶山十二曲 第十曲)/이황(李滉)
도산십이곡 제11곡(陶山十二曲 第十一曲)/이황(李滉)
도산십이곡 제12곡(陶山十二曲 第十二曲)/이황(李滉)
삼동(三冬)에 뵈옷 닙고/조식(曺植)
청산(靑山)이 적막(寂寞)한데/조식(曺植)
110
두류산(頭流山) 양단수(兩端水)를/조식(曺植)
호화(豪華)코 부귀(富貴)키야/기대승(奇大升)
묏버들 가려 것거/홍랑(洪娘)
고산구곡가 서곡(高山九曲歌 序曲)/이이(李珥)
고산구곡가 제1곡(高山九曲歌 第一曲)/이이(李珥)
115
고산구곡가 제2곡(高山九曲歌 第一曲)/이이(李珥)
고산구곡가 제3곡(高山九曲歌 第一曲)/이이(李珥)
고산구곡가 제4곡(高山九曲歌 第一曲)/이이(李珥)
고산구곡가 제5곡(高山九曲歌 第一曲)/이이(李珥)
고산구곡가 제6곡(高山九曲歌 第一曲)/이이(李珥)
120
고산구곡가 제7곡(高山九曲歌 第一曲)/이이(李珥)
고산구곡가 제8곡(高山九曲歌 第一曲)/이이(李珥)
고산구곡가 제9곡(高山九曲歌 第一曲)/이이(李珥)
요순(堯舜)같은 임군을/성운(成運)
전원(田園)에 봄이 오니/성운(成運)
125
달 밝은 오례성(五禮城)에/박계현(朴啓賢)
태평(太平) 천지간(天地間)에/양응정(梁應鼎)
풍상(風霜)이 섯거친 날의/송순(宋純)
오륜가 제1편(五倫歌 第一篇)−부자유친(父子有親)/송순(宋純)
오륜가 제2편(五倫歌 第二篇)−군신유의(君臣有義)/송순(宋純)
130
오륜가 제3편(五倫歌 第三篇)−부부유별(夫婦有別)/송순(宋純)
오륜가 제4편(五倫歌 第四篇)−장유유서(長幼有序)/송순(宋純)
오륜가 제5편(五倫歌 第五篇)−붕우유신(朋友有信)/송순(宋純)
면앙정단가 제1편(俛仰亭短歌 第一篇)/송순(宋純)
면앙정단가 제2편(俛仰亭短歌 第二篇)/송순(宋純)
135
면앙정단가 제3편(俛仰亭短歌 第三篇)/송순(宋純)
면앙정단가 제4편(俛仰亭短歌 第四篇)/송순(宋純)
면앙정단가 제5편(俛仰亭短歌 第五篇)/송순(宋純)
면앙정단가 제6편(俛仰亭短歌 第六篇)/송순(宋純)
면앙정단가 제7편(俛仰亭短歌 第七篇)/송순(宋純)
140
면앙정잡가 제1편(俛仰亭雜歌 第一篇)/송순(宋純)
면앙정잡가 제2편(俛仰亭雜歌 第二篇)/송순(宋純)
자상특사황국옥당가(自上特賜黃菊玉堂歌)/송순(宋純)
몽견주상가(夢見主上歌)/송순(宋純)
치사가 제1편(致仕歌 第一篇)/송순(宋純)
145
치사가 제2편(致仕歌 第二篇)/송순(宋純)
치사가 제3편(致仕歌 第三篇)/송순(宋純)
면앙정가삼언(俛仰亭歌三言)/송순(宋純)
상춘가(傷春歌)/송순(宋純)
드른 말 즉시(卽時) 잇고/송인(宋寅)
150
이셩저셩하니/송인(宋寅)
한 달 셜흔 날의/송인(宋寅)
활 지어 팔에 걸고/임진(林晋)
보거든 슬뮈거나/고경명(高敬命)
청사검/고경명(高敬命)
155
부모(父母)이 생지(生之)하시니/허강(許橿)
부모(父母) 구존(俱存)하시고/이숙량(李叔樑)
옥(玉)을 옥(玉)이라커든/정철(鄭澈)
송림(松林)에 눈이 오니/정철(鄭澈)
잘 새는 나라 들고/정철(鄭澈)
160
헌작북당시월미명우역작작가(獻酌北堂時 月微明雨亦作作歌)/김성원(金成遠)
한산도가(閑山島歌)/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남아(男兒)이 세상(世上)에 나서/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십년(十年) 갈은 칼이/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말 업슨 청산(靑山)이오/성혼(成渾)
165
청산리(靑山裡) 벽계수(碧溪水)이야/황진이(黃眞伊)
내 언제 무신(無信)하여/황진이(黃眞伊)
산(山)은 옛 산(山)이로되/황진이(黃眞伊)
동짓(冬至)달 기나긴 밤을/황진이(黃眞伊)
어뎌 내 일이여/황진이(黃眞伊)
170
청산(靑山)은 내 뜻이오/황진이(黃眞伊)
반중(盤中) 조홍(早紅)감이/박인로(朴仁老)
왕상(王祥)이 리어(鯉魚) 잡고/박인로(朴仁老)
만균(萬鈞)을 늘여 내여/박인로(朴仁老)
군봉(群鳳) 모듸신 뒤/박인로(朴仁老)
175
벽해갈유(碧海渴流) 후(後)에/구용(具容)
남훈전(南薰殿) 달 밝은 밤에/김명원(金命元)
대학곡(大學曲)/고응척(高應陟)
철(鐵)을 철(鐵)이라커든/강아(江娥)
한우가(寒雨歌)/한우(寒雨)
180
이화우(梨花雨) 흩뿌릴 제/이향금(李香今)
오륜가(五倫歌) 제1수/박선장(朴善長)
철령(鐵嶺) 노픈 봉(峯)에/이항복(李恒福)
우국가 제1수(憂國歌 第一首)/이덕일(李德一)
상공(相公)을 뵈온 후(後)에/소백주(小栢舟)
185
