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歸田園居 원문보기 글쓴이: 自請妃
구분 |
에너지 |
단백질 |
당질 |
섬유소 |
칼슘 |
칼륨 |
인 |
비타민A |
비타민B1 |
비타민B3 |
비타민C |
생단호박가루 |
277 |
11.8 |
62.1 |
6.7 |
61 |
3.276 |
299 |
4.706 |
0.51 |
1.92 |
40 |
찐단호박가루 |
271 |
11.2 |
61.1 |
6.6 |
54 |
3.208 |
293 |
3.918 |
0.47 |
1.16 |
36 |
3. 생리 생태적 특성
1) 온도
박과채소 중 가장 저온성이며 씨앗의 발아최저 온도는 15℃이고, 최적온도는 25~28℃이다. 30℃ 이상이 되면 발아가 억제된다. 생육적온은 보통 낮온도 23~25℃ 밤온도 13~15℃로 단호박은 평균기온이 22~23℃을 넘으면 초세가 약해지고, 탄수화물의 축적이 저하된다. 35℃ 이상에서는 화아의 발육에 이상이 일어나며 수정의 최저온도는 10℃ 전후로 알려져 있으며 오이, 멜론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편이다.
2) 토양
토질에 대한 적응성은 넓지만 인산이 결핍된 화산회토에서는 활착이 나빠 조기재배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사토에서 양토까지 적응력이 높지만 사토일수록 조생화 된다. 토양의 pH는 5.6~6.8이 적합하다. 내건성이고 흡비력이 강하고 연작에도 잘 견딘다. 뿌리의 발달이 극히 왕성하여 다른 박과류처럼 주위 4~5m의 넓은 범위에 분포한다. 흡비력이 강한 반면 시비효과도 높고 비료결핍의 영향이 현저하다. 특히 점질토나 다습지에서는 초기 생육이 떨어지고 생육후기에는 헛줄기만 나오기 쉽다.
그림. 단호박 재배의 관리요점
3) 개화습성과 결실
암꽃의 분화는 저온단일에서 유기되며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저온단일 조건에서는 제1암꽃은 7~8절에 착생되며 그 후에는 4~5절마다 착생된다. 단일은 저온 하에서는 강하나 고온 하에서는 그 효과가 적다. 단호박은 단일조건보다 저온조건에서 각각 암꽃 발생이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
개화에는 6~9시간의 계속된 암흑이 필요하고 28℃ 이상에서는 차광하더라도 완전개화하지 않으며 13℃ 이하에서는 연속조명 하에서도 완전 개화한다. 일반적으로 본잎 2장 전개시에 저온 10~13℃에서 8시간의 단일처리를 하면 11~12절에 암꽃이 착생한다. 단위결과가 약하기 때문에 인공수분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꽃이 피는 시간은 오전 3시 반~5시 사이에 시작되고 오후 1시나 2시경에 진다. 화분의 발아력은 개화전일 오후 3시경부터 활력이 증가되어 한밤중에 최고가 된다. 그 후 시간이 경과되면 활력이 저하되어 개화당일 오전 9시 이후는 착과에 필요한 활력이하로 된다. 암꽃의 수정능력은 개화당일로 오전 4~6시가 최고가 된다. 따라서 좋은 결실률을 얻기 위해서는 가능한 아침 일찍 꽃가루 수분을 해야 한다. 이 외에도 질소과다, 과습, 개화전 4~5일 기상불순, 고온관리, 밀식, 정지불량에 의한 과번무는 암꽃의 발달을 억제시켜 낙과의 원인이 된다.
과일의 비대는 개화 후 15~20일 사이가 가장 현저하다. 육질이 점질인 것은 미숙하여도 먹을 수 있으나 분질인 것은 전분질이 많아 완숙되지 않으면 먹기가 거북하므로 수확기가 늦어진다.
5. 재배 방법
1) 품종 선택
단호박은 일반 호박에 비하여 영양가가 높은데, 당질함유량이 15~20%로 높고 육질도 좋을 뿐만 아니라 비타민A 성분인 카로틴과 비타민 B1, B2, C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비타민의 보고라고 인식될 정도이며, 건강채소로서 각광을 받고 있어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고품질의 수확을 위해서는 품종의 선택은 대단히 중요하다. 각 품종별 특성을 이해하고 특성에 맞게 재배해야 수확을 높일 수 있다.
(가) 후라노
【 특 징 】
- 평균과중 600~700g의 미니 단호박으로 신세대 웰빙 단호박이다.
- 과형은 편원형으로 과피색은 농록색 바탕에 회색의 줄무늬와 점이 있다.
- 고분질로서 과피가 부드러워 전자렌지에 8~10분 가열후 먹을 수 있으며 단맛이 강하여 맛이
아주 좋다.
- 장기저장도 가능하며 저장중 신선도와 당도가 변하지 않으며 시장에서 호평받는 건강 미니
단호박이다.
【 재배시 유의사항 】
- 초세가 강하므로 다비재배는 피하고 평균재식주수는 300평당 400주 정도(3m80cm)를 기준으로
한다.
- 단맛과 고분질을 높게 하려면 교배후 40~45일 정도의 완숙과를 수확한다.
- 방임재배를 기본으로 하며 암꽃이 연속적으로 착과하며 1주당 15~20과 정도를 수확할 수 있는
풍산종이다.
(나) 꼬마반장
【 특 징 】
- 평균과중 500g 전후의 미니 단호박입니다.
- 과형은 편원형으로 농록색 과피에 밝은녹색의 줄무늬가 있습니다.
