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훈이가 발레를 한다고 했을때 우리가족들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생뚱맛게 뭔 발레여~
돈도 많이 들어갈텐데, 과연 그걸 해서 먹고 살 수 있는 길이 있을까,
늦은 나이에 시작해서 뭐가 되긴 될 수 있는거야...
많은 의문점과 새로움에 대훈이가 전격적으로 발레를 시작 했다,
이제 10여 개월 제법 기초를 마스터 하고 나름 발레리노의 첫 걸음을 시작한 대훈이가
대견 스럽고 기뜩하다,
다 크지도 안은 얘를 부모 품에서 떠나 보냈다고 지금도 야단을 맞고는 있지만
난 우리가 결정한게 맞다고 확신한다,
왜, 대훈이가 지금 가장 좋아하는건 발레니까...
이젠 대훈 엄마와 떨어져 생활 해야 하지만 그건 문제가 될 수 없다,
내가 조금 불편하다 해서 자식에 앞길을 ...
우리 강똥가족에 많은 관심과 사랑이 큰 힘이 되리라,
자식이 부모 마음을 이해 하려면 자식을 낳아서 키워봐야 안다고 했던가
이젠 알것 같다,우리 부모님이 새벽 부터 기도로 시작해서 열심히 가난 하지만 최선을 다해 우리를
키워 주신걸...
가난하고 조금 뜻이 맞지 않는다고 부모를 멀리하고 마음을 이해 못한다면 그건 아니겠지,
5월은 가정에 달!
우리를 낳아주시고 우리를 위해서 모든걸 감내하시고 계시는 부모님께 진정한 감사에 마음을 전해 봅시다,
아빠, 엄마 사랑해요,
이야기 옆으로 갔네...
발레리노에 대한 글이 있어 올립니다
군대 문제도 주역 발레리노 양성의 걸림돌이다. 남성 무용수가 군대에 갔다 오면 몸이 굳어 다시 발레를 할 수 있는 몸을 만들기까지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는 것이다. 중국의 경우는 이 때문에 군이 발레단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을 필수 관문으로 여기는 사회 분위기도 주역 발레리노층을 얇게 하는 원인이다. 대학 4년을 거치면서 프로로 훈련하고 활약할 시간을 허비해 버리기 때문이다. 이는 발레리나도 마찬가지다. 최단 기간에 국내 최고가 된다고 해도 국제 무대에서는 이미 고령에 속하고 40세 전후의 은퇴 시기는 바싹 다가와 있게 된다. 외국의 경우 고교나 발레학교 졸업 후 대학을 가지 않고 18, 19세에 발레단에 입단해 적응ㆍ훈련 과정을 거쳐 주역으로 자리잡기 때문에 주역 데뷔 기간이 짧아진다.
한 발레 전문가는 “발레리노를 키우려면 공급 시스템을 안정화해야 하는 동시에 병역 대학 직업발레단 확충 등의 문제도 해결돼 남성 무용수가 예술가로서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사회 기반이 뒷받침 돼야 한다”며 “어느 한 분야를 고친다고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의 분위기와 여건, 문화복지가 골고루 성숙해야 해결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서울국제무용콩쿠르는 7년의 짧은 역사이지만 올해부터는 발레에 이어 컨템포러리무용 시니어 남자 부문 1, 2등에게 한하여 주어지는 병역특례로 인해 그 어느 해 보다 남자 참가자들이 치열한 접전을 이루었다. 특히 시니어 발레부문 2등을 차지하여 병역특례를 받는 행운을 차지한 유일한 한국인 이영도는 “이 상을 받기까지 5년이 걸렸습니다. 대학교 1학년때부터 꿈 꿔온 것이 이제야 현실이 되었네요. 서울국제무용콩쿠르 첫 도전에서는 예선에서, 작년에는 파이널에서 떨어졌죠. 이 대회는 나와는 인연이 없구나 생각하고 올해는 부담없이 편하게 임해야지 했는데 좋은 결과를 얻게 되서 너무나도 기쁩니다. 꿈을 이루니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앞으로 발레단에서 맡은 배역에 충실히 임하면서 더 높이, 멀리 가기 위해 새로운 꿈을 꿀 생각입니다.” 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참고] 병무청장이 정하는 국제 예술경연대회(발레부문)
’07.12.28 병역법시행령 제49조 개정
■ 인정기준
- 유네스코 CID(Conseil International de la Dance/ International Dance Council)또는 국제극예술협회(Intercational Dance Committee)에 가입된 대회
- 유네스코에 가입되지 않았으나, 5회 이상 개최된 대회로서 참가국이 9개국 이상인 국제무용경연대회
1. 헬싱키 국제발레콩쿠르(주최국: 핀란드)
2. USA 국제발레콩쿠르(미국)
3. 국제발레콩쿠르 & 안무 콘테스트(러시아)
4. 뉴욕 국제발레콩쿠르(미국)
5. 루돌프 누레예프 국제 발레 콩쿠르(헝가리)
6. 상하이 국제발레콩쿠르(중국)
7. 아시아태평양국제발레콩쿠르(일본)
8. 아라베스크 콩쿠르(러시아)
9. 바르나 국제발레콩쿠르(불가리아)
10. 모스크바 국제발레콩쿠르(러시아)
11. 서울국제무용콩쿠르(대한민국)
12. 프리미오 로마(이탈리아)
13. 로잔콩쿠르(스위스)
14. 유스 아메리카 그랑프리(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