가마귀 찬가마귀/이원익(李元翼)
공산(空山)이 적막(寂寞)한되/정충신(鄭忠信)
송도회고(松都懷古)/권겹(權韐)
꿈에 단니는 길히/이명한(李明漢)
반(半) 남아 늙었으니/이명한(李明漢)
190
새벽 비 일 갠 날의/적성군(積城君)
가노라 삼각산(三角山)아/김상헌(金尙憲)
천황 씨(天皇氏) 지으신 집을/김상헌(金尙憲)
남팔(南八)아 남아사이(男兒死耳)언졍/김상헌(金尙憲)
백사정(白沙汀) 홍료변(紅蓼邊)에/김상헌(金尙憲)
195
간밤에 불던 바람/선우협(鮮于浹)
율리유곡(栗里遺曲) 제1수(第一首)/김광욱(金光煜)
율리유곡(栗里遺曲) 제2수(第二首)/김광욱(金光煜)
소원(小園) 백초총(百草叢)에/인평대군(麟坪大君)
주인(主人)이 호사(好事)하야/인평대군(麟坪大君)
200
청석령(靑石嶺) 지나거냐/효종(孝宗)
앗가 사람 되야/효종(孝宗)
너도 형제(兄弟)로고/효종(孝宗)
뎨 가는 져 기러기/효종(孝宗)
일월(日月)도 예과 갓고/효종(孝宗)
205
장풍(長風)이 건듯 부러/효종(孝宗)
조천로(朝天路) 보믜단 말가/효종(孝宗)
청강(淸江)에 비 듯난 소래/효종(孝宗)
강호구가 제1수(江湖九歌 第一首)/나위소(羅緯素)
강호구가 제2수(江湖九歌 第二首)/나위소(羅緯素)
210
강호구가 제3수(江湖九歌 第三首), 나위소(羅緯素)
강호구가 제4수(江湖九歌 第四首)/나위소(羅緯素)
강호구가 제5수(江湖九歌 第五首)/나위소(羅緯素)
강호구가 제6수(江湖九歌 第六首)/나위소(羅緯素)
강호구가 제7수(江湖九歌 第七首)/나위소(羅緯素)
215
강호구가 제8수(江湖九歌 第八首)/나위소(羅緯素)
강호구가 제9수(江湖九歌 第九首)/나위소(羅緯素)
비 오는 날 들에 가랴/윤선도(尹善道)
연(蓮)잎에 밥 싸 두고/윤선도(尹善道)
옷 위에 서리 오되/윤선도(尹善道)
220
내 일 망령된 줄을/윤선도(尹善道)
은순(銀唇) 옥척(玉尺)이/윤선도(尹善道)
앞 내에 안개 걷고/윤선도(尹善道)
잔 들고 혼자 앉아/윤선도(尹善道)
누구셔 삼공(三公)도곤 낫다 하더니/윤선도(尹善道)
225
내 성(性)이 게으르더니/윤선도(尹善道)
강산(江山)이 좋다 한들/윤선도(尹善道)
월출산(月出山)이 높더니마는/윤선도(尹善道)
내 벗이 몇이나 하니/윤선도(尹善道)
구름 빛이 좋다 하나/윤선도(尹善道)
230
꽃은 무슨 일로/윤선도(尹善道)
더우면 꽃 피고/윤선도(尹善道)
나무도 아닌 것이/윤선도(尹善道)
작은 것이 높이 떠서/윤선도(尹善道)
엄동(嚴冬)이 지나거냐/윤선도(尹善道)
235
버렸던 가얏고를/윤선도(尹善道)
즐기기도 하려니와/윤선도(尹善道)
풋잠의 꿈을 꾸어/윤선도(尹善道)
슬프나 즐거우나/윤선도(尹善道)
추성(楸城) 진호루(鎭胡樓) 밖의/윤선도(尹善道)
240
뫼는 길고 길고/윤선도(尹善道)
어버이 그릴 줄을/윤선도(尹善道)
궂은비 갰단 말가/윤선도(尹善道)
날이 덥도다/윤선도(尹善道)
동풍(東風)이 건듯 부니/윤선도(尹善道)
245
우는 것이 뻐꾸긴가/윤선도(尹善道)
고운 볕이 쬐는데/윤선도(尹善道)
석양(夕陽)이 비켰으니/윤선도(尹善道)
방초(芳草)를 바라보며/윤선도(尹善道)
취(醉)하여 누웠다가/윤선도(尹善道)
250
낚싯줄 걷어 놓고/윤선도(尹善道)
내일(來日)이 또 없으랴/윤선도(尹善道)
궂은비 멀어 가고/윤선도(尹善道)
마른 잎이 바람나니/윤선도(尹善道)
물결이 흐리거든/윤선도(尹善道)
255
만류(萬柳) 녹음(綠陰) 어린 곳에/윤선도(尹善道)
긴 날이 저무는 줄/윤선도(尹善道)
석양(夕陽)이 좋다마는/윤선도(尹善道)
와실(蝸室)을 바라보니/윤선도(尹善道)
물외(物外)에 좋은 일이/윤선도(尹善道)
260
수국(水國)의 가을이 드니/윤선도(尹善道)
기러기 떴는 밖의/윤선도(尹善道)
흰 이슬 비켰는데/윤선도(尹善道)
건곤(乾坤)이 제고물인가/윤선도(尹善道)
송간(松間) 석실(石室)의가/윤선도(尹善道)
265
간밤의 눈 갠 후(後)에/윤선도(尹善道)
단애(丹崖) 취벽(翠壁)이/윤선도(尹善道)
닿는 말 서서 늙고/유혁연(柳赫然)
청산(靑山) 자부송(自負松)아/박태보(朴泰輔)
흉중(胸中)에 불이 나니/박태보(朴泰輔)
270
장송(長松)으로 배를 물어/김수항(金壽恒)
북두성(北斗星) 기우러지고/김수항(金壽恒)
압록강(鴨綠江) 해 진 날에/장현(張炫)
벽상(壁上)에 돋은 가지(柯枝)/이화진(李華鎭)
초당(草堂)에 깊이 든 잠을/이화진(李華鎭)
275
이곳이 어디메고/낭원군(朗原君)
달은 언제 나며/낭원군(朗原君)
이 술이 천향주(天香酒)이라/낭원군(朗原君)
