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서지
권수제판심제간종간행년권책행자규격어미소장처소장도서번호총간집수
정헌선생문집(定軒先生文集) |
정헌선생문집(定軒先生文集) |
목판본(木版本) |
1900년 간행 |
18권 9책 |
10행 20자 |
19.9×16.5(cm) |
上下二葉花紋魚尾 |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
D3B-933 |
한국문집총간 속 122 |
저자
성명생년몰년자호본관특기사항
이종상(李鍾祥) |
1799년(정조 23) |
1870년(고종 7) |
종약(宗躍), 숙여(淑汝) |
정헌(定軒), 습비(習比) |
여주(驪州) |
이원조(李源祚), 유치호(柳致皜), 허전(許傳), 윤종호(尹宗鎬) 등과 교유 |
편찬및간행
현전하는 문집에서 저자의 문집 간행과 관련한 내용은 年譜 말미에 있는 李晩胤(1834~1906)의 後記를 통해 대략 알 수 있는 정도이다. 이에 의하면 저자의 시문은 사후 30년이 지난 1899년 겨울 慶州 지역의 士類들에 의해 문집의 편간이 논의되었는데 문집과 함께 저자의 저술인 「易學蠡酌」도 이때 편간되었다. 한편, 저자의 從子 李在齡이 저자의 행적을 수집하여 저자의 문인이자 사위인 이만윤에게 연보를 부탁하였다. 이 연보가 문집에 편차된 뒤 1900년 경주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초간본》 이 본은 현재 성균관대학교 존경각(D3B-933), 국립중앙도서관(한46-가916), 장서각(D3B-439),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D1- A378),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811.98/이종상/정)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慶州 士林들이 1900년에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으로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장본이다.
年譜(李晩胤 撰) 등에 의함
구성과내용
본집은 18권 9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總目이 있다.
권15는 記(5), 跋(16), 上樑文(2), 祝文(8), 祭文(12), 碑(3)이다. 기 가운데 〈影光臺記〉는 慶州 影光臺에 대한 것이며, 〈木川東軒記〉는 개수된 木川의 東軒에 대해 족형을 대신하여 쓴 것이다. 〈孔巖書堂重修記〉는 재종조 李憲銓이 만년에 세웠던 孔巖書堂을 중수할 때 지은 것이다. 〈柏谷齋記〉는 李光軫이 지은 今是堂 옆에 그의 5세손 李之運을 기려 세운 柏谷齋에 대한 것이다. 〈毋欺軒記〉는 李鳳休의 毋欺軒에 대한 것이다. 발은 韓哲沖의 「夢溪遺稿」, 孫英濟의 「鄒川集」, 許稠, 許詡, 許慥 삼대의 시문 및 행적을 합편한 「琴湖世稿」, 李宜潤의 「無忝堂集」, 蔡先見의 「兩傳軒集」, 金沔의 행적을 편집한 「松菴遺事」, 배신의 「낙천집」, 盧垓의 「菊潭集」, 金始鑌의 「白南集」, 南九明의 「寓菴集」, 柳宜健의 「花溪集」, 외조부 南景羲의 「癡菴集」, 친구 남고가 저자와 1834년 무렵에 문답한 내용을 정리한 「金蘭錄」, 남고의 〈柳柳州非國語辨〉, 南廷煥이 새로 裝幀한 「朱書節要」에 쓴 것이다. 상량문은 道東書院의 門樓를 중수할 때 지은 것과 甘谷祠에 대한 것이다. 축문은 1849년 飛龍山에 지은 祈雨文, 1862년 성황당에 지은 기우문, 金時習의 영정을 改模한 뒤 봉안할 때 지은 것, 曺好益에게 시호가 내려질 때 지은 告由文, 崔震立의 신주를 고쳐 쓸 때 지은 것, 慕賢祠에 李從允을 봉안할 때 지은 것, 權士諤에게 焚黃할 때 지은 것 등이다. 제문은 선조 李彦迪, 이현일, 崔瑋, 表叔 柳道秉, 柳道鳳, 孫星壽, 부인 廣州李氏, 족형 李泰祥, 족질 李在直과 李在億에 대한 것 및 1864년 屛山書院에 賜額할 때 지은 致祭文이다. 비는 昔脫解가 탄강했다는 곳의 遺墟碑, 徐愈에 대한 신도비, 星州의 龍頭亭에 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