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폴리스티렌, Polystyrene
Polystyrene의 용도별 일본의 수요는, 전술의 표4에 나타낸 것처럼, 40% 이상이 식품 포장용도로 되어 있고, 이 경향은 2010년대부터 계속되고 있다. 일본 스티렌 공업회의 통계를 보면, 2023년 년간 생산량은 563.9천톤(전년 대비 -14%), 일본 출하는 555.4천톤(전년 대비 -7%)으로 되어 있고, 모두 전년을 하회하고 있다. 내역을 보면, 포장용은 258.7천톤(전년 대비 -6%)인데, 유산균 분야만 증가하고 있다. 잡화, 산업용은 75.2천톤(전년 대비 -10%), 스티로폼용은 162.7천톤(전낸 대비 -5%), PSP, 보드 분야 공히 전년 대비 마이너스였다. 전기, 공업용은 58.8천톤(전년 대비 -13%), 기록 미디어만 전년 동일 수준이었고, 그 외 생활가전, 사무기기는 전년대비 마이너스였다. 수입량은 약 400천톤으고 전년 대비 약 1.5배 중가 하였고, 일본 국내 출하 감소의 한가지 원인으로 되어 있다.
1.4 ABS 수지
ABS 수지 공업회의 통계로부터 최근의 ABS 수지의 출하량 추이를 추출하여 나타내었다(표8). 2020년에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등의 영향으로 저하한 ABS 출하량은 2021년에 회복하였고, 2022년, 2023년 낮은 상태의 경향으로 되어 있다. 그 중에 내후(耐候) 용도만 순조로운 출하량을 계속 나타내고 있다.
표9 ABS 수지의 출하 실적 추이
ABS 수지 출하실적 (단위: 톤, %)
| 국내용 | 수출용 | 출하 합계 |
| 수량 | 전년대비 | 수량 | 전년대비 | 수량 | 전년대비 |
2020년 | 197,409 | 84.3% | 97,967 | 90.6% | 295,376 | 86.3% |
2021년 | 218,842 | 111% | 107,392 | 110% | 326,234 | 110% |
2022년 | 199,331 | 91.1% | 83,499 | 77.8% | 282,830 | 86.7% |
2023년 상반기 | 98,060 | 97.1% | 32,294 | 75.6% | 130,354 | 90.7% |
ABS 수지 일본 내 용도별 출하 실적 (단위: 톤)
| 내후용 | 차량용 | 전기 기구 | 일반 기기 | 건재 주택 부품 | 잡화 | 기타 |
2020년 | 45,517 | 83,865 | 23,430 | 18,744 | 18,975 | 46,040 | 6,355 |
2021년 | 52,279 | 88,446 | 24,406 | 20,338 | 21,345 | 56,783 | 7,524 |
2022년 | 61,108 | 81,337 | 22,544 | 17,542 | 19,903 | 50,133 | 7,872 |
2023년 상반기 | 29,926 | 42,772 | 9,647 | 8,278 | 9,107 | 24,531 | 3,725 |
1.5 염화비닐(PVC) 수지
염화비닐 공업, 환경협회의 총계로부터, 2022~2023년의 염화비닐의 생산, 출하량을 추출하였다(표9). 국내 생산량은, 2년 모두 160만톤 이상으로 되어 있는데, 출하량은 2023년에 전년 대비 6% 감소하였다. 이것을 수출량의 14% 증가로 보충하여, 총 출하량을 전년 대비 2% 증가하여, 기말 재고의 증량을 억제하도록 한 결과를 나았다.
표9 염화비닐 수지의 생산 출하 실적
(단위: 1,000톤, %)
항목 | 2022년 | 2023년 | 전년 대비(%) |
생산량 | 1,483 | 1,496 | 100.9 |
출하 내역 | 486 | 452 | 92.9 | 92.9 |
222 | 214 | 96.4 | 96.4 |
222 | 213 | 95.5 | 95.4 |
국내 출하 합계 | 931 | 879 | 94.4 |
수출 | 540 | 619 | 114.6 |
출하 총계 | 1,471 | 1,498 | 101.8 |
기말재고 | 148 | 146 | 99.0 |
1.6 메타크릴(methacrylate) 수지
석유화학 공업협회의 통계로부터, 2023년 methacrylate 수지의 생산, 출하량을 추출하였다(표10). 일본 출하량은, 압출판, 주형판에서 약 2만톤(전년 대비 1% 감소), 성형 재료에서 약 6만톤(전년 대비 5% 증가)이고, 생산량의 약간의 감소를 수출량 감소로 보충한 도식이다.
표10 Methacrylate 수지의 생산 출하 실적
(단위: 톤, %)
| 압출판, 주형판 | 성형 재료 |
생산 | 출하 | 재고 | 생산 | 출하 | 재고 |
국내 | 수출 | 계 | 국내 | 수출 | 계 |
2023년 년간 | 22,378 | 20,930 | 661 | 21,591 | 4,085 | 92,935 | 58,682 | 30,342 | 89,024 | 16,507 |
전년비 | (▲0) | (▲1) | (▲21) | (▲2) | (+24) | (▲5) | (+5) | (▲11) | (▲1)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