천보산(天寶山) 나린 물을/낭원군(朗原君)
난하수(灤河水) 돌아드니/낭원군(朗原君)
280
석상(石上)에 백오동(自梧桐)/낭원군(朗原君)
솔아 삼긴 솔아/낭원군(朗原君)
해 져 어둡거늘/낭원군(朗原君)
어버이 날 낳으셔/낭원군(朗原君)
우리 몸 갈라 난들/낭원군(朗原君)
285
청려장(靑藜杖) 흩어지며/김상득(金尙得)
조선 시대 후기 시조
동창(東窓)이 밝았느냐/남구만(南九萬)
어제도 난취(亂醉)하고/유천군(儒川君)
추산(秋山)이 추풍(秋風)을 띄고/유천군(儒川君)
쥐 찬 솔개들아/구지정(具志禎)
290
공정(公庭)에 리퇴(吏退)하고/김성최(金盛最)
술 깨여 이러 앉아/김성최(金盛最)
자네 집의 술 익거든/김성최(金盛最)
옥(玉)이 흙에 묻혀/윤두서(尹斗緖)
전산(前山) 작야우(昨夜雨)에/신정하(申靖夏)
295
벼슬이 귀(貴)타 한들/신정하(申靖夏)
경성출(景星出) 경운흥(卿雲興)하니/김유기(金裕器)
춘풍(春風) 도리(桃李)들아/김유기(金裕器)
당우(唐虞)는 언제 시절(時節)/김유기(金裕器)
태산(泰山)에 올라 앉아/김유기(金裕器)
300
장부(丈夫)로 생겨나서/김유기(金裕器)
내 몸이 병(病)이 많아/김유기(金裕器)
불충(不忠) 불효(不孝)하고/김유기(金裕器)
검정 새 작다 하고/이택(李澤)
일각(一刻)이 삼추(三秋)라 하니/주의식(朱義植)
305
백천(百川)이 동도해(東到海)하니/주의식(朱義植)
말하면 잡류(雜類)이라 하고/주의식(朱義植)
늙고 병(病)든 몸이/주의식(朱義植)
형산(荊山)에 박옥(璞玉)을 얻어/주의식(朱義植)
인생(人生)을 헤아리니/주의식(朱義植)
310
주려 죽으려 하고/주의식(朱義植)
충신(忠臣)의 속마음을/주의식(朱義植)
당우(唐虞)도 좋거니와/주의식(朱義植)
창(窓) 밖의 동자(童子)이 와서/주의식(朱義植)
하늘이 높다 하고/주의식(朱義植)
315
인심(仁心)은 터이 되고/주의식(朱義植)
장한(張翰)이 강동(江東) 거(去)할 제/주의식(朱義植)
송단(松壇)의 선잠 깨여/김삼현(金三賢)
녹양(綠楊) 춘삼월(春三月)을/김삼현(金三賢)
늙기 설운 줄을/김삼현(金三賢)
320
공명(功名) 즐겨 마라/김삼현(金三賢)
크나큰 바위 위에/김삼현(金三賢)
내 정령(精靈) 술에 섞어/김삼현(金三賢)
언약(言約)이 늦어 가니/박희석(朴熙錫)
추수(秋水)는 천일색(天一色)이오/숙종(肅宗)
325
거문고 줄 꽂아 놓고/김창업(金昌業)
자 넘은 보라매를/김창업(金昌業)
벼슬을 저마다 하면/김창업(金昌業)
청창(晴窓)에 낮잠 깨야/이덕함(李德涵)
이쁘면 잠을 들고/이덕함(李德涵)
330
공정(公庭)에 리퇴(吏退)하고/이덕함(李德涵)
굴레 벗은 천리마(千里馬)를/김성기(金聖器)
요화(蓼花)에 잠든 백구(白鷗)/김성기(金聖器)
옥분(玉盆)에 심은 매화(梅花)/김성기(金聖器)
홍진(紅塵)을 다 떨치고/김성기(金聖器)
335
자규삼첩 제1수(子規三疊 第一首)/이유(李渘)
자규삼첩 제2수(子規三疊 第二首)/이유(李渘)
자규삼첩 제3수(子規三疊 第三首)/이유(李渘)
간밤 오든 비에/유숭(兪崇)
청계변(淸溪邊) 백사 상(白沙 上)에/유숭(兪崇)
340
대동강(大同江) 달 밝은 밤의/윤유(尹游)
청류벽(淸流碧)에 배를 매고/윤유(尹游)
내 집이 백하산중(白下山中)/윤순(尹淳)
알았노라 알았노라/이정섭(李廷燮)
세차고 크나큰 말께/이정섭(李廷燮)
345
헌 삿갓 자른 대롱이/조현명(趙顯命)
황강구곡가 제1수(黃江九曲歌 第一首)/권섭(權夑)
남은 다 자는 밤의/송이(松伊)
월황혼(月黃昏) 기약(期約)을 두고/박준한(朴俊漢)
솔이 솔이라 하니/송이(松伊)
350
설악산(雪岳山) 가는 길에/조명리(趙明履)
기러기 다 날아가고/조명리(趙明履)
해 다 저 저문 날에/조명리(趙明履)
동창(東窓)에 돋은 달이/조명리(趙明履)
청려장(靑藜杖) 흩어지며/조명리(趙明履)
355
성진(城津)에 밤이 깊고/조명리(趙明履)
영욕(榮辱)이 병행(竝行)하니/김천택(金天澤)
화함(花檻)에 월상(月上)하고/김천택(金天澤)
옷 벗어 아이 주어/김천택(金天澤)
이 잔 잡으시고/김천택(金天澤)
360
삼만육천일(三萬六千日)을/김천택(金天澤)
공명(功名)이 긔 무엇고/김천택(金天澤)
흰 구름 푸른 내는/김천택(金天澤)
춘창(春窓)에 느지 깨야/김천택(金天澤)
깨면 다시 먹고/김천택(金天澤)
365
천지(天地) 번복(飜覆)하니/김천택(金天澤)
기산(箕山)에 늙은 사람/김천택(金天澤)
고금(古今)에 어질기야/김천택(金天澤)
주문(朱門)에 벗님네야/김천택(金天澤)
인생(人生)을 헤아리니/김천택(金天澤)
