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선녀벌레(美國仙女-, Metcalfa pruinosa) |
분류 |
노린재목> 매미아목> 선녀벌레과 |
원서식지 |
미국, 유럽 |
학명 |
Metcalfa pruinosa |
분포 |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의 남부 지역, 동남아시아, 타이완 |
개요 |
국내에서는 공식 이름조차 없는 미기록 종 |
4월부터 약충 형태로 발생해 왁스물질과 단맛을 내는 액체를 분비해 곰팡이 등이 잎과 가지, 열매에 달라붙음으로써 생육부진과 과실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피해와 그을음병을 유발하는 해충 |
나무나 농작물의 즙을 빨아먹고, 말려서 죽이는 피해를 줌 |
성충 |
몸길이가 5mm |
몸의 빛깔은 연한 청록색을 띠고 있으며, 머리와 앞가슴은 각각 약간 연한 황갈색을 띠고 있음 |
유충 |
흰 밀랍재질로 뒤덮여 있음 |
방제 |
월동한 알에서 깨어난 어린 약충 시기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늦어도 미국선녀벌레로 인해 나무에 흰솜 같은 것이 생기는 약충 기간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음 |
피해 식물과 주변의 잡초나 나무에도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음 |
약충(어린벌레)과 성충(어른벌레)에 뿌리면 4∼5시간 후에 죽는 것으로 알려짐 |
방제약 |
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디노테퓨란+에토펜프록스 수화제, 클로티아니딘 액상수화제, 티아메톡삼 입상수화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