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실업급여 자격조건과 모의계산해 보기?
실업급여가 근로자에게 제공되는 구직활동 지원금이라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업급여의 조건과 수급자격이 정확히 어떻게 되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실업급여는 고용노동부의 고용보험에서 주관하는 근로자 복지제도로 부득이 한 사유로 실직을 하게된 근로자의 재취업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즉, 고용센터에서 승인한 실직자는 재취업을 준비하는 약 3~6개월 동안 '구직급여' 라는 구직활동 지원금을 받게 되며, 실직자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 액수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미리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더보기 ← 클릭하세요.(수급자정보, 한부모정보, 차상위정보, 미혼모정보 보기)
실업급여 조건은 근로자가 스스로의 의사에 의해서 퇴사한 것이 아닌, 사업장의 부득이 한 사유로 실직이 되었을 때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본인의 근로 능력과 의사가 존재해야 하며, 적극적으로 재취업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때 실직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더보기 ← 클릭하세요.(수급자정보, 한부모정보, 차상위정보, 미혼모정보 보기)

실업급여로 받을 수 있는 항목은 총 9가지 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액수를 차지하는 것은 '구직급여' 수당 입니다.

그럼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가 대충 어느정도 인지 계산해봅시다.
먼저 고용보험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화면 하단에 있는 '실업급여 간편 모의계산' 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자신의 만 나이를 입력하고, 현재 사업장에서 근로한 기간과 기본급여에 해당하는 통상임금을 정확히 입력합니다.

만 35세, 60개월 동안 일반적인 생산직 근로자의 임금을 입력했을 때 받게되는 실업급여는 위와 같습니다.
실업급여는 일반적으로 연령과 근로기간, 통상임금이 높을수록 많은 실업급여를 받게 됩니다.
그럼 오늘 가장 궁금한 실업급여 수급자격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봅시다.

더보기 ← 클릭하세요.(수급자정보, 한부모정보, 차상위정보, 미혼모정보 보기)
실업급여 항목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구직급여는 4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합니다.
최근 일한 사업장에서 고용보험 가입적용기간이 6개월 이상 일 것, 근로능력이 있음에도 취업을 하지 않은 상태 일 것, 재취업 노력이 있을 것, (아래에 설명 할) 수급자격 제한사유에 해당되지 않을 것 입니다.

하지만 일용지 근로자의 경우는 수급요건이 조금 다릅니다.
수급자격 신청일을 기준으로 최근 1개월 동안 근로일수가 10일 미만이어야 가능합니다.

수급자격 제한은 크게 두 가지로 정의합니다.
첫 번째는 중대한 귀책사유에 관한 수급자격 제한인데, 직무와 관련된 법률을 위한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을 때 입니다.
그리고 사업장에 큰 손해를 끼친 경우와 장기간 무단결근과 같이 회사내규를 위반하여 실직을 당한경우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더보기 ← 클릭하세요.(수급자정보, 한부모정보, 차상위정보, 미혼모정보 보기)

그리고 자기 사정으로 이직한 경우 실업급여를 모두 받을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사업장 이전이나 부득이한 집안사정으로 이사를 가야하는 경우, 주거지와 사업장의 출퇴근 시간 및 거리가 과도한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업장에 큰 손해를 끼쳤다고 할 지라도 해고가 아닌, 사업주의 압박 등으로 이직한 경우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구직급여일액은 이직 전 최근 3개월 동안의 평균임금의 50%에 해당합니다.
여리게 최저임금이 적용이 되며, 최고액은 1일 4만원 까지만 적용이 됩니다.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기간을 '소정급여일수' 라고 정의합니다.
소정급여일수는 위 표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피보험기간이 길수록 오랫동안 실업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 35세의 남성이 최근 근로한 사업장에서 5년 동안 고용보험 적용을 받으며 일을 했다면, 실업급여를 최대 180일 동안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더보기 ← 클릭하세요.(수급자정보, 한부모정보, 차상위정보, 미혼모정보 보기)

실업급여를 신청하는 방법은 다음 글에 자세히 적겠습니다.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실직한 상태에서 고용센터에 실업신고를 하고 워크넷에 구직등록, 교육수강을 먼저해야 합니다.
실업급여 신청을 한 2주 후 수급자격 여부가 결정이 나며, 이때 재취업활동 계획서와 재취업에 노력했다는 근거를 남겨야 합니다.