- 육질은 강분질로 당도가 높고 식미가 우수하며 고품질 수확용으로 많은 호평을 받는 품종입니다.
- 시장수요가 높아 판매가 안정적이고 일정한 품질의 수확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재배시 유의사항 】
- 과육은 진한 황색으로 타 품종에 비해 식용부가 많고 육질은 강분질로서 밤맛처럼 치감이
좋습니다.
- 초세는 왕성하여 병해에 강하고 재배하기 쉽습니다.
(다) 미니흑사봉
【 특 징 】
- 과형은 밑부분이 뾰족한 하트형이며 평균구중 600g 전후의 미니 단호박입니다.
- 초세가 왕성하여 재배관리가 쉽고 병해에 강합니다.
- 과피색은 농녹색으로 작은 줄무늬가 있습니다.
- 과육은 짙은 황색이며 강분질로 맛이 뛰어납니다.
【 재배시 유의사항 】
- 초세가 왕성하므로 밑거름을 다소 억제한듯하게 주십시오.
- 반드시 어미덩굴을 적심하고 아들덩굴 3본 유인방법이 최적입니다.
- 가능한 저절위에 착과되지 않도록 합니다.
(라) 미니홍월
【 특 징 】
- 과피의 색이 진하고 밝은 선홍색으로 새로이 시장에 선보인 미니 단호박입니다.
- 과는 500g 내외의 평원형으로 새로운 형태의 미니 단호박입니다.
- 과육이 두껍고 고분질로 맛이 뛰어나 어떤 요리법으로도 최상의 맛을 만들어냅니다.
- 짙은오랜지색의 소형으로 시장선호도가 높은 품종입니다.
【 재배시 유의사항 】
- 초세는 중간 정도로 후반기 비료분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시비량을 20~30%정도
늘립니다.
- 주간간격 30~35cm(2줄재배시 70cm, 3줄재배시 1m 필요)로 아들줄기 10마디에서 25마디
사이에 1줄기당 3~4과를 착과시키는 것이 상품 수확을 늘려줍니다.
- 파종후 성숙이 빠르고 숙기 또한 빨라 적기수확에 주의 하십시오.
- 개화 후 30일부터 수확이 가능합니다.
(마) 노보리 1호
【 특 징 】
- 초세가 강하며 저온신장력이 우수하며 착과성이 좋고 재배하기 쉬운 품종입니다.
- 과형은 요고편원형으로 평균과중 1.8~2kg 정도의 대과종입니다.
- 과육이 두꺼워 무게감이 있고 과피색은 흑녹색 바탕에 담녹색의 점과 줄이 약간 들어가 있으며
과육색은 선명한 황녹색입니다.
- 강분질의 강한 단맛이 있고 식미가 아주 좋습니다.
- 성숙일수는 개화후 40~45일 정도이며 꼭지부분이 콜크화가 진행될 때 수확 가능합니다.
- 하우스터널, 노지, 억제재배 등 재배의 폭이 넓은 품종입니다.
【 재배시 유의사항 】
- 완숙출하를 목표로 하여 시장성을 높게 합니다.
- 저절위 착과보다는 10절 이후의 고절위 착과를 하여 대과와 상품성이 높은 과를 목표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 노보리 2호
【 특 징 】
- 조생종 품종으로 맛이 뛰어나며 터널재배, 하우스재배 등으로 조기 출하재배에 최적이며
노지재배에도 강한 인기품종입니다.
- 평균과중은 1.3~1.5kg 정도이며 담녹색바탕에 점과 줄무늬가 있어 외관상 아름답고 품질이
뛰어난 품종입니다.
- 과육은 짙은 등황색으로 두껍고 맛이 좋은 풍산 다수확 품종입니다.
【 재배시 유의사항 】
- 초세가 강한 품종이므로 시비량은 조금 적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조방적 재배보다는 대면적 영리재배에 적합한 품종입니다.
(사) 마쯔리
【 특 징 】
- 측지가 없어 조숙재배와 밀식재배에 최적인 품종입니다.
- 기존 덩굴성 품종과 차별화된 품종으로서 주지 이외의 측지가 발생하지 않고 절간이 아주 짧아
재배 관리가 용이한 품종입니다.
- 암꽃이 연속적으로 착과되어 착과성이 아주 우수하며 변형과 발생이 적은 고품질 단호박입니다.
- 평균과중 1.8~2.0kg 정도의 대과종입니다.
- 등숙일수는 40~50일 정도입니다.
【 재배시 유의사항 】
- 300평당 1,200~1,500주 정도의 밀식재배도 가능합니다.
- 정식묘는 본잎 4장 정도의 어린묘를 정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완숙과를 출하하여 시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 흑사봉
【 특 징 】
- 과형은 밑부분이 뾰족한 하트형이며 평균구중 1.8~2.0kg 전후의 대형종입니다.
- 초세가 왕성하여 초기생육이 좋고 병해에 강합니다.
- 과피색은 흑녹색으로 광택이 뛰어나며 작은 줄무늬가 있습니다.
- 과육은 짙은 황색이며 카로치노이드 함량이 높습니다.
- 과육은 극분질로 맛이 뛰어납니다.
【 재배시 유의사항 】
- 완숙과로서 수확적기는 개화후 50일 전후가 좋습니다.
- 발아적온이 특히 높기(28~30℃) 때문에 파종시에는 충분한 고온관리가 요구됩니다.
- 가능한 저절위 착과를 피합니다.
(자) 홍 월
【 특 징 】
- 과피의 색이 진하고 밝은 선홍색으로 새로운 단호박 입니다.
- 과일은 1.5kg 내외의 평원형으로 독특한 아름다움을 자랑합니다.
