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D외교학과
(4년제)
■ 학과설명
태권도외교학과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은 태권도에 관한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이론 지식과 실기 능력은 물론 글로벌 역량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이들이 전 세계 태권도 영역에서 모범적인 리더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외에서 태권도 선수를 양성할 수 있는 전문적인 코치 및 감독, 해외 태권도장을 경영하여 태권도인을 양성하는 지도자 등을 주요 진로로 하고 태권도와 연계된 경찰공무원, 군공무원, 체육교사, 경호 및 경비, 전문체육지도자 등과 관련된 진로도 포함한다.
■ 취득자격
- 단증취득(태권도,택견,유도,합기도,용무도 등) - 국제태권도사범자격증
- 국제 및 국내 태권도 심판자격증 - 태권도호신술자격증
- 전문스포츠(2급)지도자자격증(태권도,체육분야) - 생활스포츠(2급)지도자자격증(태권도,체육분야)
- 각종 체육관련 자격(운동처방사자격증, 스포츠테이핑자격증, 퍼스널트레이너자격증, 스포츠카운슬링자격증, 레크리에이션
자격증, 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맵시무부먼트자격증 등)
■ 취업진로
- 태권도사범(국내, 해외) - 태권도장 운영(해외 및 국내)
- 학사장교임관 - 태권도 코치(겨루기,품새,시범)
- 태권도실업팀 선수 - 국가대표 시범단
- 경찰공무원 취업 - 육,해,공군,특전사,수방사 등 부사관
- 각종 무도 및 무예체육관 관장 및 사범 - 전문 및 생활체육지도자
- 경호경비회사(공항경호및경비,경호업체,에스원,세콤,ADT캡스,휴먼TSS 등)
- 경호공무원(대통령경호실,경찰특별경호대,특전사경호,선거관리위원회 경호원 등)
- 국가경호경비(항만청경호경비,교도관,소방관,법원경비,검찰청경비,국회경비 등)
2023학년도 교육과정표
TKD외교학과 (4년제)
학년 | 학기 | 이수 구분 | 과 목 명 | 학점 | 시수 | 과목설명 | 비고 |
합계 | 이론 | 실습 |
3 학 년 | 1 학 기
| 교선 | 국제매너및예의범절 | 2 | 2 | 2 | | | |
전선 | 태권도철학및역사 | 2 | 2 | 2 |
| | |
세계태권도현황및문화 | 2 | 2 | 2 |
| | |
해외사범실용영어 | 2 | 2 | 1 | 1 | | |
영상편집및제작 | 3 | 3 | 1 | 2 | | |
마사지및테이핑 | 3 | 3 | 1 | 2 | |
|
전공실기심화 | 3 | 3 |
| 3 | |
|
소계 | 17 | 17 | 9 | 8 | |
|
2 학 기
| 교선 | 동양무예지도 | 2 | 2 |
| 2 | |
|
전선 | 상해및응급처치 | 2 | 2 | 1 | 1 | |
|
품새영어실기 | 2 | 2 |
| 2 | |
|
해외도장실무영어 | 2 | 2 | 1 | 1 | |
|
해외시범공연지도법 | 3 | 3 | 1 | 2 | |
|
해외겨루기및코칭심화 | 3 | 3 | 1 | 2 | |
|
전공종합실기심화 | 3 | 3 |
| 3 | |
|
소 계 | 17 | 17 | 4 | 13 | |
|
4 학 년 | 1 학 기
| 교선 | 생활스포츠지도자(심화) | 2 | 2 | 1 | 1 | |
|
전선 | 전문트레이너육성 | 3 | 3 | 1 | 2 | |
|
태권도생리및역학 | 2 | 2 | 2 |
| |
|
호신술및무기술 | 2 | 2 |
| 2 | |
|
재활및물리치료 | 2 | 2 | 1 | 1 | |
|
경기방법및코칭법 | 3 | 3 | 1 | 2 | |
|
전공실기프로그램심화 | 3 | 3 |
| 3 | |
|
소 계 | 17 | 17 | 6 | 11 | |
|
2 학 기
| 교선 | 전문스포츠지도자(심화) | 2 | 2 | 1 | 1 | |
|
전선 | 도장경영및마케팅 | 2 | 2 | 2 |
| |
|
국제사범지도법 | 2 | 2 | 1 | 1 | |
|
창작품새지도법 | 3 | 3 | 1 | 2 | |
|
해외취업전략 | 2 | 2 | 2 |
| |
|
전공실기지도법심화 | 3 | 3 |
| 3 | |
|
소 계 | 14 | 14 | 7 | 7 | |
|
총 계 | 65 | 65 | 26 | 39 | |
|
국제매너및예의범절 (International manners) (2학점)
다양한 나라의 고유문화 및 태권도 수련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국제외교적 수단으로서 태권도 사범의 외교활동에 필요한 국제매너, 예의범절, 윤리의식, 소양, 문화 역량 등을 함양함으로써 태권도에 깃든 예의 가치와 정신을 배운다.
