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hastic slow(스토캐스틱) 보조지표 최대한 쉽게 설명하기
비수
2020. 7. 7. 11:11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이번 시간에는 스토캐스틱에 대해서
설명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필자의 매매법까지 알고 가면 좋으니 보너스로 수록 하였다.
자, 출발.
영웅문에 기본개념은 다 알 수 있다.
목차
1. 스토캐스틱이란
2. 스토캐스틱 용어
ㄱ.%K
ㄴ.%D
3. stochastic fast
4. stochastic slow
1. 스토캐스틱이란
바로 매수매도에 대한 타점을 알려주고 끝 입니다.
라고 말씀드리고 싶지만
별로 도움도 안 될 뿐더러
적어도 필자의 글을 읽는 분들은
어디에 내놓아도
stochastic에 대해서 만큼은
손색없을 정도로 만들어 드릴 예정이다.
지난 시간의 MACD를 떠올려보면,
MACD 최대한 쉽게 설명하기(+당시종목첨부)
약 30000명이 읽었던, 비수의 블로그에서 가장 인기있는 글 중 하나인MACD에 대한 글을리뉴얼 하는 시...
blog.naver.com
MA는 이동평균선
CD는 convergence, divergence
라고 배웠다.
즉, MACD는
이평선의 움직임으로 매수매도
타이밍을 노리는 보조지표이다.
(심화적인 내용은 흐름을 위해 다음시간으로 패스)
이번에 배울 스토캐스틱은
주가를 통한 보조지표이다.
원리는
1000원과 2000원의 중간인
1500원으로 주가는 가고싶어 한다는 것.
쉽게 설명하면,
이정도면 작품으로 봐도 무방하다.
개념은 이 정도로 하고
실제 차트에서 어떤식으로
활용이 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결국은 실전이다.
우림기계의 최근 9개월 차트, 필자가 며칠 전 세흔매로 먹었던 종목이다. 필요하신 분들은 잘 활용하시길.(조금만 더 눌렸다가..)
약 1년치 차트를 가지고 왔다.
매수 매도에 대한 타점을
미리 알려드리자면,
아래에 파란물이 고이면 매수
위에 빨간 산이 만들어지면 매도이다.
물론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렇다면 어떠한 것들이
이 보조지표에 숨어 있으며
우리는 이를 어떻게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
2. 스토캐스틱 용어
딱 봐도 딱딱한 용어파트다.
아무래도 뒤로 가기의 빈도가 높아질 것 같아
핵심만 뽑아서 설명드리도록 하겠다.
%K,%D, stochastic fast
이 3가지만 설명하고 안 할 거다.
그리고 이 3가지를 보면서
차트를 보는 관점이 향상되지 않는다면
필자를 욕해도 좋다.
(오래 살고 좋..)
위의 3가지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오로지 수익을 위해서이다.
필자는 원론적인 것을
선호하지 않기에
저 3가지가 실전매매에서
어떻게 쓰이게 되는지를
보여드리고자 한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원석을 보석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stochatic slow 보조지표가
움직이는 원리는
앞서 설명했듯이
주가의 가운데 수렴하고자 하는 욕망 때문이다.
돈이라는 녀석은 애당초
바깥에 모난 듯 나와 있는 것을 상당히
싫어한다.
항상 지갑과 카드에 숨어 있거나
양말에 꼬깃꼬깃 있는가 하면
심지어 환풍구 안에 테이프로 숨어 있기까지 한다.
(뜨끔)
하지만 참으로 고맙게도
차트에서는
%K,%D 이런 녀석들이
환풍구에 숨은 돈을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 녀석들을 잘만 활용한다면
우리는 집안에 있는 비자금 뿐만 아니라
남의 집에 있는 비자금까지
손을 댈 수 있다.
물론
합법적으로 말이다.
1) %K
간단하다.
최근 5개의 일봉캔들 중
오늘 현재의 일봉캔들이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라고 보면 된다.
만약
%K가 100%이면 최고점
%K가 0%이면 최저가
%K가 50%이면 중간지점으로 간주한다.
차트상에서는 흔히 주황색 선으로 표현되어 진다.
2) %D
이 %D는 앞서 말한
%K를 평균 낸 것이다.
키움증권 영웅문 설명
정확히는 3일치 %D를
평균 낸 것이며
따라서
조금 더 완만한 그림을 나타내게 된다.