- 육질이 두껍고 고분질로 식미가 뛰어납니다.
【 재배시 유의사항 】
- 양호한 착과를 위해 대묘를 정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초세는 중간 정도로 다수확을 위해 초세관리에 유의 합니다.
(차) 백봉1호
【 특 징 】
- 평균과중 2.0~2.5kg 전후의 대과종입니다.
- 과형은 고가 높은 갑고형이나 끝이 약간 볼록합니다.
- 과피색은 담록색과 유백색의 중간색입니다.
- 과육색은 짙은 황색으로서 요리후에도 선명한 색이 변하지 않습니다.
- 고분질 밤호박으로 맛과 식감이 뛰어나며 저장력이 우수한 품종입니다.
- 특히 암꽃착화성이 안정적이어서 재배하기 쉬운 밤호박입니다.
【 재배시 유의사항 】
- 시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반드시 완숙과를 출하한다.
- 개화후 55~60일 정도에서 완숙되며 장기저장을 목표로 할 때는 등숙일수를 지킨다.
- 저절위 착과보다는 10절 이후의 고절위에 착과시킨다.
(카) 백봉2호
【 특 징 】
- 과형은 볼륨감이 있는 럭비공 타입의 단호박입니다.
- 평균과중은 1.8~2.0kg 정도의 대과종 품종입니다.
- 과피색은 아름다운 백색으로서 저장성이 뛰어나 장기저장에 유리한 품종입니다.
- 과육은 진한 황색으로 타 품종에 비해 식용부가 많고 육질은 강분질로서 밤맛처럼 치감이
좋습니다.
- 초세는 왕성하여 병해에 강하고 재배하기 쉽습니다.
【 재배시 유의사항 】
- 시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반드시 완숙과를 출하한다.
- 개화후 55~60일 정도에서 완숙되며 장기저장을 목표로 할 때는 등숙일수를 지킨다.
- 저절위 착과보다는 10절 이후의 고절위에 착과시킨다.
표. 품종별 특징 비교
품종 |
과형 |
평균과중 |
과피색 |
숙기(개화후) |
육질 |
특징 |
후라노 |
편원형 |
600~700g |
농록색 |
40~45일전후 |
분질 |
미니계 |
꼬마반장 |
편원형 |
500g전후 |
농흑녹색 |
35~40일전후 |
분질 |
미니흑피계 |
미니흑사봉 |
하트형 |
600g전후 |
농록색 |
45일전후 |
고분질 |
미니하트형 |
꼬마홍월 |
평원형 |
500g전후 |
선홍색 |
40~45일 |
점질,분질 |
미니적단호박 |
노보리1호 |
편원갑고형 |
1.8~2.0kg |
농록색 |
40~45일 |
분질 |
고품질계 |
노보리2호 |
편원형 |
1.3~1.5kg |
농록색 |
45~50일 |
분질 |
고품질계 |
마쯔리 |
편원형 |
1.8~2.0kg |
농흑녹색 |
40~50일 |
점질,분질 |
무측지 |
흑사봉 |
하트형 |
1.8~2.0kg |
흑녹색 |
50~55일 |
고분질 |
대과하트형 |
홍 월 |
평원형 |
1.5kg내외 |
선홍색 |
40~45일 |
점질,분질 |
대과적색계 |
백봉1호 |
하트형 |
2.0~2.5kg |
회색~유백색 |
55~60일 |
고분질 |
장기저장용 |
백봉2호 |
럭비볼형 |
1.8~2.0kg |
백색 |
55~60일 |
분질 |
백색계 |
2) 육묘
(가) 파종
재배할 품종이 결정되면 씨앗을 구입해서 소독해야 한다. 소독약제로는 벤레이트티를 이용한다. 소독은 1시간 정도로 하고 소독한 후 깨끗한 물(수온 25~30℃)에 2~3시간 담근 다음 준비된 파종상에 파종한다. 이때 파종상의 온도는 25~27℃ 정도로 한다.
파종은 저온기(2월말~3월초)에 하여야 되므로 전열온상을 설치하여 파종하는 것이 안전하나 따뜻한 지역에서는 냉상도 가능하며 씨앗을 25~30℃에서 2~3시간 침종 후 항온기나 젖은 천에 싸서 30℃에 24시간정도 최아 시키면 0.1~0.5cm가 발아되는데 이때 파종하면 된다.
파종간격은 5~6cm × 1~1.5cm로 줄뿌림하는 것이 좋고 1cm 정도 모래로 복토한 후 볏짚을 덮어주고 20℃ 정도 미지근한 물로 관수한다. 파종 후 온도는 낮에 28℃ 밤에 20~21℃로 유지해준다. 4~5일이 경과되면 발아를 하게 된다. 이때 짚을 벗겨준다.
표. 호박씨앗의 발아와 온도와의 관계
발아율(%)\온도 |
10℃ |
15℃ |
20℃ |
25℃ |
30℃ |
35℃ |
40℃ |
4일 |
0 |
0 |
92.0 |
89.5 |
91.5 |
4.5 |
0 |
7일 |
0 |
0 |
100.0 |
99.0 |
97.0 |
9.0 |
0 |
14일 |
0 |
2.0 |
100.0 |
99.0 |
97.0 |
17.0 |
0 |
평균발아일수 |
- |
16일 |
3.2일 |
3.0일 |
2.7일 |
8.5일 |
- |
또 다른 파종방법으로는 컵포트(13~14cm)에 발아된 씨앗을 1개씩 파종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9공 연결포트를 이용하면 좋으며 16공 연결폿트 사용 시 도장시키거나 육묘후기 비료분이 부족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하며 파종 복토한 다음 충분히 관수하여 전열온상위에 놓은 다음 비닐 터널을 설치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파종 시 유의할 점은 복토의 깊이가 너무 얕아 건조하면 떡잎이 종피를 쓰고 나와 떡잎이 전개하지 못하여 떡잎의 손상에 의한 초기생육이 저하되고 발아된 씨앗을 거꾸로 파종하게 되면 떡잎의 출현이 지연되거나 뿌리가 솟아오르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의토록 한다.