370
가을밤 채 긴 적의/김천택(金天澤)
부혜(父兮) 생아(生我)하시고/김천택(金天澤)
어화 우리 임군/김천택(金天澤)
백구(白鷗)야 말 물어 보자/김천택(金天澤)
풍진(風塵)에 얽매이어/김천택(金天澤)
375
춘면(春眠)이 기성(旣成)커를/김천택(金天澤)
한 번(番) 죽은 후(後)이면/김천택(金天澤)
노화(蘆花) 깊은 곳에/김천택(金天澤)
송림(松林)에 객산(客散)하고/김천택(金天澤)
어가(漁歌) 목적(牧笛) 노래/김천택(金天澤)
380
하목(霞鶩)은 섞어 날고/김천택(金天澤)
용(龍) 같은 저 반송(盤松)아/김천택(金天澤)
녹이상제(綠駬霜蹄)은/김천택(金天澤)
새별 지고 종다리 떴네/이재(李在)
길가의 꽃이 피니/조재호(趙載浩)
385
젊어서 지낸 일을/김우규(金友奎)
청천(靑天)에 떴는 구름/김우규(金友奎)
천불생(天不生) 무록지인(無祿之人)이오/김우규(金友奎)
직녀(織女)의 오작교(烏鵲橋)를/김우규(金友奎)
평생(平生)에 원(願)하기를/이정보(李鼎輔)
390
광풍(狂風)에 떨린 이화(梨花)/이정보(李鼎輔)
동풍(東風) 어제 비에/이정보(李鼎輔)
강호(江湖)에 노는 고기/이정보(李鼎輔)
한(漢)나라 제일(第一) 공명(功名)/이정보(李鼎輔)
장주(莊周)는 호접(蝴蝶)이 되고/이정보(李鼎輔)
395
태백(太白)이 죽은 후(後)에/이정보(李鼎輔)
산가(山家)에 봄이 오니/이정보(李鼎輔)
꿈에 임을 보러/이정보(李鼎輔)
내게 칼이 있어/이정보(李鼎輔)
가인(佳人) 낙매곡(落梅曲)을/이정보(李鼎輔)
400
낙일(落日)은 서산(西山)에 저서/이정보(李鼎輔)
임고대(臨高坮) 임고대(臨高坮)하여/이정보(李鼎輔)
국화(菊花)야 너는 어이/이정보(李鼎輔)
두견(杜鵑)아 우지 마라/이정보(李鼎輔)
황천(皇天)이 부조(不弔)하니/이정보(李鼎輔)
405
임이 가오시며/이정보(李鼎輔)
사람의 백행(百行) 중(中)에/이정보(李鼎輔)
사람이 늙은 후(後)에/이정보(李鼎輔)
봄은 어떠하여/이정보(李鼎輔)
추월(秋月)이 만정(滿庭)한듸/김기성(金箕性)
410
한벽당(寒碧堂) 좋단 말 듣고/김기성(金箕性)
늙고 병(病)든 몸이/김태석(金兌錫)
본성(本性)이 허랑(虛浪)하야/김태석(金兌錫)
새별 높이 떴다/김태석(金兌錫)
오늘은 비 개거냐/김태석(金兌錫)
415
화산(花山)에 유사(有事)하야/김태석(金兌錫)
이 몸 삼긴 후(後)에/김수장(金壽長)
부혜(父兮)여 날 낳으시니/김수장(金壽長)
부모(父母) 살아신 제/김수장(金壽長)
요순(堯舜)은 어떠하야/김수장(金壽長)
420
상주(商紂)이 죽다 하고/김수장(金壽長)
초암(草庵)이 적막(寂寞)한듸/김수장(金壽長)
봄비 갠 아침에/김수장(金壽長)
경회루(景會樓) 만주송(萬株松)이/김수장(金壽長)
임고대(臨高坮) 하다 하고/김수장(金壽長)
425
천랑(天郞) 기청(氣淸)하고/김수장(金壽長)
인간(人間)이 꿈인 줄을/김수장(金壽長)
녹양(綠楊)도 좋거니와/김수장(金壽長)
공명(功名) 눈 뜨지 말며/김수장(金壽長)
검으면 희다 하고/김수장(金壽長)
430
단풍(丹楓)은 연홍(軟紅)이오/김수장(金壽長)
천지(天地)는 부모(父母)여다/김수장(金壽長)
한식(寒食) 비 갠 날에/김수장(金壽長)
보리밥 문 준치에/김수장(金壽長)
먹으나 못 먹으나/김수장(金壽長)
435
호화(豪華)도 거짓 것이오/김수장(金壽長)
공명(功名)도 좋아 하나/김수장(金壽長)
청운(靑雲)은 네 조화도/김수장(金壽長)
삼군(三軍)을 연융(鍊戎)하여/김수장(金壽長)
한중(閑中)에 홀로 앉아/김중열(金重說)
440
구룡소(九龍溯) 맑은 물에/김중열(金重說)
임호(臨湖)에 배를 띄워/김중열(金重說)
청랭포(淸冷浦) 달 밝은 밤의/문수빈(文守彬)
청천(靑天)에 떴는 구름/김진태(金振泰)
세월(歲月)이 여류(如流)하니/김진태(金振泰)
445
신선(神仙)이 있단 말이/김진태(金振泰)
장공(長空)에 떴는 솔개가/김진태(金振泰)
냇가의 섰는 버들/김진태(金振泰)
춘풍(淸風)이 습습(習習)하니/김진태(金振泰)
세상(世上) 사람들아/박문욱(朴文郁)
450
석양(夕陽)에 매를 밧고/박문욱(朴文郁)
알고 늙었는가/박문욱(朴文郁)
조문도(朝聞道) 석사(夕死)이/박문욱(朴文郁)
난이 언제런지/박문욱(朴文郁)
금곡(金牿) 옥색(玉索)으로/유세신(庾世信)
455
여위고 병(病)든 말을/유세신(庾世信)
밤마다 등촉하(燈燭下)에/유세신(庾世信)
양광(佯狂) 양취(佯醉)하니/유세신(庾世信)
백화산(白華山) 들어가서/유세신(庾世信)
어화 저 늙은이/유세신(庾世信)