태권도철학및역사 (Philosophy and History of Taekwondo) (2학점)
오늘날 태권도가 세계적인 무예 스포츠로 발돋움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고 태권도에 담긴 정신, 철학적 가치를 배움으로써 태권도 전문가로서 요구되는 이론적 지식을 갖춘다.
세계태권도현황및문화 (World Taekwondo Status and Culture) (2학점)
우리나라 태권도의 현황과 문화적 배경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태권도 보급, 가치, 수련 형태 등을 알고 나아가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여 국가 간의 교류 방법, 해외태권도 외교 관련 내용 등을 배우고 익힌다.
해외사범실용영어 (Practical English for Overseas Teachers) (2학점)
해외 태권도장에서 사용할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국제적인 실용영어 학습을 통하여 해외 태권도 사범으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배우고 익힌다.
영상편집및제작 (Video editing and production) (3학점)
4차 산업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빠르게 변화하는 태권도의 변화를 인지하고 세계인과 소통하는 데 요구되는 미디어 역량을 기르기 위해 영상을 편집하고 제작하는 역량을 갖춘다.
마사지및테이핑 (Massage and taping) (3학점)
신체 활동에 의한 부상 방지 및 컨디션 조절에 의한 기술 향상과 각종 상해에 대한 응급처치의 한 방법으로 테이핑의 사용법을 터득하여 선수의 경기력 유지 및 증진 방법을 배우고 익힌다.
전공실기심화 (Intensifying major practical skills) (3학점)
태권도 전공자로서 기본동작 및 기술체계의 원리를 이해하고 학습하며, 태권도 기본동작을 활용하여 다양한 응용 동작을 배우고 익힌다.
동양무예지도 (Oriental martial arts teaching) (2학점)
무예, 무도, 무술 등 각종 동양무예의 대한 가치와 그 무술 전반에 대한 안목을 넓혀 태권도의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응용하여 해외에서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상해및응급처치 (Injuries and First Aid) (2학점)
운동 및 신체활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부상의 형태, 치료와 예방, 선수의 부상관리 및 신체활동에 대한 안전수칙 등을 배우며 치료요법과 관련된 응급처치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배우고 익힌다.
품새영어실기 (Poomsae English Practical Practice) (2학점)
태권도품새의 전반적인 내용(유급자품새, 유단자품새, 고단자품새, 자유품새, 창작품새, 경기품새 등)을 학습하고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영어적 표현을 이해하여 해외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품새영어실기 능력을 익힌다.
해외도장실무영어 (Overseas Practical English) (2학점)
해외에서 태권도를 가르치거나 태권도장을 경영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영어 표현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현지에서 직접 영어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적인 태권도 용어를 배우고 익힌다.
해외시범공연지도법 (Overseas Demonstration Performance Guidance Act) (3학점)
태권도시범공연의 전반적인 내용(시범, 공연, 익스트림, 아크로바틱, 프로그램 등)을 심화 학습하여, 해외 및 국내에서 필요로 하는 태권도 시범공연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해외겨루기및코칭심화 (Overseas competition and coaching intensified) (3학점)
태권도겨루기의 기본발차기, 스텝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공격과 방어 기술, 신장의 차이, 개인의 특기기술 등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전술 응용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이를 해외에서 코칭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우고 익힌다.
전공종합실기심화 (Comprehensive practical skills in major) (3학점)
전공실기심화 내용을 바탕으로 태권도 발차기 기술의 향상, 창의적 발차기, 특기기술 개발 등을 통하여 품새, 시범, 겨루기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다.