표. 육묘시 온도관리
구 분 |
발아까지 |
발아후 |
본잎1장 |
본잎2장 |
본잎3장 | |
기온 |
주간 |
27 |
20~25 |
20~24 |
20~24 |
20~24 |
야간 |
27 |
15~20 |
15~17 |
15~17 |
10~13 | |
지온 |
주간 |
25~28 |
20~25 |
20~24 |
20전후 |
20전후 |
야간 |
20~25 |
15~20 |
14~16 |
14~16 |
12~13 |
좋은 모는 잎이 두껍고 잎의 지름은 4~5cm정도이며 절간이 짧고, 뿌리량이 많고 흰색이며, 광을 잘 받으며 성장한 모가 좋은 모로 적절한 암꽃을 만들어낼 수 있는 소질을 가지고 있는 모라 할 수 있다.
● 파종상 또는 포트는 파종 5일 전에 준비하고 물뿌리개 등으로 관수한 후 비닐을 덮어 보온해
둔다.
● 씨앗은 약 1cm 깊이로 파종한다. 씨앗을 세워서 파종하면 깊이가 달라지므로 옆으로 눕혀
파종한다.
● 복토는 마른 흙을 미리 준비하여 이용한다(복토는 시판 육묘상토 사용을 권장).
● 복토 후 관수를 직접하지 말고 신문지를 깔고 그 위에 관수한다. 직접관수하면 복토가 딱딱해
지고 지온이 내려가기 때문에 피한다.
● 파종상은 일찍 준비하고 파종 후 저온시의 관수는 발아때까지 억제한다. 발아 후의 신문지
제거는 천천히 한다.
(나) 가식
발아 후 떡잎이 전개됨과 동시에 본잎이 나올 무렵이면 보통 파종 후 7~10일경이 된다. 이 때 직경 13~15cm 정도 되는 비닐폿트에 상토를 넣어서 가식한다. 상토의 온도는 가식 전 파종상의 온도보다 2~3℃ 높여주어 뿌리활착이 잘 되도록 한다.
가식을 할 때 모종의 줄기를 잡지 말고 떡잎을 잡아서 심어야 줄기가 상하지 않으며, 가능한 얕게 심어야 활착이 잘 되어 생육이 순조롭다. 가식은 맑은 날을 택하여 최소한 오후 2시 이전에 끝내도록 한다. 가식 후 2~3일간은 야간기온을 16℃ 전후로 해서 활착을 촉진하고 활착 후는 모종의 생육을 보아가며 야간기온을 내리고, 최종적으로 야간기온을 8~10℃에서 관리한다.
(다) 모의 순화(馴化)
육묘 후기에는 모종을 순화시켜서 정식한 후 활착이 잘 되도록 한다. 호박의 꽃은 단성화로 온도가 낮으면 암꽃화 한다. 본잎 2~2.5장 때(파종 후 20~25일) 수확대상인 1번과가 암꽃분화기에 들어가므로 낮의 온도를 20~21℃, 밤의 온도를 10~13℃ 정도로 낮게 관리하여 암꽃의 분화를 촉진시킨다.
폿트 간격을 충분히 넓혀서 잎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며 되도록 햇빛을 많이 받도록 한다. 그리고 정식하기 5~7일 전부터는 물주는 양을 줄인다. 야간에는 비닐을 약간 열어 습도를 내린다.
정식하기 1주일 전에 물뿌리개로 요소 엽면살포(요소 0.3~0.4%)를 관수와 겸하여 실시하여 정식한 후 활착이 잘 되도록 한다.
(라) 육묘중의 관리
호박도 다른 박과채소와 마찬가지로 육묘기간 동안 저온단일처리를 함으로써 암꽃의 착생수를 높일 수 있다.
단일 처리시기는 떡잎기에는 효과가 없고 잎 면적이 최저 7~8cm2(제1잎 반 전개기) 이상 되어야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처리 시간은 8~10시간이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촉성, 반촉성재배시에는 보온관계상 피복을 실시하면 단일처리가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조숙재배나 여름재배의 경우에는 단일처리가 곤란하여 에스렐과 같은 약제처리로 암꽃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육묘중의 관수는 과다하면 웃자라고, 너무 건조하면 2~3마디의 아들덩굴이 자라지 않게 되므로 관수를 알맞게 해야 한다.