460
님의게서 오신 편지(片紙)/유세신(庾世信)2
천운(天運) 순환(循環)하야/김묵수(金黙壽)
촉루검(蜀鏤劒) 드는 칼 들고/김묵수(金黙壽)
촉제(蜀帝)의 죽은 혼(魂)이/김묵수(金黙壽)
낙엽성(落葉聲) 찬바람의/김묵수(金黙壽)
465
매화(梅花) 옛 등걸에/매화(梅花)
청춘(靑春)은 언제 가면/계섬(桂蟾)
누은들 잠이 오며/탁주한(卓柱漢)
서산의 도들볏 셔고/위백규(魏伯珪)
아이 없는 깊은 골에/조윤형(曺允亨)
470
임과 나와 다 늙었으니/박도순(朴道淳)
늙기 설운 것이/박도순(朴道淳)
기러기 우는 밤에/강강월(康江月)
천리(千里)에 만났다가/강강월(康江月)
시시(時時) 생각(生覺)하니/강강월(康江月)
475
한양(漢陽)서 떠 온 나비/강강월(康江月)
임이 가신 후(後)에/강강월(康江月)
꾀꼬리 날렸을라/박희석(朴熙錫)
홍료화(紅蓼花) 베어 내어/박희석(朴熙錫)
매화사 제1수(梅花詞 第一首)/안민영(安玟英)
480
공산(空山)에 우는 접동/박효관(朴孝寬)
사행시조 제1수(使行時調 第一首)/이세보(李世輔)
그믐에 지는 달도 십오야에 다시 밝고/나지성(羅志成)
뉘라서 날 늙다 하는고/이중집(李仲集)
압 못셰 든 고기들아/조선 궁녀(宮女)
485
연명(淵明) 귀거래사(歸去來辭) 짓고/작자 미상
청총마(靑驄馬) 여윈 후(後)니/작자 미상
나라이 태평(太平)이라/작자 미상
어제 감든 마리/작자 미상
입아 초(楚) 사람들아/작자 미상
490
오늘이 오늘이쇼셔/작자 미상
덕(德)으로 밴 일 업고/작자 미상
진회(秦檜)가 업듯던들/작자 미상
흐리 누거 괴오시든/작자 미상
진회(秦淮)에 배을 매고/작자 미상
495
아쟈 내 황모(黃毛) 시필(試筆) 먹을 무쳐/작자 미상
금오(金烏) 옥토(玉兎)드라/작자 미상
올나 올나이다/작자 미상
뒷 뫼헤 새 다 긋고/작자 미상
한슘은 바람이 되고/작자 미상
500
『발해 시선』
발해 시대 시와 문 63수
발해 시대 고대시 57수
오언춘일시연차망해응조(五言春日侍宴次望海應詔)/고사렴 원작
동일연우서자각부일자득색(冬日宴于庶子各賦一字得色)/봉행고 원작
회일연고씨임정(晦日宴高氏林亭)/고교 원작
회일중연(晦日重宴)/고교 원작
삼월삼일연왕명부산정(三月三日宴王明府山亭)/고근 원작
5
회일연고씨임정(晦日宴高氏林亭)/고근 원작
회일중연(晦日重宴)/고근 원작
상원야효소유풍(上元夜效小庾僼)/고근 원작
백저가(白著歌)/고운 원작
삼오칠언체시(三五七言體詩)/고매 원작
10
봉화기조신공영설시(奉和紀朝臣公詠雪詩)/양태사 원작
야청도의성(夜聽擣衣聲)/양태사 원작
제야작(除夜作)/고적 원작
원일(元日)/고적 원작
영주가(營州歌)/고적 원작
15
별동대 2수(別蕫大 二首)/고적 원작
공봉대덕령선화상시병서 게송(供奉大德靈仙和尙詩並序 偈頌)/석정소 원작
공봉대덕령선화상시 병서(供奉大德靈仙和尙詩 幷序)/석정소 원작
봉칙배내연(奉勅陪內宴)/왕효렴 원작
20
종출운주서정기양개칙사(從出雲州書情寄兩箇勅使/왕효렴 원작
재변정부득산화희기양개영객사병자삼(在邊亭賦得山花戱寄兩箇領客使幷滋三)/왕효렴 원작
춘일대우득정자(春日對雨得情字)/왕효렴 원작
화판령객대월사향견증지작(和坂領客對月思鄕見贈之作)/왕효렴 원작
칠일금중배연(七日禁中陪宴)/석인정 원작
25
간지거진상 전이구(簡知擧陳商 前二句)/고원유 원작
간지거진상 후이구(簡知擧陳商 後二句)/고원유 원작
위호주군졸일여동년이대속시주창수이질조환급유작차시(爲湖州軍倅日與同年李大誎詩酒唱酬以疾阻歡及愈作此詩)/봉특경 원작
30
이별난(離別難)/봉특경 원작
춘색만황주(春色滿皇州)/봉오 원작
제서은사(題西隱寺)/봉오 원작
화이상서명기전최시어(和李尙書命妓餞崔侍御)/봉언경 원작
화설봉증별(和薛逢贈別)/고거 원작
35
구(句)/고거 원작
증별시(贈別詩)―고운편(孤雲篇) 1수/고운 원작
송최치원서유장환(送崔致遠西遊將還)―고운편(孤雲篇) 2수/고운 원작
견흥(遣興)/고병 원작
40
사회 2수(寫懷 二首)/고병 원작
기호두이수양처사(寄鄠杜李遂良處士)/고병 원작
대화정막중(對花呈幕中)/고병 원작
과천위경(過天威徑)/고병 원작
45
금성사망(錦城寫望)/고병 원작
새상곡 2수(塞上曲 二首)/고병 원작
변방춘흥(邊方春興)/고병 원작
대설(對雪)/고병 원작
50
풍쟁(風箏)/고병 원작
산정하일(山亭夏日)/고병 원작
보허사(步虛詞)/고병 원작
방은자불우(訪隱者不遇)/고병 원작
술회(述懷)/이우 원작
55
환단구결(還丹口訣)/이현광 원작
환단가(還丹歌)/이현광 원작
57
발해 시대 고대문
발해사 목간(渤海使 木簡)/작자 미상