(사람들이 평균을 선호 하는 이유는 결국
확률적 유의성을 만들기 위함이며,
주식에서 가장 중요한 확률을 높이기 위함일 것이다. )
즉, 들쭉날쭉한 %K를 조금 더
완만하게 만들었다고 보면 된다.
변수를 줄인다는 것은
우리가 조금 더 비자금을 찾을 확률을
높여준다고 보면 될 것이다.
3) stochastic fast
%K와 %D를 잘 섞어서
우리는 드디어 스토캐스틱 보조지표를 만들었다.
이것이 바로 stochastic fast.
그런데 이 친구가 생각보다
오류가 많다.
주가의 변동폭을 완만하게 하기에는
아직 손댈 부분이 남았다는 것을 뜻하겠다.
귀찮지만 한번만 더 평균을 해보도록 하자.
스토캐스틱 fast는 시그널이 상당히 많다. 즉, 오류가 날 확률도 그만큼 커진다는 뜻.
4) stochastic slow
드디어 오늘의 주인공인
stochastic slow.
stochastic fast를 한번 더 평균화 하여
안정화 된
stochastic slow의 등장이다.
확실히
더 안정적이며
오류가 많이 줄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삼성전자 일봉차트 Stochastic slow, 위의 사진에 비해 꽤 안정적인 매수타점을 보여준다.
평균에 평균에 평균을 내서 안정화를 하는데 있어
%K,%D등이 사용되었다.
결국 %K가 가장 들쭉날쭉하며
등락폭이 자극적이다고 볼 수 있다.
즉, 제련의 과정으로 본다면
%K는 원석
stochastic slow는 보석
이라고 볼 수 있겠다.
공부하느라 고생했으니
이제는 보상이 필요할 때이다.
실전매매법으로 가보자.
3. 실전매매법
많은 사람들이 아는 매매법 1개와
필자가 남몰래 사용해온 매매법 1개
이렇게 2개를 알아보자.
1)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우선, 골든과 데드에 대해서 알아보면,
%K가 %D를 뚫고 올라올 때를 골든크로스
%K가 %D를 뚫고 내려올 때를 데드크로스
라고 부른다.
물론 들어 맞는 위치를 사진으로 담아왔지만
이러한 포지션 만으로도
생각보다 잘 들어맞는다는 것을
직접 여러 차트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란다.
특히, 잘 맞는 종목들이 잘 들어맞기 때문에
보조지표는 항상 이 관점에서 생각해야 한다.
(이 문장을 잘 이해해야 하며
카페, 단톡분들은 종목 '만두'를 떠올리면 될 것이다.)
2)%K 값이 20% 이하 일 때
예전 글에서 이렇게 %K값20%이하로
설명드렸다.
이번에는 리뉴얼인만큼
추가적으로 한 가지 팁을 더 드리고자 한다.
%K 값이 20이하가 아닌
%D 값이 20이하 일 때를
살펴볼 것.
앞서
%D는 %K 값을 평균화 한 것이라고 배웠다.
안정적인 저점을 잡아내기위해
3개의평균을 활용하였다.
필자와 함께하는 한 전문가분께서
"이 위치는 하늘이 주신 기회다."
라고 할 정도로 상당한 저점을 잡아준다.
물론 이것이 들어맞으려면
당연히 잘 들어맞는 종목에 사용해야 할 것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 뜻을 잘 해석하는 순간
보조지표를 보는 관점이 달라질 것이며
수익은 저절로 따라오게 된다.)
그리고 시총이 너무 작은 종목은
당연히 확률상 떨어질 것이다.
왜냐하면 ____________이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 대한 답은 본인이 직접 채워보기를 바란다.
지금까지 스토캐스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스토캐스틱, 실로 상당한 보조지표이며
필자가 처음 알게 된 이후부터
지금까지도 활용 중인 보조지표이다.
스토캐스틱은 적정 주가를 알려준다.
정확히는 해당 종목이
평균이라고 생각하는 곳의 적정 주가 위치를 알려준다.
결국 스토캐스틱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평균을 통한 확률이다.
여러분들께 주가의 평균적 확률을 선물한다.
주식의 기본에 대해 공부해보고 싶다면
필자가 운영하는 카페에서 도움을 얻기를 바란다.
생각보다 좋은 자료들에 놀랄지도 모른다.
카페 : http://cafe.naver.com/bisuwithyou
단톡방 : https://open.kakao.com/o/gMK2cd7
(CODE: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