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합성화학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천연이나 친환경적인 특징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긴 시간을 사용할 경우에는 피부 자극과 같은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합성(synthesis)하지 않고 식물 그대로 사용한다면 더 말할 나위가 없겠지요.
식물이라고 다 안전한 것이 아닙니다.
식물도 반드시 안전성 검사를 해야 합니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유. 무와 내가 알고 있는 지식 외에 식물의 특징이
어떤지, 분리정제 실험, 계면활성제로서의 역할 등등
알고 보면 쉽게 얻어지는 게 없습니다.
어떤 식물의 성분이 좋아서 세제류나 화장품 등에 첨가하려면 ICID ( International Cosmetic Ing
redient Dictionary)국제화장품 원료집에 등재되어 있어야 샴푸. 주방 세제. 세탁세제도 허가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고 사용하게 되면 큰 낭패를 보게 됩니다.
조금 더 연구하고 노력해서 무슨 무슨 식물유래 성분보다는 무슨 무슨 식물 성분으로 표기되는 세
제류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최초로 그러한 제품들을 만들기 위해서 또 농장에 나무들을 많이 심게 됐습니다.
관계 기관에 계면활성제 나무들의 성분과 입증할 만한 자료 MSDS 등을 제출하고 제조. 판매 허
가를 받았습니다.
식물유래 성분이 아니고 식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식물 성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