견고려사 목간(遣高麗使 木簡)/작자 미상
정혜공주비 명문(貞惠公主碑 銘文)/작자 미상
60
정효공주묘 명문(貞孝公主墓 銘文)/작자 미상
발해상경불비상 명문(渤海上京佛碑像銘文)/작자 미상
발해통보 금화 명문(渤海通寶金貨銘文)/작자 미상
63
『신라 시선』
신라 시대 고대시 28수
울주 천전리 각석 명문/갈문왕 김입종
신라 진흥왕 순수비 북한산비/진흥왕
송사다함가/미실
청조가/김사다함
신라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비/진흥왕
5
임신서기석 이인병서기/신라인 학도 이인
서동요/서동
비형랑주사/작자 미상
혜성가/융천
풍요/양지
10
지귀주사/모 술사
치당태평송/진덕여왕
몰부가(沒斧歌)/원효
대승기신론소 게송/원효
미타증성가―제1게송/원효
15
미타증성가―제2게송/원효
미타증성가―제3게송/원효
오도송/원효
법계도/의상
오관석/표훈
20
동경(東京)/작자 미상
안압지 주령구 명문(雁鴨池酒令具銘文)/작자 미상
반속요/설요
장모게/사복
인심(仁心)은 터가 되고/설총
25
신라승 게송(新羅僧偈頌)/신라승
태을산인 2구(太乙山人路次雲際寺二句)/박앙
28
신라 시대 고대문 51편
포항 중성리 신라비/작자 미상
영일 냉수리 신라비/작자 미상
30
천전리 각석 계사명/작자 미상
울진 봉평 신라비/작자 미상
천전리 서석 을묘명/안급 외
성류굴 석각 명문/작자 미상
천전리 서석 계해명/능지소사
35
천전리 서석 을축명/피진간지
단양 적성비/진흥왕
경주 명활산성 작성비/원흔리 아척
경주 황룡사지 신수문동경 명문/작자 미상
경주 명활산성비/작자 미상
40
진흥왕 척경비 창녕비/진흥왕
계미명 금동 삼존불입상/조보화
진흥왕 순수비 마운령비/진흥왕
대구 무술명 오작비/일리혜 일척
경주 남산 신성비 제1비/작자 미상
45
경주 남산 신성비 제2비/작자 미상
경주 남산 신성비 제3비/작자 미상
경주 남산 신성비 제4비/작자 미상
경주 남산 신성비 제5비/작자 미상
경주 남산 신성비 제6비/작자 미상
50
경주 남산 신성비 제7비/작자 미상
경주 남산 신성비 제8비/작자 미상
경주 남산 신성비 제9비/작자 미상
경주 남산 신성비 제10비/작자 미상
영주 순흥 어숙묘 명문/작자 미상
55
영주 순흥 벽화 묵서 명문/작자 미상
신선사 마애불상군 석각/작자 미상
경주 태종무열왕릉 비편/작자 미상
수력지명 각석편/작자 미상
신라경와편/작자 미상
60
천전리 서석 상원 2년명/작자 미상
청주 운천동 신라사적비/작자 미상
아도비/작자 미상
경산 임당동 고비/작자 미상
천전리 서석 신해명 기타 명문/주배랑
65
천전리 서석 을묘명 기타 명문/작자 미상
천전리 서석 계해명 기타 명문/작자 미상
천전리 서석 임오명 기타 명문/작자 미상
천전리 서석 을미명 기타 명문/도안혜
천전리 서석 정유명 기타 명문/작자 미상
70
천전리 서석 신해명 기타 명문/예웅
천전리 서석 술년명 기타 명문/영랑
천전리 서석 을사명 기타 명문/아랑•도부지
천전리 서석 기명 기타 명문/김자랑•부수랑
천전리 서석 마멸 기타 명문/사부지
75
함안 성산산성 사면 묵서 목간(咸安城山山城四面墨書木簡)/작자 미상
경산 소월리 토지 문서 목간(慶山所月里土地文書木簡)/작자 미상
이성산성 무진년명 목간(二聖山城戊辰年銘木簡)/작자 미상
제천 점말동굴 각석 명문/작자 실명 또는 미상
통일 신라 시대 고대시 248수
계유명 삼존천불비상 명문/미차내 외 화랑도 250명
80
계유명 전 씨 아미타불 비상 명문/전 씨, 술황우, 이혜개
원왕생가/광덕
경주 문무왕릉비/작자 미상
금강삼매경론 제1게송/원효
금강삼매경론 제12게송/원효
85
회소곡/원효
귀경송/명효
해인삼매론 게송/명효
회향송/명효
법계도기총수록 게송 1/의상
90
법계도기총수록 게송 2/의상
모죽지랑가/득오
울주 천전리 영랑 각문/화랑 영랑
영랑 명석구/화랑 영랑
해가/작자 미상
95
헌화가/견우 노옹
왕오천축국전 제1게송/혜초
왕오천축국전 제2게송/혜초
왕오천축국전 제3게송/혜초
왕오천축국전 제4게송/혜초
100
왕오천축국전 제5게송/혜초
원가/신충
보살계본종요 게송/태현
도솔가/월명사
제망매가/월명사
105
찬기파랑가/충담
안민가/충담
성덕대왕신종 명문/김필오
사부시/부설
팔죽시/부설
110
오도송/부설
열반송/부설
양진게/영희․영조․부설
1. 영희게/영희
2. 영조게/영조
3. 부설게/부설
115
영암 정원명 석비/작자 미상
수혜미시(酬惠米詩)/김지장
우적가/영재
송동자하산/김지장
도천수관음가/희명 여인
