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5주차의 핵심 내용 요약하기, 소감 및 적용 점 기록하기
<핵심내용>
아이들은 기다려주고 격려해줘야하는 존재이다.
옳은게 먼저가 아니라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존중하며 기다려줘야한다.
부모와 교사가 아이들을 행복한 사람으로 만들어줘야한다.
청소년기의 행동을 교정하는대신 공감해주고 지지해줘야한다. 안정애착 가질 수 있다.
긍정성향의 부모는 과정을 살피고 원인을 찾아 감정을 공감해준다. 숨은 욕구찾기
자존감을 높이는 말을 사용해라(감사, 존중, 배려, 공감언어)
미러링- 너의 생각은 ~하다는 뜻이지?, 내 말 맞니?, 내가 잘 이해했니?
나 전달법- 어제도 지각했는데(사실) 오늘도 지각할까봐(영향) 불안해져(감정)
<소감및 적용점>
보육을 하면서도 기다려주는 것이 항상 어려운 일 같다.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주고 응원해주고 존중해주는것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꼈고 나도 그렇게 아이들을 대하려고 노력해야겠다.
나 전달법은 평소에도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미러링은 해보지 못해 친구들과의 대화에서도 사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2. 미러링과 정서적반영하기, 나전달법 실천하고 일화기록하기
실천 대상은 자녀 또는 배우자, 동료 등.
1) 대화 중에 미러링과 정서적 반영해 주기
시우가 지금 옷을 혼자서 벗기 힘들어서 울고 있는 거지? 맞지? 선생님이 도와줄게 걱정마
2) 나 전달법으로 대화하기 (상대가 나를 불편하게 한 상황을 포착하여 진행)
주방을 청소해도 금방 더러워지는데 또 더러워질 까봐 걱정돼. 깨끗하게 주방을 사용했으면 좋겠어
<동영상>
영상제목: 공감, 인간관계의 뿌리
핵심내용:
꼬마 교사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을 함.
마음읽기: 상대방의 생각과 감정을 무의식으로 알아차리는 것 (18개월정도만 되도 할 수 있음)
아기들은 아직 공감능력은 부족함. 24개월 쯤에 자기를 인식할 수 있음 공격성을 띄며 공감능력이 생기기 시작함
놀이의 발달 단계
2세 평행놀이: 친구의 행동을 관찰만 하고 함께 놀지는 앉는다.
3세 연합놀이: 친구에게 관심을 가지고 함께 놀려고 한다.
4세 협돌놀이: 공동 목표를 위해 역할을 분담하고 리더가 존재한다.
청소년기에서 마음읽기 잘 되는 친구들이 인기 있는 아이 (가해자, 방어집단)
공감하기 시작하면 공격성 줄고 배려심이 생김
소감및 적용점:
공감의 뿌리 수업을 하는 것이 인상이 깊었다. 꼬마 교사의 마음을 헤아리고 어떤 감정을 갖고 있을지 추측해보는 마음 읽기는 아이들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라고 생각하였고 나도 그걸 수업에 적용시켜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