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플라스틱 종류와 배출의 심각성
최근 몇 년 동안, 환경오염 문제는 세계적으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기, 물, 토양 등 다양한 환경 요소들이 오염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고 생명체들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것으로 우리의 건강과 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장기적으로는 지구 전체의 생존에도 위협이 되고 있다.
우리가 사용한 플라스틱이 방치되고, 방치된 플라스틱 쓰레기들로 인해 그 플라스틱 쓰레기위에 둥지를 튼 백조, 신천옹의 시체 뱃속에서 나온 플라스틱 쓰레기의 이야기는 인간이 무심코 버린 쓰레기로 벌어지는 일에 심각성을 말해주고 있다.
1950년대 이후 사용량이 폭증한 플라스틱은 세계 시장 규모가 7,500억 달러(한화 840조 원) 유엔에 따르면 2016년 세계의 플라스틱 병은 4,800억 개로 집계되었다. 2021년에는 그 수가 5,830억 개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플라스틱이 폐기물의 약 10%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런데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미생물이 분해할 수 없는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자연 분해 기간이 기하급수 적으로 늘어나 스티로폼 컵은 50년, 일회용 기저귀는 450년, 낚시줄은 600년이 걸린다. 반면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의 양은 매우 적은 상황이다. 결국 도시에는 폐비닐이 쌓이고, 강과 해안에는 플라스틱 병들이, 바다는 거대한 플라스틱 뭉치들이 떠다니는 상황이다.
유엔환경계획(UNEP)이 2016년 5월 펴낸 보고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와 미세 플라스틱>에 따르면, 플라스틱이 2010년에만 최소 480만t에서 최대 1270만t이 바다로 흘러들어갔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각에서는 2050년 바다에 물고기와 플라스틱의 비율이 50 대 50이 될 것이라고 예측, 1997년 발견된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는 2009년 두배 가까이 커져 한반도의 7배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바다 쓰레기섬의 90%가 플라스틱이다. 이 중 잘게 쪼개진 플라스틱들은 바다를 떠다니다 바다 생물에게 먹히게 되는데, 바다 쓰레기섬 주변 어류 35%의 뱃속에서 작은 플라스틱이 들어있다고 알려졌다. 한편 1mm 미만의 플라스틱 입자들은 미세 플라스틱이라 하는데 먹이사슬을 통해 음식으로 인간의 몸속에 도달해 문제가 되어, 이로 인해 미생물에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기 위한 노력이 일고 있다. 하지만 강도가 기존 플라스틱에 미치지 못하여 아직 대체율은 낮은 상황이라고 한다.
플라스틱종류 두가지
1)미세플라스틱:
의도적으로 제조되었거나 또는 기존제품이 조각나서 미세화된 크기 5mm이하의 합성 고분자화합물로 정의된 미세플라스틱은 생성되는 기원에 따라 1차 미세플라스틱과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구분 1차 미세플라스틱은 의도적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알갱이로서 레진펠렛(크기2-5mm의 플라스틱 원료물질), 세안제와 치약에 들어 있는 스크럽제(마이크로비즈로 불림), 공업용 연마제 등이 포함된다. 2차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제품이 사용되는 과정이나 버려진 이후에 인위적인 행위나 자연풍화에 의해 조각나고 미세화된 플라스틱 파편을 가리킨다. 미세플라스틱은 해안, 외딴 섬, 대양, 심해, 극지방에 걸쳐 지구 전체에 널리 분포하고 있고, 생물, 퇴적물, 물, 대기 등 환경매질 전반에서 검출되고 있다. 또한 수산물, 소금, 맥주, 꿀 등 식품에서도 검출되고 있다.
2) 해양 미세플라스틱:
플라스틱 해양쓰레기는 매년 수백만 톤씩 바다로 유입되고 있으며, 바다에 버려진 밧줄, 그물, 비닐봉지들은 '얽힘(entanglement)’과 '삼킴(ingestion)’을 통해 해양생물에 피해를 주고 있다. 바다로 들어온 플라스틱은 강한 자외선과 파도에 마모되고 쪼개지면서 점점 작은 플라스틱 입자가 된다. 입자가 작아지면서 얽힘의 피해는 줄어드나, 삼킴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생물종이 고래, 바다거북, 조류 등 대형 해양생물에서 작은 무척추동물과 동물플랑크톤까지 대폭 확장될 수 있다. 북대평양 환류대에서 채집한 어류, 북유럽 풀마슴새, 바다쇠오리류, 브라질 마젤란 펭귄의 위에서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확인되었으며, 유럽 연안의 바닷가재, 홍합류, 따개비류 등의 무척추동물의 체내에서도 확인되었다. 미세플라스틱에는 플라스틱 제조 시 첨가되고 주변의 해수로부터 흡착한 다양한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미세플라스틱을 삼킨 해양 생물은 플라스틱 입자의 물리적 영향과 더불어 미세플라스틱에 붙어있는 화학물질을 흡수하여 추가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2. 일회용품 종류와 배출의 심각성
"1회용품" (같은 용도에 한 번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다음의 제품들)
1) 1회용 컵·접시·용기(1회용에 제공할 목적으로 종이·합성수지·금속박 등의 재 질로 제조된 것)
※ 다만, 설탕·커피·크림·케첩 등과 같이 포장된 상태로 생산된 제품을 그대 로 제공하는 것과 컵·접시·용기의 형태가 아닌 종이· 비닐 및 금속박지 싸개 는 제외함
2) 1회용 나무젓가락(1회용에 제공할 목적으로 나무 재질로 제조된 것을 말함)
※ 다만, 표면을 옻칠 등으로 가공처리 하여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 어진 것은 제외함)