120
경주 석장사지 출토 탑상문전명(慶州錫杖寺址塔像紋塼銘)/작자 미상
선림원종 명문/작자 미상
백률사 석당기―이차돈 순교비/작자 미상
추야망월(秋夜望月)/김입지
현산사완월(峽山寺翫月)/김입지
125
증청용사승(贈靑龍寺僧)/김입지
숙풍덕사(宿豊德寺)/김입지
증승(贈僧)/김입지
추석(秋夕)/김입지
조춘(早春)/김입지
130
간자가/심지
진루선/김운경
과해연구(過海聯句)―전연구(前聯句)/고려사
과해연구(過海聯句)―전후연구(前後聯句)/고려사가도
조춘/김입지
135
제유선사/김가기
사설봉화상(辭雪峰和尙)/도윤(道允)
곡성 대안사 적인선사탑비 명문/극일
우흥/최치원
접시꽃/최치원
140
고의/최치원
장안의 여사에서 이웃에 거하는 우신미 장관에게 주다/최치원
운문 난야의 지광 상인에게 주다/최치원
운봉사에 제하다/최치원
당성에 나그네로 노닐면서 선왕의 악관에게 주다/최치원
145
바다에 배를 띄우고/최치원
여지도에 제하다/최치원
고소대/최치원
벽송정/최치원
호원 상인에게 부치다/최치원
150
희랑 화상에게 증정하다/최치원
순응 화상에 대한 찬/최치원
대화엄종 불국사의 아미타불상에 대한 찬 병서/최치원
이정 화상에 대한 찬/최치원
좌주 상서가 난을 피하며 유양에 들러 보여 준 절구 세 수에 화운하다/최치원
155
귀연음을 지어서 태위에게 바치다/최치원
행차산양속몽/최치원
초주 장 상서가 수곽에서 영접하기에 시를 지어 사례하다/최치원
오만 수재의 석별 시에 답한 절구 두 수/최치원
석봉/최치원
160
조수 물결/최치원
바닷가 모래톱/최치원
바다 갈매기/최치원
우인이 제야에 보낸 시에 화운하다/최치원
바닷가를 한가로이 거닐며/최치원
165
김 원외가 참산의 청 상인에게 준 시에 화운하다/최치원
해문의 난야에 있는 버들을 읊다/최치원
산꼭대기의 아슬아슬한 바윗돌/최치원
바위 위의 작은 소나무/최치원
단풍나무/최치원
170
바위 위에 흐르는 샘물/최치원
해동으로 돌아올 즈음에 참산의 봄 경치를 바라보며/최치원
합천 홍류동 석각―전 최치원 석각/최치원
등윤주자화사상방/최치원
송오진사만귀강남/최치원
175
추일재경우이현기이장관/최치원
춘효우서/최치원
모춘즉사화고운우사/최치원
진정상태위/최치원
화장진사교촌거병중견기교자송년/최치원
180
수양섬수재/최치원
야소/최치원
추야우중/최치원
우정야우/최치원
도중작/최치원
185
요주파양정/최치원
산양여향우화별/최치원
제우강역정/최치원
춘일요지우불지인기절구/최치원
유별서경김소윤준/최치원
190
증금천사주/최치원
증재곡란약독거승/최치원
황산강임경대/최치원
제가야산독서당/최치원
진달래꽃/최치원
195
류별녀도사/최치원
수진사양섬송별/최치원
화우인제야견기/최치원
봄바람/최치원
해변춘망/최치원
200
춘효한망/최치원
화엄불국사 수석가여래상번찬 병서/최치원
가야산 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둔세시」(遁世詩)/최치원
연주에서 이원외에게 보내는 헌시(兗州留獻李員外)/최치원
자화산에 오르다(登慈和山)/최치원
205
장안의 버드나무(長安柳)/최치원
낙양에서 벗에게 보내는 증시(留贈洛中友人)/최치원
동생 엄부를 집으로 보내며(送舍第嚴府)/최치원
봄날(春日)/최치원
진사 전인의에게(成名後酬進士田仁義見贈)/최치원
210
강물 위에서 봄을 생각하며(江上春懷)/최치원
강남여/최치원
병기(兵機)/최치원
필법(筆法)/최치원
성잠(性箴)/최치원
215
설영(雪詠)/최치원
사조(射鵰)/최치원
안화(安化)/최치원
연병(練兵)/최치원
반계(磻溪)/최치원
220
진성(秦城)/최치원
사호(射虎)/최치원
생사(生祠)/최치원
사편(射鞭)/최치원
안남(安南)/최치원
225
천위경(天威徑)/최치원
작구경(岝口徑)/최치원
수성비(收城碑)/최치원
집금오(執金吾)/최치원
천평(天平)/최치원
230
조어정(釣魚亭)/최치원
상인(相印)/최치원
서천(西川)/최치원
평만(平蠻)/최치원
축성(築城)/최치원
235
형남(荊南)/최치원
조운(漕運)/최치원
절서(浙西)/최치원
항구(降寇)/최치원
회남(淮南)/최치원
240
조상청(朝上淸)/최치원
진정(陳情)/최치원
처용가/처용
처용가(處容歌)/이익 실전작
환동국(還東國)/최치원
245
증별시(贈別詩)―고운편(孤雲篇) 1수/고운
송최치원서유장환(送崔致遠西遊將還)―고운편(孤雲篇) 2수/고운
248
향악잡영/최치원
교거정지기/최광유
노사/최광유
255
송향인급제환국/최광유
상산로작/최광유
세우/최광유
어구/최광유
억강남리처사거/최광유
260
장안춘일유감/최광유