표. 호박 육묘 중 온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의 차이
항목처리조건 |
정식시 |
정식1개월후 |
첫암꽃 |
수량 |
착과율(%) | |||
개화기 |
절위 |
1번과 |
전체 | |||||
육묘 |
10 |
63 |
319 |
6.17 |
10.5 |
8.0 |
35 |
49 |
15 |
167 |
333 |
6.17 |
11.7 |
8.6 |
60 |
46 | |
20 |
160 |
295 |
6.18 |
12.7 |
7.5 |
64 |
36 |
표. 호박 육묘기 에스렐처리가 암꽃 착생절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에스렐의 |
첫암꽃 |
수꽃/암꽃 |
조기수량(주당) |
총수량(주당) | |||
과수(개) |
중량(g) |
과수 |
중량(kg) |
지수(과수) | |||
100 |
2.8 |
0.1/5.3 |
1.5 |
809 |
6.1 |
4.54 |
122 |
200 |
3.4 |
0/4.5 |
1.7 |
916 |
6.9 |
4.88 |
138 |
400 |
5.0 |
0/3.3 |
0.4 |
201 |
5.7 |
3.76 |
114 |
무처리 |
9.6 |
2.3/1.9 |
0.1 |
63 |
5.0 |
3.31 |
100 |
3) 정식 및 재배관리
(가) 정식준비
단호박은 일반적으로 흡비력이 강한 작물로 적은 양을 시비하여도 일정량의 수량을 낼 수 있으나 다수확을 위해서는 다비를 해야 유리하다. 그러나 질소질비료가 너무 많으면 줄기와 잎만 무성하고 과일이 열리지 않으며, 일조가 부족하면 낙과가 증가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시비량은 하우스나 터널촉성재배일 경우에는 일반 노지재배보다 다소 다비하며 척박지에는 많이 시비하도록 한다. 시비요령은 퇴비 2,000~3,000㎏ 고토석회 100~150㎏을 시비 후 경운하며, 시비량은 포장의 비옥도에 따라 다르지만 덕설치 후 정식 10여일 전에 질소, 인산, 칼리를 10a당 10~15 : 20~25 : 10~15㎏ 수준으로 하며, 인산은 전량기비로 질소와 칼리는 시비량의 ⅔를 기비로 주는데 시비 후 경운하고 두둑을 만들어 비닐멀칭을 하여 지온을 충분히 올리는 것이 좋다.
밑거름은 질소질 총량의 1/4만 주고 인산은 전량, 칼리는 1/2을 넣는다. 정식 하루 전에 폿트에 충분히 물을 주어서 폿트흙이 깨어지지 않도록 한다.
(나) 정식
정식은 외부기온이 15℃이상 되었을 때 정식 하는데 정식 전 모상에 충분히 관수하며, 바람이 적고 맑은 날을 택하여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정식을 하는 것이 저온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표. 정식기별 수량 ( 재배지 : 경남, 품종 : 노보리2호 )
정식기 |
상품수량(kg/10a) |
총수량(kg/10a) |
상품과율(%) |
4월 9일 |
1,263 |
1,995 |
63.3 |
4월 18일 |
2,580 |
2,668 |
96.7 |
4월28일 |
2,506 |
2,549 |
98.3 |
5월 8일 |
1,861 |
1,995 |
93.3 |
5월 18일 |
1,556 |
1,957 |
80.0 |
5월 28일 |
832 |
1,664 |
50.0 |
정식기간과 특성을 조사한 결과 과장과 과폭은 정식기에 영향을 많이 받아 정식시기가 늦어질수록 짧거나 좁아지며 과육의 두께도 같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당도는 정식기별 다소 차이가 있는데 이는 수확기 기상의 영향을 받아 장마기에 수확된 터널재배 4월 10일과 4월 20일 정식구는 9.8~10.9Brix를 나타냈으며, 기타 정식기는 12.3~14.7Brix였고 5월 30일 정식기에서는 낮은 것은 생육후기 장마와 겹쳐 생육불량에 따른 미성숙과가 많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표. 정식시기별 과특성
정식시기 |
과특성 |
장폭비 |
과육두께 |
당도 |
과육비율 | |
과장(cm) |
과폭(cm) | |||||
터널재배 4월10일 |
10.6 |
16.8 |
0.63 |
21.4 |
9.8 |
75.2 |
터널재배 4월20일 |
10.1 |
16.2 |
0.62 |
20.5 |
10.9 |
74.0 |
터널재배 4월30일 |
9.7 |
16.2 |
0.60 |
19.4 |
13.1 |
80.0 |
노지재배 4월30일 |
9.1 |
15.5 |
0.59 |
21.5 |
12.3 |
79.4 |
노지재배 5월10일 |
9.4 |
15.1 |
0.62 |
18.8 |
13.6 |
80.0 |
노지재배 5월20일 |
9.1 |
14.0 |
0.65 |
17.6 |
14.7 |
76.8 |
노지재배 5월30일 |
7.9 |
10.9 |
0.72 |
14.1 |
10.5 |
75.4 |
단호박은 재배양식이나 품종특성 및 생산목표에 따라 재식거리와 시비량이 다르며 일본의 경우 촉성재배시 재식거리는 250㎝×25~30㎝, 1덩굴 유인에는 퇴비 3,000㎏/10а, 반촉성재배는 재식거리 450㎝×30㎝ 2덩굴 유인시 퇴비 3,000㎏ 시용이 효과적이라고 하였으며(西貞夫:1982) 단호박의 재식밀도별 아들덩굴과 착과부위별 퇴비시용량은 270×30㎝에서 1주 1덩굴로 1,230주와 270×60㎝ 1주 2덩굴 615주 1,230덩굴만 키울 때 퇴비를 기비로 2,000㎏ 시용을 권장하고 있다(다끼이종묘 기술양성자료 : 1993).
(다) 정식후 관리
① 보온 및 관수
정식후 일정기간은 터널과 하우스를 밀폐상태로 관리하는데 터널 내의 온도는 최고기온을 25~30℃로 유지하며, 35℃이상일 경우는 환기시켜 고온피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4월 중하순의 평균기온이 15℃이상 되면 터널을 1~2m 간격으로 직경 5~10cm의 환기 구멍을 설치 외부기온에 적응시켜서 뿌리 활착촉진과 고온피해를 방지토록 하며 늦서리 후 터널과 하우스비닐을 제거토록 한다.