생활스포츠지도자(심화) (Life sports trainer) (2학점)
태권도사범 및 도장 창업을 위해 요구되는 필수 학문인 운동생리학, 운동역학, 스포츠심리학, 한국체육사 등의 이론과 태권도실기, 면접에 필요한 태권도의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전문트레이너육성 (Fostering professional trainers) (3학점)
태권도에서 필요한 다양한 체력 요소들 즉, 근력(筋力), 지구력, 민첩성, 순발력, 조절력(유연성, 유산소성, 무산소성, 기능성) 등 태권도 수련 및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트레이닝 방법 및 프로그램을 배우고 익힌다.
태권도생리및역학 (Taekwondo Physiology and Dynamics) (2학점)
과학적인 태권도 수련 및 지도를 위해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신체가 운동에 적응되는 과정과 인체의 각 기관별 생리적, 역학적 반응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익힌다.
호신술및무기술 (Self-defense and no skills) (2학점)
태권도의 다양한 목적 중 호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요구되는 태권도의 다양한 기술(막기, 꺾기, 낙법, 지르기, 차기, 누르기, 치기 등)을 이해하고 나아가 특수목적의 호신술 상황에서 필요한 무기술(봉술, 검술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고 익힌다.
재활및물리치료 (Rehabilitation and Physical Therapy) (2학점)
태권도 수련과 경기 중에 발생하는 상해의 유형과 정도를 이해하고, 수련 중 나타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하거나 부상의 회복을 위해 필요한 스포츠 마사지, 스포츠 테이핑, 카이로프락틱, 물리치료, 재활치료 등의 프로그램을 배우고 익힌다.
경기방법및코칭법 (Game and Coaching method) (3학점)
코칭의 원리와 선수들의 행동관리, 신체 및 심리훈련의 원리, 선수들의 영양공급, 약물 사용에 대해 알아보고 지도자의 자질과 태권도경기(겨루기, 품새, 시범)의 전술 지도법, 효율적으로 팀을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는 방법 등 전반적인 팀 운영에 관한 사항을 배우고 익힌다.
전공실기프로그램심화 (Major practical program intensified) (3학점)
전공종합실기심화 내용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준비운동, 워밍업, 본운동, 체력운동, 정리운동 등의 프로그램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수련지도 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전문스포츠지도자(심화) (Professional sports trainer) (2학점)
태권도 경기지도를 위하여 갖추어야 할 전문스포츠지도사 2급 자격증 관련 스포츠교육학, 운동생리학, 운동역학 등의 이론과 태권도실기, 면접에 필요한 태권도 경기의 전반적인 내용을 배우고 익힌다.
도장경영및마케팅 (Training Center Management and Marketing) (2학점)
전문적인 태권도 지도자가 되기 위한 자격요건, 자격시험, 인허가관련, 관련 법률 등 태권도장 창업에 대하여 배우고 태권도장 경영을 위한 도장실무, 도장행정, 도장경영, 도장이벤트, 도장홍보, 수련생 상담법 등을 이해함으로써 마케팅 방법을 배우고 익힌다.
국제사범지도법 (International Teacher Guidance Act) (2학점)
해외에서 태권도지도자로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도장 영어지도법, 겨루기영어지도법, 품새영어지도법, 시범영어지도법, 영어태권체조, 태권도영어코칭, 태권도상담론 등의 지도법을 다양하게 배우고 익힌다.
창작품새지도법 (New Guidance Method for Creative Works) (3학점)
태권도 유단자 품새 내용을 바탕으로 고단자 품새(평원 ~ 일여)를 전문적으로 배우고 익혀 다양한 창작품새를 연구개발 하고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해외취업전략 (Overseas Employment Strategy) (3학점)
해외 및 국내 태권도산업의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태권도 분야 취창업을 위해 개인 커리어 개발 및 취업 전략 수립, 그리고 태권도분야 창업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현장에서의 적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배우고 익힌다.
전공실기지도법심화 (Practical teaching method of major) (3학점)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태권도 기본동작 및 기본발차기 지도법(정통발차기, 시합발차기, 특기기술발차기, 고난도발차기, 창작발차기 등)을 바탕으로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 기술 분석, 프로그램 창작 및 개발 등을 심화적으로 학습하여 해외 및 국내에서 필요로 하는 글로벌 전문지도자가 되기 위한 자질을 갖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