정매/최광유
조행/최광유
처용가(處容歌)/처용
진감선사비명/최치원
265
분원시/왕거인
낭혜화상비명/최치원
지증대사비명/최치원
경호/최승우
관중송진책선배부빈주막/최승우
270
독요경운전/최승우
별/최승우
송조진사송입나부/최승우
억강서구유인기지기/최승우
업하화리수재여경/최승우
275
증설잡단/최승우
춘일송위대위자서천제회남/최승우
헌신제중서이사인/최승우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추명/작자 미상
해인사 운양대 길상탑기/최치원
280
오대산사 길상탑사·곡치군/승 훈
숭복사비명/최치원
강행정장준수재/박인범
경주용삭사각겸간운서상인/박인범
구성궁회고/박인범
285
기향암산예상인/박인범
마외회고/박인범
상은원외/박인범
상풍원외/박인범
송엄상인귀건축국/박인범
290
조추서정/박인범
증전교서/박인범
범일국사영찬/박인범
무애지국사영찬/박인범
구룡폭포(九龍瀑布)/최치원
295
공산성(公山城)/최치원
해인사 선안주원 벽기 절구삼수(海印寺善安住院壁記絶句三首)/최치원
299
지리산(智異山)—8수/최치원
307
신라고경명문(新羅古鏡銘文)/신라의 사신 최치원
지리산(智異山)―제9수/최치원
산승에게(贈山僧)/최치원
310
천학(天鶴)/최치원
새벽의 노래(詠曉)/최치원
꿈에 쓰다(夢中作)/최치원
계림요(鷄林謠)/최치원
천태지게/경명왕
315
번화곡/경애왕
경주 안압지 우욕가 목간/작자 미상
인제 가면 언제 오나(麟蹄歌)/마의태자
화려천화상송(和麗天和尙頌)/영조
만신가/작자 미상
320
야증악관(夜贈樂官)/최고운
여행에서 만난 벗(亂後旅中遇友人)/최치원
변하의 옛 생각(汴河懷古)/최치원
신축년 진사 오첨에게 보내다(辛丑年寄進士吳瞻)/최치원
율수 최소부에게 보내는 증시(贈凓水崔少府)/최치원
325
이전 장관의 겨울날 산사 방문 화답시(和李展長官冬日遊山寺)/최치원
재헌계(再獻啓)/최치원
327
통일 신라 시대 고대문 15편
천전리 서석 상원 4년명/작자 미상
천남생 묘지명/왕덕진
부여융 묘지명/작자 미상
330
고현 묘지명/작자 미상
천헌성 묘지명/양유충
고자 묘지명/작자 미상
천남산 묘지명/작자 미상
흑치준 묘지명/작자 미상
335
순장군 공덕비/곽겸광
천비 묘지명/천은
천전리 서석 병술명 기타 명문/관랑
천전리 서석 병신명 기타 명문/도곡형
고진 묘지명/양경
340
사천 선진리 신라비/작자 미상
천전리 서석 개성 3년명/작자 미상
342
『발라의 아침—나종혁 시집』
시 100수
금물결
기쁜 들 슬픈 들
길에서
들판
마음결
5
반가움
반들반들
반밤
발라의 아침
샛별
10
세상살이
시름에 겨우면 무엇을 할까
실안개
‘아리랑’ 소고(小考)
숨바꼭질
15
어느 섬의 이슬
언덕바지
엇길
여트막이
옛말
20
오름길
올망졸망
옹고집
이어짓기
잎샘추위
25
잿길
잿마루
조각달
조각말
조각배
30
조각하늘
춥니 덥니
하슬라(何瑟羅)의 여름
해들해들
해뜩발긋해라
35
해밝은 들녘
해족해족
햇귀
허허둥둥
허허바다
40
허허벌판
희읍스름해라
가버린 너
강과 산
개망신
45
겪음에 대하여
군상(群像)
금시초문(今時初聞)
나누기
남쪽 나라
50
노인의 미학
도리
떠났어도
머나먼 곳에
목적지
55
무감정
버려진 도시
벽을 보고 서 있었다
벽의 논리
복숭아나무와 배나무
60
복잡한 출로(出路)
빠른 세월 가는 세월
사랑
세월이 가는 대로
슬픈 대나무 1
65
슬픈 대나무 2
아쉬움
안타까움
야화(夜花)
어느 속기사의 하루
70
에스피오나지
역사의 현장
영원한 안녕
영혼의 별 2
오해 1−과거의 기억
75
오해 2−현재의 기억
외로운 학
우리가 1
우리가 2
우리가 3
80
원통한가요
반향(反響)
은인의 꿈과 바람
은인(隱人)의 말로
이별 3
85
이별 4
이심전심
인간을 바라보는 몇 가지 시각
잊을 게, 잊지 않을 게
정령(精靈)
90
존중(尊重)
천년의 기둥
출국 금지
하나의 인생
행군
95
현실
환상
회포(懷抱)
송인(送人)/정지상(鄭知常)
11월 일지(2022년)
100
시론 4편
고구려 시대의 시문학
백제 시대의 시문학
신라 시대와 통일 신라 시대의 시문학
발해 시대의 시문학
* 나종혁 출판예술문화 후원금을 모금합니다. 출판예술인 나종혁의 후원금은 금액에 관계없이 후원이 가능합니다. 후원금 계좌 국민은행 012-21-0653-488 (예금주 나종혁), 우체국 100073-02-217008 (예금주 나종혁). 많은 후원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