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학(TCM)이란 무엇인가?
인체의 기능과 질병의 현상을 연구하는 방법과 건강의 유지, 질병의 예방 및 치료의 방법 등이
현대의학과는 상이한 의학으로서 인체를 하나의 작은 우주(小宇宙)로 보고(整體觀) 인체의 기
능과 건강, 질병, 치료 따위를 종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는 학문이다.
중의학(TCM)의 궁극적 목표는 무엇인가?
질병의 예방과 치료의 기술 따위를 개발하고 발전시켜 건강을 유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키
는 것이다. 의학의 역사는 질병과 장수에 대한 인간의 끊임없는 도전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면 중의학(TCM)을 배울 때 가장 중심이 되어야 하는 문제는 무엇일까?
일언이폐(一言而閉)하면 어떻게 치료율을 높일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의학의 궁극적인 목
표는 중의학(TCM)이든 서양의학이든 결국 질병의 정복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의 질병을 치료해주는 의술이 바로 최상의 의학인 것이다.
우주의 섭리, 자연의 법칙, 자연과 조화(좋아, 좋음)
자연(음양)과 합일, 기분(기력)이 좋은 상태, 스스로 강해짐
* 宇理와 조화를 이루어 음양을 조절하고 면역력을 증진
우주와 자연의 음양에 조화를 맞추어 면역력을 증강하고
스스로 건강을 유지함
ㅇ 주위환경 악화
* 오존층 파괴, 대기 오염, 음식물내 유해물질 등으로 면역력 약화
ㅇ 생활여건 열악
* 아파트 거주, 차량 출퇴근, 사무실 밀폐 등으로 체력 약화
ㅇ 업무시간 연장
* 컴퓨터화로 단시간 내 다량업무처리 불구, 정보량 폭주와 경쟁심화로
근무시간 연장, 야간근무 반복 등으로 피로 누적
ㅇ 스트레스 증대에 정비례하여 음주, 흡연, 양약복용 급증
* 육장육부의 손상, 후유증(암) 발생에 무감각
ㅇ 서양의학에 의한 치료 및 극복의 한계 봉착
* 신체일부를 제거 또는 마비시켜 자생력 약화
ㅇ 養生 : 五略(心, 氣, 食, 力, 治)
ㅇ 治(조절) : 一針灸 二韓藥 三洋醫
※ 양 의학(양약)에서 중의학(TCM)(중약(한약))과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관심과 적용사례
점증 추세
※ 충무공 5大 정신중 「自强保衛」 溫故而知新
(5大 정신 : 홍익동포, 충효애민, 멸사봉공, 준법유비, 자강보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