정식 직후는 밤온도를 15~18℃로 높게 유지하여 활착을 좋게 한다. 활착한 후 낮온도는 23~25℃, 밤온도는 12~15℃로 유지하도록 환기와 보온을 한다.
② 정지 및 덩굴유인
순지르기와 곁순 따기는 가급적 맑은 날 오전 중에 실시해야 상처 아물기에 좋으며, 적심이나 곁순제거 시 하위절에 발생한 기형과는 제거토록 한다. 정식 후 활착이 되었을 때 원덩굴을 순질러 아들덩굴을 기른 다.
1번과 아래에서 발생된 곁덩굴들은 일찍 제거해 주는 것이 초세와 착과에 유리하다. 1번과 이후의 곁줄기는 초세에 따라 잎을 1~2장 남기고 잘라주는데, 한 포기에 항시 생장점이 2~3개 정도는 유지 되도록 예비 곁덩굴을 남기고 적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곁덩굴 제거시에는 바로 자르지 말고 곁덩굴의 잎이 어느 정도 큰 상태에서 자르도록 한다.
● 어미덩굴을 적심하고 아들덩굴만 2줄을 유인하여 재배한다. 아들덩굴 유인을 기본으로 하나 지력이 나쁜 포장, 모에 상처가 있을 때는 어미덩굴 1줄 유인도 좋다. 아들덩굴 3줄 유인에서는 착과불안정, 소과 생산으로 연결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피한다.
● 아래줄기를 정리하여 아들덩굴 2줄을 굵게 만든다. 줄기는 한쪽방향으로 유인하며 어미덩굴 적심 후 아랫가지 정리를 반드시 해준다. 하지 않을 경우 가지 수가 극단적으로 증가하고 밀식상태가 되어 착과가 나쁘고, 소과가 되기 쉽다.
측지제거는 채광성, 통풍성이 좋은 상태로 만들어 착과 안정성, 비대촉진으로 연결된다.
원덩굴 윗부분의 잎을 따줄 때에는 아랫잎의 수광상태를 고려하여 포기 전체에 광이 잘 들어오도록 광선투과를 방해하는 잎을 따준다.
원덩굴 잎은 주지의 과일 뿐 아니라 곁덩굴 과일의 비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생육 후반기까지 건전한 잎을 유지시키도록 관리하며, 아랫잎은 황화되거나 병든 잎은 따주어 채광이나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좋은 과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정 잎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일 1개당 필요한 잎수는 15장 정도에서 과일의 비대 생장은 물론 고형물 등 내용 성분의 함량도 충실해진다. 그러나 20장 이상 너무 많은 잎이 착생될 경우 아랫 잎에 햇볕이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므로 입체 재배시에는 적정 잎수가 유지되도록 특히 주의한다. 아들덩굴 2개를 유인할 경우 원덩굴의 본잎 4~5잎 이었을 때 순지르기를 한다.
표. 적심시기별 생육특성 (`99 경기. 북시)
적심 |
착과 |
수확과수 |
과육 |
당도 |
가식 |
상품화율 |
수량 |
지 수 |
2잎 |
14.0 |
1,662 |
25.6 |
12.5 |
82.7 |
98 |
2,958 |
94 |
3잎 |
13.6 |
1,726 |
25.2 |
12.1 |
82.1 |
98 |
3,090 |
99 |
4잎 |
13.6 |
1,717 |
27.2 |
13.2 |
81.8 |
99 |
3,091 |
99 |
5잎 |
13.4 |
1,727 |
26.8 |
12.2 |
81.7 |
99 |
3,136 |
100 |
비가림 하우스를 이용한 입체재배에서 아치형, 직립유인(지주 밑에 심어 바로 지주대로 유인하는 방법), L자 유인(이랑 한쪽에 심어서 반대쪽으로 포복유인 후 지주대에 올라가게 하는 L자 모양의 유인방법), 관행 포복재배의 유인방법을 검토한 결과, L자 유인방법에서 생육은 물론 수량에서도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이는 잎면적 확보와 양·수분 이동 등이 유리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L자 유인방법은 100~120cm 정도의 이랑을 만들고 이랑의 양쪽에 2줄로 정식을 하여 이랑 안쪽으로 서로 비스듬히 유인시켜 반대쪽 지주대에 덩굴이 올라가도록 유인시키는 방법과(유인방법①), 이랑 안쪽에 조간 30~40cm로 두줄로 심고 각각 반대편 이랑 부분까지 유인한 후 다시 반대편 지주가 있는 곳으로 유인하여 지주에 올라가도록 유인하는 방법이 있다(유인방법②). 어느 것이나 포기나 지주간격은 50cm 정도로 하며, 이랑과 이랑사이는 120㎝ 정도로 넓게 하여 작업과 햇볕 쪼임이 좋도록 한다. 유인을 잘못하여 중간에 다시 유인을 하게 될 경우 마디에서 발생되는 부정근이 뽑히게 되고 덩굴과 잎들이 넘어지게 되므로 유인은 처음부터 유인핀 등으로 고정시켜 유인방향을 결정하도록 한다.