3) 이쑤시개
※ 다만, 전분으로 제조한 이쑤시개는 제외함
4) 1회용 수저·포크·나이프
1회용 광고 선전물(종이에 합성수지를 분사하여 종이표면에 막을 형성시키거 나 합성수지필름을 붙인 광고전단지로서 신문·잡 지등에 삽입하는 것으로 고객 배포용 광고전단지 및 카탈로그 등 단순광고 목적의 1회용 광고 선전물)
※ 고객에게 제공하지 않고 영업장소에 부착하는 광고전단, 포스터, 스티커와 영업장내에서 사용하는 제품 소개용 카탈로그 등 의 홍보물과 여러 번 사용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고객에게 제공하는 선전물은 제외함
5) 1회용 면도기·칫솔(1회용에 제공할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말함)
6) 1회용 치약·샴푸·린스(소형의 용기 등에 포장된 것으로서 1회용에 제공할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말함)
7) 1회용 봉투·쇼핑백[1회용에 제공할 목적으로 합성수지 또는 종이 재질에 단 면 이상을 합성수지 등으로 도포(코팅) 하거나 첩합(라미네이션)하여 제조된 것을 말함]
※ 다음에 해당하는 봉투·쇼핑백은 1회용품에서 제외함
√ A4규격(210mm×297mm) 또는 1ℓ(1,000㎤)이하의 종이 봉투·쇼핑백
√ B5규격(182mm×257mm) 또는 0.5ℓ(500㎤)이하의 비닐 봉투·쇼핑백
√ 망사·박스 및 자루 형태로 제작된 봉투·쇼핑백
√ 이불, 장판 등 대형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제작된 50ℓ이상의 봉투
8) 1회용 응원용품(체육관, 운동장, 종합체육시설 등에서 응원객, 관람객 등에 게 제공하기 위한 막대풍선, 비닐방석 등을 말함)
※ 1회용 비닐식탁보(생분해성수지제품 제외)
1회용 빨대 및 1회용 젓는 막대,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 1회용 우산 비닐
3. 오염되고 파괴되는 지구와 생태계의 심각성에 대한 대응 방안
서대문노인종합복지관은 환경보호 실천에 동참하도록 6월 환경의 달 기념행사를 '환경보호 첫걸음'이라는 주제로 6.5(월) ~ 6.23 (금 )까지 '환경지킴서약'하고 매일 실천하도록 실천모습을 사진찍어 카카오톡으로 제출하는 사람들에게 선물을 주었다
→환경지킴 체크리스트
자전거 및 대중교통 이용하기 /전기절약하기 /적정 실내 온도 유지하기 /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일회용품&플라스틱 줄이기 / 분리수거 잘하기 /잔반 없는 날 (식당) 나무 심기 / 환경마크 인증 제품 사용하기 / 대체에너지 사용하기
→환경보호 첫걸음으로 환경실천교육을 실시
헌 바지로 가방 만들기 / 지구를 지키는 친환경미술 / 플로킹 / 텀블러데이( 텀블러 가져오는 사람들에게 커피와 음료를 무료로 제공) & 환경보드게임으로 오염되지 않는 지구의 중요성도 인식시키고/ 천연세제 나눔
위와 같이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대문구내에서만 노력한다고 해결 될 문제는 아니다 개인과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환경에 대한 책임으로는 에너지 절약을 위한 습관 형성, 재활용과 분리수거의 실천,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또한, 환경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과 규제가 중요하다. 산업체들은 환경친화적인 생산 방식을 도입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 필요하다.
환경오염은 우리 모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므로 우리의 건강과 미래를 위해서는 이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취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은 국경을 넘어서는 문제이기에 국제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다. 국제적인 협력을 위해 다양한 나라들이 모여 전 세계적인 환경보호를 위한 규제와 정책을 협의하고, 기술과 지식을 공유하고, 환경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환경보호 단체에 참여하여 우리의 목소리를 높이고,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 개개인의 노력과 사회적인 관심, 정부의 지원과 규제, 국제적인 협력과 지식을 공유하면서 모두가 함께 노력하여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우리 모두의 책임이요. 심각성에 대한 대응 반응이라고 할 수 있겠다.
시니어기자 박영자
첫댓글 와 구구절절 옳은 말씀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바쁘신 중에도 관심갖고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듣고 실천이 가장 중요하고 필요할 때네요.
누굴 위해서 실천이 아니고 자신을 위해서 실천하는 것임을 우리는 이해하고 깨달음을 느낍니다.
긴 기사 수고하셨습니다.
그렇습니다
나자신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실천이 쉬울텐데 ...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생활속의 작은일부터 실천하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
캄사합니다
박영자 기자님처럼 플라스틱과 일회용의 심각성과 대응 방안을 일깨워 주는 글 덕분에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모르는 사람은 이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장바구니를 사용하거나 빨대나 일회용 컵을 사용하지 않으려고 하는 노력을 하게 되었지요.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글 잘보고갑니다.
비닐한장도 아껴서 환경오염에 동참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글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우리 복지관 에서 모두 각자 컵 쓰기, 장바구니 쓰기 실천해야 겠어요, 감사합니다^^