여기서 반드시 숙지하셔야 할 점은, 재취업을 하는 과정에서 사업장을 방문한 날짜와 주소, 면접관 성명 등을 꼼꼼히 기록해야 하므로 적극적 재취업활동이 명확해야 합니다.
현재는 처음 실업급여가 시행되었을 때 보다 재취업활동 여부에 관한 조사가 엄밀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만약 허위로 실업급여를 지급받게 되는 경우 약 2배에 해당하는 벌금을 물어야 하며 형사처벌로 이어진다는 점 반드시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더보기 ← 클릭하세요.(수급자정보, 한부모정보, 차상위정보, 미혼모정보 보기)
그리고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실업급여 수급자격과 조건에 관한 내용을 반드시 읽어보신 후 신청하셔야 합니다.
◎ 국가자격증 사회복지사2급과보육교사2급 교육비전액무료로 취득 가능하네요..
보육관련 17과목 총 51학점을 취득해야 합니다.

이후 학점인정 및 학위신청을 하여
학위를 받고 보육교사 자격관리사무국에
보육교사 자격증 발급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 학위취득을 하지 않은면 자격증 신청불가
* 재학 중 이수한 과목은 학점인정 불가
* 보육실습 80점을 넘지 않으면 자격증 취득불가
* 17과목 중 영역별 과목이 맞지 않으면 자격증 취득불가
보육교사 자격증 발급은 자격증을 발급받고자 하는 신청인이
인터넷신청(수수료 결제 포함) 후 구비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제출한 서류를 통해「영유아보육법 제21조」에 따른
자격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하여 자격검정에 합격한 자에 한해
보육교사 자격증을 교부합니다.
1. 인터넷신청
2. 서류제출
3. 자격검정(서류검정)
4. 자격증 제작 및 교부
보육교사 자격증 발급신청 시 필요한 서류로는
졸업증명서(학위증명서) 원본1부, 성적증명서 원본1부,
보육실습확인서 원본1부, 어린이집인가증 사본1부,
지도교사 자격증 사본1부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자격증 신청 후에는 보육교사 자격관리사무국에 홈페이지
나의 자격증 신청진행현황을 통해 진행 사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 클릭하세요.(수급자정보, 한부모정보, 차상위정보, 미혼모정보 보기)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과목을
가장 빠르고 저렴하게 이수할 수 있는 곳으로는
교육부 정식 인가 받은 학점은행제 교육기관
서울원격평생교육원이 있습니다.
◈ 사회복지사 국가자격증의 종류 ◈
사회복지사는 불과 몇년전만 해도 관심의 대상이 못 되는 자격증이었지요. 하지만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사회로부터 소외받는등 여러가지 노인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아동문제, 핵가족화가 되면서 탈선하는 청소년들이 늘어감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수요는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의 종류
사회복지사 자격증은 원래 1급,2급,3급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3급은 현재 폐지가 된 상태이고 사회복지사 1급과 2급만 있습니다.
기존에 3급을 취득한 사람은 인정을 해주므로 9급공무원 사회복지직렬에 응시할 자격이 생깁니다.
사회복지사 1급은 대학원졸업자나 대학교졸업자(예정자)로 사회복지학전공교과목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한사람, 전문대졸업자로 사회복지사 2급자격증취득후 1년이상 실무경험이 있는사람이 자격이 되며,
시험을 통하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2급 자격증은 국가자격증이지만 시험을 봐서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복지관련과목 이수를 통하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2급 자격증 취득자격
2급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상의 졸업자이어야 합니다.
만약에 최종학력이 고졸이라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없지만,,
학점은행제를 이용항 전문학사 학위를 받게 되면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최종학력이 전문대졸이상이라면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만
이수하면 사회복지사2급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고,,
고등학교졸업생은 학점은행제를 통하여 전문학사과정과 사회복지사2급과정을 같이 공부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 두가지를 어떻게 할까 고민하는 분들도 잇을텐데요~~
다행히 모두 이러닝(인강,동영상)을 통해서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의 구애없이..
편하게 준비하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 클릭하세요.(수급자정보, 한부모정보, 차상위정보, 미혼모정보 보기)
학점인정
학점인정을 받으면 학사학위 및 사회복지사2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전문학사학위(2년제)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80학점이상을 받아야 전문학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습니다.
학사학위 취득은 140학점입니다.
학점인정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