표. 유인방법에 따른 주지 적심 전 생육
구 분 |
덩굴길이 |
마디수 |
개화수 |
생체중(g/주) |
잎면적 | |
지상부 |
뿌리 | |||||
포복 |
324 |
24 |
2.3 |
1,134 |
18.7 |
14,599 |
L자 |
350 |
25 |
2.7 |
1,151 |
18.3 |
15,585 |
직립 |
309 |
23 |
2.7 |
898 |
12.3 |
12,844 |
아치형 |
283 |
23 |
2.7 |
833 |
13.0 |
11,814 |
지주 높이는 암꽃의 착생 위치에 따라 달라지겠으나 2m 정도면 적당하다. 높은 마디에서 암꽃 개화가 예상 될 경우 덩굴을 내려주거나 포복 유인거리를 길게 조절한다. 포복유인 거리는 1 m 이상 유인시켜 아랫잎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포복 유인시 각 마디에서 발생되는 부정근을 잘 발생되게 하여 식물체의 지지 및 양·수분의 흡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덩굴이 포복되는 부분은 멀칭 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지주를 이용하지 않고 오이재배에서 많이 이용되는 바인더끈 등을 이용하여 원덩굴 적심 부위에 파이프를 걸치고 이곳에 유인끈을 고정하여 이곳으로 덩굴을 유인하여도 생육에 지장 없이 재배가 가능하다.
순지른 후 10~15일이면 아들덩굴이 10cm내외로 자라는데 제1엽과 제5엽 에서 나오는 아들덩굴의 대부분이 세력이 나쁘기 때문에 제거해준다. 나머지 2~4잎의 아들덩굴을 신장시키면 20 여일 후에 길이가 60cm 정도 자라는데 이때 제1차 정지작업을 하며 원덩굴과 아들덩굴의 곁가지를 제거해서 하우스 쪽으로 유인한다.
또한 적심 후 30일을 전후하여 아들덩굴이 80~90cm에 이르는데 이때 측지를 제거한 후 하우스에 올린다. 노지재배시는 측지제거 후 덩굴을 30cm간격으로 배치 유인하여 주는 것이 개화기 때 좋은 덩굴형태를 갖추어 개화결실이 좋다. 이때 정지와 유인 이 늦어지면 덩굴과 잎이 손상되고 암꽃의 씨방에 손실을 입힐 수 있으므로 주의를 해야 한다. 덩굴이 신장하여 선단부가 옆으로 늘어질 경우 제2차 덩굴유인 작업을 실시토록 하며 노지재배시 이랑 끝에 덩굴선단이 닿으면 막대기를 꽂아 덩굴을 다시 포기쪽으로 유인해준다.
③ 착 과
단호박 재배의 경우 목표하는 위치에 암꽃을 확실하게 맺게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품종이나 육묘 상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단호박의 첫 번째 암꽃은 대체로 7~9마디에서 맺히고 이후 4~5마디 건너서 암꽃이 맺히는데, 첫 번째 암꽃은 가능한 제거를 하고 1번과를 11~13마디에서, 2번과는19~21마디 정도를 목표로 하여 착과 시키도록 한다. 초세가 약할 경우에는 이보다 약간 높은 마디에, 강할 경우에는 낮은 마디에 착과 시킨다.
착과 위치는 지주의 아랫부분 30cm 정도에서 1번과가, 지주의 중간 정도에 2번과가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1과 착과절 이전의 손자덩굴은 모두 제거하고 1번과와 2번과 사이의 손자덩굴은 세력을 보아 1장의 잎을 붙여두고 제거해주면 상품가치가 높은 단호박을 키울 수 있다. 덩굴은 유인끈으로 지주에 고정시켜가고 2번과의 착과를 확인한 후 5~6마디 남기고 주지 적심을 한다. 1포기에 1과 이상을 착과 시킬 경우 비대가 양호한 높은 마디에 착과를 시키는 것이 좋다.
표. 착과시의 영양진단
진단 부위 |
적정 규격 |
비 고 |
잎의 길이(횡경) 착과절위 |
40 ~ 45cm |
50cm 정도라면 영양생장이 많다 |
절간길이(착과절위) |
12 ~ 15cm |
|
덩굴끝에서 꽃까지의 길이 |
50 ~ 65cm |
70cm 정도 되면 영양생장 과다 |
덩굴끝에서의 각도 |
20 ~ 30도 |
약해지면 지면에 밀착 |
포장의 수분관리는 너무 과습하면 병발생과 초세가 무성해져 착과율이 떨어지며, 과비대 후기에 토양이 과습하게 되면 과일의 당도가 떨어져 상품가치가 저하되므로 착과 20일 후부터는 약간 건조한 상태로 수분관리토록 배수로 정비 등에 힘쓰며 가뭄지속 시 점적관수 등으로 일정수분을 유지시켜 주도록 한다.
과일의 크기는 잎면적을 어느 정도 확보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단호박을 100g 비대 시키는데 약 940㎠의 잎면적이 필요한데 2㎏의 과일을 수확목표로 할 경우에는 잎폭 38cm 정도의 잎이 15장이 있어야 하므로 수량과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육을 양호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표. 호박 잎수와 과중(果重) 및 식미와의 관계 (萩原 1946)
확보 엽수 |
과일 무게(g/개) |
식미 |
7잎 |
2,690 |
중 |
13잎 |
2,647 |
상 |
18잎 |
2,613 |
상 |
방임구 |
1,955 |
상 |
개화기에 방화곤충이 적거나 흐린 날이나 비가 계속될 때, 저온으로 방화곤충의 활동이 둔한 시기에는 인공수분을 해줘야 한다. 인공수분은 개화당일 아침 일찍 시작하여 9시경까지는 마치도록 한다. 인공수분에 의해 과일을 비대 시키는 것이 좋겠지만 저온기에는 꽃가루가 잘 안나오거나 수분을 해도 화분관의 신장이 어려워 착과가 잘 안 되는 경우가 있다. 단호박의 경우 토마토톤 같은 착과제를 처리할 경우 농도에 따라 기형과 발생이 우려되므로 착과제를 처리하지 말고 가능하면 인공수분이나 수정벌을 이용하도록 한다.
착과제를 사용해야할 경우 수꽃의 화분은 저온기에는 활력이 낮아 초기 1번과 착과 시 결과를 좋게 하기 위해 활력이 좋은 수꽃가루를 채취하여 암꽃의 주두에 발라주어야 한다. 개화기 때 강우가 2~3일 예상되거나 평균기온이 18℃이하일 경우 착과를 돕기 위해 인공수분 대신 NAA 300ppm, 또는 토마토톤25~50배액 또는 100~200ppm 을 소형분무기를 이용 살포하여 줄 경우 효과가 높다.
④ 추비시용
비옥지에서 1덩굴에 1과를 착과시킬 때에는 추비시용이 필요 없으나 생육부진포장과 척박지에서는 단호박 1번과가 야구공 크기 정도 되었을 때 질소, 칼리를 총시비량의 ⅓을 포기사이에 구멍을 내고 주는데 시비량은 생육에 따라 조절해야 한다. 미량원소(4종복비) 살포시 극미립자로 하여 오후 4시경에 생리작용이 왕성한 완전전개 잎의 뒷면에 잘 부착되도록 살포한다.
⑤ 착과 후 과일 품질 변화
단호박은 대체로 개화 후 15~18일 정도 되면 과일 비대가 완료되고 그 후 충실기에 들어가며 25일 정도에서 최대에 달한다. 착과 후의 전당 및 비환원당(非還元糖)의 함유율은 대체로 착과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증가하며, 당도도 증가한다. 전분 함유율도 착과 후 45~50일까지는 증가하고 그 후 감소하게 된다. 또한 수분 함유율은 전분함유율이 최고가 되는 시기에 가장 적어지며, 그 후 전분이 당으로 변하면서 증가해 간다. 이처럼 착과 후 과일 품질이 변화하는데, 저장일수가 경과하면서 전분함량이 감소하고 비환원당이 증가한다. 육질도 수확 후 저장일수가 경과하면서 분질감(紛質感) 있는 과일에서 서서히 점질감(粘質感)이 있는 과일로 변화해 가며 동시에 당도도 증가한다. 수확 시기별 당함량 변화를 보면 나무에서 성숙한 과일은 완만한 증가를 보이는데 비하여 착과 후 40일, 45일, 50일, 55일 등에 각각 수확한 과일은 당도증가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저장조건에 따라서 수상(樹上)에서 성숙한 과일보다 당도가 높은 과일을 생산할 수 가 있다.
(라) 수 확
단호박은 대체로 개화 후 15~18일 정도 되면 과일 비대가 완료되고 그 후 충실기에 들어가며 25일 정도에서 최대에 달한다. 수확적기는 개화 후 45~50일 경으로, 성숙까지의 기간은 품종이나 온도, 영양상태 등에 따라 달라진다. 수확적기의 판단은 과일의 색깔이 품종 고유의 색을 드리우고 꼭지부에 세로로 코르크화 된 균열이 발생하고 갈색으로 변하며 과피의 광택이 둔해지는 시기이다. 그러나 수확적기는 품종이나 재배조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숙도의 판정 일수를 참고로 하여 과피색과 꼭지부의 상황을 보고 실시한다. 한 두 개 잘라본 후 결정하는 것도 좋다. 과피를 손톱으로 눌러보아 흠이 생길 때는 너무 빠르다. 너무 어릴 때 수확을 하면 포기의 부담이 적어져 수량은 많아지나 식미가 나빠지게 된다.
단호박은 성숙과를 수확하므로 절대 미숙과를 수확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수출용 단호박에 있어서 과일의 숙도를 감안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수확하는데 이는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수확은 맑은 날에 하도록 하며, 수확 후 열매꼭지의 유관속을 통하여 미생물 등이 침입하여 부패의 원인이 되므로 수확시에는 예리한 칼로 절단하는데 면적을 작게 하고 매끄럽도록 잘 다듬어 유통중 과일간의 마찰 및 부패 등을 방지한다. 열매꼭지를 잘 다듬은 후 음지에서 7~10일 정도 큐어링을 한 후 절단면을 건조시킨 후 출하 또는 저장한다. 큐어링 처리는 실내의 그늘진 곳에서 온도 25℃, 습도 70~80% 정도에서 실시하며 30℃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큐어링은 수확시의 상처를 아물게 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전분이 당분으로 변하는 과정을 촉진시키므로 반드시 실시하도록 한다.
표. 큐어링 처리에 의한 단호박 저장 중(10℃) 과일 부패방지 효과
큐어링 처리 |
저장일 수 부패율(%) | |||
일수 |
온도(℃) |
36일 |
61일 |
91일 |
무처리 |
- |
33 |
50 |
58 |
11일 처리 |
20 |
17 |
25 |
25 |
16일 처리 |
20 |
17 |
25 |
33 |
(마) 저 장
단호박의 출하 조절 및 원활한 수급조절을 위하여 저장을 하게 되는데 우선 상처과나 과피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고 열매꼭지를 잘 다듬은 다음 5~7일 정도 예건 시킨 후 저장한다. 저장방법은 단호박을 개체별로 신문지로 피복한 후 선택성 필름(0.08mm)에 담아 밀봉한 후 유공플라스틱 상자에 저장하는데, 노보리 1,2호의 경우 8℃ 저온 저장시 60일까지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장중 과일내의 가용성 고형물이나 환원당, 과당, 서당 등의 당류는 저장 3개월까지는 증가하나, 6개월이 되면 오히려 감소되므로 너무 오랫동안 저장하지 않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